마늘 가격 8월도 강세 전망, 정부 수입물량 8월 중 방출 계획
생산량 감소로 마늘∙양파 가격 당분간 강세 전망
● 2010년산 마늘 생산량은 작년보다 24% 감소한 27만 1,560톤으로 8월 마늘 가격도 강세가 지속될 전망. 정부 수입물량은 8월 중 전량 시장에 방출할 예정.
● 양파 2010년산 생산량이 작년보다 6% 감소함에 따라 8월 가격도 작년보다 높을 듯. 저장출하기(9~12월)가격은 중국 양파 수입 증가 가능성이 높아 급등 현상 없이 소폭 상승세 전망.
양념채소 재배(의향)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대파 가격 8월부터 약세 지속 전망, 정식 확대 자제 필요
● 햇 건고추(화건) 8월 가격은 금년산 생산량이 감소하나, 재고량 많아 작년보다 낮을 듯.
● 풋고추 8월 가격은 출하량 감소로 작년보다 강세 전망.
● 대파 8월부터 출하량 증가로 반전되어 가격은 약세로 전환될 전망. 가을∙
겨울∙월동대파 재배 면적 증가로 대파 가격 약세 장기화 우려.
재배(의향)면적 동향
● 2011년산 마늘 재배 의향면적은 금년산보다 2% 증가, 양파는 2% 감소 전망.
겨울∙월동대파 재배 면적은 각각 3%, 9% 증가 전망.
농업관측센터aglook.krei.re.kr
농 업 관 측
2010
년 8 월호
양념 채소
2011년산 재배 의향면적 대파
마늘 양파 겨울 월동
1.5 -1.9 3.3 8.7
7월 도매가격은 작년 동월보다 59% 상승
� 양파 7월 상품 20kg당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상순 1만 5,900원(중품 1만 3,110원)에서 중순 1만 7,330원 (중품 1만 4,060원), 하순 1만 8,990원(중품 1만 4,990원)으로 상승하였다.
� 7월 평균 도매가격은 작년과 평년 동월보다 각각 59%, 63% 높은 상품 20kg당 1만 7,470원(중품 1만 4,090원)이었다.
� 이는 기상 악화로 작황이 부진하여 중만생종 생산량이 작년보다 감소하였고, 7월 남부 지역의 잦은 강우로 산지에서 작업이 원활히 이뤄지지 못해 출하량이 줄었기 때문이다.
올해양파생산량작년보다감소전망
� 2010년산 양파 재배 면적은 작년보다 19% 증가한 2만 2,113ha로 확정 발표되었으며, 품종별로는 조생종이 2,542ha, 중만생종이 1만 9,571ha이다.
� 2010년산 양파 10a당 수확량은 작년보다 2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저온 현상과 잦은 강우, 일조 부족으로 생육이 부진하였기 때문이다.
� 2010년산 양파 추정 생산량은 재배 면적이 늘었지만, 작황 부진으로 단수가 감소하여 작년보다 6% 감소한 약 129만 톤으로 전망된다. 품종별로는 조생종이 25%, 중만생종이 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주: 일별가격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가격은 2005년 4월�
2010년 3월의 일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양파 도매가격 동향 (상품)
주: 일별 반입량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 반입량은 2005년 4월�
2010년 3월의 일별 반입량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양파 반입량 동향
양파
가격 동향
생산 전망
∙농업관측센터 소비자 패널 조사 결과, 양파 7월과 8월 소비의향은 6월(100)보다 각각 6P, 11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계속되던 소비 증가세는 주춤해질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올해 양파 생산량 감소에 따른 가격 상승으로 양파 소비가 위축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양파 소비는 주춤할 듯
중국 양파 가격 전월대비 보합세
� 7월 말 중국 양파 산지 가격(운남, 산동 지역)은 금년산 생산량 감소로 작년 동월보다 8% 상승한 톤당 210달러 (1,400위안)에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7월 말 중국산 신선양파 20kg당 국내 수입 가능 가격은 작년 동월보다 5% 높으나, 전월 대비 보합세인 2만 원으로 추정된다.
� 7월 1�25일까지의 양파 수입량은 건조양파 14톤, 냉동양파 188톤이며, 이를 신선양파로 환산할 경우 417톤으로 작년 동기(450톤)보다 7% 감소하였다.
� 8월 양파 수입량도 국내 가격 대비 수입 가격이 높아 전월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 9월부터 본격 출하되는 감숙 지역과 내몽골 지역은 재배 면적이 크게 증가하여 작황에 문제가 없을 경우 향후 생산량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 따라서 9월 이후 중국산 양파 수입 가격은 하락할 것으로 보여 신선양파가 수입되는 등 수입량은 현재보다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8월 도매가격은 작년 동월보다 높을 듯
� 양파 8월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상품 20kg당 1만 9천 원으로 작년과 평년 동월보다 각각 46%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8월 양파 가격 강세 지속될 듯
∙저장업체 조사결과, 금년 양파 입고 희망량은 작년 보다 소폭 감소한 57만 4천 톤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금년 양파 생산량 감소로 입고의향만큼 저장할 물량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입고된 양파 kg당 평균 입고가격은 생산량 감소와 마늘 대체 저장 수요 증가로 작년보다 36% 상승한 571원으로 조사되었다.
