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양파 5월 생산량 작년보다 감소할 듯
마늘∙양파 생산량 감소로 가격 강세 이어질 듯
● 마늘 5월 도매가격은 재배 면적과 단수 감소로 생산량이 작년보다 20% 감소하고, 저장량도 감소하여 작년보다 높을 전망. 향후에도 가격 강세는 이어질 듯
● 양파 5월 도매가격은 재배 면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잦은 기상변화에 따른 조생종 양파 단수 급감으로 작년 동월보다 강세 전망. 중순 이후 출하 지역 확대되면서 가격은 하락세로 전환될 듯
● 건고추 5월 도매가격은 수입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국내 재고량 증가로 작년 동월보다 낮은 상품 600g당 5,600원 전망. 수요 증가로 5월 가격은 4월과 비슷한 보합세 유지할 듯
양념채소 재배(의향)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건고추 마늘 양파 대파
여름 겨울
-7.5 -10.7 5.4 6.9 6.6
파∙풋고추 산지 출하량 감소로 5월 가격 작년보다 높을 전망
● 대파 5월 가격은 겨울대파 생산량 감소와 월동대파 출하 지연으로 출하량이 11%
감소하여 작년과 평년 동월보다 크게 높을 전망. 하순부터 월동대파가 본격적으로 출하되면서 상∙중순보다 하락할 전망
● 풋고추 가격은 생육기 잦은 기상 변동에 따른 단수 급감으로 출하량이 감소하여 작년 동월보다 높을 전망. 기상이 호전될 경우 5월 하순부터 가격 안정화될 듯
양념채소 재배(의향)면적 동향
●2010년산 고추∙마늘 재배면적은 2009년산보다 8~11% 감소하지만, 양파는 5%, 여름과 겨울대파는각각 7% 증가할 전망
농업관측센터aglook.krei.re.kr
농 업 관 측
2010
년 5 월호
양념
채소
4월 도매가격도 강세 지속
�양파 4월 상품 20kg당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상순 2만 9,580원(중품 2만 4,390원), 중순 3만 4,110원(중품 2만 4,730원)에서 하순 3만 5,240원(중품 2만 3,960원) 으로 상승하였다.
�4월 평균 도매가격은 작년과 평년 동월보다 각각 58%, 84% 높은 상품 20kg당 3만 2,840원(중품 2만 4,360원)이었다.
�이는 저온 현상과 지속된 강수로 인한 작황 부진으로 조생종 양파의 수확량이 감소하여 출하량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양파 수확은 10일 이상 지연될 듯
�양파 수확은 기상 여건 악화로 생육이 부진하여 작년 보다 10일 이상 지연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4월 말 현재 성출하기인 제주 조생종 양파의 수확은 50% 마무리 된 상황으로 무안 조생종 양파가 본격 출하되는 5월 중순 이전에 수확이 종료될 것으로 보인다.
2
주: 일별가격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가격은 2005년 4월�
2010년 3월의 일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양파 도매가격 동향 (상품)
∙5월 양파 출하는 조생종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중 ∙하순부터 중생종이 출하될 것으로 보인다. 주요 출하 지역은 제주와 전남 무안, 고흥, 신안, 경남 창녕 등이다.
∙잦은 강수와 일조량 부족으로 생육이 부진하여 조생종을 생산하는 일부 농가에서 수확량을 늘리기 위해 출하를 늦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와 전남 고흥 조생종 포전 거래는 4월 중순에 대부분 마무리되었으며, 현재는 무안 조생종과 중생종이 거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지 동향
주: 일별 반입량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 반입량은 2005년 4월�
2010년 3월의 일별 반입량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양파 반입량 동향
양파
가격 동향
생산 전망
∙농촌진흥청 생육상황 조사 결과, 평당 주수는 작년보다 다소 많으나, 초장이 짧고, 잎수가 적은 것으로 조사되어 작황은 작년보다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농촌진흥청, 4월 16일 조사치.
양파 생육상황
단위: 주, cm, 매
구분 생육상황 증감
금년 작년 평년 작년대비 평년대비 주수 124.7 124.4 123.7 0.3 1.0 초장 53.7 57.3 56.3 -3.6 -2.6 잎수 7.3 7.8 7.7 -0.5 -0.4
양파 생육상황
중국양파생산량은작년보다다소감소
�4월 말 중국산 신선양파 20kg당 국내 수입 가능 가격은 전월대비 보합세인 2만 1천 원으로 추정된다.
�4월 양파 수입량은 신선양파 4,072톤, 건조양파 13톤, 냉동양파 156톤이며 이를 신선양파로 환산할 경우 4,443톤으로 작년 동월보다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국내 양파 가격 상승으로민간수입이 증가했기때문이다.
