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책임자 : 박태준
연 구 자 : 신익현
김형만
머 리 말
년 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院 長 金 章 鎬
목 차
요 약
제 장 서론 1
연구 방법 연구추진전략
연구 수행의 단계
고등교육체제와 산업현장 연계에 대한 분석틀
제 장 산업인력의 현황과 문제점 2
고등교육 졸업자의 경제활동 실태 임금구조의 변화
산업에서 고등교육 졸업자의 질적 수급불일치
산업인력의 부족과 질적 불일치 산업기술인력의 부족의 실태
산업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새로운 논의
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
기업과 근로자의 대학교육에 대한 평가
산업인력의 수요 전망 정책적 시사점
제 장 산학연계 차원에서 본 우리나라 고등교육체제의 문제점 3
고등교육과 산업현장의 괴리
전환기 교육 패러다임과 고등전문교육
창의성 계발교육의 필요성 창의성 계발교육 실태 연구현황
창의력을 도외시하는 정보은행식 모방적 교육과정
제 장 산학연계와 산학협력 4
연계의 개념
연계의 기본 원리와 구조 연계체제의 조건
우리나라 산학연계의 문제점
산학협력의 개념 산학협력의 목적 산학협력의 원리 산학협력의 유형
독일의 듀얼 시스템 영국의 샌드위치 시스템 미국의 산학협력
산학협력적 학사운영시스템 운영 인적자원 개발 목표 설정 다양한 프로그램 유형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운영
인적 물적 자원의 공유 협력적 연구 개발
사업 대학 특성화 사업
사업
산학협력단 구축 사업
제 장 산업현장 연계 고등교육체제 관련 법령 분석 5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대한 일반 규정 교육과정 편성
교육과정 운영 방법 교수학습방법
학위
교과목 등의 이수 평가
제 장 산학연계 차원에서 본 외국의 고등교육체제 6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
중국
일본
제 장 우리나라 고등교육체제 개편 방안 7
산학연계 매개장치체제 구축
산학연계 매개장치체제에 근거한 전문교육과정 구축
고등전문교육의 능력중심 및 주문식 교육과정 개발
문제중심학습 을 통한 전문교육의 수월성 인증평가제도를 통한 전문교육의 질관리
부록 면담 자료
부록 산업 인력수급 통계조사 부록 독일의 직업교육개혁 방안
부록 현재 진행 중인 학연간 산연간 협력 사업들
부록 산학협력의 효과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사례 동의대학교 부록 의과대학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시행 사례 서울대학교
참고문헌
표목차
< >
그림목차
「 」
요약
【 】
산업 현장성 강화를 위한 고등교육체제의 개편 연구 배경 1.
연구의 내용
2.
산업인력의 현황과 문제점
3.
산학연계 차원에서 본 우리나라 고등교육체제의 문제점
4.
방안 효과적인 산학연계체제 구축
5. :
제 장 1
서 론
제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 절 연구 내용 2
제 절 연구 방법 및 추진 전략 3
연구 방법
1.
審級
근대적 비교 방법 상황적 비교 방법 복합적 비교 방법
심층구조 다층적 상황 복합적 상황
원인의 단순성 원인의 다양성 원인들의 접합 지배 반영 구조적 특성
근본 원인 근본 원인 원인들의 작동의 조건
차원적 구성 현상과 심층구조
차원적 구성 현상 다양한 원인들
근본 원인
차원적 구성 현상 다양한 원인들의 구조
작동 조건
외적 환경
연구추진전략
2.
제 절 연구의 범위 4
제 절 선행연구 분석 5
제 절 연구 수행의 단계와 분석틀 6
연구 수행의 단계
1.
진 단
처 방
고등교육체제와 산업현장 연계에 대한 분석틀 2.
현 고등교육 체제
새로운 고등교육체제 산학연계차원에서 본 고등교육체제 문제점
산 업 현 장
외 국 사 례
고 등 교 육 체 제
일반 교육
전문 교육
연구 교육
적합성 내용
산 업 현 장 수월성
수준
열정적 참여 의식
태도 새로운 신상품
연구소
지식생산
매개 장 치
고급노동력 취업보장
인력양성 재정
개발 이전기술
연 구
제 장 2
산업인력의 현황과 문제점
제 절 노동시장의 환경과 임금구조 1
고등교육 졸업자의 경제활동 실태
1.