∙입고된 양파의 본격적인 출고는 8월 초∙중순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여 작년보다 보름 이상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저장업체 입고 희망량은 작년보다 소폭 감소 2010년산 양파 생산량 추정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양파 수입 실적
단위: 톤, %
수출입 전망
가격 전망
주1: 2010년 7월 수입량은 1�25일까지의 실적임.
주2: 냉동양파, 건조양파, 초산조제양파는 수율을 적용하여 신선∙
냉장양파로 환산한 물량임.
자료: 관세청.
구분 2008년산 2009년산 2010년산 작년대비 증감률 4�6월 9,490 4,338 9,939 129.1
7월 3,912 892 417 -53.2
8�3월 52,117 16,540
계 65,519 21,770 10,356 -52.4
저장업체 금년산 양파 입고 상황
단위: 원/kg, 톤, %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저장업체 조사치.
연산 평균
입고가격
저장량 7/20
현재실적
7/20
이후 계획량 계 2010 571 565,478 8,843 574,322 2009 419 570,061 8,180 578,241
증감률 36.2 -0.8 8.1 -0.7
구분
생산량 증감률
면적 (ha)
단수 (kg/10a)
생산량 (만톤)
작년 대비
평년 대비 조생종 2,542 4,939 12.6 -24.8 -22.5 중만생종 19,571 5,922 115.9 -3.9 24.7 전체 22,113 5,809 128.5 -6.4 17.8
양파
�이는 중만생종 양파의 작황 부진으로 수확량이 감소 하였으며, 수입량도 적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 또한, 가저장 물량이 조기에 소진되고, 저장 양파가 출하되면서 8월 가격은 전월보다 상승할 전망이다.
저장출하기 가격 급등 가능성 낮아
� 저장 출하기(9월�12월) 가격은 저장량 감소로 작년 대비 강세가 유지될 전망이나, 중국 감숙∙
내몽골 지역의 양파 생산량 증가로 9월부터 수입이 증가할 여지가 있어 7월과 같은 가격 급등 현상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 따라서 저장 출하기(9월�12월)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상품 20kg당 2만 원 선에서 소폭 상승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2011년산 양파 정식 확대 자제해야
� 2011년산 양파 재배 의향면적은 금년보다 2% 감소 하나, 조생종 양파는 8% 증가하여 작황이 평년 수준을 유지할 경우 조생종 양파 생산량은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 이 때문에 조생종 양파 수확기 가격 하락이 우려 되므로 정식 면적 확대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내년산 조생종 양파 재배의향 증가, 중만생종은 감소
4
중기선행관측
조기 예보
주: 평년 가격은 2005년 4월�2010년 3월의 최대, 최소를 뺀 연산 기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양파 도매가격 동향
단위: 원/20kg
∙2011년산 양파 재배 의향면적은 금년보다 2%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생종은 2010년산 출하기 가격이 상당히 높아 재배 의향면적이 작년보다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제주 지역이 13%, 전남 지역이 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중만생종은 작년보다 3%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2010년산 재배 면적이 크게 증가하여 금년보다 면적을 늘릴 경우 작황 호조 시 생산량 증가를 우려한 농가들이 마늘 등으로 작목 전환을 고려하기 때문이다.
∙지역별로는 중만생종 주산지인 전남 지역이 1%
감소하였고, 경북 지역과 전북 지역은 각각 9%, 5%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산 양파 재배 의향면적 2% 감소
2011년산 양파 재배 의향면적 금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구분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조생종 - 4.6 - - 13.0 7.7 중만생종 -5.4 -0.9 -9.4 -3.9 -9.3 -3.2 전체 -5.4 -0.1 -9.4 -3.9 7.8 -1.9
연산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2010 상품 32,839 16,974 12,791 17,468 중품 24,363 12,922 10,853 14,087
2009 상품 20,800 14,040 10,020 11,020 13,040 12,700 13,740 13,680 12,000 12,600 16,181 20,935 중품 18,040 12,400 8,780 9,320 11,300 11,760 12,560 12,460 10,320 11,300 13,660 18,016 평년 상품 17,807 11,553 9,153 10,747 13,013 13,173 13,933 14,960 14,640 14,980 16,847 18,014 중품 14,080 9,727 7,680 8,587 10,853 11,860 12,413 13,640 12,877 13,140 14,127 14,780
대파
7월에도 가격 강세 지속
� 대파 7월 상품 kg당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상순 1,410원 (중품 1,160원)에서 중순 1,500원(중품 1,290원)으로 상승하였으나, 하순에는 1,300원(중품 1,090원)으로 하락하였다.
� 대파 평균 도매가격은 1,390원(중품 1,160원)으로 작년과 평년 동월보다 8%, 57% 높은 수준이었다.
� 이는 기상 악화로 경기 지역 대파 생육이 지연되면서 출하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8월부터 출하량 증가로 전환될 전망
�대파 8월 출하량은 출하 면적 증가로 작년 동월보다 4% 늘어날 전망이다.