�2010년산 중국 양파 재배 의향은 가격 강세의 영향으로 작년보다 1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계속된 가뭄과 저온 현상으로 작황이 크게 부진해 생산량은 작년보다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
5월도매가격은작년동월보다높을듯
�5월 양파 가격은 조생종 양파 작황 부진으로 단수가 감소하고 수확시기가 지연되어 작년 동월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산 조생종이 주를 이루는 상순에는 높은 가격을 형성할 것으로 보이며, 무안산 조생종이 출하되는 중순을 전후로 해서 하락세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4월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상품 20kg당 1만 9천 원 으로 작년 동월보다 35%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조생종 4월 포전거래 가격은 계속된 작황 부진으로 전월보다 상승하여 전남이 9,500원, 제주가 1만 1,000원이었다. 또한, 중생종 포전거래 가격도 높게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월 양파 가격은 작년보다 높을 전망
∙2010년산 양파 재배 면적은 작년 수확기 가격이 높아 작년보다 5% 증가한 19,512ha로 추정되며 품종별로는 조생종이 2,590ha, 중만생종이 16,922ha로예상된다.
∙2010년산 양파 10a당 수확량은 작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저온 현상과 계속된 강수, 일조 부족으로 생육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특히, 조생종양파10a당수확량은구근비대기일기 불순으로 구형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감소폭이 큰것으로조사되었다.
∙2010년산 양파 추정 생산량은 조생종이 작년보다 17% 감소하고, 중만생종이 작년과 비슷하여 작년 보다2% 감소한약134만톤으로전망된다.
2010년산 조생종 생산량은 17% 감소
∙농업관측센터 소비자 패널 조사 결과, 양파 4월과 5월 소비 의향 지수는 3월(100)보다 각각 2P, 5P 증가하여 4월에 이어 5월에도 소비 증가가 이어질 것으로 추정된다.
양파 소비는 증가할 듯
양파 수입 실적
단위: 톤, %
주1: 2010년 4월 수입량은 1�25일까지의 실적임.
주2: 냉동양파, 건조양파, 초산조제양파는 수율을 적용하여 신선∙
냉장양파로 환산한 물량임.
자료: 관세청.
양파 조생종 포전거래 가격 동향
단위: 원/3.3㎡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지역모니터 조사치.
수출입 전망
가격 전망
구분 2008년산 2009년산 2010년산 작년대비 증감률 4월 6,192 2,151 4,443 106.5 5�3월 59,327 19,619
계 65,519 21,770 4,443 -79.6
연산 전남 제주
상품 중품 상품 중품
2010 9,500 8,000 11,000 9,000 2009 8,000 7,000 8,000 7,000
양파
중만생종수확기가격작년과비슷할듯
�5월 하순부터 출하되는 2010년산 중만생종 수확량은 재배 면적이 증가했지만, 단수가 감소하여 작년과 비슷한 120만 톤 수준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중만생종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5월 하순 이후 중만생종 수확기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상품 20kg당 1만 2천 원 수준으로 작년과 비슷할 전망이다.
단, 구비대기인 5월에도 작황이 회복되지 않을 경우 가격이 높게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
�중만생종 수확기 이후 저장 출하기(9월�12월)에는 상품 20kg당 1만 5천 원 내외로 약상승 추세가 유지될 전망이다.
양파작황철저히관리해야
�조생종 양파를 중심으로 저온 현상과 계속된 강수로 병해(노균병 등)가 나타나고 있으며, 중만생종 또한 기후불순의 영향으로 생육이 부진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면 5월 이후에도 가격이 높게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작황을 철저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
중만생종 수확기 가격 작년과 비슷할 듯
4
중기선행관측
조기 예보 2010년산 양파 재배 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2010년산 10a당 수확량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2010년산 양파 생산량 증감률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주: 평년 가격은 2005년 4월�2010년 3월의 최대, 최소를 뺀 연산 기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구분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조생종 - 4.4 - - 4.6 4.5 중만생종 4.6 5.6 4.6 7.1 -3.8 5.5 전체 4.6 5.4 4.6 7.1 2.5 5.4
구분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조생종 - - 16.1 - - -28.7 -20.3 중만생종 - 4.8 - 5.4 -4.1 -4.5 -9.8 -5.1 전체 - 4.8 - 5.4 -4.1 -4.5 -23.9 -7.1
구분
생산량 증감률
면적 (ha)
단수 (kg/10a)
생산량 (만톤)
작년 대비
평년 대비 조생
평년
2,590
6,459 16.7 0.2 3.2 작년 6,731 17.4 4.5 7.6 금년(추정) 5,366 13.9 -16.7 -14.2 만생
평년
16,922
6,578 111.3 -7.7 19.8 작년 7,517 127.2 5.5 36.9 금년(추정) 7,094 120.0 -0.4 29.2 평균
평년
19,512
6,558 128.0 -6.8 17.3 작년 7,412 144.6 5.4 32.6 금년(추정) 6,865 133.9 -2.4 22.8
양파 도매가격 동향
단위: 원/20kg
연산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2010 상품 32,839 중품 24,363
2009 상품 20,800 14,040 10,020 11,020 13,040 12,700 13,740 13,680 12,000 12,600 16,181 20,935 중품 18,040 12,400 8,780 9,320 11,300 11,760 12,560 12,460 10,320 11,300 13,660 18,016 평년 상품 17,807 11,553 9,153 10,747 13,013 13,173 13,933 14,960 14,640 14,980 16,847 18,014 중품 14,080 9,727 7,680 8,587 10,853 11,860 12,413 13,640 12,877 13,140 14,127 14,780
대파
4월에도 가격 상승세 지속
�대파 4월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상품 kg당 상순 1,530원(중품 1,340원)에서 중순 1,780원(중품 1,540원), 하순 2,030원(중품 1,790원)으로 상승하였다.
