任 桂 淳 漢陽大 ( )
. 서언
Ⅰ
홍콩의 탄생 .
Ⅱ
홍콩섬 의 할양 1. (香港島)
구룡반도 남부의 할양 2.
3. 新界의 租借
중국인에게 있어 홍콩의 의미 .
Ⅲ
중국인의 피난처인 희망의 도시 1.
민족의식의 각성지 2.
혁명 활동기지와 항일투쟁 보급 3.
기지
정치활동이 자유로운 도시 4.
서방국가와의 교역 창구 5.
중국현대화의견인차 6.
결언 새로 탄생한 홍콩특별행정구
. :
Ⅳ
. 서언
Ⅰ
도시는 다양성과 역동성을 기본 속성으로 하는 유기적인 생명체이 다 그러므로 한 국가의 도시에 대해 연구 분석하면 그 도시의 고유한. 문화와 생활양식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국가의 일 반적인 역사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도 살펴볼 수 있다․ ․ ․ ․ . 특히 그 도시의 역사적 특수성 지리적 위치 경제력에 따라 도시가 국가 전체, , 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므로 중요도시의 발달사 연구는 한 국가의 역사 를 이해하는데 필수라 하겠다.
필자가 소개하려하는 홍콩은 중국 廣東省의 동남부 珠江입구에 위 치하고 있으며 서남쪽으로는 마카오와 약, 56km 떨어져 마주 대하고 있다 북으로는 광동성. 深 市圳 경제특구와 인접해 있으며 광동성의, 행정 중심지인 廣州市와는 약 145km 떨어져 있다 홍콩은 중국남해.
에 떠 있는 홍콩섬(香港島)과 중국 대륙의 일부인 九龍半島와 新界, 그리고 大嶼山등 230여개의 크고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홍콩의. 전 면적은 1,078 ㎢ 으로 인접한 심수시 총면적의 절반도 되지 않으 며 서울시의 두 배가 조금 안 되고 제주도의 절반보다는 조금 넓은 면 적이다.1)
홍콩은 제 차 세계대전 이전만 하더라도 역사가들의 관심 밖에 있2 었다 역사가들은 홍콩이. 100여년의 역사를 가진 항구이긴 하지만 상 해보다 중요하지 않으며 거주민 대부분이 중국대륙에 근거를 둔 이동 인구이므로 연구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지 않다고 보았다 그러나 제. 2 차 세계대전 이후 특히, 1949년 중국대륙에 공산당정권이 수립되고부
1) 鄭定歐 主編, 香港辭典 北京( :北京語言學院出版社, 1996), pp.262-263; 賀
, , ( : , 1994), pp.7-9.
弘景 主編 香港的昨天今天和明天 北京世界知識出版社
지도 중국의 여의주 홍콩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 > 任桂淳 , 『 ( : , 1997)
터 홍콩은 중국내부에 관한 소식을 조금이라도 알 수 있는 유일한 관 측소로서 중시되었다 특히. 1984년 中 英聯合聲明· 에 기초하여 홍콩이 년 월 일 중국에 귀속될 것이 확정되자 공산주의와 자본주의 1997 7 1
사회가 어떻게 하나의 국가로 운영될지 홍콩이 중국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세계가 주목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홍콩은 비록 영국의 식민지. 로서 홍콩중국인들이 정책결정에 참가하지는 못했으나 그 정치적 영 향 복지정책 질서유지를 통해 작은 민주도시로 발전해 있었고․ ․ . 사 회 문화적으로․ 150여년간 동서문화가 혼합되고 교환되어 다양한 가 치관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세계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국제무역, 도시로 성장해 있었기 때문이다.
본론에서는 우선 홍콩이 탄생한 배경을 살펴봄으로서 무력을 앞세 운 제국주의 영국의 침략 청정부의 미숙한 대응 힘없는 일반백성들, , 의 反外勢정서 등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그 다음으로 식민지홍콩은 중. 국인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가진 도시였는가를 분석하고 끝으로 중국, 대륙으로 귀속된 홍콩이 미래중국역사에서 어떠한 역할을 할지 예측해 보고자 한다.
홍콩의 탄생 .
Ⅱ
중국 역사기록에 의하면 기원전 214년 秦始皇이 현 중국의 廣東․ 지역에 거주하던 을 정벌한 후, 으로부터 50만 명의 상
廣西 越族 中原
인과 죄인을 이주시켜 이 지역의 방어와 개발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한 다 이때부터 이 지역은 중원의 생활관습과 문화의 영향을 받게 되었. 다 그 후 홍콩일대는 중원이 혼란할 때마다 많은 사람들의 피난처가. 되었다.2)
년 북방 만주족이 건립한 청조가 북경으로 천도하였을 때
1644 反淸
2) 賀弘景, pp.18-19.
세력이 沿岸일대에서 활동하자 청조는 어민들이 바다로 나가는 것을 금지하는 海禁令과 동남연안의 주민들을 모두 50리 내륙으로 이주하 라는 遷界令을 반포하였다. 이에 홍콩섬․九龍 新界․ 대부분과 南頭의 주민들이 가옥과 토지를 버리고 떠나 홍콩일대가 황폐하게 되었다. 년에 천계령이 해제되자 홍콩지역 주민들이 옛 고향으로 돌아오 1669
기 시작하였으며 이 행렬은 수십 년간 계속되었다.3)
청조가 홍콩섬과 구룡반도의 해안선 방어를 철저히 하여 점차 해상 교통이 회복되자 경제가 활발해지면서 작은 市鎭들이 들어섰다. 乾隆 에는 이곳에 가 실시되었으며 지방의 가 (1736-1795)
年間 保甲制 耆老
청조의 법률과 鄕約에 따라 지방사무를 처리하고 禮法을 유지 보호하․ 였다. 道光年間(1821-1850)에는 이미 적지 않은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상업이 상당히 발달해 있어 내지와 비교하여 조금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사회 경제 문화가 발달되어 있었다․ ․ .4)
세기말부터 동방으로 향하는 신항로가 발견된 후 유럽 여러 국가 15
들은 새로운 식민지를 찾아 동쪽으로 진출하고 있었다. 16세기중반 이후에는 포르투갈상인과 스페인상인들이 중국해안에 나타나기 시작했 고 17세기초부터는 네덜란드인들과 영국 동인도회사가 중국과의 교역 을 희망하였다.5) 1684년에 해금령이 해제되자 중국 상인들이 해외에 나가 무역을 할 수 있게 되었고, 외국상인들도 廣州 福州 寧波 雲․ ․ ․ 에서 무역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청조는 불만 세력이 외국상인. 臺山
과 결합할까 두려워 외국인과의 교역이 국방과 풍속에 좋지 못한 영향 을 준다면서 광주에서만 그들과 교역을 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영. 국 동인도회사는 1770년부터 광주에 商務監督을 파견하였고 네덜란 드 프랑스 미국 상선도 중국과 교역하기 시작하였다․ ․ .6)
3) 賀弘景 主編, pp.18-19; 元邦建 編著, 香港史略 香港( : 中流出版社, 1995), pp.43, 45.
4) 余繩武 劉存寬主編․ , 十九世紀的香港 北京( : 中華書局, 1994), pp.11-13;
, pp.26-28.
賀弘景主編
5) 賀弘景 主編, pp.35-38; 浜下武志, 香港: アジアのネツトワ クー 都市 (東京: , 1996), p.108.
筑摩書房
그러나 외국상인은 교역기간 동안만 광주의 商館에 머물 수 있었으 며 그 활동에 많은 제한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무역을 감독하는 관리 들의 부패가 극심했다 더구나 중국의 비단과 차는 유럽에서 판매가. 손쉬웠던 반면 유럽 상품은 중국에서 판매되지 않아 외국상인들은 무 역적자상태였다 특히 동인도회사의 주요 수출품인 모직물은 아열대기. 후의 광동에서 수요가 낮아 1820년대까지 약 60%의 손해를 보았기 때문에 영국 상인들은 강서나 절강지역으로 북상하여 무역하기를 희망 했다 따라서 자유무역주의를 선호하고 있었던 그들은 청조의 광동무. 역체제를 통한 무역통제에 불만이 많았다.7)
홍콩섬 의 할양
1. ( 香港島 )
영국상인들은 貿易의 收支를 맞추기 위해 공공연히 중국법률을 무 시하고 急水門 零丁洋 尖沙咀․ ․ 등 홍콩수역에서 대규모의 아편 밀매 활동을 했다. 1830년대에는 홍콩수역이 아편밀수의 중요거점이 되어 다수의 아편躉船들이 오늘날의 빅토리아항 내에 운집하고 있었으며 그 총수는 1820년대의 약 2배 정도로 늘어나 영국의 대중국 수출상품 총 량의 ⅔를 차지하고 있었다 결국. 1837년 도광제는 금연령을 내렸고 그 다음해 말에 아편금연을 철저히 실시하기위하여 호광총독 林則徐를 에 파견하였다. 1839년 3월 10일 에 도착한 임칙서는 3월
廣東 廣州
일 광주상관에 거주하고 있는 아편판매자들의 아편을 몰수하여 소 18
각하였다. 이를 빌미로 英國商務監督 엘리오트(Charles Elliot)는 5 월 하순에 모든 영국 상인들에게 마카오로 철수하도록 명령하고 광동 무역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한 후 영국정부에 군대를 파견해 줄 것을
6) 任桂淳, 淸史:만주족이 통치한 중국 서울 신서원( : , 2004), pp.341-344;
G. B. Endacott, A History of Hong Kong(London: Oxford Univ.
Press, 1964), pp.5-6.
