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원유시장동향과전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원유시장동향과전망"

Copied!
6
0
0

Teks penuh

(1)

원유시장 동향과 전망

이 문 배/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1. 시장 동향

국제유가는 3월 16일 OPEC 총회 직후 잠시 주춤하 는 듯 하였으나 재차 반등하며 3월 말에 이르기까지 단 기 추가 급등세를 보였다. 그 결과 3월말과 4월초에 이 르기까지 원유시장은 작년 10월 이후 또다시 최고가격 갱신을 기록하는 등 강한 상승세 움직임을 지속하였다.

특히 중동산 두바이 원유가격은 4월 초순에 사상 처음 으로 배럴당 50달러 대를 기록하였다. 대부분의 시장 전문가들이 당초 2/4분기에 들어서면 유가가 다소 안 정세로 돌아설 것이라던 예상과는 달리 OPEC이 50만 b/d 증산을 결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3월말을 전후하 여 오히려 강세장으로 돌변하는 상황으로 전개된 것이 다. 이 같은 유가 폭등장세는 석유시장의 펀더멘탈에 별다른 특이 사항이 엿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골드

만 삭스의 유가전망 보고서 등이 발표되어 선물시장의 투기거래 수요를 부추기는 역할을 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되는 측면이 있다. 골드만 삭스의 석유시장 보고서 에 따르면, 세계경기의 추가적인 회복과 중국의 지속성 장 등 요인을 배경으로 세계 석유수요가 가파르게 증가 될 경우 국제유가는 배럴당 최고 $105까지 오르는 초 고유가 상황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동 보고서 가 언론에 보도된 이후 Nymex 등에서 석유선물 매입 수요가 급증하면서 Nymex-WTI 가격이 4월 초 $57 대를 기록하는 등 작년 10월 이후 6개월 만에 다시 사 상 최고 유가 상황을 기록하였다.

4월 초순을 고비로 유가는 선물시장에서 수익을 실 현하려는 기술적 거래가 발생하면서 중순까지 약보합세 로 이어졌다. 또한 미국 상업용 석유재고가 원유와 휘발 유에서 수주 연속 증가세를 기록하며 예년 평균수준의

자료: 한국석유공사

(2)

재고를 크게 상회하는 등으로 시장의 공급차질 우려가 다소 과장된 것이라는 인식이 파급된 결과로 보여진다.

하지만 4월 중순 이후에는 원유와 휘발유 재고가 수주 간의 증가 추세에서 점차 감소세로 바뀌고 있고, 미국의 일부 정유공장들이 화재와 설비고장 등 예기치 않은 사 고로 가동이 정지되는 사건들이 알려지자 향후 다가올 드라이빙 시즌에 휘발유 공급 차질의 우려가 다시 고개 를 들면서 국제유가는 4월 20일을 전후하여 다시 상승 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4월 22일 현재 두바이 원유가격 은 $47.12/bbl, WTI와 브렌트는 각각 $52.26과 $54.81 로 전월 동기대비 소폭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2. 시황요인 분석

가. OPEC 동향

OPEC은 4월 초순 원유가격이 단기 폭등장세로 이 어지자, 총회에서 약속한 50만 b/d 추가증산을 검토한 다고 발표하였다. 당초에는 유가가 안정화되면 6월 임 시총회까지 추가증산 문제를 미룰 예정이었지만 3월말 을 전후하여 원유가격이 다시 급등하는 등 시장 상황이 불안해지자 OPEC 의장인 Sheikh Ahmed Fahed al Sabah 쿠웨이트 석유장관은 4월 2일 기자회견을 갖고 회원국 장관들과 추가증산 문제를 협의하기 시작하였 으며 2주 이내에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증산이 결정될 경우 OPEC 10개국 생산쿼터는 5월 부터 2,850만 배럴로 늘어나게 된다. 그러나 협의 과정 에서 베네수엘라와 나이지리아, 알제리, 카타르 등의 회원국들이 4월 초순 이후 원유가격이 반락하는 상황 이 수일동안 이어지자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 아니라며 추가증산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우디아라비 아는 공식적으로 증산에 대한 자국의 입장을 표명하지

는 않았으나 잉여생산능력 범위 안에서 50만 배럴의 증산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사우디는 지난 3월 하순에 2/4분기 국제유가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소비 국의 재고 확충이 필요하다고 밝혀 증산에 긍정적인 입 장임을 시사한 바 있다.

