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작황부진으로과채류가격은작년대비강세지속 - 농업관측센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작황부진으로과채류가격은작년대비강세지속 - 농업관측센터"

Copied!
16
0
0

Teks penuh

(1)

농업관측센터 aglook.krei.re.kr

농 업 관 측

2010

4

월호

작황부진으로 과채류 가격은 작년대비 강세 지속

� 애호박, 오이 최근 가격 높아 출하면적 늘지만 기상악화로 출하량은 적을 듯

�애호박은 출하면적 증가하지만 기상악화로 인해 가격은 작년보다 높을 전망

�백다다기오이도 출하량 적어 가격은 작년보다 높을 전망이나 3월 초보다는 다소 낮을 듯

� 딸기는 출하량 감소로 3월초의 가격강세 지속될 듯

�딸기는 1�2월 기상악화로 출하량 감소하여 가격이 작년보다 높을 전망

�방울토마토는 출하량 감소와 학교 급식수요 증가로 가격이 작년보다 높을 전망

�일반토마토는 대체소비과일 출하 증가로 가격이 작년보다는 낮고 평년보다 높을 듯

�수박, 참외는 기상악화에 따른 품질저하로 가격이 작년보다 낮을 듯

� 백다다기오이 제외한 과채류는 정식시기를 앞당겨 3월 정식 작년 대비 감소

�백다다기오이는 3월, 4월 정식면적 작년보다 각각 2%, 1% 증가할 듯

�취청오이는 연장재배로 3월 정식면적 감소, 4월 다소 증가할 듯

�애호박은 3월 정식면적 3% 감소, 4월 강원지역 추가재배로 증가할 듯

�방울토마토 3월 정식면적 작년 수준, 4월 1% 감소할 듯

�수박 3월 시설 정식면적 6%, 4월 노지 정식면적 9% 감소할 듯

(2)

2

딸기 도매가격 동향 (상품)

3월 상순 딸기 가격 작년 동기보다 높아

�2월 도매가격(가락시장 기준)은 상품 2kg 한 상자에 1만 5,300원 (중품 1만 900원)으로 작년보다 7% 높았다.

�3월 상순 가격은 대형유통업체 수요 증가로 상품 2kg 한 상자에 1만 6,900원(중품 1만 1,800원)으로 작년보다 20% 높았다.

3월 출하면적 작년 동월과 비슷할 듯

�3월 출하면적은 작년과 비슷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남 담양, 충남 서천∙연기에서는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 으로 재배면적이 감소하지만 경남 진주는 지자체 시설지원 으로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3월 단수는 1월 저온에 따른 생육부진과 2월 일조부족에 의한 수정불량 및 과실 착색 불량으로 작년보다 1% 낮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3월 출하량 작년 동월보다 적을 듯

�3~4월 출하량은 단수가 낮아 작년보다 2% 적을 전망이다.

�3월 가격은 출하량이 적어 상품 2kg 한 상자에 1만 2천�1만 5천원으로 작년보다 9%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가격 작년보다 높을 전망

주: 일별자료는 5일이동평균치임. 평년은 2005~2009년의 일별자료 중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자료: 서울시 농수산물공사.

딸기 월별 도매가격 단위: 원/2kg상자

주 1) 평년가격은 2005~2009년의 가격 중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2) ( )는 1~9일 평균가격임.

자료: 서울시 농수산물공사(가락시장 기준).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0년 상품 14,146 15,287 (16,897) - - - - -

중품 10,999 10,855 (11,825) - - - - -

2009년 상품 15,529 14,266 12,391 11,811 10,379 - - - - - 20,590 17,420 중품 11,126 9,253 8,197 6,823 5,852 - - - - - 10,999 10,855 상품 14,578 12,904 11,165 11,286 9,858 - - - - - 18,526 17,018 중품 10,638 8,882 7,543 6,541 5,512 - - - - - 15,736 14,094

딸기 출하예상량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1)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2)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모니터 조사치.