7) 余繩武 劉存寬․ 主編, p.24.
요구했다.8)
한편 1839년 9월 임칙서의 아편금연 조처와 아편몰수에 관한 소식 이 런던에 전해지자 상공계 인사들은 외교대신 파머스톤(H. J. T.
에게 중국에 강경한 조치를 취하여 영국의 이익을 보호 Palmerston)
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런던 동인도회사와 중국협회는 중국정부에게. 몰수당한 아편에 대한 배상금을 요구하고 여러 항구의 개방 관세협, ․ 정 치외법권 등에 관하여 중국과 통상조약을 체결하도록 정부에 요구․ 하였다 그리고 만약 중국이 통상항의 개방을 거절한다면 동해의 홍콩. 섬 전체나 남부에 있는 大潭灣을 할양받아 商館을 건립할 것을 건의하 였다 아편상인 자딘. (W. Jardine) 또한 1839년 10월 26일자로 파 머스톤에게 서신을 보내 방어가 용이하고 물이 풍부하며 배들의 정, , 박이 안전하다면서 홍콩섬 점령을 권유하기도 했다 파머스톤은. 1840 년 2 20월 일 찰스 엘리오트와 그의 사촌 죠지 엘리오트(George 를 전권대표로 임명하고 원정군이 중국에 도착한 즉시 를
Elliot) , 河口
봉쇄하고, 舟山열도를 점령한 후 북상하라는 중국침략방침을 지시했 다 그리고 그는 중국재상에게 중국인의 아편몰수는 대영제국의 위엄. 을 무시한 처사이므로 육해군을 파견하였으니 아편배상금을 지불하고 섬 하나를 할양하라는 내용의 서신과 중국과 담판할 조약초안을 보냈 다.9)
년 월 하순 영국 원정군이 인도로부터 중국에 도착한 후
1840 6 珠
을 봉쇄하고 북상하여 을 공격하였으며 7월 6일 주산열도의 중
江 厦門
요 도시인 定海를 점령하였다. 8월 11일에는 天津의 白河口에 도착한 영국전권대표는 팔머스톤이 중국재상에게 보내는 서신을 전달하였다. 정해함락과 영국군 북상의 소식을 듣고 놀란 청조정은 직예총독 琦善 을 파견하여 교섭하도록 하였다 기선은 아편소각 등 일련의 사태에. 대한 모든 결과를 임칙서의 탓으로 돌리고 일은 광동에서 발생했기 때 8) 劉蜀永, 香港的歷史 北京( : 新華出版社, 1996), p.19; 賀弘景 主編,
pp.49-51; 余繩武 劉存寬․ 主編, pp.33-34.
9) 余繩武 劉存寬․ 主編, pp.41-44; 元邦建編著, p.54.
문에 광동에서 담판을 진행해야한다면서 이들을 남하시켰다.10) 년 월 말에 기선이 광주에 도착한 후 수차례에 걸쳐 담판하 1840 11
는 중 엘리오트는 담판으로는 영국측의 요구가 관철되기 어렵다고 판 단하고 1841년 1월 7일 브레머(G. Bremer) 함대 사령관을 대동하 고 沙角과 大角砲臺를 공격 점령하였다 엘리오트는 정전조건으로 사. 각할양을 요구하며 기선을 압박함으로서 홍콩섬을 양보 받으려 했다. 월 일에는 영국군함 설퍼 호가 홍콩섬의 서북쪽 현재의
1 25 (Sulphur) ,
부근에 상륙하였다 그러나 기선은 홍콩섬 할양을 거절. 上環 水阬口街
하였다 엘리오트는 홍콩섬의 무력 침략행위를 합법화하기 위하여 계. 속 기선과 담판을 진행하면서 1841년 1월 27일 〈穿鼻條約 草案〉 에 홍콩섬 할양에 관한 조항을 삽입하고 이것이 체결되기를 요구하였으나 기선은 2월 5일자 수정안에 영국인들이 광주에서 무역을 하고 新安縣 소속 홍콩섬 한 곳에 기거할 수 있도록 황제에게 주청하겠다고 기록하 였다.11)
영국 외교대신 파머스톤은 중국북방의 중요한 경제 정치중심으로부· 터 거리가 멀고 아편 흡연자도 얼마 안 되는 황폐한 섬인 홍콩섬을 점 령한 데에 불만을 가졌다 또한 엘리오트가 보유하고 있는 부대를 유. 지하기에도 부족한 배상금 600만원에 舟山을 돌려주기로 동의한 데에 분노하면서 주산을 재점령할 것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영국내각은 년 월 일 광동담판 정지와 침략전쟁확대를 결정하고 엘리오 1841 4 30
트 대신 포팅거(Henry Pottinger)를 駐華全權代表 겸 商務監督으로 파견하였다 포팅거와 육군사령관 가그. (H. Gough)는 8월 26일 厦門 을, 9 17월 일 浙江의 石浦島를, 10월 1일 다시 정해를 그리고, 10월
일과 일에는 를 공격하여 점령하였다 년 월 10 13 鎭海 寧波· . 1842 6 大
선박 100여척과 사병 만여명을 중국연해에 상륙시켜 양자강으로 진 小
출하였고, 6월 19일에는 上海를, 21일에는 鎭江을 점령하였다. 8월
10) 劉蜀永, p.21; 余繩武 劉存寬․ 主編, pp.45-46.
11) 劉蜀永, pp.22-24; 余繩武 劉存寬․ 主編, pp.46-52.
일에는 영국함대 여척이 을 압박하자 는 급히
10 80 南京 道光帝 欽差大
과 를 파견하여 회담을 개최하였다.
臣 耆英 伊里布 12)
년 월 일 기영과 이리포가 청정부를 대표하여 남경방면에 1842 8 29
머물고 있는 영국군함 콘 왈리스(Corn Wallis)호에서 포팅거와〈南 을 체결하였는데 이는 제 차 아편전쟁의 결과로 중국과 외국1 京條約〉
간에 체결된 최초의 불평등조약이었다 남경조약 제. 3항의 홍콩섬 할 양에 관한 내용을 보면, “대영상선이 먼 길을 왔기 때문에 자주 파손 되어 수리할 필요가 있으므로 연해 한 곳을 주어 修善에 편리하게 하 고 필요한 물자를 보관하도록 한다 라고 되어 있다 홍콩섬 할양은.” . 중국영토가 타국의 식민지가 되는 첫 사례였다.13)
구룡반도 남부의 할양 2.
홍콩섬의 中環 灣仔․ 와 해면으로 약 1.5 ㎞ 떨어져 서로 마주보고 있는 곶이 구룡반도의 尖沙咀이다 구룡반도와 홍콩섬 사이는 세계적. 으로 드문 천연의 良港으로 주위는 산들로 둘러싸여 있고 동쪽 입구, 인 鯉魚門은 지세가 좁아서 풍랑을 막을 수가 있으며 서쪽 입구인, 急 에는 과 바둑판과 같이 작은 섬들이 있어서 풍랑을 약화시 水門 大嶼山
켜주었다 영국은 일찍이 이 지리적으로 유리한 해항을 점거하려는 야. 심을 갖고 있었다 홍콩섬을 할양받은 포팅거는 첨사저의 포대와. 九龍 의 병사를 약 30 떨어진 으로 철수시켰다 그래서 군사요.
城 ㎞ 新安縣
지인 첨사저 일대는 무방비상태가 되어 버렸고 영국군의 소부대가 수 차례 이곳을 침입하여 정찰과 파괴활동을 하였다.14)
당시 영국은 산업혁명으로 생산력이 급증하여 해외무역시장 확대가
12) 劉蜀永, pp.26-27; 余繩武 劉存寬․ 主編, pp.56, 58-60, 66; 巴圖, 別
, ( : , 1996), p.2.
了 港督 北京 時事出版社 13) 余繩武 劉存寬․ 主編, pp.66-68.
14) 余繩武 劉存寬․ 主編, pp.76-77.