�대파 평균 도매가격은 1,770원(중품 1,550원)으로 작년과 평년 동월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었다.
�이는 잦은 기상 변화에 따른 출하지연과 작황 악화로 산지 출하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5월 출하량은 작년보다 11% 감소
�대파 5월 출하량은 출하 면적과 단수 감소로 작년 동월보다 11% 감소할 전망이다.
�출하 면적은 겨울대파 재배 면적이 감소하였고, 잦은 기상 변화로 월동대파 출하도 지연되어 작년 동월 보다 2%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순 이후에는 월동대파가 본격적으로 출하되면서 출하 면적이 회복될 전망이다.
�10a당 수확량은 지속된 저온과 일조량 부족으로 작년 동월보다 9%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6월에는 생육 지연된 경기 노지대파가 본격적으로 출하되면서 작년 동월보다 4%, 7월에는 6% 증가할 전망이다.
�7월 중순 이후에는 호우 피해를 크게 입었던 작년과 달리 금년에는 출하가 원활히 이루어져 출하 면적 증가폭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가격 동향
출하 전망
주: 일별 가격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 가격은 2005�2009년의 일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대파 도매가격 동향(상품)
주: 일별 반입량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 반입량은 2005�
2009년의 일별 반입량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대파 반입량 동향
대파 월별 출하 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조사치.
대파 5월 출하량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조사치.
구분 경기
강원 충청 전북 전남 경북 부산 경남 전체 출하면적 1.9 0.1 5.3 -5.7 1.3 -3.9 -2.1 단수 -9.7 -8.2 -8.7 -9.6 -8.6 -9.3 -9.1 출하량 -7.8 -8.1 -3.4 -15.3 -7.3 -13.2 -11.2
출하 시기
경기
강원 충청 전북 경북 부산
경남 전체
6월 4.3 2.2 6.4 1.6 -1.7 3.6 7월 7.1 2.7 6.9 2.2 5.2 6.2
∙5월 주요 출하지역은 전남 영광과 부산, 월동 대파 출하 지역인 부안, 경기 지역 남양주, 고양 등이다. 진도, 신안 지역은 조절 출하로 4월 말에 완료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5월 말까지 출하되는 영광 지역 겨울대파는 지속된 저온과 일조량 부족 현상으로 출하 대기량이 더욱 감소하여 작년보다 조기에 출하 종료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기도 월동대파는 잦은 기상 변동으로 생육이 늦어져 5월 중순 이후 본격적인 출하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7월 이후 출하되는 경기 지역 여름대파는 일조량 부족과 저온 현상으로 4월 15일 이후 정식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지 동향
대파
5월 상순에 수입 가능성 높아
�4월 1~25일까지 신선대파 수입은 14톤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잦은 기상 변화로 겨울∙
월동대파 출하량이 적어 가격이 급등하였기 때문이다.
�5월 대파 수입은 하우스대파 출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전인 상순에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5월 가격은 중순까지 크게 높을 듯
�대파 5월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출하 면적과 단수 감소로 작년과 평년 동월보다 크게 높은 상품 kg당 2,000원으로 전망된다.
�중순까지는 전남 지역 출하량 감소와 경기 지역 하우스대파 출하 지연으로 상품 kg당 2,000원 이상으로 형성되지만, 하순에는 하우스대파 본격 출하로 다소 하락할 전망이다.
�대파 4월 포전거래는 부산과 전북 부안,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평균 거래가격은 3.3㎡당 부산 지역은 1만 5,000원, 경기 지역은 1만 1,000원 으로 작년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대파 6월 가격은 경기 지역 노지대파 출하가 이루어 지면서 중∙하순으로 갈수록 하락세를 보일 전망이다.
5월 중순까지 대파 가격 크게 높을 듯
6
수출입 전망
가격 전망 대파 시기별 출하 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조사치.
겨울대파 포전거래 가격동향(부산 지역)
단위: 원/3.3㎡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지역모니터 조사치.
월동대파 포전거래 가격동향(경기 지역)
단위: 원/3.3㎡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지역모니터 조사치.
출하시기 15일 이전 15일 이후 전체
6월 2.4 4.7 3.6
7월 4.9 6.9 6.2
구분 3월 4월
상품 중품 상품 중품
2010 14,000 12,000 15,000 12,000 2009 4,000 3,000 8,000 6,000
구분 3월 4월
상품 중품 상품 중품
2010 8,000 7,000 11,000 10,000 2009 - - 10,000 9,000
∙농업관측센터 소비자패널 조사 결과, 대파의 4월 소비 의향 지수는 101로 3월(100)보다 1P 증가하였고, 5월에도 4월보다 3P 증가한 104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식 수요 등의 증가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대파 소비 증가할 듯
∙여름대파와 가을∙겨울대파 재배 의향은 작년 출하기와 정식기 가격이 높아 작년 보다 각각 7%, 5% , 7% 증가할 전망이다.