이러한 수급불일치의 문제와 교육의 질 사이의 상관성은 실증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으나 고학력 자의 임금격차 또는 소득격차로 나타나는 노동시장에서 성과가 교육의 질과 관련됨을 제기하는 연구가 있다 최영섭 과 장수명 등의 실증적 연구는 고등교육의 노동시장의 성과를 좀 더 면밀하게 보기 위해서는 추정 모형에서 교육의 질을 통제하여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단위 천명 계 경제활동인구 취업자 실업자 경제활동참가율 실업률 전체
전문대졸
대졸이상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
이러한 해석은 좀 더 면밀한 분석을 필요로 한다 세밀한 자료의 분석이 요구되지만 대졸의 경 우 하향취업에 의하여 실업률이 낮은 반면 대졸자의 하향취업에 의하여 고용이 흡수되면서 전 문대졸자들의 일자리를 차지함에 따라 실업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전체 중졸이하 고졸 전문대졸 대졸
주 고용률 취업자수 생산가능인구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원자료
0 2 4 6 8 10 1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중졸이하 고졸 전문대졸 대졸이상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원자료
임금구조의 변화 2.
김형만 외 의 연구 쪽의 표Ⅲ 참조 에 의하면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이직 사 유가 전체 조사대상의 나 차지하였으며 최근의 대학진학률이 높아지는 점을 고려하면 이 러한 비중은 최근 더욱 높아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50 100 150 200 250
1980 1990 2000 2002
중졸이하 전문대졸 대졸이상 고졸
주 각 년도의 고졸임금을 으로 기준삼아 지수화시킨 것임 자료 노동부 각 년도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원자료」
0.0 100.0 200.0 300.0 400.0 500.0
20이하 20-25 25-30 30-35 35-40 40-45 45-50 50-55 55-60 60이상 연령
임금지수
중졸_95 고졸_95 전졸_95 대졸_95 중졸_02 고졸_02 전졸_02 대졸_02
주 년 자료와 년 자료에서 연령 세 고졸을 기준 으로 삼아 월급을 지수화 시킨 것임 자료 노동부 각 연도「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원자료」
년 대학 입학자들 중 군입대 등을 고려하면 년 또는 그 이후에 대학을 졸업하고 노동 시장에 진입하므로 년 자료로는 이들 연령층의 투자수익률의 신뢰성 있는 결과는 도출하기 어렵다 그러나 표에서는 제시하지 않았으나 실제 년 세 이상의 연령층의 임금격차는 급 격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년 이전 학력 고졸기준
중졸이하 전대졸
대졸 성별 남 직급명 임원
부장 과장 계장 십장 조장 반장보 비직급 경력
자격증 기술사 기사 기능장 기능사 기능사보 기타공인면허자격 자격증없는기능사 수습 단순근로 해당없음
사업체규모
노조 가입
표 계속
전체 년 이전 표준직종 관리자
전문가 기술공 준전문가
사무종사자 서비스종사자
판매 종사자 농업 어업 임업 기능원 기능종사자 장치 기계조작 조립
주 년 대학입학생 나이 기준과 년 대학입학생 나이 기준으로 전체 표본에서 그룹을 나눔 즉 년의 경우 나이가 세 년 경우 나이가 세가 됨 그러므로 그룹 구분은 세 이상
세 세 세 이하가 됨
산업에서 고등교육 졸업자의 질적 수급불일치 3.