필요하였다 그리하여 영국정부는 중국에서 영국상품의 판로를 개척하. 고 경제적 특권을 획득하려고 시도하였다 영국은 태평천국봉기로 혼. 란한 청조에게 프랑스 미국 등의 국가와 연합하여․ 1854년과 1856년 두 차례에 걸쳐 중국내지의 자유로운 진입 통상항구 확대 북경에 공, , 사관 설치 아편무역 합법화 등의 조약개정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청, . 정부가 조약수정을 거절하자 마침 1856년 10월 8일 발생한 중국밀수 선 애로우 호 사건을 빌미로 영국은 제 차 아편전쟁을 도발하였다 세‘ ’ 2 . 이머(H. J. Seymour)가 지휘하는 영국함대는 10월 23일 珠江에 침 입하여 포대를 점령하였으며 27일부터는 영국군이 광주에 진입하여
관저를 파괴하고 민가에 방화하였다.
兩廣總督 15)
이러한 영국군의 침략행위에 분노한 광동주민들은 영국군의 후방기 지인 홍콩섬을 향하여 투쟁을 전개하였다. 1856년 12월 19일 新安縣 의 紳士들은 홍콩섬에 식료품 공급을 중단하기로 결의하였고 홍콩섬, 에 점포를 개설하고 있는 신안현 백성들에게 교역을 정지하고 귀향할 것을 요구하였다 또한. 新安 抗敵會 회장 陳桂籍은 그의 동생 陳芝亭 으로 하여금 鄕勇 2,000명을 인솔하고 九龍에 가서 抗英활동을 하도 록 하였다 구룡이 항영투쟁의 전초 기지가 되자. 1857년 4월 21일 홍콩정부의 代理輔政司 브리지스(W. T. Bridges)는 200여명의 보병 을 직접 지휘하고 九龍城을 습격하였다. 1857년 12월 영불연합군이 다시 廣州를 점령하자 분노한 광동성의 관리와 신사들이 홍콩섬에 대 한 봉쇄를 선포하였다 그들은 홍콩섬과 무역을 중단하고 서양인을. , 위해서 일하는 자와 화물선박 선원들에게 10일 내에 귀향하여야 하 며 이를 위반하는 자는 죄를 묻고 본가 친족, 3대가 과거시험에 응시 할 수 없다고 선포했다.16) 태평천국의 봉기로 청군의 약점이 유감없 이 폭로되었을 뿐만 아니라 홍콩섬과 바다 건너 마주보고 있는 구룡반 도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게 된 영국의회는 그랜트(H. Grant) 중장으
15) 賀弘景主編, pp.61-63.
16) 余繩武 劉存寬․ 主編, pp.71, 74-75.
로 하여금 1860 3 18년 월 일 영군 제 44단 特遣隊를 지휘하여 구룡반 도 곶 즉 첨사저 일대를 점령하도록 명령했다 무력에 굴복한 양광, , . 통독 勞崇光은 국가를 대신하여 九龍司의 一區를 광주주재 대리영사 파크스(H. S. Parkes)에게 永久租借하는 案에 비준했다.17)
년 월 일 북경이 영불연합군에게 함락되자
1860 10 13 駐華全權特使
엘진(Earl of Elgin)은 바로 이 기회를 이용하여 구룡반도를 할양받 았다 이리하여 신안현 일부분의 영토 즉 오늘날. , 昻船洲를 포함한 界 이남 지역의 총면적 7.93 가 영국식민지에 귀속되어 홍콩정부
限街 ㎢
가 관할하게 되었다 영국은 이 영토할양을 계기로 중국대륙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여 빅토리아항구를 완전히 장악하였고 홍콩을 중국침략 기지로 만들었다 그러나 아편전쟁 이후 청정부가. 白鶴山 남쪽에 巡檢 를 설치하였던 은 영국할양지에서 제외되어 1871년에는 광동
司 九龍城
성 해관으로 아편밀수를 감시하였고 1886년부터는 중국 중앙해관의 지부가 되었다.18)
3. 新界 의 租借
영국은 홍콩과 구룡반도를 식민지로 차지한 후 중국에서 수십 년 동안 중국의 대외무역을 주도하였으며 중국에서 가장 부유한 양자강, 유역에서 특수한 이권을 차지하고 있었고 영국인이 장기간 중국의 해, 관총세무사 등의 요직을 맡고 있었다 그런데 일부 영국의. 軍 官員· 과 상인들은 이러한 기득권에 만족하지 않고 홍콩 식민지의 경계선을 더 욱 확장하여야 한다고 건의하였다 그러나 영국정부는 홍콩 식민지의. 경계선을 확장한다면 다른 열강들도 홍콩과 같은 식민지를 건설하려 할 것이고 이렇게 되면 청조가 붕괴되어 영국의 기득권은 상실될 것이 라고 판단하여 이 문제에 대하여는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였다.19) 17) 劉蜀永, pp.39-41; 余繩武 劉存寬․ 主編, pp.87; 賀弘景, p.69.
18) 劉蜀永, p.43; 余繩武 劉存寬․ 主編, pp.93-97; 浜下武志, p.97.
그런데 1894년에 발발한 청일전쟁에 청조가 패배한 후 형세가 급변 하였다. 11월 홍콩총독 로빈슨(William Robinson)은 홍콩 식민지대 신 리폰(Ripon)경에게 이 기회를 이용하여 전략적으로 중요한 광동성 를 점령하자고 제의하였다 그 이유는 중국은 물론이고 영국에. , 新界
대항하는 외국이 珠江북안과 혹은 鯉魚門 밖의 大鵬灣을 통해 신계에 상륙하여 구룡반도로 남하하면 빅토리아항에 함포사격을 가할 수 있으 며 홍콩 식민지의 식량공급을 차단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홍콩의 경계가 加普礁 橫瀾島, , 薄寮洲와 홍콩에서 3해리 이내에 있는 모든 島嶼를 포함하여 大鵬灣에서 深 灣圳 까지 확장되어야 홍콩식민지 를 방어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또한. 新界는 홍콩식민지 방어 상 중요 할 뿐만 아니라 식민지의 水源, 家禽과 가축 채소의 공급지이고 노, , 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서둘러서 식민지의 경계선을 확장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20)
더욱이 전쟁에 승리한 일본이 1895년 4월 청과 강제로 〈馬關條 을 조인하는 과정에서 일본의 지나친 요구가 완화되도록 간섭해 約〉
준 댓가로 러 독 프· · 3국은 막대한 이권을 획득하였다. 5월에 프랑스는 청과 베트남 간의 국경선을 확정하고 국경지대에서의 통상권을 얻었 고, 7월에는 러시아가 청정부와 〈四厘借款合同〉에 조인하고 1895년 말에 식민금융기구인 華俄道勝銀行을 성립하여 영국의 기득권을 위협 하였다 마침. 1895년 8월 1일 福建省의 古田에서 영국 선교사 여러 명이 死傷되는 사건이 발생되자 런던과 홍콩에서는 이것이 홍콩경계지 확장의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였다. 1896 6년 월 러시아는 강제로 청정 부에게 中俄密約에 조인하게 하고 中東철로의 부설권과 전시에 러시아 함대가 중국 각 항구에 입항할 수 있는 특권을 얻었다. 1897년 11월 독일은 巨野敎案을 빌미로 膠州灣을 강점하였고 러시아는 이를 핑계, 로 12월에 旅順과 大連을 점령하였다 특히. 1898년 3월 7일 프랑스
19) 余繩武 劉存寬․ 主編, p.103.
20) 余繩武 劉存寬․ 主編, pp. 104-105; 賀弘景 主編, pp.74-75.
가 러시아의 지지하에서 청에게 廣州灣 조차를 제의하였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영국은 이것이 홍콩에 큰 위협이 되므로 군사 전략상 신계로 진출하여야만 한다고 판단하였다.21)
들은 신계가 영국에 조차된다는 소식을 듣고 비분강개하여 3 新界民
월 28일부터 30일 사이 신계 각지의 향신들이 집합하여 공동으로 영 국에 항거할 방법을 강구하였다 이들은 대자보를 붙여 전체 향민이. 일치단결하여 영국의 신계조차에 무력으로 항의할 것을 호소하였다. 그리하여 향신 鄧靑士가 중심이 되어 신계의 鄧, 侯 彭 廖 文 五大, , ,
과 기타 성씨의 주민들이 투쟁에 참가하였다 그들은.