∙추정면적에 평년 단수를 적용할 경우, 여름대파의 생산량은 작년보다 4%, 가을과 겨울대파는 각각 9%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여름 및 가을대파 생산량 증가할 전망 하반기 대파 가격 약세 전망
� 여름대파 생산량 증가로 출하기 도매 가격은 상품 kg당 1,000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29%, 평년 동기보다 12% 낮은 수준에서 형성될 전망이다.
� 가을과 겨울대파 출하기 가격도 생산량 증가로 작년 동기보다 낮을 전망이다.
향후 대파 정식 확대는 자제해야
�월동대파 출하가 늦어짐에 따라 5월 중순까지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이후에는 중순보다 낮은 시세가 형성될 전망이므로 조절 출하보다는 조기 출하할 필요가 있다.
�금년 여름대파 생산량은 증가하며, 초기 출하량 보다는 후기 출하량 증가폭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4월 중순 이후 정식되는 대파 면적이 증가하고 있어 8월 이후 출하량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8월 이후 대파 출하량 증가에 따라 가격은 상반기보다 크게 낮게 형성될 전망이므로 향후 대파 정식 확대를 자제할 필요가 있다.
향후 대파 정식 확대는 자제해야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조사치.
여름대파 재배 의향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조사치.
가을∙겨울대파 의향면적 작년 대비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조사치.
대파작형별생산량추정 중기선행관측
조기 예보
대파 도매가격 동향
단위: 원/kg
주: 평년은 2005년 1월�2009년 12월의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경기 강원 전체
6.4 9.1 6.9
작형 충청 전북 전남 경북 부산 경남 전체 가을 5.8 7.1 - 6.7 3.1 5.4 겨울 - - 7.8 - 3.1 6.6
적용 단수 면적
(ha)
생산량 (톤)
작년 대비 증감률(%) 여름 평년
2,448 61,841 3.9
작년 63,657 6.8
가을 평년
2,271 63,272 8.6
작년 61,431 5.4
겨울 평년
4,875 155,880 9.3
작년 151,945 6.6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0 상품 1,142 1,638 1,472 1,770 중품 1,027 1,468 1,257 1,548
2009 상품 852 741 672 749 1,071 1,463 1,293 1,382 1,433 1,300 1,326 1,052 중품 762 637 560 637 913 1,364 1,094 1,231 1,232 1,020 1,102 862 평년 상품 945 934 942 692 907 945 891 1,133 1,259 1,238 1,148 1,122 중품 824 812 811 569 764 827 738 973 1,063 1,018 973 931
건고추(화건) 4월 도매가격은 상품 600g당 5,570원
�건고추 화건 4월 상품 600g당 5대 도매시장 평균 도매 가격은 작년 동월보다 1% 낮은 5,570원(중품 5,090원), 양건은 7,140원(중품 6,600원)으로 작년 동월보다 8%
높은 수준이었다.
�이는 소비 감소로 재고량이 작년보다 2%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건고추 4월 재고량은 작년보다 2% 증가
�건고추 4월 재고량은 소비 부진으로 작년 동기보다 2% 증가한 2만 2,609톤으로 추정된다.
�작년 8월�금년 4월 말까지 건고추 이월∙수입량은 작년 동기보다 4% 감소한 5만 9,917톤이었다.
�작년 8월�금년 4월 말까지 건고추 공급량은 작년 동기보다 5% 감소한 17만 7,241톤이며, 소비량은 6% 감소한 15만 4,631톤으로 추정된다.
4월 전체 수입량은 작년 동기보다 24% 감소
�4월 전체 고추 수입량은 작년 동기보다 24% 감소한 5,816톤이었다. 이 중 건고추 수입량은 226톤으로 작년 동기보다 84% 감소하였으며, 고추 관련품목 수입량을 건고추로 환산한 중량은 작년 동기보다 10% 감소한 5,590톤이었다.
8
건고추 도매가격 동향 (화건, 상품)
건고추 도매가격 동향 (양건, 상품)
주: 일별 가격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 가격은 2004년 8월�
2009년 7월의 일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8월 가격은 햇 건고추 가격 기준임.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
건고추
금년 고추 재배 의향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고추 공급량 추정 (4월 말 현재)
단위: 톤
자료: 농업관측센터 추정치.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전체 -8.1 -12.7 -10.0 -0.6 -9.6 -5.8 -9.4 -2.3 -7.5
연산 생산량
(A)
8~4월 이월∙수입량 (B)
공급량 (C=A+B)
8~4월 소비량 (D)
4월 말 재고량 (E=C-D)
2009 117,324 59,917 177,241 154,631 22,609
2008 123,509 62,372 185,881 163,702 22,179
증감률(%) -5.0 -3.9 -4.6 -5.5 1.9
고추 5월 수입량은 작년 동월보다 19% 감소할 전망
�고추 5월 수입량은 작년 동월보다 19% 감소한 6,000톤으로 전망된다. 이는 중국내 고추 재고량 부족으로 인한 산지 가격 강세로 수입가격이 작년 동월보다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건고추(화건) 5월 도매가격은 5,600원 전망
�건고추(화건) 5월 상품 600g당 5대 도매시장 평균 도매가격은 재고량이 많지만, 시기적 특수성으로 인한 잠재적 수요 증가로 전월대비 보합세인 5,600원으로 전망된다.