3월 4월

출하예상면적1) -0.4 -1.3

2) -1.3 -0.8

출 하 예 상 량 -1.7 -2.0

3월 지역별 출하면적∙단수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전국 가중치 32.1 8.6 21.7 2.6 35.0 100 면적 -2.5 -1.3 -0.3 0.3 1.6 -0.4 단수 0.2 -3.8 -4.7 -2.8 0.0 -1.3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3)

3월 상순 방울토마토 가격 작년 동기보다 높아

�2월 도매가격(가락시장 기준)은 상품 5kg 한 상자에 1만 2,500원(중품 9,900원)으로 작년보다 16% 낮았고 평년보다 1% 낮았다.

�3월 상순 가격은 상품 5kg 한 상자에 1만 9,700원(중품 1만 6,800원)으로 작년보다 2% 높았다.

3월 가격 작년 동월보다 높을 전망

�3월 출하량은 작년보다 4%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충남 부여는 4대강 사업으로 재배면적이 감소하였고, 전남 강진∙

고흥은 일부 농가에서 오이와 일반토마토로 전환하여 출하 면적이 줄 것으로 나타났다.

�3월 출하량이 줄고 학교 급식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가격은 작년보다 2% 높은 상품 5kg 한 상자에 1만 8,500~2만 500원으로 전망된다.

3월 정식면적 작년 동월과 비슷할 전망

�3월 정식면적은 작년과 비슷하고 4월은 1% 줄 것으로 나타났다.

�영∙호남 지역은 노동력 부족으로 재배면적이 줄지만 충남 보령은 작년 4월에 정식한 농가가 올해는 3월로 앞당겨 전체 적으로 비슷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식면적 작년과 비슷할 듯

주: 일별자료는 5일이동평균치임. 평년은 2005~2009년의 일별자료 중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자료: 서울시 농수산물공사.

방울토마토 도매가격 동향 (상품)

방울토마토 출하예상량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1)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2)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모니터 조사치.

3월 4월

출하예상면적1) -2.2 -0.4

2) -1.3 -1.5

출 하 예 상 량 -3.5 -1.9

3월 지역별 출하면적∙단수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충청 호남 영남 전국

가중치 1.1 45.9 52.9 100 면적 -0.7 -3.6 1.6 -2.2 단수 -0.7 -1.9 1.8 -1.3

월별 정식(의향)면적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1월 2월 3월 4월

가중치 32.9 51.1 8.7 7.3 100 증감률 1.0 1.0 -0.4 -1.1 0.8

방울토마토 월별 도매가격

단위: 원/5kg상자

주 1) 평년가격은 2005~2009년의 가격 중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2) ( )는 1~9일 평균가격임.

자료: 서울시 농수산물공사(가락시장 기준).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0년 상품 16,457 12,484 (19,730) 중품 12,638 9,918 (16,807)

2009년 상품 11,735 14,812 19,063 18,938 11,848 8,574 7,696 13,712 11,656 9,532 8,789 19,348 중품 8,488 12,198 16,607 16,588 9,534 6,452 5,262 10,582 9,476 7,635 6,728 15,268 상품 11,997 12,597 17,821 17,176 12,128 8,359 9,367 12,041 11,530 9,941 9,051 16,124 중품 9,041 10,213 15,262 15,109 9,850 6,305 6,310 8,823 9,090 7,805 6,794 12,596

(4)

4

3월 상순 일반토마토 가격 작년 동기와 비슷

�2월 도매가격(가락시장 기준)은 상품 10kg 한 상자에 2만 7,600원(중품 1만 9,800원)으로 작년보다 10% 낮았다.

�2월 가격이 낮았던 이유는 출하기 높은 가격기대와 구정 이후의 출하물량 집중되어 반입량이 작년보다 43% 많았기 때문이다.

