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국제 유가 동향
2012년 국제유가는 그리스 디폴트 우려 감소, 주요국의 경기지표 개선, 이란발 지정학적 불안 고조 등으로 상승세를 나타내며 3월에는 전년 대비 12.9% 상승한 $122.5/배럴(두 바이유 기준)을 기록
주: ( )는 전년 (동월)대비 증가율(%)
나. 국내 석유제품 가격 동향
2012년 3월 현재 국내 휘발유 및 경유의 소비자 가격은 전년 동월대비 각각 4.7%, 5.6%
증가했으며, 자동차용 부탄은 7.0% 상승
휘발유에 비해 경유 및 자동차용 부탄 가격이 빠르게 상승함에 따라 경유 및 부탄의 휘 발유가격 대비 상대가격이 각각 91.3%와 56.3%로 상승
국제 석유시장 및 석유 수출입 동향
(단위: $/Bbl, %)
1
구 분 WTI Brent Dubai
2008 99.92 (27.21) 97.47 (24.85) 94.29 (25.86)
2009 61.94 (-37.98) 61.73 (-35.74) 61.92 (-32.37)
2010 79.49 (17.55) 79.66 (17.93) 78.13 (16.21)
2011 95.10 (15.61) 111.08 (31.42) 105.98 (27.85)
1월 100.38 (12.11) 111.02 (14.71) 109.52 (18.34)
2012 2월 102.28 (14.08) 119.31 (14.83) 116.18 (15.90)
3월 106.30 (3.23) 124.94 (8.98) 122.49 (12.86)
<표Ⅰ-1> 국제 원유가 추이
주: ( )는 휘발유 가격 대비 상대가격 (%)
석유제품 국내 소비자 가격은 싱가폴 현물시장의 약 2주 전 가격 대비 2.1배(휘발유)와 1.9배(경유) 수준으로 하락
[그림Ⅰ-1] 석유제품 수입가격 및 소비자 가격 추이
(단위: 원/리터, 원/kg, %)
구 분 휘발유 경유 수송용 부탄
2008 1,692.1 1,614.4 (95.4) 1,009.0 (59.6)
2009 1,600.7 1,397.5 (87.3) 828.7 (51.8)
2010 1,710.4 1,502.8 (87.9) 952.2 (55.7)
2011 1,929.3 1,745.7 (90.5) 1,076.1 (55.8)
1월 1,955.1 1,805.1 (92.3) 1,051.4 (53.8)
2012 2월 1,986.5 1,828.8 (92.1) 1,101.2 (55.4)
3월 2,030.0 1,853.6 (91.3) 1,143.4 (56.3)
<표Ⅰ-2> 국내 석유제품 소비자 가격 추이
다. 원유 및 석유제품 수출입 동향
2011년 원유 수입은 전년 대비 6.3% 증가한 927.3백만 배럴, 수입금액(CIF 기준)은 45.7% 증가한 1,000.8억 달러를 기록
원유 수입은 연초의 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역내 석유 수요 호조와 정제 마진 증가로 제 품 생산 및 수출 증가가 지속됨에 따라 전년 대비 높은 증가세를 유지
2012년 1월에는 전년도 수입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로 일시적인 수입 감소가 발생했지 만 2월 들어 원유 수입이 다시 증가로 반전
2011년 석유제품 수입은 전년대비 0.8% 증가한 279.1백만 배럴에 그쳤으나 석유제품 수 출은 전년대비 19.3% 증가한 407.9백만 배럴을 기록
열량조절용 프로판 소비의 증가로 LPG 수입이 대폭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납사 수 입이 감소하여 석유제품 수입은 전년대비 소폭 증가에 그쳤음. 석유제품 수출은 정제 마진의 개선, 일본 지진에 따른 역내 석유 수요 증가 등으로 크게 증가
가. 수급 동향
2010년 7.4% 증가했던 세계 천연가스 소비는 2011년에는 OECD 국가들의 경제성장세가 둔화되고 12월 북미 지역의 기온이 예년보다 온화해 증가율이 2.9%로 크게 둔화됨. 총 소비량은 3,342.4십억 m3를 기록
러시아는 2010년에 경기회복과 추운 겨울로 전년보다 6.3% 증가한 467.3십억 m3의 천 연가스를 소비했으나, 2011년에는 2.8%로 증가세가 둔화되며 480.4십억 m3를 소비 서유럽 지역의 천연가스 소비는 2010년에 7.5% 증가했지만, 2011년에는 유로존의 부 진한 경제활동과 온화했던 겨울철 기온으로 인해 전년대비 -9.1%로 크게 감소한 534.8 십억 m3를 기록
아시아 지역의 2011년 천연가스 소비는 한국(8.2%), 일본(11.8%), 중국(23.4%), 인도 (18.9%) 등의 소비 증가로 전년에 비해 11.7% 상승한 638.2십억 m3를 기록
2011년 세계 천연가스 생산은 서유럽지역의 생산 감소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카타르의 꾸준한 생산량 증대로 인해 전년 대비 4.6% 증가한 3,379.7십억 m3를 기록함.
2011년 미국은 내륙에서의 생산 증가로 전년보다 7.8% 증가한 670.4십억 m3의 천연가 스를 생산했으며, 연이어 감소세를 보이던 캐나다의 생산량은 전년 대비 1.0%의 증가 세로 반등
장기간 감소세를 나타냈던 서유럽의 천연가스 생산은 2010년 네덜란드(8.0%)와 노르 웨이(2.8%)의 증산으로 전년보다 2.5% 상승하였으나, 2011년에는 286.0십억 m3를 기 록하며 전년 대비 6.3%의 감소세로 돌아섬.