�출하 면적은 작년 출하기 가격 강세에 따른 여름대파 재배 면적 증가로 작년 동월보다 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10a당 수확량은 생육 초기 저온 및 가뭄 피해가 있었으나, 작황 호전으로 작년 동월과 비슷해질 전망이다.
�9월 출하 면적은 강원 지역 대파 출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작년 동월보다 6% 증가하겠으며, 15일 이후 출하 면적은 이전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10월은 여름대파와 가을대파가 혼재 출하되면서 출하 면적은 작년 동월보다 4% 증가할 전망이다.
15일 이후 여름대파 출하 비중이 줄면서 출하 면적 증가폭은 이전보다 다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가격 동향
출하 전망
주: 일별 가격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 가격은 2005�2009년의 일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대파 도매가격 동향(상품)
주: 일별 반입량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 반입량은 2005�
2009년의 일별 반입량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대파 반입량 동향
대파 8월 순별 출하량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표본농가 조사치.
대파 8월 출하량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표본농가 조사치.
구분 경기
강원 충청 전북 전남 경북 부산 경남 전체 출하면적 6.4 3.3 5.7 7.2 2.9 2.6 4.3 단수 -2.1 0.8 0.9 4.7 1.0 -2.0 -0.1 출하량 4.3 4.1 6.6 11.9 3.9 0.6 4.2
상순 중순 하순 전체
4.5 3.8 4.3 4.2
∙8월 주요 출하지역은 이천, 안성, 구리, 여주 등을 비롯한 경기 지역과 평창, 강릉의 강원 지역, 충주, 청주의 충청지역, 부안, 고창의 전북 지역 등으로 확대된다. 또한, 부산 경남 지역에서 일부 출하되기 시작한다.
∙주 출하 지역인 경기 지역은 7월 20일부터 출하 되고 있으며, 강원 지역은 8월 하순부터 출하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지 동향
대파
8월 수입도 많지 않을 전망
�7월 1~25일까지 신선대파 수입량은 35톤으로 6월 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주로 7월 상순경에 수입되었다.
�8월 대파 수입은 고랭지대파 출하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소량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8월 가격은 작년보다 약세 전망
�대파 8월 상품 kg당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출하량 증가로 작년 동월보다 13% 낮지만, 평년 동월보다 6%
높은 1,200원으로 전망된다.
�8월 상순 가격은 경기 지역 대파의 본격적인 출하로 현 시세보다 낮겠지만, 중순에는 고랭지대파 출하 지연으로 상순보다 가격이 상승할 전망이다.
�대파 7월 포전거래는 경기, 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평균 거래가격은 3.3㎡(10kg)당 경기 지역이 7,000원, 강원 지역이 1만 2,000원으로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하순에는 출하대기량이 많아 거래가 중단된 상황이다.
8월부터 가격은 약세로 반전될 듯
6
수출입 전망
가격 전망 대파 월별 출하 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표본농가 조사치.
대파 포전거래 가격동향(경기 지역)
단위: 원/3.3㎡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지역모니터 조사치.
대파 포전거래 가격동향(강원 지역)
단위: 원/3.3㎡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지역모니터 조사치.
구분 6월 7월
상품 중품 상품 중품
2010 8,000 7,000 7,000 6,500 2009 6,000 5,000 5,500 5,000
구분 6월 7월
상품 중품 상품 중품
2010 12,000 9,000 12,000 9,000 2009 12,000 9,000 12,000 9,000
∙농업관측센터 소비자패널 조사 결과, 대파의 7월 소비 의향 지수는 92로 6월(100)보다 8P 하락하였다.
∙8월에는 방학, 휴가 등의 영향으로 대파 소비가 줄어 소비 의향지수는 88로 7월보다 하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출하 시기
경기
강원 충청 전북 전남 경북 부산 경남 전체 9월 9.2 3.9 6.7 7.4 4.6 2.1 5.9 10월 7.8 4.6 4.1 7.9 5.6 -3.9 4.2
대파 시기별 출하 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표본농가 조사치.
출하시기 15일 이전 15일 이후 전체
9월 5.4 6.3 5.9
10월 4.4 3.9 4.2
대파 소비의향 계속 줄어
∙가을대파 재배 면적은 작년 출하기와 정식기 가격이 높아작년보다 2% 증가할것으로전망된다.
∙겨울∙월동대파 재배 의향면적은 작년보다 각각 3%, 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재배 의향면적에 추정 단수를 적용할 경우, 가을 대파 생산량은 작년보다 5%, 겨울대파는 3~6% 증가할것으로전망된다.
가을 및 겨울∙월동대파 재배 면적 증가 전망 향후 가격은 약세 지속될 듯
� 9월에는 고랭지대파가 본격적으로 출하되면서 가격은 8월보다 더욱 하락할 전망이다.
�여름∙고랭지대파 출하기 평균 가격은 출하량 증가로 작년보다 낮은 상품 kg당 1,200원, 가을대파(10~12월)도 생산량 증가로 작년과 평년보다 낮은 1,000원에서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 겨울대파 출하기 가격도 재배 면적 증가로 작년보다 낮을 것으로 보여 가격 약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월동대파 정식 확대는 자제해야
�9월부터는 생육 지연되었던 고랭지대파 출하가 이루어지면서 가격 약세가 지속되겠으며, 가을∙겨울 대파 재배 면적도 늘어 기상이변이 없는 한 내년 4월까지 가격은 지속적으로 약세를 나타낼 전망이다.