�3월 상순 가격은 상품 10kg 한 상자에 2만 8,300원(중품 2만 2,100원)으로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3~4월 출하면적 작년 동월과 비슷할 듯

�3~4월 출하면적은 작년과 비슷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남 고흥에서 일부 농가가 오이로 전환하였고, 광양은 병해충 으로 출하를 조기 종료하였다.

�경북 포항은 유가의 안정세로 1~2월 정식이 증가하였고, 충남 공주∙논산에서는 지자체의 시설지원으로 출하면적이 늘었다.

3~4월 출하량 작년 동월보다 감소할 듯

�3~4월 단수는 2월 잦은 강우로 인한 일조량 부족과 정식 후 낮은 기온으로 인한 생육 부진으로 1% 낮을 것으로 나타났다.

�3~4월 출하량은 단수가 감소하여 작년보다 1%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

주: 일별자료는 5일이동평균치임. 평년은 2005~2009년의 일별자료 중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자료: 서울시 농수산물공사.

일반토마토 도매가격 동향 (상품)

일반토마토 반입량 동향

일반토마토 출하예상량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1)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2)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모니터 조사치.

3월 4월

출하예상면적1) 0.3 0.4

2) -1.0 -0.9

출 하 예 상 량 -0.8 -0.5

3월 지역별 출하면적∙단수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경기∙강원 충청 호남 영남 전국

가중치 2.3 11.6 30.1 56.0 100 면적 0.0 0.1 -3.0 3.0 0.3 단수 0.0 -1.8 -2.5 -0.1 -1.0

(5)

3월 정식 작년보다 감소, 4월은 증가할 듯

3월 가격 작년 동월보다 낮고 평년보다 높을 듯

�3월 도매가격(가락시장 기준)은 오렌지 수입이 작년보다 늘어나고 제철과일 출하량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상품 10kg 한 상자에 2만 5천~2만 8천원으로 작년보다 3%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평년보다 1% 높은 수준이다.

3월 정식면적 작년보다 감소할 듯

�1월 정식면적은 전남 화순의 일부 농가가 딸기로 전환하였고, 경남 밀양은 저온으로 정식이 지연되어 작년보다 1%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월은 경기 광주에서 출하기 가격안정을 위해 정식시기를 조절하였고, 전남 장성은 출하기 가격상승으로 정식을 늘려 작년보다 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월은 작년보다 1%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남 강진은 일부 농가가 일반토마토로 전환하여 늘지만 강원지역에서는 출하기 가격 상승기대에 따른 2월 정식 증가로 3월 정식은 줄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토마토 월별 도매가격

단위: 원/10kg상자

주 1) 평년가격은 2005~2009년의 가격 중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2) ( )는 1~9일 평균가격임.

자료: 서울시 농수산물공사(가락시장 기준).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0년 상품 24,144 27,631 (28,343) 중품 16,938 19,751 (22,065)

2009년 상품 19,822 30,720 27,303 25,236 16,941 11,695 11,184 15,148 16,586 15,609 14,752 22,660 중품 12,480 22,740 22,471 21,006 13,592 9,550 8,195 11,058 11,802 9,897 8,926 16,601 상품 19,402 24,074 26,232 23,030 17,266 10,454 11,981 16,268 18,265 17,330 15,011 19,911 중품 12,188 14,734 18,960 18,484 13,358 8,069 8,517 11,394 11,472 10,768 8,645 13,252

지역별 정식(의향)면적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구 분 경기∙강원 충청 호남 영남 전국 1월 가중치 10.9 38.6 19.2 31.3 100 증감률 -3.2 6.9 -8.0 -4.6 -0.8 2월 가중치 25.1 7.8 19.1 48.0 100 증감률 1.1 0.4 0.6 0.8 0.6 3월 가중치 66.8 4.6 10.8 17.7 100 증감률 -3.9 0.4 5.2 2.3 -0.7 4월 가중치 82.9 3.0 5.5 8.7 100 증감률 1.7 -2.3 -1.9 0.9

월별 정식(의향)면적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1월 2월 3월 4월

가중치 23.0 31.2 19.7 26.1 100 증감률 -0.8 0.6 -0.7 0.9 0.1

■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YLCV)병 주의

황화잎말림병은 잎이 노랗게 되고 오그라 들며, 심하면 고사하는 바이러스병이다.

