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인천광역시 - 보 도 자 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인천광역시 - 보 도 자 료"

Copied!
3
0
0

Teks penuh

(1)

- 1 -

보 도 자 료

배포일자 2021년 3월 16일(화) 총 6매

담당부서농축산유통과 담 당 자 ∙농정팀장 최 봉 묵 ☎440-4361

∙담당자 오 주 연 ☎440-4365

사진 □ 없음 ▣있음 참고자료 □ 없음 ▣ 있음 보 도 시 점 배포 즉시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천시, 올해 농축산업의 도약위해 최선 다할 것

- 복지농촌 목표로 1,430억 원 규모, 149개 사업 추진 계획 - - 농업 공익가치실현을 통한 인천형 친환경농식품산업 육성 -

○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희망찬 농업, 활기찬 농촌, 행복한 시민”의 비전과 5대 추진전략 및 15개 실천과제를 세부적으로 수립하고, 농축산업의 도약을 위해 총 149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149개 사업(국비 56개, 시비 93개), 총사업비 1,430억 원

○ 인천시는 ▲농업경영안정 및 육성 ▲농식품산업 전략육성 ▲축산 경쟁력 강화 ▲시민과 동물이 공존하는 도시환경 조성 ▲안정적인 농산물 공급 등 5대 추진전략을 중점 추진하여 300만 시민이 행복한 도시, 농업의 공익가치실현을 위한 복지농촌을 구현해 나갈 계획이다.

❶ 농업경영안정과 전문농업인 육성·발굴 전략으로 농가소득강화와 농업인 역량 강화를 위해 21개 사업, 321억7천5백만 원을 지원하는 공익직불금(270억 원/13,782ha)사업과 고품질 쌀 육성단지(250h) 조성은 농업인들에게 든든한 버팀목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2 -

- 또한, 청년후계농업인 23명을 선발하여 젊고 참신한 청년 농업 인들이 미래의 주요 농업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영농정착금과 창업자금 지원 등 2025년까지 250명을 발굴하고 육성하여 미래 인천농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 청년후계농업인 : 만18세이상, 만 40세 미만의 독립경영 3년 이하의 청년농업인

-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침체된 지역농촌경제의 활력을 되찾기 위 하여 농업생산기반시설 환경․여건조성 및 농촌관광활성화 등 19개 사업에 133억1천5백만 원을 지원하여 경지정리, 방조제 개․보수, 용․배수로보강 등 농업생산기반시설을 정비하고, 농촌체험마을지원, 농어촌민박운영자 홍보․교육지원, 민박시설개선, 농촌축제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❷ 농식품산업 육성 전략은 지역 농식품의 안정생산과 판로확대를 위하여 36개 사업, 131억7천5백만 원을 지원하여, 농촌자원을 활용한 부가가치 창출과 신규 사업자의 연착륙을 위한 가교역할로 농촌 융복합산업 핵심 경영체 39개 업체를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 강화군에 15ha의 친환경농업단지를 신규로 조성하여 지속가능한 순환농업을 실현하고 첨단과학기술로 새로운 성장 동력 확충을 위해 강화첨단농업 육성 등 스마트팜 확산을 통한 고부가가치 농산물의 안정적 생산도 도모해 나갈 계획이다.

* 스마트팜: 정보통신기술을 농업 전반에 접목하여 작물의 생육환경을 관리하고 생산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농장

(2)

- 3 -

- 아울러, 친환경 무상급식추진으로 인천시 유치원․초․중․고․특수학교 등 949개교 354,248명을 대상으로 2,131억 원(시746, 군․구490, 교육청895)을 지원한다. 300만 시민의 안전한 먹거리 보장과 지 속가능한 농식품 선순환 체계구축을 위한 인천형 먹거리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학교급식 등 안전한 먹거리 공급을 위한“먹거리 통합 지원센터의 설치․운영계획”을 심도 있게 준비할 계획이다.