실제로 산업에서 고등교육 졸업자들의 질적 불일치 문제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직무수준 별 세부적인 분석을 필요로 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이연구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여기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한 내용을 토대로 산업에서 질적 불일치 관점에서 재조명한다
이것은 이론적으로 학교교육이 개인의 인적자본 을 축적 향상시키는 기능보다․ 원래부터 생산성이 높은 똑똑한 학생들의 선별 하는 기능을 한다고 인식함을 의미하 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에서 교육시장에서 높은 교육열이 노동시장에서 사전에 능 력을 갖춘 인력을 선별하는 기능을 하는 현실과는 배치되는 것이어서 교육시장과 노동시장의 양 쪽에서 일반균형적인 시장기능이 잘 작동하지 않고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박성준 의 연구는 이공계 기피현상의 원인이 사회적 푸대접에 의해여 기인한 것으로 분석 하고 그 원인이 이공계인력이 수요에 비하여 양적으로 너무 많이 배출되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일수도 있다고 제시하였으나 이에 대한 분석은 다루지 않았다
진미석 의 연구에서 이공계 기피 현상은 양적인 문제기기 보다는 이공계 입학생과 졸업생 의 질적 수준이 문제가 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김태일 의 연구도 이공계 기피 현상이 질적인 문제로서 정책적으로 중요한 것은 산업현장의 수요에 부응하는 대학교육을 제공 우수
제 절 산업기술인력의 현황과 문제점 2
이공계 학부생들의 대학원진학촉진 산업현장에 진출할 과학기술인력의 적절한 수급 연구 분야 에 종사할 고급 과학기술인력의 수급을 위한 노력을 강조하였다
여기서 논의되는 산업기술인력은 산업자원부에서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기업에서 연구개발 및 기술직에 근무하는 이공계 전문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 소지자 혹은 그에 상응하는 경력을 가지고 있는 인력으로 정의한다
산업인력의 부족과 질적 불일치 1.
단위
주 부족률 부족인원 현원
자료 노동부 각 연도「노동력수요동향조사」
산업기술인력의 부족의 실태 2.
이 실태조사는 산업기술인력의 현재 인원 및 양적 질적 부족 현황에 대한 조사를 업종별 직ㆍ ㆍ 종별 규모별 등으로 실시한 것이다 업종별로는 표준산업분류 대분류 수준의 제조업에 속하ㆍ 는 세세분류를 기준으로 재분류한 대 주력기간 산업 기계 자동차 조선 전자 반도체 화학 섬유 철강 산업 에 초점을 맞추었다 조사대상 기업은 상용근로자 인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기업으로서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사업체중 비례할당법에 의하여 추출된 개 표본사업체 로 추출되었다
단위 명
784 970
4,649
123 416
1,861 2,477
3,625
14,904
7.79
4.98 12.70
5.11 5.19
0.77 4.92
3.54 5.15
명 2,000명 4,000명 6,000명 8,000명 10,000명 12,000명 14,000명 16,000명
기계 반도체 섬유 자동차 전자 조선 철강 화학 총계 -10%
-5%
0%
5%
10%
15%
부족원 부족률
단위 명
구분 전문대졸 학사 석사 박사 총계
현원 부족률 현원 부족률 현원 부족률 현원 부족률 현원 부족률 기계
반도체 섬유 자동차
전자
조선
철강
화학
총계
단위 명
전문대 학사 석사 박사 총계
부족 인원
부족 률
부족 인원
부족 률
부족 인원
부족 률
부족 인원
부족 률
부족 인원
부족 률 자연과학 연구 관리직
생산 관련 관리직 정보통신 관련 관리직 자연과학 연구원 생명과학 연구원 자연과학 시험원 생명과학 시험원 제품 디자이너 패션 디자이너 시각 디자이너
표 계속
전문대 학사 석사 박사 총계 부족
인원 부족 률 부족
인원 부족 률 부족
인원 부족 률 부족
인원 부족 률 부족
인원 부족 률 웹 및 멀티 미디어
디자이너 제도사 캐드원 기계공학 기술자 엔지니어 항공기 정비원 재료공학 기술자 엔지니어 화학공학 기술자 엔지니어
석유 가스 제어 장치 조작원
섬유공학 기술자 엔지니어 전자공학 기술자 엔지니어 전기공학 기술자 엔지니어
컴퓨터 공학 기술자 엔지니어
통신공학 기술자 엔지니어
컴퓨터 시스템 설계 분석가 시스템 소프트 웨어 개발자 응용 소프트 웨어 개발자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 네트웍 시스템 분석가 및 개발자
컴퓨터 보안 전문가 웹개발자
시스템 운영 관리자 컨설턴트
방송장비 설치 및 수리원 환경공학 기술자 엔지니어
환경 및 보건 위생 검사원 산업안전 및 위험 관리원 상하수 처리 관련 조작원
총 계
산업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새로운 논의
3.
산업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에 의한 인적자원개발을 촉진하려는 정책은 영국 호주 캐나다 등 의 국가에서 시도되고 있다 정진화최영섭․ 참조
제 절 산업이 요구하는 고등교육의 모습 3
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
1.