◆ 생산 동향

12일 발표된 국제에너지기구(IEA) “4월 석유시장보 고서”에 따르면, OPEC의 3월 원유생산량은 총 2,914만 b/d로 전월대비 약 29만 b/d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 다. 이 중에서 이라크를 제외하면 10개국의 생산량은 2,733만 b/d로 전월대비 약 28만 b/d 증가되었다. 이라 크는 전월과 비슷한 181만 b/d를 기록함으로써 원유생 산 수준이 1분기 동안 횡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각각의 OPEC 회원국별로는 전월과 비교하여 특징 적인 변화가 발견되는 점이 없지만 사우디아라비아가 16만 b/d, UAE 10만 b/d 증산을 기록한 반면 나머지 회원국들은 1-2만 b/d의 증산 혹은 감산을 기록하였다.

IEA 보고서는 3월 말 현재 OPEC의 총 생산능력을 전월보다 5만 b/d 증가된 3,100만 - 3,150만 b/d로 평가하고 있다. 이 중에서 현재 특수한 상황에 처해 있 는 이라크를 제외하면 쿼터를 적용받는 10개 회원국의 생산능력은 총 28.50백만 - 29.00백만 b/d로 평가하 였다. 그 결과 3월 생산량을 감안할 경우 현재 OPEC 11개국의 전체 잉여 생산능력은 186만 - 236만 b/d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이라크의 여건이 현실적이지 못한 상황을 감안하면 실제적인 추가 증산능력은 117만 - 167만 b/d에 불과한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서도 실 제로 증산여력이 있는 국가는 사우디아라비아, UAE, 쿠웨이트, 이란뿐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나이지리아 와 알제리는 하반기에 다소 잉여생산 능력을 확충할 것

(3)

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이라크 정부 관계자는 올해 연 말까지 원유생산량을 약 280만 b/d까지 회복할 수 있 을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이라크측 주장대로 산유량 회복이 실현될 경우에 석유시장 안정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나. 석유재고 동향

미국 에너지부가 발표하는 주간 석유재고 통계(SPR 제외)에 따르면, 원유의 경우 4월 첫 주까지 9주 연속 증가세를 유지하며 3.2억 배럴까지 재고증가를 기록하 였다가 지난 20일 발표된 4월 15일 기준 재고에서 감 소로 돌아섰다. 그러나 여전히 전년 동기대비 7.7% 높 은 약 319백만 배럴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휘발유의 상업용 재고 규모 역시 최근 감소세로 돌아서고 있지만 아직 전년 동기대비 4.9% 높은 약 212억 배럴 수준에

이르고 있다. 계절이 봄으로 넘어오면서 4월부터 난방 용 연료유인 중간유분(distillate)의 재고량 감소 현상 이 눈에 띄게 둔화되고 있다. 4월 15일 기준 미국의 난 방유의 재고 상황이 전년 동기대비 1.2% 많은 104백만 배럴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 미국의 SPR 원유는 4월 15일 현재 655백만 배 럴로 전년 동기대비 5.3%, 많다. 5월 달 이후 전개되는 미국의 여행시즌을 앞두고 휘발유 공급차질 발생 여부 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아직까지 상업용 재 고수준은 예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휘발유 수요에 비 하여 정제설비능력이 부족하다는 점과 미국 내 주요 대 도시에서의 대기환경 오염방지를 위하여 개질 휘발유 의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다는 점 등이 수급불안 요인으 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미국

<표> OPEC, 3월 원유생산 실적 (단위 : 백만 b/d)

주: 총생산능력은 30일 내에 생산을 개시하여 90일 동안 지속할 수 있는 수준을 의미함 자료: IEA, Monthly Oil Market Report, 2005년 4월호

쿼 터1) 생산량(3월) 총 생산능력 잉여 생산능력 초과생산량

알제리 0.88 1.35 1.35 0.00 0.47

인도네시아 1.43 0.95 1.00 0.05 - 0.48

이란 4.04 3.90 4.00 0.10 - 0.14

쿠웨이트 2.21 2.40 2.50 0.10 0.19

리비아 1.47 1.62 1.65 0.03 0.15

나이지리아 2.27 2.40 2.45 0.05 0.14

카타르 0.71 0.78 0.80 0.02 0.07

사우디아라비아 8.94 9.35 10.0-10.5 0.65-1.15 0.41

UAE 2.40 2.42 2.55 0.13 - 0.02

베네수엘라 3.17 2.16 2.20 0.04 - 1.01

OPEC 10개국 27.50 27.33 28.50-29.00 1.17-1.67 - 0.17

이라크 1.81 2.50 0.69

합 계 29.14 31.00-31.50 1.86-2.36

(4)