� 방제대책

발병 초기에 감염주를 최대한 빨리 제거하 고 담배가루이 전용 살충제를 작물 재배 포 장과 주변에 철저하게 살포하여 매개충을 방제하여야 한다.

� 매개체

학명 : 담배가루이

성충수명 : 약 60일

서식 : 잎 뒷면

약제 방제 효과

: 성충> 유충> 알> 번데기

(6)

6

3월 상순 수박 가격 작년 동기보다 낮은 수준

�2월 도매가격(가락시장 기준)은 상품 10㎏ 한 상자에 2만 8,900원(중품 2만 2,400원)으로 작년보다 3% 높았다.

�2월은 주산지인 영남, 충남지역에서 잦은 강우와 일조부족 으로 작황이 부진하여 반입량이 작년보다 5% 적었다.

�3월 상순 가격은 상품 10kg 한 상자에 2만 7,500원(중품 2만 1,200원)으로 작년보다 14% 낮았다. 이는 평년보다 16%

높은 수준이다.

3~4월 출하량 작년 동월보다 적을 전망

�3월 출하면적은 경남 함안에서 정식기 가격이 낮아 재배 면적을 줄임으로써 4%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4월 출하면적은 경남 함안, 충남 논산에서 출하기 가격 하락을 예상하여 재배면적을 줄이고 부여는 촉성수박 정식이 지연 되어 1%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3~4월 단수는 1~2월 전국적인 잦은 강우, 일조부족, 저온 으로 작황이 부진하여 작년보다 각각 9%, 6% 낮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3~4월 출하량은 출하면적이 줄고 단수도 낮아 작년보다 각각 13%, 7%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박 출하예상량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1)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2)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모니터 조사치.

3월 4월

출하예상면적1) -4.4 -1.1

2) -8.6 -5.7

출 하 예 상 량 -12.6 -6.7

3월 지역별 출하면적∙단수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영남 전국

가중치 100 100

면적 -4.4 -4.4

단수 -8.6 -8.6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수박 도매가격 동향 (상품)

주: 일별자료는 5일이동평균치임. 평년은 2005~2009년의 일별자료 중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자료: 서울시 농수산물공사.

수박 반입량 동향

(7)

3월 가격 작년 동월보다 낮을 전망

�3월 가격은 출하량이 적지만 품질저하와 경기침체로 인한 요식업체의 수요 부진으로 상품 10㎏ 한 상자에 작년보다 13% 낮은 2만 6천~3만원으로 전망된다. 이는 평년보다 20%

높은 수준이다.

�4월 가격은 작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3월 시설수박 정식면적 작년 동월보다 감소할 듯

�2월 시설수박 정식면적은 전북 완주에서 시설지원으로 신규 면적이 증가하고 경남 창녕과 충남 부여는 작년 출하기 가격이 높아 재배면적을 늘리거나 정식을 앞당겨 작년보다 4%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월 정식면적은 광주광역시에서 고추로 전환하고 충남 부여는 2월로 정식을 앞당겨 6%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4월은 작년과 비슷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노지수박 4월 정식면적은 전북 고창∙부안에서 고령화로 재배 면적이 줄고, 인삼, 오디 등으로 작목전환이 이루어져 작년 보다 9%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수박 월별 도매가격 단위: 원/10kg상자

주 1) 평년가격은 2005~2009년의 가격 중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4~8월은 8㎏개당 가격임.

2) ( )는 1~9일 평균가격임.