구 분 년대 년대
경 제
요소투입위주의 대량생산사회 조립 가공산업 대기업 위주의 발전
고도기술화 지식정보산업사회 부품 소재산업 중소기업의 발전 병행
기 술 단 계
단계 단계 단계 단계
기능위주의 기술축적 단계
기술의 모방 단계
모방 및 자주적 기술개발의 혼합단계
창조적 자주기술 개발 단계 중 점
필요인력
기 능 미숙련인력 숙련인력 이론과 실기를 겸한 다기능 기술자
창조력 있는
고급 기술인력
자료 신우균 「세계화를 위한 기능장려방안」삼성인재개발원자료 미국 상무부 교육부 노동부 및 중소기업청 공동보고서
자료 미국 상무부 교육부 노동부 및 중소기업 공동보고서
기업과 근로자의 대학교육에 대한 평가 2.
기업의 인사담당자들이 바라는 인재가 되는 대 소양과 자질은①전문지식과 폭넓은 교양으 로 무장된 사람 ②국제감각과 외국어 구사능력을 가진 사람 ③진취적인 사람 ④도전과 성취의식이 있는 사람 ⑤유연한 사고와 창의력을 가진 사람 ⑥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사람
인간미 있는 사람 책임감 있는 사람 협력하는 사람 예의바른 사람 등이다
⑦ ⑧ ⑨ ⑩
제 절 산업인력 수요와 정책적 시사점 4
이러한 결과는 주로 대기업에서의 인력채용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중소기업에서는 전문대학 및 지방대학 출신들이 많이 취업하는 점을 고려할 때 괜찮은 일자리 는 수능성적의 순서대로 할당되고 중소제조업 등에서는 수능성적이 낮은 집단이 취업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산업인력의 수요 전망
1.
단위 천명 포인트 한 국
년 독 일
년 영 국
년 호 주 년 총취업자
전문직 취업자수 전문직 취업자의 비중
인구에서고등교육 학 력자의 비중
주 독일 및 영국은 군인 및 직업분류 불가능 인원을 총취업자에서 배제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정책적 시사점
2.
제 장 3
산학연계 차원에서 본 우리나라 고등교육체제의 현황과 문제점
제 절 고등교육 팽창과 질적 수준 하락 1
단위 초등학교
중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고등학교 고등교육
일반계고 고등교육
실업계고 고등교육
자료 교육인적자원부 『교육통계연보』
단위
세 세 세 세 세
고등학교 교육 이상을 마친 인구의 비율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한국
대학 이상의 고등교육을 마친 인구의 비율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한국
자료 김형만 외 에서 재인용
제 절 학문적 교육과 전문적 교육의 구분과 연계 2
제 절 학위의 신뢰도 3
제 절 고등전문교육과정의 산업 현장성 4
고등교육과 산업현장의 괴리 1.
년제 대졸자 수는 명 에서 명 이어 명 으로 증가하였다 교수 인당 학생수 는 한국 일본 미국 독일 이다 출처 교육인적자원부
소득 만불 시대 도약을 위한 대학경쟁력 강화 방안
「 」
전환기 교육 패러다임과 고등전문교육
2.
제 절 고등교육 이수자의 창의성 5
창의성 계발교육의 필요성
1.
창의성 계발교육 실태 연구현황
2.
창의력을 도외시하는 정보은행식모방적 교육과정
3. ․
제 장 4
산학연계와 산학협력
제 절 산학연계와 연계체제 1
연계의 개념
1.
연계의 기본 원리와 구조
2.
고 등 교 육 체 제
산학연계체제
산 업 현 장 적합성
내용 일반
교육 교육과정
교수
교육방법
교육기자재
교육평가
기능
학위신설 학위개선 학위폐지 학위관리 평가인증
수월성 수준 전문
교육 열정적
참여 의식 태도 주체
대학 산업체 노사 전문 가 교수 학 생 관련 부처 연구 공무원
교육
새로운 신상품
법령 산학연계 고등교육 학위 자격
교육과정 대학 평가
연계체제의 조건
3.
우리나라 산학연계의 문제점
4.
제 절 산학협력의 개념 목적 원리 및 유형 2 , ,
산학협력의 개념 1.