2010년산 고추 재배 의향면적은 8% 감소할 전망
�2010년산 고추 재배 의향면적은 농촌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2009년산보다 8%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체작목은 콩, 옥수수 등으로 조사되었다.
∙4월 말 현재 중국 건고추(양건) 산지 거래 가격 (산동성 청도 기준)은 톤당 1만 1,000위안 (1,612달러)으로 작년 동월보다 47% 높은 수준 이었다. 민간 수입 가능가격은 600g당 5,390원, 도매가격은 5,900원으로 작년 동월보다 각각 4%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4월 말 현재 냉동고추 민간 수입 가능가격은 600g당 690원, 가공 후 국내 판매원가는 4,720원으로 작년 동월보다 각각 34%, 26%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2010년산중국고추재배면적20% 증가
∙2010년산 중국 고추 재배 면적은 2009년산보다 20%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최근 고추 가격 강세가 지속되어 농가들의 재배 의향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중국 건고추(양건) 산지 가격 작년보다 강세
금년 고추 재배 면적 작년보다 감소할 전망
고추 수입실적
1)단위: 톤
주1: 기타소스∙혼합조미료, 냉동고추, 고추장, 고춧가루와 김치에 포함되어 있는 고춧가루를 수율을 적용하여 건고추로 환산한 중량과 건고추 수입량을 합한 수치이며, 휴대품 반입량은 포함시키지 않음.
주2: 2010년 4월 수입량은 1�25일까지의 실적임.
자료: 관세청.
고추 도매가격 동향 (화건)
단위: 원/600g
주: 평년 가격은 2004년 8월~2009년 7월의 최대, 최소를 뺀 연산 기준 평균임. 8월 가격은 햇 건고추 가격 기준임.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
연산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합계
2009 5,343 5,791 7,086 6,868 7,714 6,784 7,653 6,862 5,8162) 59,917 2008 5,779 5,709 7,667 7,091 7,655 8,214 6,048 6,602 9,129 7,366 7,592 7,471 86,323
연산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2009 상품 6,198 6,168 5,999 5,805 5,648 5,597 5,580 5,580 5,566 중품 5,798 5,788 5,598 5,366 5,189 5,117 5,100 5,100 5,086
2008 상품 5,651 5,792 5,849 5,820 5,814 5,727 5,688 5,680 5,645 5,659 5,929 5,960 중품 5,269 5,332 5,369 5,340 5,334 5,259 5,228 5,220 5,202 5,219 5,481 5,500 평년 상품 5,135 5,241 5,224 5,259 5,291 5,241 5,216 5,283 5,219 5,114 5,038 5,079
중품 4,785 4,852 4,795 4,821 4,855 4,825 4,825 4,863 4,804 4,702 4,622 4,668
4월 도매가격은 전월에 이어 보합세 지속
�난지형 마늘 4월 상품 kg당 5대 도매시장 평균 도매 가격은 작년 동월보다 48% 높은 2,730원(중품 2,530원), 깐마늘 4월 상품 kg당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작년 동월 보다 22% 높은 3,550원(중품 2,500원)으로 강세가 지속되었다.
�한지형 마늘 4월 상품 kg당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작년 동월보다 크게 높은 7,480원(중품 7,140원)이었다.
�이는 2009년산 마늘 저장량과 민간 수입량이 작년 동월보다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재배 면적 감소로 생산량은 작년보다 20% 감소
�2010년산 재배 면적은 작년보다 11% 감소한 2만 3천ha 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품종별로는 한지형이 9%, 난지형이 11%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별로는 전남 지역이 12%, 충남 지역이 19% 감소 하여 상대적인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경북 지역은 3% 감소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수는 잦은 기상변화로 작황이 부진하여 작년보다 7% 감소한 10a당 1,234kg으로 예상된다.
�재배 면적에 추정 단수를 고려한 금년 마늘 생산량은 작년보다 20% 감소한 28만 7천 톤으로 전망된다.
품종별로는 한지형이 13%, 난지형이 21%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10
마늘
난지형 마늘 도매가격 동향 (상품)
주: 일별가격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가격은 2004년 5월
�2009년 4월의 일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
마늘 예상단수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난지형 마늘 생육상황
단위: 주, cm, 매
자료: 농촌진흥청, 4월 16일 조사치.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한지 -8.6 -7.2 -10.9 - -9.1 - - -8.5 난지 - -6.1 -10.3 -5.2 -5.0 -7.9 -8.3 -6.5 전체 -8.6 -6.7 -10.4 -5.2 -7.4 -7.9 -8.3 -6.9
구분 생육상황 증감
금년 작년 평년 작년대비 평년대비
주수 136.1 135.6 135.0 0.5 1.1 초장 70.2 76.2 74.9 -6.0 -4.7 잎수 8.7 9.0 8.8 -0.3 -0.1
2010년산 마늘 추정 생산량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생육상황 생산량 증감률(%) 재배면적
(ha)
생산량
(천 톤) 작년대비 평년대비 한지형 4,916 41.1 -13.1 -17.6 난지형 18,581 246.0 -20.6 -20.8 전체 23,497 287.1 -19.6 -20.2
5월 가격 전월 대비 약보합세 전망
5월 도매가격 2,500원으로 작년 동월보다 높을 전망
�금년 마늘 생산량은 재배 면적 감소와 작황 부진으로 인해 작년보다 20% 적고, 또한 저장량도 작년보다 적은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5월 상품 kg당 5대 도매 시장 평균 도매가격은 작년 동월보다 높은 2,500원 으로 전망된다.