자료 : 서울시 농수산물공사(가락시장 기준).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0년 상품 28,188 28,853 (27,483) 중품 21,315 22,420 (21,181)

2009년 상품 19,293 27,962 31,993 19,092 10,711 10,362 10,554 8,237 7,779 5,991 6,313 18,084 중품 12,160 22,219 27,942 14,425 9,065 8,680 8,057 5,416 5,625 4,348 4,218 12,388 상품 23,185 25,452 23,300 15,905 10,487 9,118 10,077 10,457 8,999 8,203 9,487 16,174 중품 15,935 18,457 19,358 11,461 8,834 7,116 7,770 7,088 5,874 5,298 6,330 11,182

3월 가격 작년보다 낮을 전망

1~4월 정식(의향)면적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경기∙강원 영남 호남 충청

시설수박 -0.8 -1.4 -1.6 -4.0 -2.5 노지수박 -4.8 2.6 -7.6 -13.3 -6.8

시설수박 지역별 정식(의향)면적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경기∙강원 영남 호남 충청 전국 1월 가중치 - 64.9 15.4 19.7 100 증감률 - -4.4 26.9 8.9 2.0 2월 가중치 - 40.6 10.6 48.8 100 증감률 - 1.1 4.1 3.3 3.6 3월 가중치 - 30.1 14.8 55.1 100 증감률 - 2.6 -8.1 -10.4 -5.7 4월 가중치 0.2 39.1 26.2 34.5 100 증감률 -1.0 -0.9 -3.3 2.6 0.3

월별 정식(의향)면적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1월 2월 3월 4월

시설 수박

가중치 15.2 23.6 38.3 22.9 100 증감률 2.0 3.6 -5.7 0.3 -2.5 노지

수박

가중치 - 2.7 37.3 70.0 100 증감률 - 3.5 5.0 -9.4 -6.8

(8)

8

3월 상순 참외 가격 작년 동기보다 낮은 수준

�2월 도매가격(가락시장 기준)은 상품 15㎏ 한 상자에 6만 1,900원(중품 3만 7,100원)으로 작년보다 20% 낮았다.

�예년 2~3월 출하기 가격이 높아 일부 농가가 11~12월로 정식을 앞당기거나 재배면적을 늘려 2월 반입량이 작년보다 18% 많았다.

�3월 상순 가격은 상품 15kg 한 상자에 7만 5,800원(중품 5만 7,300원)으로 작년보다 4% 낮았다. 이는 평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3월 출하량 작년 동월보다 감소, 4월은 증가 전망

�3~4월 출하면적은 주산지인 경북지역에서 작년 같은 기간 가격이 좋아 일부 농가가 정식을 12월로 앞당기거나 신규 재배가 늘고 기상악화로 출하시기가 지연되어 각각 7%, 4%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3~4월 단수는 경북, 경남지역에서 정식 이후 일조부족 및 저온, 지속된 강우로 착과가 불량하고 기형과 발생이 증가 하는 등 생육이 부진하여 작년보다 각각 9%, 3% 낮을 것으로 나타났다.

�3월 출하량은 출하면적이 늘지만 단수가 낮아 작년보다 2%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4월은 1%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참외 도매가격 동향 (상품)

참외 반입량 동향

주: 일별자료는 5일이동평균치임. 평년은 2005~2009년의 일별자료 중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자료: 서울시 농수산물공사.

참외 출하예상량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1)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2)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모니터 조사치.

3월 4월

출하예상면적1) 7.3 3.6

2) -9.0 -2.9

출 하 예 상 량 -2.4 0.6

3월 지역별 출하면적∙단수 작년대비 증감율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조사치.

경남 경북 전국

가중치 2.6 97.4 100

면적 -15.6 7.9 7.3

단수 -0.3 -8.7 -9.0

(9)

참외 월별 도매가격

단위: 원/15kg상자

주 1) 평년가격은 2005~2009년의 가격 중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2) ( )는 1~9일 평균가격임.