姓 抗英 新安縣
북부와 동완현에 사람을 파견하여 많은 사람들이 항영투쟁에 참가하도 록 하였고 급히 군사훈련을 하였으며 작전상 필요한 군화 의약 식품․ ․ 등 보급품을 확보하는 등 치밀한 준비를 하였다.22)
월 일 홍콩총독 블레이크 는 신계주민을 향하
4 7 (Henry A. Blake)
여 청이 신계조차지를 홍콩당국에게 4월 17일 넘겨주기로 결정했다고 선포했다 그리고 주민들이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하면 재산관리와 운. 영권이 보장될 것이므로 토지와 가옥의 주인들은 계약문서를 제출하여 속히 등록할 것을 권유하는 고시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신계주민은 홍. 콩당국이 주민들의 전답 가옥의 문건을 검증하고 다시 계약하겠다는 것에 강하게 반발했다 그리하여. 4월 10일 신계 각향 대표는 일제히
과 에 모여 지도기관으로 을 설립했
元郞 東平 社學 抗英武裝 太平公局
다 그리고 각 촌마다 백냥씩. 抗英비용을 출자하기로 결정하고 各村의 은 전시상태에 들어갔다 이 소식을 들은 양광총독은. 4월 12일 團練
에 주둔하고 있는 에 명령하기를 에 가서 질서를
九龍城 水師船 靑山灣
유지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향민들은 이 말을 듣지 않고 언덕으로. 모여 대포를 운반해 와 만약 영국이 상륙하면 배를 침몰시키겠다고 선
21) 浜下武志, p.83; 余繩武 劉存寬․ 主編, pp.105, 107, 109-111; 元邦建 編 , pp.66-68.
著
22) 余繩武 劉存寬․ 主編, pp.146-151. 新界 大族5 에 관해서 蕭國健, 香港古代 ( : , 1995), pp.26-35 참조.
史 香港 中華書局
언했다 신계지역에는 인구가 겨우 수만이었는데 전투에 수천명의 중. 국인들이 참가하여 결사적으로 항영투쟁을 전개했다 그러나. 大埔, 林 그리고 에서 연이어 패배함으로써 막대한 희생을 초래하였다
, .
村 上村
이렇게 향민들이 항영투쟁을 전개하는 데도 청 정부는 속수무책일 수 밖에 없었다 왜냐하면 이미 홍콩 경계지확장안에 날인하여 신계의 조. 차가 결정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신계 주민은 지원세력 없. 이 독자적으로 투쟁 할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무장투쟁의 주체인 현. 지의 團練은 전쟁경험과 훈련 그리고 장비면에서 영국정규군보다 열, 세일 수밖에 없었다.23)
한편, 新界조차의 담판은 1898년 4월 2일 정식으로 개시되었다 영. 국은 독일이 조차한 교주만과 러시아가 조차한 여순 대련이 홍콩 경계· 확장지보다 크다고 주장했다. 李鴻章은 이러한 압력에 굴복하여 신계 를 99년간 영국에 조차했다 이로써 또 하나의 불평등 조약인. 〈展拓 가 1898 6 9년 월 일 북경에서 정식으로 조인되었다 영. 香港界址專條〉
국이 조차하게 된 육지 면적은 951.1㎢이며 그 중 대륙은, 286 ,㎢ 도 서가 90 (㎢ 大嶼山등 235개의 도서를 포함함 이었다 따라서 원래 홍) . 콩행정구 육지면적의 11배가 확대되었고 조차지 수역은 40내지 50배 가 확장되었다.24)
그러나 〈專條〉에 의해 九龍城의 관할권만은 청조가 보유하기로 결정했다 따라서 중국이 구룡성에 대한 주권을 보유함으로써 해역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었다 그리고. 專條에 의하여 신계북부 육 지의 경계선은 분명히 沙頭角쪽의 바다로부터 深 灣圳 사이의 최단 거 리이며 상세한 경계선은 양측에서 조사원을 파견하여 조사한 후 결정 하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영국측은 근본적으로. 〈專條〉에 첨부된 지도를 무시하고 경계선을 정하는 기회를 이용하여 중국으로부터 심수 의 전 하류가 영국경계선 내에 속하도록 양보를 받아내어 하류까지 완 23) 元邦建 編著, pp.71-72; 余繩武 劉存寬․ 主編, pp.151-158; 劉蜀永,
pp.51-52; 巴圖, pp.135-137.
24) 余繩武 劉存寬․ 主編, pp.111, 123-125.
전히 통치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중국내부의 혼란을 이용하여 영. 국은 일방적으로 1900년 2월 20일 영국 樞密院令으로 조차기간내에 은 영국 홍콩식민지의 일부분이 된다고 선포하였다 청조는 물. 九龍城
론 새로 수립된 중화민국도 영국에 대해 이 문제를 추궁할 힘은 없었 지만 구룡성에 대한 주권은 포기하지 않았다.25) 이리하여 식민지 홍 콩은 1841년 영국에 점령당한 홍콩섬, 1860년 昂船州와 함께 할양된 구룡반도 남단 그리고, 1898년에 99년간을 영국에 조차한 홍콩섬의
배나 되는 중국내지의 신계로 구성되었다
10 .
영국이 홍콩식민지를 형성하는 삼단계를 살펴보면 바로 청조가 붕 괴되어가는 과정을 알 수 있다. 1841년 1월부터 영군이 강제로 홍콩 을 점령하고 1842년 8월 南京條約을 통하여 정식으로 할양하여 점령 할 때까지 1년 7개월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1860년 영국이 구룡반도 남부를 점거하였을 때에 청조정은 내란으로 인해 대응할 수 없어 할양 되도록 내버려 두었고 양광총독, 勞崇光이 조차를 임의대로 동의하였 는데도 불구하고 처벌하지 않았다. 1898년에는 영국이 홍콩 경계지 확장에 야심이 있다는 것을 미리 알고 있었던 청조정은 영국이 더 많 은 영토를 요구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2개월도 안 되는 짧은 기 간에 제대로 담판하지도 않고 신계조차에 관해 동의했다 이는 당시. 중국이 서구열강의 세력확장 경쟁에 대처할 능력을 이미 상실하였다는 것을 증명한다.
중국인에게 있어 홍콩의 의미 .
Ⅲ
홍콩은 중국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불법자들의 은신처였으며 아편 밀수 근거지였고 중국의 이권을 탐내는 제국주의 영국의 군사적 경, , 제적 전초기지였다 그러나 중국인 개개인의 입장에서 홍콩은 돈을 벌. 25) 余繩武 劉存寬․ 主編, pp.125, 130, 145, 171.
수 있는 희망의 도시요 전쟁을 피할 수 있는 피난처요 새로운 서구, , 사상의 중개지였다 뿐만 아니라 홍콩이 영국의 식민지라는 정치적 특. 수상황과 대륙남단에 위치한 지리적 조건 때문에 반정부운동을 할 수 있는 혁명 활동기지였고 일본이 중국을 침략했을 때 항일투쟁을 위한, 군수품 보급지였으며 국민당 정부가 민주인사들을 정치적으로 억압했, 을 때 민주운동을 전개할 수 있는 자유도시였다 중화인민공화국 건립. 이후에는 서방국가와의 교역의 창이 되었고 중국이 경제개방 정책을 실행할 때는 중국현대화의 견인차가 되었다.
중국인의 피난처인 희망의 도시 1.
홍콩지역은 영국이 점령하기 전 2천여명의 농어민이 거주하였는데, 농민은 本地라 부르는 廣東人과 중국 북부와 중부지역에서 이주해 온 들이 있었다. 으로는 인 가옥에 거주하는 과 유
客家 漁民 蛋家 船上 船民
동성이 강한 福佬 또는 鶴佬라 불리는 福建省이나 광동성 북부 출신이 있었다.26) 이들은 각기 다른 방언을 사용하였으며 다른 문화를 소유 하고 있었다 이러한 농어촌사회였던 홍콩은 영국이 점령한 이후 자유. 무역항이 되어 중국내지의 잉여 노동력이 분출되는 곳이었고 기근이 들면 생계를 위한 탈출구가 내란이 발생했을 때는 피난처가 되었, 다.27)
그리하여 홍콩의 인구는 자연출생보다는 이주에 의해 증가했다. 년 월에 이르면 홍콩의 중국인 총수는 명에 달했는데 이
1844 4 13,132
들 대부분은 광동성 출신으로 노동과 상업을 목적으로 홍콩섬에 이주 한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건설현장의 노동자와 숙련공들이었으며 상. , 점 식당 양복점들을․ ․ 개업한 소상인들이었다. 1850년대에 들어서면 홍콩인구가 급증하게 되어 1855년에는 72,607명이 되었다.28) 그 주 26) 蕭國健, pp.10-12.
27) 浜下武志, p.112.