더욱이 월동대파 재배 의향면적도 증가하여 가격 약세는 장기화 될 것으로 우려된다.
�따라서 내년 상반기 대파 가격 안정화를 위해서는 월동대파 정식 확대를 자제할 필요가 있다.
대파 가격 약세 장기화 우려, 월동대파 정식 확대 자제 필요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표본농가 조사치.
가을대파 재배 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표본농가 조사치.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표본농가 조사치.
대파작형별생산량추정 중기선행관측
조기 예보
대파 도매가격 동향
단위: 원/kg
주: 평년은 2005년 1월�2009년 12월의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겨울∙월동대파 재배 의향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0 상품 1,142 1,638 1,472 1,791 1,801 1,876 1,393 중품 1,027 1,468 1,257 1,568 1,555 1,704 1,159
2009 상품 852 741 672 749 1,071 1,463 1,293 1,382 1,433 1,300 1,326 1,052 중품 762 637 560 637 913 1,364 1,094 1,231 1,232 1,020 1,102 862 평년 상품 945 934 942 692 907 945 891 1,133 1,259 1,238 1,148 1,122 중품 824 812 811 569 764 827 738 973 1,063 1,018 973 931
충청 전북 경북 부산∙경남 전체
4.6 6.1 5.6 -6.7 1.6
작형 경기
강원 충청 전북 전남 경북 부산∙
경남 전체 겨울 - - - 7.3 - -6.7 3.3 월동 9.9 5.8 5.3 - 3.4 - 8.7
적용 단수 면적
(ha)
생산량 (톤)
작년 대비 증감률(%) 가을 추정 2,189 60,986 4.6 겨울 평년
4,748 151,408 6.2
작년 147,668 3.3
건고추(화건) 7월 도매가격도 약세
�건고추 화건 7월 상품 600g당 5대 도매시장 평균 도매가격은 재고량 증가로 작년보다 8% 낮은 5,500원 (중품 5,040원)이었으며, 생산량이 크게 감소한 양건은 4% 높은 7,050원(중품 6,530원)이었다.
2010년산 고추 생산량은 작년보다 5% 감소 전망
�2010년산 고추 생산량은 작년보다 5%, 평년보다 17% 감소한 11만 1,500톤으로 전망된다.
�고추 재배 면적은 농촌 고령화로 노동력이 부족하고, 인건비가 상승하여 콩, 옥수수 등으로 작목 전환한 농가들이 많아 작년보다 4%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농촌진흥청 고추 생육상황 조사결과, 7월 16일 현재 고추 착과수는 평년과 같지만, 작년보다 1.8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추 초벌 단수는 1%, 두벌 이후 단수는 2% 적을 것으로 조사되어 평균 10a당 수확량은 작년보다 2%
감소한 258kg으로 전망된다. 수확 시기는 잦은 기상 변화로 작년보다 7~15일 정도 늦어질 전망이다.
고추 7월 수입량은 작년 동기보다 28% 감소
�7월 1~25일까지의 고추 수입량은 작년 동기보다 28%
감소한 4,337톤이었다. 이 중 건고추 수입량은 작년 동기보다 20% 감소한 278톤 이며, 고추 관련품목 수입량을 건고추로 환산한 수입량은 작년 동기보다 29% 감소한 4,058톤으로 나타났다.
8
건고추 도매가격 동향 (화건, 상품)
건고추 도매가격 동향 (양건, 상품)
주: 일별 가격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 가격은 2004년 8월
�2009년 7월의 일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8월 가격은 햇 건고추 가격 기준임.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
건고추
∙7월말 현재 중국 건고추(양건) 산지 거래가격 (산동성 청도 기준)은 톤당 1만 1,000위안 (1,623달러)으로 작년 동월보다 22% 높은 수준이었다. 민간 수입 가능가격은 600g당 5,472원, 도매가격은 6,020원으로 작년 동월 보다 각각 4%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7월말 현재 중국 냉동고추 민간 수입 가능 가격은 600g당 755원, 가공 후 판매원가는 5,092원으로 작년 동월보다 각각 41%, 32%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건고추 산지 가격은 여전히 강세
∙건고추 수확기에는 정부 수입물량(TRQ)을 도입하지 않을 계획이며, 11월 말 도입될 예정이다.
건고추 정부 수입물량(TRQ) 도입 계획
고추 8월 수입량도 작년 동기보다 적을 전망
�고추 8월 전체 수입량은 작년 동월보다 16% 감소한 4,500톤으로 전망된다. 이는중국내냉동고추재고량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햇 건고추(화건) 8월 가격은 6,000원 전망
�햇 건고추(화건) 8월 상품 600g당 5대 도매시장 평균 도매가격은 작년보다 3% 낮은 6,000원으로 전망된다.
�이는 2010년산 고추 생산량이 2009년산보다 5%
감소하지만, 재고량이 작년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 되기 때문이다.