�또한 6월 마늘 가격도 저장마늘의 출하가 작년보다 조기에 완료되고, 생산량도 감소할 것으로 보여 가격 강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4월 말 중국 마늘 재고량이 작년 동월보다 60%
감소하여 산지 가격은 작년 동월 보다 높은 톤당 1,600달러에서 거래되고 있다.
∙4월 말 총 수입량은 TRQ물량 1,864톤을 포함한 3,520톤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민간 수입량은 냉동마늘 1,021톤, 건조마늘 3톤, 초산조제마늘 383톤만 수입되었다. 이를 신선마늘로 환산할 경우 1,656톤으로 작년 동월보다 38% 적은 수준이다.
∙4월 말 중국산 깐마늘 kg당 수입가능가격은 4,287원으로 작년 동월보다 70% 상승하였으며, 국내 도매가격은 4,715원으로 추정된다.
∙2010년산 중국 마늘 재배 면적은 작년보다 25%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작황 부진으로 수확기 생산량은 작년과 비슷할 전망이다.
중국 마늘 생산량 작년과 비슷할 전망
∙농촌진흥청 생육상황 조사결과, 평당 주수는 작년보다 0.5주 많고, 초장은 6.0cm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잎수는 작년보다 0.3매 적은 것으로 조사되어 전체적인 생육상황은 작년보다 부진한 것 으로 나타났다.
마늘 수입 동향
1)단위: 톤
주 1: 깐마늘, 냉동마늘, 건조마늘, 초산조제마늘은 수율을 적용하여 신선∙냉장마늘로 환산한 물량임.
2: 2010년 4월 수입량은 1�25일까지의 실적임.
자료: 관세청.
마늘 도매가격 동향(난지형)
단위: 원/kg
주: 평년 가격은 2004년 5월�2009년 4월의 최대, 최소를 뺀 연산 기준 평균임.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
연산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합계
2009 1,892 2,296 2,918 2,458 4,506 2,930 3,965 5,775 2,209 2,788 2,466 3,5202) 37,450 2008 4,166 4,402 3,999 3,313 3,089 9,299 8,267 6,058 2,537 2,480 3,304 2,674 53,590 2007 1,676 3,926 5,819 7,332 3,602 8,034 6,238 6,856 7,315 3,491 5,680 8,285 68,252
연산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2009 상품 1,820 1,742 1,893 2,123 2,350 2,384 2,384 2,562 2,741 2,831 2,740 2,730 중품 1,576 1,502 1,689 1,911 2,120 2,158 2,164 2,312 2,497 2,566 2,540 2,530 2008 상품 1,981 1,674 1,630 1,649 1,785 1,831 1,820 1,822 1,790 1,827 1,854 1,839 중품 1,780 1,474 1,430 1,449 1,578 1,621 1,620 1,613 1,590 1,594 1,610 1,595 평년 상품 2,378 2,004 1,953 2,000 2,047 2,060 2,076 2,122 2,184 2,225 2,267 2,245 중품 2,167 1,798 1,751 1,856 1,854 1,866 1,882 1,895 1,984 2,024 2,066 2,041
출하량 감소로 5월 가격 강세 지속
가격 강세는 4월에도 지속
�쪽파 4월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상품 kg당 2,760원 (중품 2,340원)으로 작년과 평년 동월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다.
�이는 계속되는 기후불순으로 인해 출하량이 크게 감소 하였기 때문이며, 품위간의 격차도 크게 나타났다.
5월 출하량은 작년 동월보다 4% 감소 전망
�쪽파 5월 출하량은 출하 면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단수 감소로 작년 동월보다 4% 감소할 전망이다.
�출하 면적은 작년 동월보다 2%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4월에 출하될 면적이 기후불순으로 인해 5월로 지연되었기 때문이다. 10a당 수확량은 일조량 부족 으로 작황이 부진하여 작년 동월보다 6% 감소할 것 으로 조사되었다.
�쪽파 6월 출하 면적은 작년 동월보다 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연된 4월 물량이 6월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조사되었기 때문이다.
5월 도매가격은 작년 동월보다 높을 전망
�쪽파 5월 상품 kg당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주산지인 충청 지역의 출하량 감소로 인해 작년 동월보다 21%
높은 2,600원으로 전망된다.
12
쪽파 도매가격 동향 (상품)
주: 일별 가격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 가격은 2005�2009년의 일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쪽파
쪽파 5월 출하량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쪽파 6월 출하 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4월 상품 10kg당 도매가격은 3만 8,960원(중품 3만 2,970원)으로 작년 동월보다 크게 높은 수준 이며, 출하지연으로 인해 출하 종료 시기도 작년 보다 늦어질 전망이다.