자료 : 서울시 농수산물공사(가락시장 기준).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0년 상품 - 61,856 (75,830) 중품 - 37,085 (57,339)

2009년 상품 - 77,218 82,369 77,372 39,336 33,247 28,164 29,513 27,799 13,850 - - 중품 - 59,707 60,665 59,895 29,455 23,531 18,336 18,304 17,333 8,182 - - 상품 - 72,289 78,521 67,212 46,844 33,078 29,322 28,235 22,041 18,337 16,952 - 중품 - 48,579 54,626 50,895 35,140 22,733 18,472 17,241 12,679 10,850 - -

품질저하로 3월 가격 작년보다 낮을 듯

3월 가격 작년 동월보다 낮을 전망

�3월은 출하량이 적지만 품질저하로 소비가 줄 것으로 예상 되어 도매가격(가락시장 기준)은 상품 15㎏ 한 상자에 작년 보다 3% 낮은 7만 7천~8만 3천원으로 전망된다. 이는 평년 보다 2% 높은 수준이다.

�4월은 출하량이 늘어 작년과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일 것으로 전망된다.

11월~3월 정식면적 작년보다 감소할 듯

�11~3월 정식면적은 경북지역을 제외한 지역에서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부족으로 재배면적을 줄이거나 수박, 멜론 등으로 작목을 전환하여 작년보다 5%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11~12월 정식면적은 주산지 기상 양호와 출하기 가격 강세로 정식시기가 앞당겨져 각각 5%, 9% 증가하였고, 올해 정식은 3월에 종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외 월별 정식(의향)면적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2009년 2010년

11월 12월 1월 2월 3월 가중치 4.2 45.0 42.0 8.6 0.2 100 증감률 5.0 8.7 -7.1 -14.6 0.0 -4.8

참외 작년대비 예상 품질 수준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조사치.

좋음 비슷함 나쁨 매우 나쁨

13.8 46.8 36.7 2.8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 병해 및 이상 발효과 주의

최대주산지인 경북 성주의 경우, 1~2월 기상을 작년과 비교하면 평균기온은 1℃가 낮고 일조시간은 20시간이 부족하며 강우 량은 57mm 많았음.

저온다습에 의한 탄저, 노균, 검은별무늬 (흑성) 등 병해와 이상 발효과 발생이 증가 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후 기상에 따라 악화 또는 개선될 전망임.

비닐하우스를 3m 간격으로 30cm 정도 구멍을 내 수분을 배출하고 환기를 통해 적정한 습도를 유지시켜야 하며 이상 발효 과를막기위해지나치게고온으로관리하면 당도저하를초래하므로세심한온도관리가 필요함.

(10)

10

3월 상순 애호박 가격 작년 동기보다 높은 수준

�2월 도매가격(가락시장 기준)은 상품 20개에 2만 6,200원 (중품 2만 3,500원)으로 작년보다 16% 높았다.

�영남지역 재배면적 증가로 2월 반입량이 작년보다 11% 많지만 소비 증가로 가격은 높았다.

�3월 상순 가격은 상품 20개에 3만 2천원(중품 2만 8,900원) 으로 작년보다 7% 높았다.

3월 출하량 작년 동월보다 적을 듯

�3월 출하면적은 작년보다 3%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애호박 가격이 높아 경남 진주, 충남 부여는 신규재배가 늘거나 재배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광주광역시는 일부 애호박 농가가 가지로 전환하여 면적이 다소 줄 것으로 조사되었다.

�4월은 경기 평택의 일부 농가가 백다다기오이로 전환하지만 충북 청원은 겨울철 애호박 가격이 높아 재배규모를 확대해 작년보다 4%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3월 출하량은 출하면적이 늘지만 흐린 날의 지속으로 병해충 (노균병)이 발생하는 등 작황이 부진하여 작년보다 1% 적을 전망이다.

주: 일별자료는 5일이동평균치임. 평년은 2005~2009년의 일별자료 중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자료: 서울시 농수산물공사.