요 원인은 홍콩정부가 식민지건설을 위해 기초시설사업을 확장함에 따 라 노동력의 수요가 매우 급증했고 중국내지는 태평천국(1850-1864) 의 봉기로 華南 연해일대의 자연경제가 와해되어 잉여 노동력이 많이 생겨났기 때문이다 철새와 같이 생계를 위해 홍콩에 온 하층 노동자. 들과 일확천금을 꿈꾸는 모험가들이 홍콩에 모였는데, 1857-59년간에 는 비록 소수이긴 했지만 가족과 정착하기 위해 홍콩에 부동산을 구입 하는 중국인들이 생겼다. 이들은 주로 청부업자 건축가 정부하급관․ ․ 리 기독교단체에 속한 중국인 양행에 근무하는 매판들이었다․ ․ . 또한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던 화교들이 차츰 규모가 큰 무역에 참가하면서 홍콩에 본점이나 지점을 개설하기 시작했다. 1860년 중영간에 체결된 북경조약으로 영국이 구룡반도 남부를 점령하게 되자 주민 5,105명이 홍콩인구에 편입되어 1861년에는 홍콩인구가 119,321명에 달했 다.29)
또한 태평천국의 봉기로 중국내지가 혼란하여 홍콩으로 피난해 온 중국인이 늘어 1865년 총인구는 125,504명이 되었다 이중 영국인은. 명 비중국인은 명이고 나머지 만 명이 중국인이었
2,034 , 1,645 12 180
다. 1866-69년에는 홍콩인구가 감소되었는데 그 중요 원인은 세계경 제 불황의 영향을 받아 상업이 침체되어 노동력의 수요가 감소되었고, 태평천국운동이 진압되어 중국 政局이 점차 안정되자 고향으로 돌아가 는 중국인의 수가 늘어났었기 때문이다 또한 홍콩당국이. 1866년 8월 을 전후하여 홍콩항구 및 해안 법례 빅토리아시 호구 등기법례를 제, 정하여 중국인 및 선박에 대한 감독과 통제를 강화하였고 중국인의, 취업을 제한하는 일련의 차별정책을 실시했기 때문이다 반면 비중국. 인의 수는 1871년이 1861년보다 1,315명 증가하였는데 같은 기간, 중국인이 1,159명 감소한 것과 비교된다.30)
28) 余繩武 劉存寬․ 主編, pp.337-339.
29) 巴 圖, p.69.
30) 任桂淳, 중국의 여의주 홍콩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 , 1997), pp.200-201;
, pp.337-339.
余繩武 劉存寬․ 主編
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국제전신과 원양어업이 신속히 발전하 1870
여 홍콩경제가 새로이 활력을 찾자 인구 또한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였 는데 증가된 인구는 대부분이 중국인이었다. 1898년 영국이 新界를 강제 조차하여 신계 주민 8만 5천명이 홍콩에 편입되었을 뿐만 아니 라 1898년 戊戌變法의 실패 이후 중국사회가 더욱 혼란하고 사회경제 조건이 악화되자 홍콩으로 피난 오는 중국인의 수가 증가했다 더욱이. 년 이 발생하자 홍콩의 인구는 일시에 만 명이나
1900 義和團事件 10
급증하여 1902년에는 총인구가 361,206명에 이르게 되었다.31) 1911 년 辛亥革命이 발생한 이후 홍콩으로의 중국인 이주자가 계속 증가하 여 1916년에는 총인구가 528,010명에 달했으나 광동지역에서의 전란 과 정치적 혼란으로 무역량이 감소되자 1917년에는 431,700명으로 줄었다 이 기간에는 부유한 중국인들이 다수 홍콩으로 피난했으나 이. 들 중 많은 사람들은 다시 동남아 혹은 미국으로 이민가거나 중국대륙 이 안정되어 되돌아가기도 하였다.32)
년 통계에 의하면 홍콩 총인구는 명이며 이중
1931 845,751
가 중국인이었고 나머지 가 영국인을 포함한 비중국인
96.85% 3.15%
이었다 일본군이 광주를 점령한. 1938년을 전후하여 중국 내지의 많 은 사람들이 홍콩으로 유입되어 홍콩의 인구는 1,007,000명에 이르렀 는데 중국인이 984,000명으로 97.7%를 차지하였다.33) 이들 중에는 국민당정부가 간행물에 대한 檢査制度를 강화하고 각지에서 민주인사 들을 체포했기 때문에 桂林과 重慶으로부터 도피한 작가 예술가 기․ ․ 자 교수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하여 홍콩은 많은 진보적 지식인․ . 들의 집결지가 되었다 이들 지식인들은 지속적인 저항운동으로 일본. 침략들을 타파하자고 선전하고 각종 진보적인 신문과 잡지들을 출판, 했다. 1941년 상반기에는 유명인사 鄒韜奮 茅盾 范長江 喬冠華․ ․ ․ ․ 등이 홍콩에 도착한 후 대량의 간행물들을 출판하여 항일 胡繩 夏衍․
31) 元邦建編著, p.11.
32) 任桂淳, pp.201-202.
33) 元邦建編著. p.11.
구국사상을 고취시켰다 총체적으로 중국 내지 지식인들은 간행물을. 통해 홍콩인들의 민족의식을 각성시켰고 해외 중국인들에게 국난을 호 소하는 역할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홍콩의 문화수준을 고양시켰다.34)
중일전쟁 기간동안 피난민들이 계속 홍콩으로 이주하여 1940년에는 총인구 1,846,000명 중 75만이 중일전쟁 피난민이었다. 일본군이 년 성탄절에 홍콩을 함락한 후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홍 1941
콩주민을 분산시켰기 때문에 많은 홍콩주민들이 중국으로 피난했으며, 일본군에 의한 사상자와 전쟁으로 인한 餓死者 등으로 인해 홍콩의 주 민은 대량으로 감소하여 1945 8년 월 일본군이 항복할 때 홍콩의 인구 는 60만명에 불과했다.35)
광복 이후 원래 홍콩에 거주하던 많은 주민들이 중국으로부터 계속 돌아왔을 뿐만 아니라 중국인들이 개방된 변경을 넘어 홍콩으로 이주 했다. 그리하여 1946년에 홍콩인구는 이미 160만명에 이르렀으며,
년에는 만명에 달하였다 년 월 홍콩정부는
1947 180 . 1949 1 人民入境
를 제정하여 홍콩에 적을 두고 있지 않은 사람의 홍콩 출입 統制條例
및 홍콩 내에서의 활동을 통제하였다 이 조례는 공공안정을. 危害할 혐의자의 입경을 금지하고 이들을 구류하거나 또는 原籍으로 소환시킬 수 있었다 동년. 4월과 5월에 홍콩정부는 파업과 사회단체에 관한 조 례를 제정하여 홍콩에서 활동하고 있는 모든 단체는 반드시 정부에 등 록하도록 규정하였다 또한 새로운. 人口登記條例와 불량자 축출조례를 통과시켜 입경자와 홍콩주민의 신분증 발급을 규정하였으며 홍콩당국 은 때에 따라 주민들의 신체 주택 소유물을 수사하고 구류 또는 체, , 포할 수도 있게 되었다 다만 영국 국적인과 홍콩에. 10년 이상 거주 한 것이 증명된 자는 예외였다 대륙으로부터 홍콩에 들어오는 중국인. 들은 사전에 반드시 중국정부가 발행한 여행증명서를 취득하여야 한다 고 규정하였다가 후에는 반드시 홍콩이민국에 허가증을 신청하여야 한
34) 元邦建編著. pp.164, 181.
35) 元邦建編著. p.11, 193.
다고 규정하였다.36)
이러한 조례와 규정에도 불구하고 1949년 10월 공산군이 광동을 점령하자 대규모의 중국인들이 홍콩으로 유입되어 홍콩의 인구는 급, 속도로 증가하였다. 1950년 5월까지 70만명의 피난민이 홍콩에 도착 하여 지붕 계단 언덕 위의 판자촌에서 살았다․ ․ . 1950년 5월 25일 홍콩정부는 변경지역에 야간통행금지를 실시하였고 6월 15일에는 신 계북부 변경지역에 봉쇄령을 반포하여 봉쇄구내에 들어오는 사람이나 머무르는 사람은 반드시 홍콩정부가 발급하는 통행증을 소지하여야 한 다고 규정하였다 이렇게 홍콩정부가 중국인의 대규모 유입을 막기 위. 해 변경을 봉쇄했으나 1956년에 홍콩인구는 250만명으로 증가하였 다 이후에도 홍콩의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여. 1961년에는 300만명선 을 돌파하였고, 10년 후인 1971년 홍콩의 인구는 393만 6,630명이 되었다. 중국에서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개혁개방정책이 시작되던 년부터 홍콩의 인구는 다시 급증하기 시작하여 년에 이르면
1976 1980
만명대를 돌파했다 그러나 홍콩의 중국 귀속문제가 가시화되면서
500 .