영어의 을 번역하면서 협동과 협력 모두를 사용하고 있다 어느 용어를 사용하더라 도 문제가 없기 때문에 이 보고서에서는 편의상 협력으로 통일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인용문 의 경우에도 이 원칙을 적용하도록 하겠다
산학협력의 목적
2.
산학협력의 원리
3.
산학협력의 유형
4.
산 업 계 학 계 유관기관 실습과 견학기회의 제공
현장의 실제정보 제공 실험 실습기기의 이용 및 제공
연구비 연구활동비의 제공 및 지급 장학금 지급 공동연구의 추진 실무내용 강의에 대한 인적교류
학교교육과정 개발에 대 한 자문
학계 연구기관에의 협조 초청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의 양성 공급 산업계 위탁교육생 수용 사원의 재교육 실시 연구성과 및 기술정보의 제공
교육 및 연구시설의 제공
위탁연구제도나 공동 연구를 통한 산업체의 문제해결
기업진단 및 자문활동
산학협력을 위한 입법 조치
학계와 산업계에 대한 재정투자
산학협력의 투자에 대한 면제 등 세제상의 혜택 행정적 지도
자문위원회의 조직과 운영
산학간 협력체제 마련
자료 이무근 『직업교육학원론』
자료 정우현 외 『산학협력 체제의 확립 방안』교육개혁 위원회 이무근 의 에서 재인용
제 절 외국의 산학협력 운영 실태 3
독일의 듀얼 시스템
1. (Dual System)
학습장소 작업장 훈련 또는 실험실 사업내 교육
학교법 주정부 교육자료
직업기술서 훈련계획개요 시험요구사항
교육자료 교육과정 교육시간표
학습장소 교실 수업 또는 실험실
직업훈련법 연방정부
훈련생 훈련 계약
직업학교 학생 의무적 교육법
자료 「 듀얼 시스템
」 직업교육연구 제 권 제 호『 』
직업교육훈련의 특성 이 원 성
학습기관 사업내 직업훈련 직업학교
교원 직업훈련교사
직업훈련교사자격기준
직업학교교원 국가교원자격시험
학습자 훈련생 도제 직업학교 학생
직업훈련 규정 직업훈련규칙 기본교수지침
기본교수원리 작업과정중심 학문중심
감독 권한이 있는 각 상공회의소 국가
계획 경제 국가
재정 기업체 공공
법적 권한 연방 각 주정부
목표 직업에 관련된 개인과 공공부분에서의 행위능력을 배양
자료 김기홍 「독일 직업교육훈련의 실태와 우리나라의 과제」 한독교육학연구 제 권 제 호『 』자료
이정표 에서 재인용
주 베를린에서는 년의 초등학교 과정으로 오리엔트 관찰 과정이 없음 진로지도 단계는 상급학교 진학 목적의 적성 파악을 위한 것으로 주별로 다름
일부 주 중에는 하우프트슐레 레알슐레 및 김나지움 외에 정규학교가 있으며 어떤 학교는 연형 식 또는 시험학교로서 특별학교를 두는 경우도 있음
입학 조건 수업기간 및 졸업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특징을 달리하는 전일제 직업학교 파트타임제는 전일제 직업학교와 함께 다닐 수 있음
하우프트슐레 레알슐레 김나지움에서의 선수교육에 따라 입학 연령 훈련기간의 단축 여부가 결정됨 하지만 듀얼시스템을 졸업할 때의 나이는 주로 세임
종 류 성 격
양성훈련
직업에 대한 기본교육 전문기능 습득과 지식함양 직업에 대한 경험 특성화 촉구
이원적 직업 교육훈련제도에 의하여 운영
훈련비용은 원칙적으로 이들을 양성하는 기업에서 부담
향상훈련
습득한 기술의 유지 및 확대 대부분 실업자에게 지원
승진 변화되는 직장상황에 적응 여성의 취업이나 재취업 직업교육훈련 이수를 위한 졸업시험 고령실업자의 재취업의 경우에 특별히 장려
전직훈련
현재의 직종이 노동시장에서 더 이상 요구되지 않거나 건강 상 이유로 전직이 불가피한 경우
전직훈련 지원은 년 최대한 년 이내 재활훈련
직업재활프로그램이 매우 강력 다양한 직종의 훈련을 실시
장애인에 대하여는 다른 완화된 규정을 적용하여 지원
업체에 일정비율 이상의 장애인을 의무적으로 고용토록