애호박 도매가격 동향 (상품)

애호박 반입량 동향

평년

애호박 출하예상량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1)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2)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모니터 조사치.

3월 4월

출하예상면적1) 3.1 3.7

2) -4.0 -

출 하 예 상 량 -1.0 3.7

3월 지역별 출하면적∙단수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충청 호남 영남 전국

가중치 1.4 27.2 71.4 100

면적 1.4 -0.9 4.7 3.1

단수 -2.4 -2.1 -4.7 -4.0

(11)

애호박 소비 증가로 가격 작년보다 높을 전망

애호박 월별 도매가격

단위: 원/20개

주 1) 평년가격은 2005�2009년의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2) ( )는 1~9일 평균가격임.

자료: 서울시 농수산물공사(가락시장 기준).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0년 상품 21,412 26,222 (31,992) 중품 19,756 23,469 (28,899)

2009년 상품 25,672 22,712 22,847 12,087 8,928 8,811 10,633 8,586 10,219 8,094 16,897 16,590 중품 23,902 20,807 21,135 10,882 7,761 7,177 7,858 6,561 8,037 6,548 14,497 15,044 상품 22,507 20,948 18,638 12,215 8,125 7,977 8,200 12,128 12,607 11,582 15,514 17,437 중품 20,186 17,236 16,318 10,612 6,956 6,259 5,920 8,919 9,037 8,892 13,481 15,842

3월 가격 작년 동월보다 높을 듯

�3월 도매가격(가락시장 기준)은 작년보다 높은 상품 20개에 2만 4천�2만 8천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4월 가격도 출하량 적어 작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3월 정식면적 작년 동월보다 감소 전망

�1�2월 정식면적은 작년보다 각각 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월은 애호박의 최근 높은 가격 형성으로 충청 일부지역에서 재배규모를 늘렸다.

�2월은 경기 평택, 충남 논산의 일부 농가가 오이, 수박으로 전환하였지만 겨울철 가격 강세로 충북 청원, 광주광역시는 재배규모를 늘리거나 3월 정식을 일부 앞당긴 것으로 나타났다.

�3월 정식면적은 광주광역시의 일부 농가가 2월로 재배를 앞당기거나 충청지역에서 수박으로 전환하여 작년보다 3%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4월은 강원지역 재배 증가로 6%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정식(의향)면적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경기 강원 충청 호남 영남 전국 1월 가중치 - - 88.6 2.2 9.2 100 증감률 - - 7.3 1.8 0.0 6.4 2월 가중치 19.8 - 65.1 12.8 2.3 100 증감률 -5.6 - 9.4 9.9 0.7 6.3 3월 가중치 51.7 - 6.5 41.0 0.8 100 증감률 -4.1 - -2.7 -1.4 1.0 -3.0 4월 가중치 16.2 72.0 9.7 - 2.1 100 증감률 10.6 5.5 0.6 - 0.0 5.7

월별 정식(의향)면적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1월 2월 3월 4월

가중치 21.0 31.0 34.6 13.4 100 증감률 6.4 6.3 -3.0 5.7 3.2

■ 소비 전망

애호박 3월 소비의향 지수는 1월(100) 보다 1.4p 상승한101.4로나타났다.

장기간의 경기침체로 가정 내 소비가 많은 애호박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12)

12

3월 상순 백다다기오이 가격 작년 동기보다 높은 수준

�2월 도매가격(가락시장 기준)은 상품 100개에 5만 7,100원 (중품 5만 100원)으로 작년보다 15% 높았다.

�2월 반입량은 흐린 날이 많고 병해충이 발생하는 등 주산지 작황 부진으로 작년보다 2% 적었다.

�3월 상순 가격은 상품 100개에 6만 2,900원(중품 5만 3,100원) 으로 작년보다 31% 높았다.