년부터 매년 만여명씩 합법적으로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호
1980 2 ․ ․ ․
주 유럽으로 이민 갔기 때문에 인구 증가율이 낮아졌었다․ . 다시 년 중영간에 연합성명이 교환되고 난 후 서서히 인구가 증가하기 1985
시작하여 2003년의 홍콩인구는 6,787,000이다.37) 또한 중국대륙에 서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개혁개방정책이 시작되면 1976년부터 중국인 들에게 홍콩은 희망의 도시가 되어 密入境하는 중국인들의 수가 급증 했다.
민족의식의 각성지 2.
36) 元邦建編著, p.11, 213-214.
37) 夏侯燊, 港事知多少 香港( : 天地圖書, 1988), p.17; 劉鑒女, pp.57-58;
, pp.11-12.
元邦建編著
영국의 식민지인 홍콩은 중국인들이 정치적으로 활동하기 적합한 곳에 위치하였다 홍콩주민 대부분은 주로 중국 광동성에서 돈을 벌기. 위해 이주한 사람들로서 홍콩당국이 그들을 부당하게 차별하거나 열강 이 중국을 침략할 때에는 반항의 표시로 생업을 중단하고 광동성으로 돌아가곤 했다.
홍콩정부는 중국인에 대해 노골적인 종족차별정책을 실시하였다 중. 국인은 서양인과 엄격히 구분되어 서양인의 거주지에 살 수 없었고, 시청의 도서관과 박물관은 물론 공원에도 들어갈 수 없었으며 야간, 통행과 항해금지는 물론 수시로 가택조사를 당하는 등 기본권과 신체 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았다 중국인은 법 규정을 어겼을 경우 대개 남. 자는 감금당하는 것 이외에도 채찍형을 받거나 목에 칼을 써야 했고, 부녀자들은 육체적인 형벌은 면하였으나 감금되었다 같은 범죄에도. 중국인과 백인에게 가하는 형벌이 달랐다 감옥의 간수는 모두 유럽인. 과 인도인 이었으며 중국인과 외국인 죄수는 분리하여 감금하였다. 년 홍콩감옥에는 중국인 죄수가 를 차지하였으나 외국인 죄
1843 90%
수가 차지하고 있는 감방면적은 중국인에 비해 평균 4-5배가 넓었 다.38)
많은 홍콩중국인들은 홍콩정부와 서양인들로부터 이러한 차별대우 를 받으면서 민족의식을 고양하였다. 1856년 10월 영국이 애로우호“ ” 사건을 구실로 광주를 포격하여 제 차 아편전쟁을 도발하자 홍콩과2 인근지역의 중국인들은 분노하여 영국군의 후방기지인 홍콩섬을 향하 여 투쟁을 전개하였다. 홍콩당국이 홍콩중국인의 소요를 우려하여 년 월 일 중국인 가옥 및 를 반포하자 중국상 1856 11 21 公安妨害條例
인들은 상점문을 일제히 닫고 중국인 대회를 소집하여 당국의 조치 완 화를 요구하였다 이로 인해 무역이 중단되고 질서가 혼란해지자 홍콩. 당국은 중국인들을 회유하기 위하여 가혹한 착취 금지 사형 금지 및, 범인에 대한 구타와 모욕행위 금지 자의적 체포금지 소상인들 축출, ,
38) 余繩武 劉存寬․ 主編, pp.202-204, 214, 231-233.
금지 및 상인들에게 장물을 취급한다고 모함하는 행위금지 등의 중국 인들이 제출한 공안조례개선안 7항을 수락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에도. 중국인들은 홍콩당국의 부당한 처사에 대하여 파업을 하거나 중국으로 돌아가는 등으로 홍콩 경제에 타격을 주었다.39)
일반 중국인에 대한 대우가 다소 개선되었던 시기는 헤네시(John 가 제 대 총독으로 재직 하고 있었을
Pope Hennessy) 8 (1877-1882)
때이다. 1881년에 그는 홍콩의 많은 사업이 중국인에 의하여 경영되 고 있고 홍콩당국 세입의, 90%가 중국인들에게 의존하고 있으므로 종족 차별정책은 경제발전에 장애가 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영국의. 맨체스터 공장주들도 홍콩에서 그들의 상품을 판매해 줄 저임금의 經 가 필요하기 때문에 중국인들을 동반자로 대우해야 한다고 주장했 理
다 이리하여 헤네시 총독 재임시부터 홍콩당국은 부유한 중국상인들. 을 회유하는 한편 일반중국인들에 대한 대우도 점차 개선하기 시작하 였다 그러나 종합적으로 볼 때. 19세기말까지 홍콩중국인에게는 사실 상 언론 출판 집회 결사 거주의․ ․ ․ ․ 자유가 없었다.40) 이러한 종족차 별제도는 홍콩당국의 이익에 부적합하다고 인식한 많은 지식인들에 의 하여 점차 수정되었다 그러나. 중국인들이 공직에 임명되는 것은 20 세기초에도 여전히 제한되어 정부정책과 계획을 담당하는 홍콩정부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政務官 중에는 중국인이 한 명도 없었고 경찰, 중에는 副督察이 중국인이 오를 수 있는 최고직위였다.41)
홍콩은 잠시 그곳을 방문한 많은 중국 지식인들에게도 민족의식을 각성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1879 22년 세였던 康有爲가 홍콩을 돌아보 고 화려한 서양가옥 정결한 도로 엄숙한 경찰의 모습을 본 후 서양․ ․ 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바꾸고 서양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기 위하여 세 계지도와 西學서적을 구하여 탐독하였다 한다. 孫文 또한 홍콩에서 학 교를 다니는 동안 상공업의 발달 정연한 질서 아름다운 건물들 깨․ ․ ․ 39) 任桂淳, pp.406-408.
40) 劉蜀永, p.101; 余繩武 劉存寬․ 主編, pp.180-181.
41) 任桂淳, p.410.
끗한 위생 등에서 좋은 인상을 받았고 홍콩이 발전할 수 있는 이유는 영국관리가 중국관리보다 부패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한 다.42) 이들과 같이 많은 지식인들은 홍콩시의 발달한 모습과 행정을 보고 민족의식이 강하게 발로하여 중국이 富强하고 繁榮하기 위해서는 개혁 또는 혁명이 필요함을 절감했다.
특히 언론은 중국지식인들의 민족의식을 각성시키는데 절대적인 역 할을 했다 특히. 1874년에 王韜와 黃勝이 出資하여 간행한『循環日 의 영향이 컸다. 주필이었던 왕도는 일찍이 상해 홍콩 영국 프
報』 ․ ․ ․
랑스 등지를 고찰하면서 많은 경험을 쌓았기 때문에 동시대 지식인에 비하여 세계정세를 깊이 이해하고 있었다 그는 강렬한 민족의식과 애. 국주의 사상을 가지고 중국 내정과 외교에 대하여 평론했다 그는 변. 법자강의 정치적 개량주의를 선전하고 치외법권 철폐를 주장했으며, , 불평등조약은 수정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이 일간지는 북경 천진 상․ ․ 해는 물론 기타 중국연안의 여러 도시와 미국의 샌프란시스코와 호주 의 시드니까지 보급되어 王韜의 개량주의와 애국사상을 전파했다.43)
홍콩의 서양식 학교교육 또한 중국인의 민족의식 각성에 커다란 영 향을 주었다 홍콩의 서양식 학교의 중학과정을 통하여 중국 학생들은. 비교적 진보적인 서방의 사회정치사상과 자연과학지식을 이해할 수 있 었다 홍콩의 서양식 교육을 받은 중국 학생들은 졸업 후 홍콩정부의. 직원이나 번역가가 되기도 하고 홍콩 또는 중국 통상개항장에서 서양 기업의 買辦이나 중국 정부기관 영국인 통치의 해관 의 직원이 되었( ) 다 그 중 소수는 외국에 유학하여 근대 중국 역사와 사회발전에 적지. 않은 공헌을 했다 예를 들어 홍콩. 中央書院을 졸업한 何啓와 胡札垣 같은 사람들은 1887-1900년간에 합작으로 『曾論書后』 『, 新政論
, , , , ,
議』 新政始基』 康說書后』 新政安行』 動學篇書后』 新政 등의 저서와 총집인 을 출판했다 그들은 정치 사.
變通』 『新政眞詮』 ․
42) 余繩武 劉存寬․ 主編, 20世紀的香港 北京(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95), pp.57-58; 劉蜀永, p.58.
43) 余繩武 劉存寬․ 主編, 十九世紀的香港 , pp. 332-335; 浜下武志, p.93.