❸ 축산경쟁력 강화전략으로는 강화약쑥 한우브랜드육성사업 외 24개 사업 60억1백만 원을 지원하고 가축전염병 예방을 위해 구제역 백신 예방약품 지원, 방역시설․장비 지원, 공동방제단 운영 등 33개 사업에 27억1천4백만 원의 예산을 편성하였다.

- 특히, 신(新) 기후체제 대응을 위해 가축분뇨의 적정처리와 자연 순환농업 확충, 가축사육 환경개선 등 환경 친화적인 스마트 축 산업 육성기반을 구축하여 쾌적한 축산환경을 조성하고, 사육․유통․

소비단계에 이르는 일관된 축산위생관리로 축산가공품에 대한 안전한 축산식품 생산기반 조성에 주력할 계획이다.

- 또한 조류인플루엔자, 구제역 등 반복되는 재난형 가축전염병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방역시설을 지원하고, 백신 관리 및 차단 방역을 강화해 예방 중심의 방역체계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❹ 반려동물 양육 인구 1천만 시대“시민과 동물이 공존하는 도시환경 조성과 동물 보호‧복지 실현을 위해 15개 사업, 5억1천6백만 원의 예산을 지원하여 유기동물보호 적정기준(수준)을 높이고, 길고양이 중성화수술지원, 반려동물 문화 정착사업 등을 꾸준히 추진하여 인천형 동물복지가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계획 이다.

- 4 -

❺ 앞으로 농․축산분야 자체사업(시비보조지원)에 대한 사업성 평가를 실시하여 실효성이 없는 사업은 과감하게 정리(일몰)하고, 지속성장 가능한 미래 먹거리 산업의 생산과 소비활동을 병행한 유통분야 사업의 확대지원으로 지역 농․축산업이 안정적인 소득기반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 또한, 국․내외 농업환경정책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식량안보 기반 구축 및 자율적 수급안정체계 정착, 농가중심의 가축질병 예방활동 추진 등,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대응한 농업․농촌의 포용성 제고와 농업․농촌의 기후변화 적응 등을 위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홍준호 시 산업정책관은 “인천시 농․축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농업인의 소득향상과 함께 가격과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도 꼭 필요하다”고 말하며 이를 위해 군․구 농․축산 관련 기관․단체의 적극적인 소통과 협업을 당부했다.

<참고> 2021년도 농․축산분야 예산 규모 및 사진자료

(3)

- 5 - [참고자료 1]

2021년도 농․축산분야 예산 규모

(2021.1.1. / 단위 : 천원, %)

구분 2021년도

본예산(A)

2020년도 최종예산(B)

증감금액

C=(A-B) 비 고 142,756,293 180,289,224 △37,532,931

32,174,889 32,244,383 △69,494

양 곡 관 리 운 영 3,035,907 3,118,301 △82,394 전 문 농 업 인

육 성 및 복 지 지 원 1,109,813 767,298 342,515 농 가 소 득 보 전 28,029,169 28,358,784 △329,615

0 21,450,000 △21,450,000

구 월 농 산 물

도 매 시 장 이 전 0 21,450,000 △21,450,000

13,175,403 12,281,678 893,725

지 역 특 화 및

농 식 품 산 업 육 성 2,499,871 2,566,930 △67,059 친 환 경 농 업 육 성 7,046,546 5,761,521 1,285,025 농 작 물 경 쟁 력

3,628,986 3,953,227 △324,241

13,315,455 10,884,396 11,431,059

농 업 재 해 예 방 6,463,300 5,432,750 1,030,550 안 정 된 농 업 생 산

6,705,682 5,327,622 1,378,060

농 어 촌 지 역 개 발 146,473 124,024 22,449

6,001,043 13,191,347 △7,190,304

경 영 안 정 지 원 5,589,439 12,771,573 △7,182,134 축 산 물 안 전 성 강 화 411,604 419,774 △8,170