깐쪽파 4월 도매가격 강세 지속
∙금년 구쪽파 수확 예상면적은 작년 동월보다 4%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구쪽파 주산지인 제주 지역의 습해에 따른 생산량 감소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구쪽파 수확면적 줄어들 전망
쪽파 도매 가격 동향 (상품)
단위: 원/kg
주: 가격은 흙쪽파 기준이며, 평년 가격은 2005년 1월�2009년 12월의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구분 경기
강원 충청 호남 영남 제주 전체 출하면적 1.8 0.7 0.8 2.0 1.5 1.8
단수 -7.1 -6.7 -3.3 -5.7 -3.8 -6.0 출하량 -5.3 -6.0 -2.5 -3.7 -2.3 -4.2
경기
강원 충청 호남 영남 제주 전체
1.3 1.4 1.0 0.5 1.8 1.0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0 2,867 2,693 2,530 2,760
2009 2,898 1,894 1,146 1,592 2,158 3,692 3,381 1,906 1,821 2,034 1,412 1,780
평년 2,775 1,765 1,090 1,395 1,931 2,803 2,488 2,110 2,078 1,865 1,660 1,955
4월 도매가격은 작년과 평년 동월보다 크게 높아
�일반풋고추 4월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상품 10kg당 6만 2,610원(중품 5만 3,590원)으로 전월보다 하락세이나 작년과 평년 동월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었다.
�이는 기상 변화에 따른 생육 부진으로 생산량이 감소 하였고 수확시기도 지연되었기 때문이다.
5월 출하량은 작년 동월보다 9% 감소할 것
�일반풋고추 5월 출하량은 출하 면적과 단수 감소로 작년 동월보다 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출하 면적이 대부분의 지역에서 감소하였고 지속된 일기불순으로 인한 작황 부진이 회복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5월 도매가격은 10kg당 4만 4천 원 전망
�일반풋고추 5월 도매가격은 출하 면적과 단수 감소로 출하량이 감소하여 작년 동월보다 24% 높은 상품 10kg당 4만 4천 원으로 전망된다.
5월 정식 의향면적은 4% 감소
�5월 정식 의향면적은 4%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작년 출하기 가격 하락으로 강원 지역의 재배 의향이 감소하였으며 충청 지역의 하우스재배 정식이 조기에 완료되었기 때문이다.
5월 가격 작년보다 강세 전망
일반풋고추
일반풋고추 도매가격 동향(상품)
주: 일별 가격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 가격은 2005�2009년의 일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일반풋고추 도매가격 동향
단위: 원/10kg
주: 평년 가격은 2005년 1월�2009년 12월의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5월 출하량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6월 출하 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월별 정식 의향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구분 경남 경북 전남 전체
출하면적 -0.9 -4.5 -3.1 -1.0 단수 -7.6 -7.7 -7.0 -7.6 출하량 -8.5 -12.2 -10.1 -8.6
강원 경남 경북 전남 충청 전체
-5.5 -1.1 4.6 -5.4 1.6 0.4
정식시기 강원 경북 충청 전체 5월 -5.0 5.6 -0.4 -4.4
6월 -1.2 - -4.3 -1.5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0 상품 47,741 78,125 104,409 62,608 중품 41,303 68,812 92,288 53,589
2009 상품 56,449 88,835 69,254 37,273 35,624 26,844 29,238 26,964 27,310 18,104 35,952 47,636 중품 48,070 79,663 60,839 28,502 24,096 20,089 19,964 18,535 19,492 11,371 27,732 38,940 평년 상품 49,480 62,823 54,466 35,379 31,009 25,067 26,126 22,992 30,830 22,551 30,126 37,105 중품 44,933 51,101 43,138 28,096 20,479 16,529 16,987 14,967 18,780 14,405 24,268 33,038
4월 도매가격 지속적인 강세
�청양계풋고추 4월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상품 10kg당 8만 160원(중품 7만 6,660원)이었다. 순별로 상순에는 11만 6,970원으로 전월과 비슷한 상승세를 유지하다 중∙하순 5만 9,460원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상순 가격이 크게 상승한 것은 일기불순이 상순까지 이어짐에 따라 발생한 생육저하의 영향과 출하량 급감 때문이다.
5월 출하량은 작년 동월보다 8% 감소
�청양계풋고추 5월 출하량은 출하 면적 감소와 단수 감소로 작년 동월보다 8% 감소할 전망이다.
�이는 출하 면적이 일반풋고추로의 전환과 정식기 일기 불순에 따른 작목 전환으로 인해 다소 감소하고, 일조시간 부족과 저온현상으로 작황이 악화되었기 때문이다.
�작황 악화는 5월 기상이 호전되더라도 중순까지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5월 청양계풋고추 도매가격은 10kg당 4만 원
�5월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출하 면적과 단수 감소로 출하량이 줄어 작년 동월보다 크게 높은 상품 10kg당 4만 원으로 전망된다.