�단, 장마 이후 탄저병 등 병해충 피해가 발생할 경우 생산량 감소폭이 커져 추가적인 가격 상승이 있을 수 있다.
햇 건고추(화건) 8월 가격 작년보다 낮을 듯
고추 수입실적
1)단위: 톤
주1: 기타소스∙혼합조미료, 냉동고추, 고추장, 고춧가루와 김치에 포함되어 있는 고춧가루를 수율을 적용하여 건고추로 환산한 중량과 건고추 수입량을 합한 수치이며, 휴대품 반입량은 포함시키지 않음.
주2: 2010년 7월 수입량은 1�25일까지의 실적임.
자료: 관세청.
고추 도매가격 동향 (화건)
단위: 원/600g
주: 평년 가격은 2004년 8월�2009년 7월의 최대, 최소를 뺀 연산 기준 평균임. 8월 가격은 햇 건고추 가격 기준임.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
주 1: 농업관측센터, 표본농가 조사치.
2: 농업관측센터, 지역모니터 조사치.
고추재배면적작년대비증감률
단위: %
자료: 농촌진흥청, 7월 16일 조사치.
고추생육상황
구분 키
(cm)
포기당 착과수 (개)
금년 99.8 34.0
작년 98.0 35.8
평년 96.5 34.0
증감률 (%)
작년 1.8 -1.8
평년 3.3 -
자료: 농업관측센터 추정치.
2010년산고추추정생산량
연산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합계
2009 5,343 5,791 5,791 6,868 7,714 6,784 7,653 6,862 5,816 7,784 6,558 4,3372) 78,596 2008 5,779 5,709 7,667 7,091 7,655 8,214 6,048 6,602 9,129 7,366 7,592 7,471 86,323
연산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2009 상품 6,198 6,168 5,999 5,805 5,648 5,597 5,580 5,580 5,570 5,520 5,520 5,500 중품 5,798 5,788 5,598 5,366 5,189 5,117 5,100 5,100 5,090 5,040 5,040 5,040 2008 상품 5,651 5,792 5,849 5,820 5,814 5,727 5,688 5,680 5,645 5,659 5,929 5,960 중품 5,269 5,332 5,369 5,340 5,334 5,259 5,228 5,220 5,202 5,219 5,481 5,500 평년 상품 5,135 5,241 5,224 5,259 5,291 5,241 5,216 5,283 5,219 5,114 5,038 5,079
중품 4,785 4,852 4,795 4,821 4,855 4,825 4,825 4,863 4,804 4,702 4,622 4,668 조사
시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전체 6. 201) -2.1 -3.5 -6.8 -1.3 -7.1 -3.1 -2.6 -2.5 -3.6 7. 202) -2.1 -3.2 -6.5 -1.4 -7.2 -2.6 -3.0 -2.5 -3.5
재배면적 (ha)
단수 (kg/10a)
생산량 (천톤)
작년 대비 증감률(%) 43,234 258 111.5 -5.0
7월 도매가격은 전월에 이어 강세 지속
�난지형 마늘 7월 상품 kg당 5대 도매시장 평균 도매 가격은 4,740원(중품 4,350원), 깐마늘과 한지형 마늘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각각 6,700원(중품 6,130원), 1만 180원(중품 6,560원)으로 작년 동월보다 크게 높았다.
�이는 2010년산 마늘 생산량이 크게 감소함에 따라 햇마늘 수매가격이 높게 형성되었으며, 저장 물량 확보를 위한 시장 과열 현상도 발생했기 때문이다.
2010년산 생산량은 작년보다 24% 감소
�금년 재배 면적은 작년보다 15% 감소한 2만 2,414ha이며, 10a당 수확량은 작황 부진으로 작년보다 11% 감소한 1,212kg으로 통계청이 확정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금년 마늘 생산량은 작년보다 24% 감소한 27만 1,560 톤으로 나타났다.
저장 입고 희망량 6만 2천 톤으로 작년보다 24% 적어
�저장업체 조사결과, 2010년산 마늘 입고 희망량은 6만 2천 톤으로 작년보다 24%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입고 희망량 중 7월 20일까지 입고량의 95%가 완료되었으며, kg당 평균입고가격은 4,050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12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8월 수입 증가 전망, 정부 수입물량 5,000여 톤 방출 예정
�8월 민간 수입량은 국내 가격 강세에도 불구하고 중국 산지 가격이 높아 냉동마늘 중심으로 작년 동월 보다 22% 증가한 3,000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정부 수입물량(TRQ)은 8월 중으로 약 5,000여 톤이 신선마늘로 도입되어 전량 방출될 예정이다.
10
마늘
난지형 마늘 도매가격 동향 (상품)
주: 일별가격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가격은 2005년 5월
�2010년 4월의 일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
2010년산 마늘 추정 생산량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마늘 저온저장량 추정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저장업체 조사치.
구분 재배면적
(ha)
생산량 (천 톤)
작년 대비 증감률(%)
한지형 4,808 38.5 -18.6
난지형 17,606 226.8 -26.8 전체 22,414 265.3 -25.7
∙통계청이 확정 발표한 2010년산 마늘 생산량은 작년보다24% 감소한27만1,560톤이다.