상 경제 문화면에서․ ․ 改良主義와 變法新政을 주장하여 康有爲와 孫文 등에게 많은 사상적 영향을 주었다.44)
또한 출판 간행물에 대한 홍콩정부의 관대한 정책으로 혁명사상이 전파될 수 있어 중국인들을 각성시킬 수 있었다 홍콩당국은 간행물내. 용에 있어 영국의 통치를 언급하지 않고 지나치게 격렬한 용어를 쓰, 지 않으면 통과시켰다 그리하여 신해혁명 이전에 적어도. 10여종의 혁명출판물들이 홍콩에서 출판되어 성공적으로 혁명사상을 중국인들에 게 확산시켰다 그 중. 『中國日報』가 혁명사상을 확산시키는데 영향력 이 가장 컸다. 『中國日報』는 손문의 삼민주의 사상과 그에 대한 상 세한 해설을 연재 발표하고 강유위의 “扶淸保皇 主張” 의 모순을 폭로 함으로써 중국 남부와 남양군도의 독자들에게 혁명사상을 전파했다. 또한 혁명세력의 무장기의를 상세히 그리고 신속히 보도함으로써 홍콩 뿐만 아니라 중국남방 지역의 중국인과 동남아각국의 화교사회내의 많 은 구독자들로 하여금 혁명운동 발전을 주시하고 관심을 갖도록 했 다.45) 원래 중국내지에서 출판되다가 청정부의 탄압을 피하여 홍콩으 로 옮겨 왔었던 출판물 중 중 1904년부터 홍콩에서 출간된 『廣東日
는 민족주의와 혁명정신을, 1906년부터 홍콩에서 출간한
報』 『東方
는 민주주의를 그 로 하였다. 1905년 광주에서 창간된
報』 宗旨 『時
는 공개적으로 혁명을 지지했을 뿐만 아니라 청조의 부패를 事畵報』
신랄하게 풍자하여 광주당국으로부터 1907년 겨울에 정간당하기도 했 다 그러다가. 1909년부터는 홍콩으로 이주하여 만주정부를 공격하고 혁명방향을 지시했다.46)
혁명 활동기지와 항일투쟁 보급기지 3.
44) 劉蜀永, pp.110-111; 余繩武 劉存寬․ 主編, 十九世紀的 香港 , p.317.
45) 劉蜀永, pp.65-67.
46) 余繩武 劉存寬․ 主編, 20世紀的 香港 , pp.63-65.
홍콩은 영국의 식민지로 自由貿易港이며 지리적으로 광동연안과 인 접한 특수한 조건으로 인해 혁명 봉기나 항일투쟁에 필요한 무기제조 나 구매가 용이하고 내지로 무기를 공급하기 편리하여 혁명 활동기지 와 항일투쟁 보급기지가 되었다.
손문은 1895년 2월 21일 홍콩에서 혁명단체인 흥중회를 결성했고 또한 1905년 8월 20일 일본 동경에서 中國同盟會의 총리가 되었을 때에도 홍콩에 중국의 남부지부를 두었다. 그는 이곳을 마카오 상․ 해 일본 남양․ ․ ․歐美 각지의 동맹회 회원들과의 연락지점으로 정하고 봉기의 경비와 무기를 모으고 분배하는 혁명 활동기지로 삼아 비 武裝
록 실패했지만 潮州起義 惠州起義․ ․廣州起義를 준비했었다. 많은 동 맹회회원들은 혁명봉기 전에 각지로부터 홍콩에 집결하여 동맹회 계획 본부 혹은 초대소에서 출발 시기를 기다릴 수 있었고 봉기실패 후 군, 사행동에 참가했던 회원들은 홍콩에 돌아와 각지로 분산할 수 있었다. 그리고 홍콩중국인들은 해외화교와 더불어 동맹회 남방지부 홍콩분․ 회 초대소의 설립과 운영 및 유지를 위한 경상비뿐만 아니라 혁명선․ 전을 위한 간행물 출판비와 무장봉기에 필요한 막대한 경비를 적극 지 원했다.47) 홍콩을 혁명기지로 활동하던 인사들은 1911년 10월 10일 가 승리하자 광주정부에 대거 진출했다 예를 들어. 은
武昌起義 胡漢民
광동도독에 취임하였으며 李煜堂이 재정부장, 伍廷芳이 외교부장, 陳 이 외교부 부부장이되었다.
少白
중일전쟁시기에 홍콩은 항일전쟁을 지원하고 항일 선전과 인력을 동원하는 항일 투쟁 보급기지였다 일본은. 3개월 내에 중국을 점령할 계획을 세우고 중국의 군수물자공급을 차단하기 위하여 1937년 8월 일부터 월 일간에 마카오 홍콩 광주만을 제외한 중국연해를
25 12 26 ․ ․
모두 봉쇄했다. 1938년말 미얀마의 腊戍부터 중국 운남의 滇緬까지 도로가 개통되기 이전에는 중국정부가 의존했던 주요 운수로는 新疆지 구를 통한 소련의 西北大路, 중국남부의 홍콩 프랑스 식민지인 인도, 47) 劉蜀永, pp.60-64, 68-70; 余繩武 劉存寬․ 主編, 20世紀的香港 ,
pp.62-63, 66,
차이나였다 그러나 일본의 외교적 압력과 군사적 위협으로 프랑스정. 부는 무기 탄약 비행기 항공재료 등은 물론 일반 군수품조차도 운․ ․ ․ 송을 금지시켰다 이리하여 홍콩통로에 대한 중국의 의존도가 상대적. 으로 상당히 높아졌다. 廣州 및 廣州灣의 여러 작은 항구들은 홍콩의 화물이 중국내지로 들어가는 중요한 입구가 되었다 홍콩과 광주간의. 화물운수는 주로 廣九鐵路와 홍콩과 광주간을 연결하는 도로에 의존하 였다. 1937년 8월 17일 약 14.5㎞의 철로가 廣九鐵路와 粤漢鐵路를 연결하였다 이후부터. 廣九鐵路와 粤漢鐵路는 국제교통 운수선으로 이 용되었고 많은 화차와 객차가 밤낮으로 구룡과 무창을 왕복하면서 다 량의 군용물자를 끊임없이 중국내지로 운반하였다 일본군이. 1938년 월 광주를 함락한 후 일본의 요구에 따라 영국이 홍콩을 통한 군수 10
품 공급을 중단하였을 때 홍콩상인들은 범선을 타고 빠른 속도로 군수 물자들을 밀무역하였다.48)
중국공산당은 일찍이 1935년 여름에 宣俠父 등을 홍콩에 파견하여 을 조직하고 홍콩의 애국민주인사들을 단결시켜 항일
‘民族革命大同盟’
민족통일전선을 형성하였다. 1936년 1월 何思敬 등이 ‘民族解放大同
을 등이 를 월에는 과 등이
’ , ‘ ’ , 5 ‘
盟 周楠 香港救國會 何思敬 陳汝棠 全國 를 설립하여 중국남부의 각종 사회단체가 단결
’ 各界救國會華南區總部
하여 항일 민족통일전선 구축을 촉진했다. 1937년 7.7 사변 후에는 각계에서 항전을 원조하는 사회단체를 설립하여 그 수가 10여개가 되 었다. 8 13월 일 일본군이 상해에 진격하자 홍콩의 60여개 선원단체는 홍콩선원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일본화물의 운수거절 및 항일에 필요한 경비를 조달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계속하여 홍콩의. 洋務, 금속 석, 탄 인쇄 등의 노동자들이 일본 원재료 사용을 거절하는 등 항일운동, 에 동참하였다.49)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는 1937년 말 국제사회로부터, 八路軍과 新
48) 任桂淳, pp.420-423.
49) 元邦建編著, p.162.
을 위한 물자원조를 얻기 위하여 영국의 허락을 받아 홍콩에
四軍 八路
사무처를 설립하였지만 일본군의 압력으로 공개적인 활동이 어려워 軍
지자 분산하여 은밀하게 활동하였다 항일투쟁 단체들과 학생들은 물. 론 홍콩각계가 나라를 위한 모금운동을 전개했다 홍콩. 76개의 상업 단체는 겨울의복 방독면 구호차 약품을․ ․ ․ 구입하여 계림의 八路軍에 전해주었다.50)
홍콩팔로군은 연안 八路軍과 新四軍의 소식을 동남아 화교들에게 전하여 많은 화교가 고향으로 돌아와 국가를 위하여 복무하도록 했다. 그리하여 젊은 청년학생들은 귀향복무단을 조직하여 東江전선으로 가 서 救護하기도 하고 龍川에 민중진료소를 개설하기도 했다. 1938년 월 하순 중공동남특위는 홍콩에서 홍콩과 마카오의 많은 청년들을 10
조직하여 惠陽으로 가 항일활동에 참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200여 명의 7개 救亡 공작대가 홍콩에서 혜양으로 갔는데 연말에는 500여명 으로 그 수가 증가하였다. 1938년 12월에서 1940년 2월까지 홍콩학 생 구제회에서는 4개의 귀향복무단을 조직하여 200여명이 광동으로 갔다 단원의 대다수는 학생들이었고 교사와 일반청년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학생들은 광동농촌에서 항일을 선전하고 구제활동을 전개하였. 으며 홍콩 마카오 동남아 등지에서 구제물품을 수집하여 교전지역으․ ․ 로 보냈고 난민과 빈민들을 구제하였다 그리하여. 1938년에서 1939 년까지 동강화교귀향복무단, 琼崖화교귀향복무단 싱가포르 청년기사, 들과 5명의 홍콩기사들로 구성된 화교귀향복무단이 성립되었고 이들 은 지구전과 戰地救護 등의 훈련을 받은 후 계림으로 갔다. 1939년 월 홍콩팔로군 사무소는 남미화교들이 지원한 많은 서양 약품 및 10
동남아 화교들이 지원한 20대의 트럭과 2대의 세단승용차를 계림 八 사무소로 보냈다 후에는. 에서 사람을 파견하여
路軍 東江遊擊隊 運輸
회사를 운영하면서 많은 물자와 헌금을 접수하여 비밀리 惠陽遊擊區에 보냈다.51)
50) 劉蜀永, p.78; 元邦建編著, p.163.