하는 쿼터제를 법령화 불이행시 의 부담금 납부
자료 홍선이 『독일의 직업교육훈련 출장보고서』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년
산 업 체
산업체 직업 학교 직 업 학 교
산 업 체 직 업 학 교 산 업 체 직 업 학 교
주 주
일간정시제 구간정시제
자료 장석민 『독일의 직업기술교육제도․ 』 공업기술교육『 』 호
년차 사업체
직업 학교
년차
사업체 직업 학교
년차
사업체 직업
년차 년차 년차 학교
년차 년차 위탁교육장 년차 기초훈련연도
모델 모델 모델
자료 신명훈 『선진국 직업훈련 실태와 한국의 과제』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산업인력인구소
영국의 샌드위치 시스템
2. (Sandwich System)
자료
를 수정하였음
자료 김현수 『단기해외연수보고서』미간행보고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학 년 주 기 학기 학기 학기 장 주 기
단 주 기
장 주 기
단 주 기
장 주 기
단 주 기
장 주 기
단 주 기
장 주 기
단 주 기
주 학교교육 현장경험학 년 주 기 학기 학기 학기 장 주 기
단 주 기 장 주 기 단 주 기 장 주 기 단 주 기 장 주 기 단 주 기
학 년 주 기 학기 학기 학기
장 주 기 단 주 기 장 주 기 단 주 기 장 주 기 단 주 기
학 년 주 기 학기 학기 학기
장 주 기
단 주 기
장 주 기
단 주 기
미국의 산학협력
3.
탄력적인 년 모형 또는 전문대학 모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중등후 교육의 구성요소가 산학협력교육의 정의와 본질적인 특성을 충족시킬 경우 그리고 와 같은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定置
제 절 국내 산학협력 실태 4
산학협력적 학사운영시스템 운영
1.
인적자원 개발 목표 설정
2.
다양한 프로그램 유형
3.
교육과정 개발
4.
교육과정 운영
5.
인적물적 자원의 공유 6. ․
협력적 연구개발
7. ․
제 절 산학협력 관련 정책 5
사업 1. NURI
유
형 목적 신청사업비 권역내
선정비율 요 건
대 형
지역전략산업 육성 발전에 필요한 인적자원 개발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 조의 지역전략산업
억원 이하 내외
광역지자체 및 산업체 참여 필수
광역지자체 대응투자
중
형 인문 사회 자연과학 공학 등 지역발전에 필요한 다양 한 분야의 인적자원 개발
억원 이하 내외
지자체 또는 산업체 참여 필수
대응투자 소
형 억원 이하
내외
하나 이상의 외부기관 참여 필수
동일 사업단의 복수 유형 지원 불가
대학 특성화 사업
2.
단위 억원
년도 년도
사 업 명 예산액 사 업 명 예산액
대학 다양화 특성화 육성 공 사립대학 특성화
특성화 기반조성 특성화 우수대학 지방대학 육성 국립대학 발전계획 추진
대학 특성화 지원 수도권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
계 계
주 국립대학 실험실습기자재 확충 사업 제외 별도 추진․
사업
3. BK21
사업명 분야 및 사업기간 과학기술분야
분야 기계 재료 화공 물리 화학 의생명 농생명 기타 개 분야
사업기간 년
인문사회분야 별도 분리 진행중
대학원 전용 시설 구축
대학원전용의 기숙사 실험실습 연구동 전자화 도서관 등 설립
사업기간 년
지역대학육성 분야 지역산업수요에 연계 특성화 분야
사업기간 년
특화분야
분야 한의학 디자인 영상 외국어통 번역 정보통신 석사과정 실무인력 과학기술 여성전문
인력 등
기간 년
핵심분야 분야 학문 전분야 균형 지원
사업기간 년
산학협력단 구축 사업
4.