자료: 통계청(2010. 07. 22).
통계청2010년산마늘생산량
통계청, 2010년산 마늘 생산량 발표
재배면적 (ha)
10a당 수확량(kg)
생산량 (천 톤)
작년 대비 증감률(%) 22,414 1,212 271.5 -24.0
연산
평균 입고가격
(원/kg)
저장량(톤) 7/20
현재실적 7/20
이후계획 계
2010 4,048 58,677 3,179 61,856 2009 1,783 66,399 14,986 81,384 증감률(%) 127.0 -13.2 -78.8 -24.0
생산량 감소로 8월 가격 강세 지속될 전망
8월 가격은 kg당 5,100원으로 작년보다 크게 높을 듯
�8월 상품 kg당 5대 도매시장 평균 도매가격은 수입량은 증가하나, 국내 생산량이 적어 작년 동월보다 크게 높은 5,100원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정부 수입물량이 8월 중 시장에 전량 방출될 예정으로 있어 가격 급등세 방지에 다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11년산 마늘 재배 의향면적 2% 증가
�내년산 마늘 재배 의향면적은 2%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금년산 마늘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 면적을 늘리려는 농가는 많았으나, 노동력 부족으로 증가폭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부분 지역이 증가한 가운데 경남과 제주 지역은 양파, 시금치 등으로 작목 전환 의향이 있어 각각 1%, 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7월 말 중국 마늘 산지 가격은 생산량 감소와 저장수요 증가로 톤당 2,000달러에 거래되고 있어 작년(630달러)대비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7월 수입량은 냉동마늘 2,424톤, 건조마늘 3톤, 초산조제마늘 175톤이었다. 이를 신선마늘로 환산할 경우 3,070톤으로 작년 동기보다 31%
많은 수준이다.
중국 마늘 수입은 냉동마늘 위주로 늘어
마늘 수입 동향
1)단위: 톤
주 1: 깐마늘, 냉동마늘, 건조마늘, 초산조제마늘은 수율을 적용하여 신선∙냉장마늘로 환산한 물량임.
주 2: 2010년 7월 수입량은 1�25일까지의 실적임.
자료: 관세청
마늘 도매가격 동향(난지형)
단위: 원/kg
주: 평년 가격은 2005년 5월�2010년 4월의 최대, 최소를 뺀 연산 기준 평균임.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
연산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합계
2010 1,984 1,164 3,0702) 6,218
2009 1,892 2,296 2,918 2,458 4,506 2,930 3,965 5,775 2,209 2,788 2,466 4,208 38,138 2008 4,166 4,402 3,999 3,313 3,089 9,299 8,267 6,058 2,537 2,480 3,304 2,674 53,590
연산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2010 상품 3,293 3,489 4,734 중품 3,050 3,207 4,338
2009 상품 1,820 1,742 1,893 2,123 2,350 2,384 2,384 2,562 2,741 2,831 2,740 2,730 중품 1,576 1,502 1,689 1,911 2,120 2,158 2,164 2,312 2,497 2,631 2,540 2,530 평년 상품 2,070 1,860 1,897 2,000 2,055 2,060 2,078 2,099 2,112 2,192 2,257 2,267 중품 1,865 1,638 1,694 1,807 1,868 1,892 1,914 1,952 1,998 2,060 2,072 2,119
내년산 마늘 재배 의향면적 금년 대비 증감률
단위:%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구분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한지형 4.0 -2.0 3.6 - 1.6 - - 0.8 난지형 - 5.3 7.4 3.7 2.5 -0.9 -3.2 1.6 전체 4.0 1.6 6.6 3.7 1.9 -0.9 -3.2 1.5
8월 가격 강세이나, 전월보다 하락
가격 강세는 7월에도 지속
�쪽파 7월 상품 kg당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4,890원 (중품 4,100원)으로 작년 동월보다 45% 높은 수준이다.
�이는 고온 현상으로 주출하지역인 경기 지역 폐작 면적이 증가하여 출하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8월 출하량은 작년 동월보다 8% 감소 전망
�쪽파 8월 출하량은 출하 면적과 단수 감소로 작년 동월 보다 8%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 면적은 파종 면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고온으로 경기 지역 폐작 면적이 늘어 작년 동월보다 4%
감소할 전망이다.
�10a당 수확량은 기상 악화로 작황이 부진하여 작년 동월보다 4%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9월 출하 면적은 국내 종구 부족으로 본격적인 출하 지역인 충청, 호남 지역의 파종면적이 줄어 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8월 도매가격도 강세이나, 7월보다 하락
�쪽파 8월 상품 kg당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출하량 감소로 작년 동월보다 크게 높겠으나, 7월보다 낮은 3,700원으로 전망된다.
�9월 도매가격은 출하면적 감소로 작년 동월보다 높겠으나, 충청과 호남 지역 물량이 본격적으로 출하 되면서 8월보다 하락할 전망이다.
12
쪽파 도매가격 동향 (상품)
주: 일별 가격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 가격은 2005�2009년의 일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쪽파
쪽파 8월 출하량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국내 종구 가격은 주산지인 제주 지역의 작황 부진으로 수확량이 크게 감소하여 작년 동기 보다 60% 높은 수준이다.