손문의 미망인 宋慶齡도 1937년 12월 2일 상해에서 홍콩으로 와 국제적 유명인사들과 保衛中國同盟을 결성하고 해외의 국제사회와 화 교사회에 항일구국을 선전하여 자금과 의약품을 모집해 중국의 항일무 장활동을 지원하였다 송경령은. 1938년 가을 新四軍에 의약품 수술․ 기기 식품 피복 문화용품․ ․ ․ 등의 구제물자들을 공급하였고 1939년 한 해 동안 東江抗日遊擊隊에 홍콩돈 20만원을 군비로 전했다 이후. 여러차례 무장활동을 위한 군자금 피복 군화 약품 등의 물자를 조, , , 달하여 중국인의 항일구국운동에 공헌했다 송경령은 홍콩각계로부터. 재정적인 지원을 받기 위하여 여러 차례 영화 연극 음악회와 같은․ ․ 공연을 개최했고 그때마다 홍콩총독과 각계 인사들이 인도주의 차원에 서 적극 참여했다. 1939년 초 송경령의 건의에 따라서 중국부녀구원 회홍콩분회 홍콩중국부녀사병구제회 홍콩중국부녀구락부 중국기독․ ․ ․ 교여청년회 광동부녀신생활운동위원회 등이․ 保盟을 도와 4천 5백여 건의 중국예술품을 수집하여 뉴욕 파리 런던으로 보내어 판매한 수․ ․ 입으로 중국 의료구제사업에 사용했다.52)
년 월 일 일본군이 홍콩을 점령한 후 홍콩에 거류하고 있 1941 12 25
던 중국 저명 지식인들을 체포하기 시작했다 피난 온 지식인들은 광. 동어에 익숙하지 않고 홍콩사회에 아는 사람도 적어 곤란한 처지에 놓 였다 이에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중앙남방국은 홍콩주재. 八路軍 사무처에 긴급하게 전보를 보내어 홍콩에 억류되어 있는 중요한 지식 인과 민주인사들을 구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마침 일본군이 홍콩에 양. 식과 연료가 부족하여 일부 홍콩주민들을 중국으로 보내는 기회를 이 용하여 1942년 1월 5일부터 2월까지 문화계인사들과 그 가족 800여 명을 홍콩에서 중국내지로 이동시켰다.53)
팔로군 사무처는 항일활동을 지원하는 것 이외에 다른 지역에 분산 된 유격대원들과 일본군을 습격하기도 하고 일본에 협조하는 중국인들 51) 元邦建編著, p.163; 賀弘景, pp.137-139.
52) 劉蜀永, pp.76-78.
53) 劉蜀永, p.82; 元邦建編著, pp.182-183; 賀弘景, pp.140-142.
을 제거하기도 했다 그중. 港九獨立大隊의 활약이 뛰어났다. 港九大隊 는 1943년 6월까지 6개 지구로 분산되어 사방으로 출격하면서 첩보 활동을 하고 여력이 있는 대로 東江중대를 지원하였다. 1943 5년 월에 는 珠江유격대와 협력하여 오랫동안 난공불락이던 적군기지를 폭파하 기도 했다. 港九大隊는 중국공산당 중앙으로부터 영 미 국가들과 연합· 하여 國際工作小組를 설립하도록 지시를 받고 1942년부터 중국정부의 인가를 받아 영국이 조직한 영국군구조단 (Britsh Army Aid 과 함께 년 월까지 많은 외국인들을 중국내지로 도피시
Group) 1944 7
켰다. 港九大隊는 영군뿐만 아니라 미군과도 협력했다. 1942년 8월 동맹국 공군이 집중적으로 홍콩 해안에 정박하고 있는 일본 군함에 폭 격을 가하기 시작했을 때 폭격의 임무를 맡았던 미군 14항공대의 조 종사가 홍콩경내에 낙하산으로 추락하면 港九大隊 유격대가 즉각 이들 을 찾아 도와주었다. 港九大隊는 미군과 화남지구에서 긴밀하게 군사 활동을 하며 미군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1944 10년 월 미 국 측 요구에 따라 東江縱隊總部는 미국측의 정보작업에 협력하기 위 해서 특별 정보공작부를 조직하여 정보원을 200명으로 확대하였다. 정보조직망은 일본이 지배하고 있는 광주와 홍콩 전 영토에 분포되어 있었고 홍콩측의 정보는, 港九大隊 대원들이 담당했다 그들은 주로. 일본군의 군사기관 기름창고 정박군함의 입출항 상황 등을 사령부에․ ․ 보고하여 동맹군에게 전하도록 했다. 港九大隊는 중국남방에서 미국의 가장 중요한 정보망이 되었으며 그들의 정보수집활동은 항일승전에 크 게 기여했다.54)
정치활동이 자유로운 도시 4.
제 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적으로 사회주의 진영의 흥기와 민족해방2
54) 劉蜀永, pp.85-87; 元邦建 編著, p.179-180, 184-185, 189-190; 賀弘 , pp.142-143.
景
운동이 고조되어 영국은 인도 스리랑카 미얀마 등의 식민지를 잃었․ ․ 다 그리하여 홍콩정부는 홍콩중국인들을 회유하려는 의도에서 어느. 정도 언론과 활동의 자유를 주어 민주적인 분위기를 조성했다 정치적. 인 입장에 상관없이 홍콩돈 3천원의 보증금을 내면 신문이나 잡지의 출간을 허락하였고 이들에 대한 검열제도도 취소하였다 그리고 홍콩. 정부는 홍콩의 법률과 질서를 지키는 한 중국공산당 중국민주당․ ․李 의 국민당 혁명위원회의 활동을 용인하였다 사실상 중국 공산당. 濟深
지도하의 港九獨立大隊의 항일 투쟁 활약을 높이 평가하고 있던 홍콩 정부는 중국공산당에 대하여 비교적 우호적인 태도를 취했다 홍콩의. 정치환경이 이렇게 상대적으로 자유로웠기 때문에 중국공산당은 홍콩 에서 여러 가지 활동을 지속할 수 있었다.55)
중국대륙에서 국민당과 공산당이 內戰을 강행하고 있는 동안 홍콩 에서는 양대진영의 지지세력들이 각종 활동을 전개하였다 중공은 홍. 콩을 통하여 그들의 정권을 중국인과 세계에 선전하고 홍콩과 무역을, 지속하여 물자를 확보하기를 희망했다 그리고 홍콩으로 피난 간 중국. 의 유명인사들을 중국으로 이주시켜 정권의 지지세력으로 확보하고자 했다 중공은 일간지. 『正報』 『와 華商報』, 그리고 주간지『群衆』을 홍콩에 이전하여 출판하도록 하여 홍콩의 대외선전기구로 삼았다. 년 월에 창간된 는 중국내의 전쟁과 민중운동소식을
1945 11 『正報』
집중 보도하였다 예를 들어 다른 신문은 감히 언급도 못하는. 昆明학 생집회가 국민당에 의하여 처참하게 탄압 받은 사건을 게재하기도 하 였다. 그리하여『正報』지는 홍콩 광주 중국내지 동남아지구는․ ․ ․ 물 론 국민당 통치구역에까지 비밀리에 발송되어 국민당정부를 공격했 다.56)
년 월 장개석 정부가 공산당의 홍군을 양자강 이북으로 철수 1941 1
하도록 명령하고 기습 공격한 ‘皖南사변 이 발생한 이후 중공은 장개석’
55) 余繩武 劉存寬․ 主編, 20『 世紀的 香港』, pp.166-167, 172.
56) 劉蜀永, p.88; 余繩武 劉存寬․ 主編, 20世紀的香港 , p.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