제 장 5
산업현장 연계 고등교육체제 관련 법령 분석
제 절 정의 1 ( 定義 ) 의 문제 18)
高等技術學 또는 을 한 일반계 고등학교 또는
, ,
校 實業系 高等學校 實業系 學科 課程 設置
대학 고등교육법 제 조 각호의 규정에 의한 학교를 말한다 이하 같다 이 ( 2 . ) 學生 에 대하여 農業水産業海運業工業商業 ․ ․ ․ ․ 기타의 産業 에 종사하는데 필요 한 知識技術 ․ 및 態度 를 習得 시키기 위한 敎育
일차적으로 이 연구는 대학 대학원 산업대학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분석할 것이다 기술대학 과 사내대학 원격대학 등은 예외적인 대학 유형들로서 이 글의 분석대상에서는 제외한다
勤勞者職業訓 기타 다른 에 의하여 및 등에게 또는
練促進法 法令 學生 勤勞者 就業 職務遂行
에 필요한 知識 技術 ㆍ 및 態度 를 習得 ㆍ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職業敎育 및 訓練 職業能力開發訓練 ( 을
고등교육법第 條 授業등 ①學校의授業은學則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晝間授業 夜間授業ㆍ 에 의한 및 등의 방법에 의하여 할 수 있다
季節授業 放送 通信 授業 現場實習授業 學校
ㆍ ㆍ ㆍ ②
는學生의現場適應力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學則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實習學期制를 운영할 수 있다
의 종류 을 실시하기 위하여 다음 의 를 둔다
第 條 學校 高等敎育 各號 學校
大 學 産業大學 敎育大學 專門大學
및 이하 이라 한다 放送大學 通信大學ㆍ 放送通信大學 放送 通信大學ㆍ
技術大學 各種學校
물론 제외된다고 해서 이들 기관들이 산학협력교육을 할 수 없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러나 산 업교육진흥및산학협력촉진에관한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각종 제도와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산업교육의 정의를 학생과 성인에게 직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수행능력 을 배 양하는 교육 으로 재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산업교육 이란 용어를 계속 유 지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재검토가 요구된다
노동부도 직업훈련기본법을 폐지하고 새로 제정한 근로자직업훈련촉진법에서 직업훈련이라는 용어보다 직업능력개발훈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동법 제 조제 호에 의하면 職業能 이라 함은 에게 에 필요한 을 향상하게 하기 위하여
力開發訓練 勤勞者 職業 職務遂行能力 習得
실시하는訓練을 말한다 라고 정의하고 있다
제 절 투입 측면 2
제 절 교육과정 편성 운영 측면 3 ⋅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대한 일반 규정
1. ⋅
교육과정 편성
2.
교육과정 운영 방법 교수학습방법
3. ( )
履修
제 절 산출 측면 4
학위
1.
석사학위 박사학위 문학 신학 미술학 음악학 법학 정치
학 행정학 도시계획학 조경학 교육학 도서관학 경제학 경영학 상학 이학 가 정학 체육학 공학 의학 치의학 한의 학 보건학 간호학 약학 농학 수의학 수산학 기타 대학의 장이 학칙으로 정 하는 학위
문학 철학 신학 경제학 법학 정치학 이학 가정학 의학 약학 공학 농학 수 의학 행정학 경영학 경영학 교육학 수 산학 보건학 치의학 한의학 간호학 기 타 대학의 장이 학칙으로 정하는 학위
교과목 등의 이수
2.
평가
3.
제 절 교육의 현장적합성에 관한 규제의 특징 5
대학의 학칙으로 모든 사항을 구체화하도록 설계되어 있음 1.
중간조직은 고등교육 규제에서 고려되지 못함
2.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의 모든 권한과 책임을 고등교육기관이 갖고 있음 3.
학위의 통용성과 호환성의 책임 역시 각 대학에 부여 4.
비학위과정에 대한 제도 설계는 매우 미흡
5.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질 관리에 대한 관심 결여
6. ․
제 장 6
산학연계 차원에서 본 외국의 고등교육체제
제 절 기업 주도형 1
영국
1.
광 ( 廢鑛 ) 및 구 ( ) 舊 조선소
학년 과정 나이 비고 기간
박사 박사 과정
년
석사 대학원
년
학년 학사
학년 년 년
학년 년
학년
대학예비과정 대학입시준비
시험과정 학년
학년 과정 의무교육기간
중등학교 졸업시험 과정 년
학년 학년
학년 중등교육
학년 학년
학년 초등교육
학년 학년 학년 학년
자료 주한영국문화원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