14
청양계풋고추 도매가격 동향(상품)
청양계풋고추 반입량 동향
주: 일별 반입량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 반입량은 2005�
2009년의 일별 반입량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주: 일별 가격은 5일 이동평균치임. 평년 가격은 2005�2009년의 일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청양계풋고추
5월 출하량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6월 출하 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농업관측센터 소비자 패널 조사결과, 풋고추의 5월 소비 의향지수는 127(2010.3=100)으로 전월(114)보다 13P 상승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휴에 따른 요식업소 및 납품업체 등의 소비 수요가 클 것으로 보인다.
풋고추 소비 증가할 전망
구분 경남 전남 전남 전체
출하면적 -0.1 -9.0 -6.7 -0.5 단수 -8.3 -8.0 -0.1 -7.9 출하량 -8.4 -17.0 -6.8 -8.4
강원 경남 경북 전남 충청 잔체
-3.6 -0.1 -7.5 -5.9 -0.1 -2.2
5월 정식 의향면적은 6% 감소
�청양계풋고추의 5월 정식 의향면적은 6% 감소할 전망이다. 이는 강원 지역의 재배 의향이 작년 시세 하락의 영향과 일기불순으로 인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6월 정식 의향면적은 수박과 콩 등으로 작목을 전환 하려는 농가가 늘어 작년 동월보다 1%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5월 가격 출하량 감소로 강세 지속
월별 정식 의향면적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20일 표본농가 및 지역모니터 조사치.
∙현재 기상 변화로 다소 생육이 저하되었으나 계약 재배 및 수요 증가로 인하여 재배 의향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이맛풋고추 출하 동향
∙5월의 주요 출하 지역은 영남 지역으로 이례적인 저온 현상과 잦은 우천으로 출하량이 작년보다 크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5월 중순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충청 지역과 경북 지역의 출하 시기가 지연 됨에 따라 5월 하순 이후 기상이 호전될 경우 급격한 물량 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산지 동향
이『농업관측월보』 는 인터넷(http://aglook.krei.re.kr) 및 농업 전문지를 통해서도 볼 수 있습니다. 『농업관측월보』 와 관련하여 의견이 있는 분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 내의【질의응답】 을 선택한 후 【글쓰기】 를 이용하여 의견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krei.re.kr ☎ 02) 3299-4197 FAX: 02) 965-4396 http://www.mifaff.go.kr ☎ 02) 500-1673 FAX: 02) 507-3961
담당자: 신용광(채소관측팀장), 김재한(대파), 한승용(양파), 노호영(마늘, 쪽파), 최선웅(풋고추), 한은수(건고추), 윤경진(그래픽, 기상)
●
●
●
●
●
●
재배의향면적: 대파, 쪽파, 풋고추
재 배 면 적: 건고추, 풋고추, 마늘, 양파, 대파, 쪽파 작 황: 건고추, 풋고추, 마늘, 양파, 대파, 쪽파 수 입 실 적: 고추, 마늘, 양파, 대파
가 격 동 향: 건고추, 풋고추, 마늘, 양파, 대파, 쪽파 기 상 예 보: 6~7월 기상
6월호 예고(예정 일자: 2010. 6. 1)
청양계풋고추 도매가격 동향
단위: 원/10kg
주: 평년 가격은 2005년 1월~2009년 12월의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정식시기 강원 경북 충청 전체
5월 -7.4 6.5 -0.7 -5.7
6월 -0.6 1.8 -3.2 -1.3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0 상품 50,582 80,994 105,302 80,161 중품 45,584 74,442 100,574 76,664
2009 상품 46,633 85,284 90,531 31,916 19,712 22,698 25,768 18,685 19,838 22,600 41,749 49,267 중품 40,050 81,133 86,902 29,016 15,365 16,544 19,094 15,477 16,100 16,857 37,293 44,554 평년 상품 47,133 83,547 86,992 31,450 20,665 24,187 25,784 19,048 21,648 22,835 40,228 46,172 중품 40,678 79,062 83,320 28,499 16,110 17,502 18,922 15,468 16,982 18,213 35,865 38,073
5월 전망
�상순 : 기온은 평년(11�17℃)보다 낮으며, 강수량은 평년(24�82mm)보다 많겠음.
�중순 : 기온은 평년(12�18℃)과 비슷하며, 강수량은 평년(27�80mm)과 비슷하겠음.
�하순 : 기온은 평년(13�20℃)과 비슷하며, 강수량은 평년(13�59mm)과 비슷하겠음.
5월 기상예보
�5월 : 5월 상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받겠으나 상층한기가 유입되면서 기온변화가 크겠고, 전반적인 기온은 평년보다 낮겠음. 기압골이 활성화되어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겠음. 중순과 하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맑은 날이 많겠음.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며, 남쪽 기압골의 영향으로 한두 차례 많은 비가 오겠음.
4월 평균기온 및 강수량 합계
4월 일조시간 합계
이「농업관측(양념채소)」은 농림수산식품부 지원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에서 농업인들의 재배의향, 파종실적, 작황, 가격 등 각종 통계자료를 수집∙분석한 후, 농업 및 통계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작성한 것입니다. 양념채소 관측은 마늘, 양파, 건고추, 풋고추, 대파, 쪽파 6개 품목에 대하여 매월 1일에 발표됩니다. 전망 결과는 앞으로 기상 및 수급여건의 변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5
기상청(www.kma.go.kr), 2010년 4월 23일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