국내산 종구 작년보다 부족
쪽파 도매가격 동향 (상품)
단위: 원/kg
주: 가격은 흙쪽파 기준이며, 평년 가격은 2005년 1월�2009년 12월의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구분 경기
강원 충청 호남 전체
출하면적 -5.8 1.4 -1.0 -3.6 단수 -7.0 -2.3 -2.0 -4.3 출하량 -12.8 -3.7 -3.0 -7.9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0 2,867 2,693 2,530 2,783 2,932 3,725 4,894
2009 2,898 1,894 1,146 1,592 2,158 3,692 3,381 1,906 1,821 2,034 1,412 1,780 평년 2,775 1,765 1,090 1,395 1,931 2,803 2,488 2,110 2,078 1,865 1,660 1,955
쪽파 9월 출하 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경기∙
강원 충청 호남 영남 제주 전체
-3.8 -1.6 -2.0 -2.8 -2.6 -1.8
7월 가락시장 도매가격 작년 대비 강보합세
�일반풋고추 7월 가락시장 평균 도매가격은 작년 동월 보다 7% 높은 상품 10kg당 3만 1,160원이었다.
�이는 장마와 고온으로 출하가 부진하여 시장 출하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8월 출하량 작년 동월보다 소폭 감소할 듯
�일반풋고추 8월 출하량은 단수 감소로 작년 동월보다 1% 감소할 전망이다.
�이는 주산지인 강원 지역의 출하 상황 호전과 경북 지역의 연장 출하로 출하 면적은 비슷하나, 강원과 충청 지역의 생육기 냉해로 단수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일반풋고추 9월 출하 면적은 작년 동월보다 소폭 증가 하여 단수 회복 시 출하량은 작년과 비슷할 전망이다.
8월 도매가격 상품 10kg당 2만 8천 원 전망
�일반풋고추 8월 도매가격은 출하량 감소로 작년 동월 보다 4% 높은 상품 10kg당 2만 8천 원으로 전망된다.
8~9월 정식 의향면적 작년 동기보다 감소
�8�9월 일반풋고추 정식 의향면적은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단고추와 청양계풋고추 등으로 작목 전환을 고려하는 농가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8월 가격 작년보다 약간 높을 듯
일반풋고추
일반풋고추 도매가격 동향(상품)
주: 일별 가격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 가격은 2005�2009년의 일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일반풋고추 도매가격 동향
단위: 원/10kg
주: 평년 가격은 2005년 1월�2009년 12월의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8월 출하량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월별 정식 의향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구분 강원 경북 충청 전체
출하면적 0.2 0.5 0.4 0.2
단수 -1.4 -1.5 -1.2 -1.2 출하량 -1.2 0.9 -1.2 -1.2
정식시기 경남 경북 전남 전체
8월 -1.3 -2.1 -1.2 -1.2
9월 -3.6 - -2.1 -2.5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0 상품 47,741 78,125 104,409 62,405 44,352 31,507 31,157 중품 41,303 68,812 92,288 53,550 33,824 23,610 21,146
2009 상품 56,449 88,835 69,254 37,273 35,624 26,844 29,238 26,964 27,310 18,104 35,952 47,636 중품 48,070 79,663 60,839 28,502 24,096 20,089 19,964 18,535 19,492 11,371 27,732 38,940 평년 상품 49,480 62,823 54,466 35,379 31,009 25,067 26,126 22,992 30,830 22,551 30,126 37,105 중품 44,933 51,101 43,138 28,096 20,479 16,529 16,987 14,967 18,780 14,405 24,268 33,038
9월 출하 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강원 전남 충청 전체
0.6 -3.9 2.4 0.4
출하량 감소로 8월에도 가격 강세 전망
7월 가격 작년 동월보다 높은 수준
�청양계풋고추 7월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작년 동월보다 41% 높은상품10kg당3만6,270원(중품2만6,030원)이었다.
�이는 상∙중순 경북 지역의 출하가 작년보다 일찍 종료 되었으며, 생육기 냉해로 강원 지역의 출하가 지연되어 출하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8월 출하량은 작년 동월보다 2% 감소 전망
�청양계풋고추 8월 출하량은 출하 면적과 단수 감소로 작년 동월보다 2% 감소할 전망이다.
�출하 면적은 6월의 기상 악화로 강원 일부 지역에서 재정식이 이루어져 출하가 다소 지연됨에 따라 작년 동월보다 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10a당 수확량은 초기 생육 불량 영향으로 작년 동월 보다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9월 출하 면적은 2% 감소할 전망이다. 이는 경북과 충청 지역의 수확이 조기 종료되고, 주 출하지인 강원 지역에서 단고추, 오이 등으로 작목을 전환한 농가가 늘었기 때문이다.
8월 도매가격 강세 지속 전망
�청양계풋고추 8월 상품 10kg당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출하량 감소로 작년 동월보다 23% 높은 2만 3천 원 으로 전망된다.
