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원격탐사와 무인자율해상로봇(Wave Glider)의 융합기술 개발과 자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원격탐사와 무인자율해상로봇(Wave Glider)의 융합기술 개발과 자료"

Copied!
74
0
0

Teks penuh

첫째, 위성과 웨이브글라이더를 통해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대상을 분석하고 선정한다. 고정형 부표시스템과 드리프트형 관측장비로는 관심지역을 집중적으로 관찰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악천후 속에서도 관찰할 수 있는 무인관측시스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위성 및 도파관에서 관측 가능한 항목을 분석하고 선택합니다. 웨이브 글라이더를 사용하면서 장착할 수 있는 다수의 센서와 위성(해색, 열적외선, 마이크로파 위성 등)으로 관측할 수 있는 항목을 분석하고 선정합니다. 유사한 위성 웨이브 글라이더 관측의 검증.

웨이브 글라이더와 위성 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해 현장 관측도 수행되었습니다. 웨이브 글라이더가 평균 1노트 이상의 속도로 운항하는 동안 제주도 서쪽에서 염도가 낮고 수온이 높은 물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위성에서 관측한 데이터와 일치했습니다.

Results

The report for converging technology and validation data with matching satellite and Wave Glider data. Although Wave Glider measured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showed the different ranges, the higher water temperature and lower salinity were > 32 deg C and < 26 psu. The matching data from the Wave Glider and satellite also showed that the high temperature water observed along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compared to the eastern part of Jeju (e.g. Kuroshio branch region).

Satellite data (satellite-derived sea surface salinity and sea surface temperature) show that the highest sea surface temperature occurred in mid-August 2016 and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salinity, which developed in the area in the middle of the ECS. Satellite and wave glider data vastly increase the estimation of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for interpreting sea surface warming.

Applications

위성 웨이브 글라이더 관측자료 검증 - 광역 및 국지적 해양파도 활공 - 농도별 자료와 위성자료 비교 원격탐사-파동 글라이더 활용 기술 보고서 ​​작성 - 두 기술 모두에서 관측된 데이터 검증. 해양 원격탐사(특히 해양색상) 분야의 국제적 연구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등 국제적 위상이 높아졌다.

해안지역과 갯벌에서는 고해상도 위성과 SAR 위성을 활용한 GOCI 데이터와 모델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하나 보유하고 있지만 센서가 여러 개 부착되어 있지 않습니다. 3-1-1과 같이 수상에서 운용되는 무인체계에는 무인수상체(USV)와 무인파상선이 포함되며, 수중에서 운용되는 무인체계에는 무인수중차량(UUV), 잠수글라이더 등이 포함된다.

유럽연합(EU)은 회원국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무인 시스템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주와 유럽을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 웨이브 글라이더는 과학적인 해양 관측, 해양 재해 대응, 전장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웨이브 글라이더 관측자료 중 초기 관측값에 오류가 포함된 이상치가 발견됐다.

엽록소는 제주 남부 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양쯔강의 희석 영향을 받는 서부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제주해역의 탁도는 상대적으로 높다. 특히 쓰시마 난류의 영향을 받은 해역보다 저염분 해역의 수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현장 데이터와 일치하는 위성 데이터는 전체 픽셀 중 3×3 픽셀을 사용합니다. 최종적으로 획득한 위성자료를 대신하여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1:1 관계를 검증하였다. 중요한 관측 중 하나인 염도 자료 분석에서 위성을 이용한 염도 관측을 수행하기 위해 Son et al.

웨이브 글라이더 데이터와 국립수산과학원의 데이터는 2016년 장강희석수 영향을 받는 동중국해와 남해안 등 대륙붕 해역의 해양환경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활용됐다. 반면, 제주남부해와 제주동부해에서 관측된 결과와 비교적 좋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위성과 웨이브 글라이더를 통해 관측한 표층수온은 대만 난류 영향을 받는 지역보다 염도가 낮은 지역, 특히 장강 희석수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에서도 웨이브 글라이더 관측 결과와 마찬가지로 염도가 낮은 곳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온이 관찰되었다.

Fig. 2-1-1. The application between satellite product and ocean phenomenon.
Fig. 2-1-1. The application between satellite product and ocean phenomenon.

Gambar

Fig. 3-1-1. Classification of the Unmanned System(US) in the surface and underwater.
Fig. 3-1-2. Classification of the Unmanned System(US) in the underwater.
Fig. 3-1-3. The scheme of the control and command.
Fig. 3-1-4. The application for UAV in Korea.
+7

Referensi

Dokumen terkait

"Superior bactericidal efficacy of fucose functionalized silver nanoparticles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PAO1 and prevention of its colonization on urinary catheters", ACS Applied

Strongly Nonlinear Long Wave Model for Internal Waves Tae-Chang Jo Department of Mathematics, Inha University, Korea Abstract For internal waves in the ocean, there are vario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