2,714,600 12,310,554 △9,595,954

가 축 방 역 관 리 2,714,600 12,310,554 △9,595,954

516,530 465,428 51,102

동 물 보 호 관 리 516,530 465,428 51,102

264,401 169,641 94,760

행 정 운 영 경 비 51,901 40,504 11,397

( 예 수 금 원 리 금 상 환 ) 212,500 129,137 83,363

74,593,972 77,291,797 △2,697,825

학 교 급 식 지 원 74,593,972 77,291,797 △2,697,825

- 6 - 제25회 농업인의 날[2020.11.11. (수)]

박남춘 인천시장이 11일 남촌농산물도매시장에서 '제25회 농업인의 날'을 맞아 열린 농업인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Referensi

Dokumen terkait

인천e지는 증강현실·가상현실·인공지능AR·VR·AI 등 첨단 기술 과 결합한 관광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번 축제기간 동안 모바일 스 탬프, NFC결제근거리무선통신, 모바일 쿠폰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 한 이벤트를 선보인다.. 특히, 올해 축제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인천e지 스탬프 투어’는 앱 메인화면에 제시된 3개의 테마별

▲문학IC~공단고가교~서인천IC 지하도로 건설 예타 통과 등 ▲수소 생산 클러스터 구축예타 통과 ▲GCF 콤플렉스Complex 조성예타 면제 등 총 3건의 사업에 대해 올해 예비타당성조사 사업 통과와 국 가 상위계획 반영 등을 서면으로 요청했다.. 유정복 시장은 경제부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예비타당성 문제를 조속 히 추진해 줄 것과

○ 지난해 기상이변에 따른 긴 장마와 평년에 비해 잦았던 겨울철 강설 및 제설작업으로 포트홀 등 손상을 입은 도로 보수를 통해 시민들에게 쾌적한 도로환경을 제공하고자 재포장 및 보강사업을 추진한다... 도로보수 공사 사진

미추홀댄스단의 경쾌한 힙합댄스를 시작으로 기념식, 인천시 물범 캐 릭터들의 깜찍한 퍼포먼스와 재활용 악기를 활용한 퓨전 타악기 공연 및 현란한 마술공연, 어린이들의 영상인터뷰 등 다양한 콘텐츠들이 어린이들을 맞이할 예정이다.. 기념식에는 모범어린이와 어린이들을 위한 숨은 유공자들에게 표창장 을 수여될

조영덕 시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농촌문화·체험관광의 리더십 함양 및 사고능력 향상으로 농업·농촌체험관광 분야 활성화를 통해 도시 민들의 늘어나는 농촌체험에 대한 수요에 부응하겠다.”고 말했다.. 제4기 농식품 가공 창업아카데미 교육생 모집 관련

역 주민들과 더 많은 대화를 통해 특단의 방안을 강구해 줄 것을 주 문하는 한편, 단순히 원론적인 입장에서의 해법 모색이 아닌 도로 사 업을 통한 원도심 활성화 정책 차원에서 주민지원사업과 연계해 구체 적이고 전향적인 대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에 시는 오흥석 교통환경조정관 주관으로 40여 차례에 걸친 주민대 책위원회

○ 올해 4년차를 맞은‘도서지역 찾아가는 여성폭력 이동상담 사업’은 안전취약지역인 도서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여성폭력 이동상담소를 운영하여 여성폭력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안전한 섬마을 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 중이며, ○ 여성긴급전화1366 인천센터와 인천시 내 여성권익시설 11개소가 강화군·옹진군 내 13개 도서를 선정,

* 25개 해양친수공간 사업: 참조 안영규 인천광역시장 권한대행의 주재로 섬 지역을 제외한 인천시, 경제자유구역청, 연수구, 중구, 동구, 남동구, 서구에 소재한 해양친수 공간 사업 관련 국장실장, 부서장 및 인천항만공사IPA 관련 부서장 이 참석해 현장회의와 온라인 영상회의를 병행했다.. 이날 회의는 시민친화적인 해양친수공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