14
청양계풋고추 도매가격 동향(상품)
청양계풋고추 반입량 동향
주: 일별 반입량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 반입량은 2005�
2009년의 일별 반입량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주: 일별 가격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 가격은 2005�2009년의 일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청양계풋고추
8월 출하량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9월 출하 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농업관측센터 소비자 패널 조사결과, 풋고추의 8월 소비 의향지수는 6월(100)보다 4P 상승했으나, 7월대비 1P감소한 104로 나타났다.
풋고추 8월 소비의향 전월과 비슷
구분 강원 경북 전체
출하면적 -1.6 -3.3 -1.7
단수 -0.3 -2.8 -0.4
출하량 -1.9 -6.1 -2.1
강원 경북 충청 전체
-1.4 -4.7 -5.0 -1.9
8~9월 정식 의향면적 작년 동기보다 감소
�청양계풋고추 8�9월 정식 의향면적은 작년보다 2%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 정식지역은 전남 으로 8월 중 정식이 대부분 완료될 전망이다.
�최근 청양계풋고추 시세가 강세를 유지함에 따라 전남 지역의 8월 정식 의향면적은 전월 조사치 (-0.9%)보다 증가하였다.
월별 정식 의향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7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오이맛풋고추 가락시장 반입량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로 7월 거래 가격은 6월보다 하락한 특품 4kg당 9천 원�1만 원 선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롱그린 가격은 특품 10kg당 1만 5천 원
�1만 7천 원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이맛풋고추 출하 동향
∙풋고추의 8월 주요 출하지는 인제, 춘천, 홍천 등 강원 지역으로 최근 강원 양구, 정선 그리고 경기 이천, 연천 등에서도 시설 지원 등으로 인해 재배 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풋고추의 시세가 강세를 보이고 있으나, 정식기 냉해에 따른 출하 지연으로 지역 간 중복 출하가 이루어져 8월 경북과 충청 지역에서는 홍초로 전환하여 출하할 가능성이 높다.
산지 동향
이『농업관측월보』 는 인터넷(http://aglook.krei.re.kr) 및 농업 전문지를 통해서도 볼 수 있습니다. 『농업관측월보』 와 관련하여 의견이 있는 분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 내의【질의응답】 을 선택한 후 【글쓰기】 를 이용하여 의견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krei.re.kr ☎ 02) 3299-4197 FAX: 02) 965-4396 http://www.mifaff.go.kr ☎ 02) 500-1673 FAX: 02) 507-3961
담당자 : 박기환(채소관측팀장), 김재한(대파), 한승용(양파), 노호영(마늘, 쪽파), 최선웅(풋고추), 한은수(건고추), 윤경진(그래픽, 기상)
●
●
●
●
●
●
재배의향면적: 대파, 쪽파, 풋고추, 마늘, 양파 재 배 면 적: 대파, 쪽파, 건고추, 풋고추 작 황: 대파, 쪽파, 건고추, 풋고추 수 입 실 적 : 대파, 건고추, 마늘, 양파
가 격 동 향 : 대파, 쪽파, 건고추, 풋고추, 마늘, 양파 기 상 예 보 : 9~10월 기상
9월호 예고(예정 일자: 2010. 9. 1)
청양계풋고추 도매가격 동향
단위: 원/10kg
주: 평년 가격은 2005년 1월~2009년 12월의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정식시기 강원 경북 전남 전체
8월 0.6 -2.8 2.6 1.7
9월 2.4 -1.1 1.1 2.2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0 상품 50,582 80,994 105,302 78,842 27,410 31,166 35,620 중품 45,584 74,442 100,574 75,397 23,858 21,648 25,636
2009 상품 46,633 85,284 90,531 31,916 19,712 22,698 25,768 18,685 19,838 22,600 41,749 49,267 중품 40,050 81,133 86,902 29,016 15,365 16,544 19,094 15,477 16,100 16,857 37,293 44,554 평년 상품 47,133 83,547 86,992 31,450 20,665 24,187 25,784 19,048 21,648 22,835 40,228 46,172 중품 40,678 79,062 83,320 28,499 16,110 17,502 18,922 15,468 16,982 18,213 35,865 38,073
8월 전망
�상순 : 기온은 평년(20�27℃)보다 높으며, 강수량은 평년(39�133mm)과 비슷하겠음.
�중순 : 기온은 평년(19�27℃)보다 높으며, 강수량은 평년(44�112mm)과 비슷하겠음.
�하순 : 기온은 평년(18�26℃)과 비슷하며, 강수량은 평년(78�155mm)보다 많겠음.
9월 날씨전망
�9월 : 북태평양고기압의 세력이 유지되면서 고온 현상이 나타날 때가 있겠으며,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음. 대기 불안정과 저기압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올 때가 있겠으며,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겠음.
7월 평균기온 및 강수량 합계
7월 일조시간 합계
이「농업관측(양념채소)」은 농림수산식품부 지원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에서 농업인들의 재배의향, 파종실적, 작황, 가격 등 각종 통계자료를 수집∙분석한 후, 농업 및 통계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작성한 것입니다. 양념채소 관측은 마늘, 양파, 건고추, 풋고추, 대파, 쪽파 6개 품목에 대하여 매월 1일에 발표됩니다. 전망 결과는 앞으로 기상 및 수급여건의 변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8
기상청(www.kma.go.kr), 2010년 7월 23일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