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당기순이익과 잉여현금흐름의 부호가 같으면 이익의 질이 높고, 다 르면 이익의 질이 낮은 것으로 구분하였다. 한편, 표본을 당기순이익과 잉여현금흐름의 부호가 같은 집단(집단1)과 다른 집단. 그리고 본 연구에서 영업이익의 질의 대용치로서 잉여현금흐름의 개념을 사용하는.
Wilson(1986)의 연구에서도 현금흐름이 회계이익에 추가적인 정보효과를 갖고 있 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는 이들 현금흐름과 관련된 변수들은 회계이익에 추가 적인 정보내용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기대현금흐름이 회계이익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 공하여 주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주가수익률과 비기대이익 간의 관련성을 검증한 결과, 유의성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계이익이 현금흐름정보 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느냐 에 대한 검증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익과 현금흐름은 상호 추가 정보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각각의 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정보의 내용이 당기순이익정 보에 추가적인 정보내용을 갖는가를 연구하였다. 기존의 영업이익의 질에 관한 연구들은 질의 대용치로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 름(operations cash flow)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도 선행연구들과 같이 잉여현금흐름과 회계이익의 관련성에 따라 표본.
순이익과 잉여현금흐름의 부호가 같으면 이익의 질이 높고 다르면 이익의 질이 낮은 것으로 구분한다. 이와 같이, 표본을 당기순이익과 잉여현금흐름의 부호가 같은 집. 잉여현금흐름을 고려한 이익의 질이 높은 기업집단의 이익반응계수는 이익의 질이 낮은 기업집단의 이익반응계수와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
CAR: 누적비정상수익율 UE: 비기대이익. 이익반응계수의Quality Dummy변수항을 추가하는 모형. 즉 투자자의 투자활동은 투자대상기업의 잉여현금흐 름을 고려해서 이익의 질을 평가한 후에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즉 투자자의 투자활동은 투자대상기업의 잉여현금흐름을 고려해서 이익의 질을 평가한 후에 이루어진다는 결 과가 도출된 것이다.
결��론
이에 본 연구의‘잉여현금흐름을 고려한 이익의 질이 높은 기업집단의 이익반응계수는 이익의 질이 낮은 기업집단의 이익반 응계수와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그 동안의 선행연구들은 투자자들이 현금흐름을 이익의 질을 결정하는 지표로서 사용하고 있다는 내용들을 실증하여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투자자가 투자대상 기업의 이익의 질을 평가할 때에 현금흐름을 고려하고는 있으나 과거와 같이 단순히.
영업활동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이 아니라‘영업활동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에서 영업활동을 계속하기 위해서 추가로 투자하는 금액을 차감한 후에 남는‘잉여의 현금흐름’이 이익의 질을 평가하는 데에 더욱 높은 정보효과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실제로 근래 들어서 투자자들이나 재무분석 전문가들은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거나 신용도를 평가를 할 때에 현금흐름중에서도 잉여현금흐름을 중요시 여기고 있다.
그 러나 현행의 현금흐름표는 실질적으로 잉여현금흐름 규모를 파악하기가 어렵게 되어 있어서 현금흐름표 이용자들은 이를 여러모로 가공을 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러움 이 있다. 이와 같이‘회계기준위원회’의 현금흐름표 양식을 실질적인 잉여현금흐름 규모가 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개정함의 타당성은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나타났다 할 수 있 을 것이다. 그러나 이 러한 금액은 실제의 잉여현금흐름과 차이가 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현 재 기업들이 현금흐름표를 대부분 간접법으로 작성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자료를 구 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러므로 향후로는 앞서 언급한‘회계기준 위원회’의‘현금흐름 표의 작성과 표시 회계기준서’에 관한 공개초안의 내용을 반영한 실질적인 잉여현금 흐름의 개념을 사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우리나라 기업의 미래현금흐름을 예측하기 위한 회계이익과 현금흐 름변수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현금흐름정보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현금흐름정보가 주가수익률 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익반응계수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현금흐름 재무비율을 이용한 영업이익의 질의 정보 유용성에 관한 연구.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