정제시설의 가동률은 4월에도 90%를 웃돌고 수준이지 만 정유소들의 정기적 설비보수 계획들이 잡혀있는 다 음달에는 다소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 선물시장 투기거래 동향

Nymex 원유 순매수 규모는 원유가격이 최고가격 을 경신했던 4월 초순까지 계속해서 증가하는 상황으 로 전개되었다. 지난 2월8일부터 4월5일까지 8주 동안 Nymex 선물유가는 약 $11 상승하였고 순매수규모 역 시 2,760만 배럴에서 8,870만 배럴로 2배 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아래 그림 참조) 이와 같은 Nymex의 대형 펀드자금에 의한 투기거래 증가 추세 는 석유시장의 악화된 펀더멘탈을 배경으로 지난달에 도 지적되었듯이 OPEC의 고유가 지지전략과 향후 석 유시장의 고유가 상황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일 부 전문기관의 유가전망 보고서들이 투자자들을 부추 긴 결과로 해석된다.

5월 이후 여름철 휘발유 시장의 흐름에 따라서 석유 시장에 대한 투기수요의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현재 OPEC의 추가 생산능력이 불과 150만 b/d 내외수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선물시장의 투기 수요 증가 여부에 따라서 원유가격이 추가상승 현상으

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판단이다.

아래 [그림]을 보면, 미연방 상품선물거래위원회 (CFTC)에서 집계한 4월 5일과 12일 Nymex 원유선물 의 순매수 계약 규모를 보면, 각각 약 9만 건(88.7백만 bbl)과 약 6만 건(597백만 bbl)을 기록하였다. 이는 WTI 가격이 4월초 사상최고가를 기록한 이후 이익실 현을 위한 매도물량이 늘어나면서 Nymex-WTI 가격 이 단기 하락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다. 세계 석유소비

4월 12일 발표된 IEA 4월호“석유시장보고서”에 따 르면, 2004년도 세계 석유수요 실적은 8,250만 b/d로 전월보다 소폭 하향조정하였다. 그리고 2005년도 세 계 석유수요 전망치도 전월의 8,432만 b/d에서 8,427 만 b/d로 약 5만 b/d 하향 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IEA가 올해 수요전망을 하향 조정한 것은 금년들어 처 음으로 최근 고유가로 인한 수요 영향을 반영한 것이라 는 시장의 반응으로 나타나 당월 중순을 즈음한 시기에 유가 하락으로 연결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IEA의 2005년 수요전망치 조정 내역을 살펴보면, 거의 대부분 개도국에서의 수요를 하향조정한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크게 수요가 조정을 받은 권역은 구소련

주: 상기 재고에는 SPR 제외, 주말 기준 자료: EIA/DOE

3/18 4/1 4/8 4/15 증감(%)

전주 전년 동기

원 유 309.3 317.1 320.7 318.9 -0.6 +7.7

휘발유 217.3 212.3 213.1 211.6 -0.7 +4.9

중간유분 104.5 104.1 104.0 104.0 0.0 +1.2

중 유 39.1 39.2 39.0 37.6 -3.6 +0.5

정제 가동률(%) 90.2 93.7 93.7 91.8 0.8%p

<표> 미국 상업용 석유 재고 동향 (단위 : 백만 bbl)

(5)

(FSU)지역으로 전월 전망치 대비 약 5만 b/d 하향조정 하였으며,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개도국, 중남미 지역 서 수요를 하향 조정하였다. 반면 최근 수요증가의 핵 심국가로 지목되던 미국과 중국의 석유수요는 전월과 동일하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경우 올 상 반기 수요 전망치는 1/4분기 665만 b/d, 2/4분기 697 만 b/d로 전월보다 미세한 수준의 하향조정이 이루어 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 미국을 포함한 북미지역 수요 는 전월 전망치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하였다.