국제 천연가스 시장 동향
11)2
최근 기록적인 생산량 증대를 나타내고 있는 카타르는 2010년 30.7%의 높은 증가율을 기 록한 데 이어 2011년에도 29.6%의 증가율을 보이며 151.2십억 m3의 천연가스를 생산함.
주: ( )는 전년 대비 증가율(%)
자료: EIU, World Commodity Forecasts: Industrial Raw Materials, April 2012.
나. 가격 동향
미국의 천연가스(Henry Hub) 가격은 풍부한 공급량과 포근한 겨울로 인한 수요 감소로 2011년 2분기이후 하락하여 연간으로는 전년 대비 5.0% 하락한 US$4.17/백만Btu를 기록
유럽의 천연가스 가격은 2010년 2분기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2011년 연간으 로는 전년보다 25.6% 상승한 US$10.4/백만Btu를 기록했음.
2010년에 전년 대비 21.4%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던 일본 LNG 수입가격은 2011년에는 35.3% 증가한 US$14.7/백만Btu를 기록하였음.
(단위: 십억 m3)
구 분 소비 생산
2009 3,023.2 3,014.9
(-3.7) (-3.1)
2010 3,247.7 3,232.1
(7.4) (7.2)
2011p 3,342.4 3,379.7
(2.9) (4.6)
<표Ⅰ-3> 국제 천연가스 수급 동향
주: 1)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2) 미국 천연가스 가격은 Henry Hub, 유럽(영국 제외)의 경우는 수입 국경가격 기준. 일본은 LNG 수입가격 기준임.
자료: EIU, World Commodity Forecasts: Industrial Raw Materials, April 2012.
주: 미국 천연가스 가격은 Henry Hub, 유럽(영국 제외)의 경우는 수입 국경가격 기준. 일본은 LNG 수입가격 기준임.
자료: World Bank Commodity Price Data
[그림Ⅰ-2] 국제 천연가스 가격 동향
(단위: US$/백만Btu)
구 분 2010 2011
연간 1/4 2/4 3/4 4/4p 연간p
미국 4.39 4.18 4.37 4.12 4.00 4.17
(11.1) (-18.8) (1.2) (-3.7) (5.3) (-5.0)
유럽 8.29 9.45 10.31 10.88 11.00 10.41
(-4.8) (6.9) (37.3) (31.7) (28.8) (25.6)
일본 10.85 11.99 13.71 16.37 16.65 14.68
(21.4) (16.2) (25.2) (45.9) (52.6) (35.3)
<표Ⅰ-4> 국제 천연가스 가격 동향
2011년 세계 석탄 소비는 중국과 인도 등 신흥 개도국들과 EU의 수요 증가에 기인하여 전년대비 5.8% 증가한 7,715백만 톤을 기록
중국, 인도 등 아시아 신흥 개도국이 소비 증가를 주도
- 2011년 기준으로 세계 석탄 소비의 48%를 차지하는 중국은 2007년 연료탄의 순수입 국으로 전환되었으며, 2011년에는 일본에 이어 세계 2위의 연료탄 수입국이 되었음.
- 인도는 농촌 전력화 계획을 추진하면서 석탄 소비가 빠르게 증가
천연가스 가격 상승으로 석탄의 상대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EU 국가 중 두 번째 석탄 소 비국인 폴란드의 소비가 크게 증가함. 이에 따라 EU의 전체 소비는 전년대비 5.4% 증가 - 미국의 석탄 소비는 발전부문에서 천연가스와 신재생 에너지의 이용이 증가함에 따
라 전년대비 4% 감소
주: ( )는 전년대비 증가율
자료: EIU, World Commodity Forecasts: Industrial Raw Materials, January 2012
국제 석탄 시장 동향
3
(단위: 백만 톤)
소 비 생 산
구 분 2009 2010 2011 구 분 2009 2010 2011
중국 3,152 3,387 3,715 중국 3,050 3,321 3,620
(15.6) (7.5) (9.7) (8.9) (8.9) (9.0)
미국 908 954 916 미국 973 984 988
(-10.7) (5.1) (-4.0) (-8.5) (1.1) (0.4)
EU 719 718 757 인도 555 569 546
(-8.6) (-0.1) (5.4) (7.6) (2.5) (-4.0)
인도 622 689 741 호주 399 407 415
(8.4) (10.8) (7.5) (0.3) (2.0) (2.0)
러시아 202 206 210 러시아 298 311 322
(-11.0) (2.0) (1.9) (-2.6) (4.7) (3.5)
일본 165 188 186 인도네시아 302 359 402
(-10.8) (13.9) (-1.1) (10.2) (18.9) (12.0)
세계 총계 6,874 7,292 7,715 세계 총계 6,967 7,401 7,804
(3.2) (6.1) (5.8) (2.3) (6.2) (5.4)
<표Ⅰ-5> 세계 석탄 소비 및 생산 동향
2011년 석탄 생산은 인도의 생산 감소와 호주에서의 홍수로 인한 공급 차질에도 불구하 고 전년대비 5.5% 증가한 것으로 추정됨.
중국과 인도네시아의 생산이 각각 전년대비 9.0%, 12.0% 증가하여 세계 석탄 생산 증 가를 주도
2011년 국제 석탄가격은 호주의 공급 장애와 수요 강세 지속 등으로 전년대비 20% 이상 상승함.
높은 가격이 유지되는 주요한 요인은 중국, 인도 등 아시아 신흥 개도국의 수요임.
자료 : IMF (Primary Commodity Price)
[그림Ⅰ-2] 국제 석탄 가격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