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인도네시아의 녹색성장 법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인도네시아의 녹색성장 법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Copied!
3
0
0

Teks penuh

(1)

30 31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녹색성장(Green Growth)은 인류의 생존과 직결된 전 세계적 이슈로 영미와 EU,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은 우리나라보다 앞서서 이미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녹색성장이 추구하는 친환경적 정책 과 산업의 발전을 동시에 추진하는 정책과 법제를 수립

·집행해오고 있다. 그러나 동남아시아 지역을 포함한 개발도상국들은 아직까지 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하고, 녹색성장을 추진할 모델과 체계를 구축하지 못하고 있 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비교적 단기간 에 녹색성장의 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발전시키는 단계 에 있는 우리나라가 환경적 파트너십이 요구되는 주변

개발도상국과 협력하여 녹색성장 법제와 정책을 공동 으로 연구하고, 녹색성장에 관한 선진국의 일방적인 논 리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제적 기후변화 논의 에 적극 대응하여 녹색성장을 국가발전의 계기로 활용 하고, 한국이 녹색성장의 주역으로 글로벌 리더십을 발 휘하여 녹색선진국으로서의 위상을 제고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도 인도네시아의 기후변화대응 및 녹색 성장 정책과 법제를 분석하여 인도네시아의 장기적 기 후변화대응전략을 검토하고, 향후 국가적 차원의 녹색 성장협력을 강화하여 인도네시아의 녹색성장 관련 법 제의 정비에 대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도네시아의 녹색성장 법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나 채 준 _ 한국법제연구원 글로벌법제연구센터 부연구위원 [email protected]

(2)

Ⅱ. 연구의 주요 내용

1. 인도네시아의 환경현황

인도네시아는 약 1만 3,670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국 토면적 190만 4,569km², 인구 2억 4,027만 명(2010년 기준)인 세계 4위의 인구대국으로 천연자원은 풍부하나 생활환경은 좋지 않다. 예컨대 물의 경우 50% 이상의 하천이 수질기준 1급수 미만으로(2004년 환경부 하천 수질 조사) 지표수의 고갈이 심각한 상태이고, 급속한 산업화와 자동차 보급의 증가로 SO2(아황산가스)와 NOx(질소산화물)의 증가로 대기의 오염도 우려할만하 다. 그 외에 산림파괴와 지진과 해일 등 자연재해의 피 해는 심각하다.

2. 인도네시아의 기후변화대응과 녹색성장 법제 및 정책 분석

최근 기후변화에 민감한 경제개발에 따른 에너지수 요가 연평균 증가율 5.5%를 기록하여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민간기업의 농장개발을 위해 산림 및 습지의 급 격한 개방과 개발로 인한 벌목과 산불로 주요 탄소배출 국이 되었다. 또한 대규모 우림지역과 습지가 심각한 훼손상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정부는 2020년에 탄소배출의 26%(해외지 원 포함 시 41%)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2010~2014년 중기국가개발계획에 따라 ‘기후변화 완화(Mitigation)와 적응(Adaptation)’ 계획을 발표하여 추진하고 있다.

환경오염의 주범이라고 볼 수 있는 CO2e 발생량이

2005년 2.3Gt에서 매년 2%씩 증가하여 2030년에는 3.6Gt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서 2030년까지 연간 2.3Gt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는 150여 가지의 방안을 계획·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연구결과 인도네시아는 아직 녹색성장의 개념설정과 이를 뒷받 침할 법제와 정책이 갖추어지지 않아서 단계적인 법제 정비가 요구되고, 새로운 녹색성장 법제에 대한 입법과 정책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법제도의 개선 작업에 우리나라의 녹색성장 법제와 정책을 적극적으로 전파해야 할 것이다.

인도네시아에는 환경 관련 기본법으로 「환경보호관리 법(Environmental Protection and Management Act)」이 있고, 그 외에 수질, 대기, 폐기물 등 각 분야별 환경규제 법률이 존재한다. UNFCC와 교토의정서 체제 상의 기후변화대응 관련 법률도 미비하지만 실행되고 있 다. 그리고 기후변화대응 법률과 정책의 조율 및 집행기 관으로 국가기후변화위원회, 환경부, 에너지 및 광물자 원부 그리고 산림부가 있다. 이 중 국가기후변화위원회 가 기후변화대응에 관한 업무를 총괄·조정하고, 다른 세 기관은 부처업무와 관련하여 당해 부처의 법령이나 규정에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과 교토의정서 의 취지에 합당한 내용을 실행하고 있다.

3. 인도네시아의 기후변화대응 및 녹색성장 관련 분 야별 대응전략

인도네시아는 녹색성장(Green Growth)의 개념이 일반화되지 않고, 우리나라의 녹색성장 5개년 계획 및 리포트 브리핑 2

(3)

32 33

10대 정책방향과 같은 녹색성장 법제 및 분야별 정책이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태이나 기후변화에 대한 2007 국가행동계획(National Action Plan:NAP)을 마련하 여 기후변화에 대한 단계별 행동계획과 목표를 설정하 고 그에 따른 대응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동 계획은 기 후변화대응을 위한 지침을 관련 행정기관에 제공하고, 각종 기관을 통합·조정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 고 있고, 에너지 및 토지 이용, 토지전용 및 산림 등에 배출가스완화를 위한 노력과 개발을 포함한 제도적 조 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동 계획은 다음과 같은 분야별 대응전략을 설정하고 있다. ① Peatland/Forestry분야는 산림관리 개선, 불 법벌목 감소, 산불통제, 공간계획 개선으로 산림벌목을 억제하고 산림복원사업을 통하여 탄소억제 및 Carbon Sink(탄소흡수원)의 증가를 추진하고 있다. ② 에너지 분야의 경우 에너지 믹스 등 에너지원의 절약을 추진하 고 지열, 수력, 태양력, 풍력, 바이오연료 등 대체에너지 와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사용, 에너지 보존정책을 추진 하고 있다. ③ 산업분야에서는 탄소배출 및 오존배출 물질 감소정책을 추진하고, 저탄소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 외에 교통, 농업, 쓰레기 등의 분야에서 도 부분별로 기후변화대응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다.

다만, 인도네시아 정부가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기후변화대응 법률과 정책을 집행하는 기관이 환경부, 에너지 및 광물자원부, 산림부 등 분야별로

산재해 있어서 효율적인 정책집행에 어려움이 있다. 또 한 관련 법률의 경우 기후변화대응을 위해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규정과 감독규정이 흠결된 경우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비가 요구된다.

Ⅲ. 결론 및 연구를 통한 기대효과

그동안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녹색성장 협력현황은 정부 및 민간차원의 공식적인 협정체결 및 정기적인 상 호교류가 미진한 상황이었으나 최근 산림분야에서 목 재바이오매스 에너지산업 육성협력에 관한 양해각서와 녹색성장 노하우를 전수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 하는 등 양국의 기후변화대응 및 녹색성장 관련 협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이 많은 동남아시아 개발도상국들이 희망하는 성장모델이 되고 있는 점을 활용하여 기후변화대응 및 녹색성장의 협력을 강화하고, 경제성장과정에서 시행착오를 통해 축적한 환경기술과 녹색성장 관련 법제도를 인도네시아에 전 파하는 역할을 하여야 할 것이다. 인도네시아의 기후변 화대응, 녹색성장 정책 및 입법례에 대한 체계적 분석 을 통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선진적인 녹색성장 법제를 전수하는 데 기여하고, 우리나라가 녹색선진국으로서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국가의 법제도 개선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