IEA 보고서에서의 이같은 수요 전망은 현재의 고유 가 상황에 대한 영향이 OECD 선진국 보다는 상대적으 로 구소련과 아시아 개도국에서 더 크게 나타날 것으로 분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동 보고서는 올해 석유공급 전망에 있어서 전월과 동일하게 전망하 고 있기 때문에 올해 4/4분기 수요전망을 바탕으로 계 산된 OPEC 원유에 대한 수요, 즉“Call on OPEC”규 모는 약 2,930만 b/d로 예상된다. 이는 OPEC 산유량 이 현 수준에 머무를 경우, 연말에 시장이 매우 타이트

해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마. 중동정세 및 기타

3월 하순부터 4월 중순까지 중동지역 정세 변화는 특별하게 세계뉴스의 이목을 끌지는 못하였다. 이라크 에서는 여전히 수니파 저항세력에 의한 테러활동이 계 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라크 정부가 비상사태를 이달 말 까지 30일간 연장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그러나 바그 다드 시아파 사원의 폭탄테러와 민간헬기 격추 등 테러 활동에 의한 인명피해는 아직도 그치지 않고 있다. 북 부지역 석유회사의 파이프라인 가동도 별다른 소식이 없는 가운데 이라크의 원유생산 활동은 정체상태를 유 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이라크 의회 는 지난 4월6일 쿠르드계의 탈라바니를 이라크 임시정 부의 대통령으로 선출하였다. 이로써 시아파의 알자파 리가 총리, 쿠르드계 탈라바니 대통령 체제로 출범하게 되었다. 현 임시정부는 12월까지 유지되며 8월15일까 지 헌법제정과 연말까지 새로운 총선을 치러야 한다.

[그림] Nymex 원유 순매수 및 선물 유가 추이

자료: 미국 CFTC(Commodity Futures Trading Commission), Nymex

(6)

이 밖에 지난 3월 하순 이후 석유시장에 영향을 미 친 주요 사건을 살펴보면, 미국연방 준비제도이사회 (FRB)가 3월 22일 0.25%의 금리인상을 결정하였으며 이 같은 금리 인상의 결과 달러화 가치가 강세로 돌아 서면서 선물시장에서 투기자금의 이탈로 이어져 단기 적으로 유가하락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달러화 약세는 투기펀드들이 상품시장으로 이동하여 유가상승 을 부추기는 한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4월 중순에 발생한 미국 정제시설의 화재와 사고로 인한 가동중단 사태가 발생하자 미국내 휘발유 가격 인 상으로 이어지며 원유가격 상승의 원인으로까지 연결되 었다. 4월 15일 미국 텍사스주 소재 BP 정유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으며, 루지애나주 소재 ConocoPhllips 사의 정유공장에서 일부시설의 사고발생으로 설비가동 이 정지되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이 같은 정유공장 의 사고는 설비 재가동 지연과 함께 생산차질 우려를 불

러오며 유가상승의 결과로 나타났다.

3. 향후 시장 전망

향후 5월 유가는 OPEC의 50만 b/d 추가증산에 대 한 실현여부와 함께 앞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여행시 즌이 다가옴에 따라 휘발유 시장의 움직임이 유가등락 의 주요한 변수로 떠오를 전망이다. 벌써부터 석유시장 은 펀더멘탈의 별다른 변화를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에 서 단편적인 사고나 재고변동에도 과도한 가격등락으 로 나타나는 모습이다. 대부분의 해외 전문기관들은 3 월 하순과 4월초의 유가상승 기조를 반영하여 경질원 유는 50달러 수준, 두바이와 같은 중질원유는 45달러 이상의 고유가를 예고하고 있다. 5월 OPEC 또는 사우 디아라비아의 추가 증산 여부는 OPEC의 기대유가를 가늠할 수 있는 잣대가 될 전망이다.

<표> IEA 세계 석유소비 실적 및 전망 (단위 : 백만 b/d)

<표> 해외 주요기관 유가전망 ($/bbl)

주: 1)중국을 제외한 아시아개도국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4월호

2004년(실적) 2005년(전망)

3/4 4/4 연평균 1/4 2/4 3/4 4/4 연평균

OECD 49.2

25.2 15.7 8.3

50.6 49.5 51.0 48.6 49.5 50.9 50.0

북미 유럽 아태

25.6 16.1 8.9

25.2 15.7 8.6

25.5 16.0 9.5

25.2 15.4 8.0

25.7 15.8 8.1

25.9 16.1 9.0

25.6 15.8 8.6 비OECD

중국 아시아1)

32.7 6.3 8.4

33.9 6.6 8.8

33.0 6.4 8.6

33.6 6.7 8.7

34.1 7.0 8.8

34.2 6.9 8.6

35.2 7.0 9.1

34.3 6.9 8.8

전세계 81.9 84.5 82.5 84.6 82.7 83.7 86.1 84.3

회사명 기준 4월 5월 6월

PEL Dubai 47.0 47.0 46.50

CGES Dated Brent 51.9 50.2 50.6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