3월 출하량 작년 동월보다 적을 전망

�3�4월 출하면적 작년보다 각각 1%, 3%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북 상주, 충북 진천은 지자체 시설지원사업으로 신규 시설면적이 늘고, 경기 평택은 최근 가격이 높아 일부 농가가 토마토, 애호박에서 백다다기오이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남 고흥은 일부 농가가 한라봉, 불수감으로 작목을 변경하였고, 충남 공주∙부여는 상대적으로 노동력이 적게 필요한 토마토, 시설감자로 전환하여 감소할 것으로 조사 되었다.

�3월 단수는 겨울철 지속된 저온과 강우, 강설로 인한 일사량 부족으로 생육상황이 부진하여 작년보다 3%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3월 출하량은 출하면적이 늘지만 단수가 낮아 작년보다 2%

적을 전망이다.

주: 일별자료는 5일이동평균치임. 평년은 2005~2009년의 일별자료 중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자료: 서울시 농수산물공사.

백다다기오이 도매가격 동향 (상품)

백다다기오이 반입량 동향

백다다기오이 출하예상량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1)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2)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모니터 조사치.

3월 4월

출하예상면적1) 1.2 2.7

2) -3.2 -

출 하 예 상 량 -2.0 2.7

3월 지역별 출하면적∙단수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경기 충청 호남 영남 전국

가중치 12.3 39.5 15.4 32.8 100 면적 18.1 -1.1 -16.5 6.5 1.2 단수 1.8 -5.1 -3.9 -2.2 -3.2

(13)

백다다기오이 월별 도매가격 단위: 원/100개

주 1) 평년가격은 2005�2009년의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2) ( )는 1~9일 평균가격임.

자료: 서울시 농수산물공사(가락시장 기준).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0년 상품 42,319 57,079 (62,856) 중품 37,222 50,140 (53,101)

2009년 상품 46,963 49,677 41,002 28,096 22,456 20,309 28,958 29,033 25,023 18,326 34,793 37,508 중품 42,559 44,760 35,999 25,303 19,477 17,141 21,977 22,140 18,977 14,503 28,663 31,975 상품 41,214 41,584 34,806 27,000 20,819 16,446 25,755 30,431 23,121 23,678 29,937 35,822 중품 36,533 34,152 29,232 23,312 16,923 13,430 18,540 20,830 16,462 18,580 24,808 30,755

최근 가격 높아 3�4월 정식 증가할 듯

3월 가격 작년 동월보다 높을 듯

�3월 도매가격(가락시장 기준)은 출하량이 적고 소비의향도 높아(1월 대비 13p 증가한 112.5) 작년보다 높은 상품 100개에 4만 3천�4만 7천원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3월 상순 가격 보다 낮은 수준이다.

3~4월 정식면적 작년보다 증가할 전망

�1월 정식면적은 충청지역의 일부 농가가 시설감자로 전환 하거나 최근 가격이 높아 재배를 연장해 작년보다 2%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월은 경기지역에서 재배규모가 확대되고, 평택의 토마토, 봄배추 재배농가 일부가 백다다기오이로 전환하여 작년 보다 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월은 전남 강진의 일부 지역에서 친환경 오이 수요 증가로 재배면적을 다소 늘려 작년보다 2%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4월 정식은 작년보다 1%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몇 년간 점차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기온의 영향으로 강원 일부 지역의 4월 정식면적이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월별 정식(의향)면적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1월 2월 3월 4월

가중치 23.2 34.3 20.1 22.4 100 증감률 -1.9 4.1 1.8 1.0 1.5

■ 도매시장 오이 반입량 동향

백다다기오이 소비 증가로 2010년 2월 영남지역 도매시장 반입비중은 2007년 보다 2�4%p 증가하였다.

■ 주요 도매시장 2월 오이 반입비중 단위: %

백다다기 취청 가시

광주

2010년 0.5 91.7 7.8 2007년 0.6 72.1 27.2 증감률(%p) -0.1 19.5 -19.4 대구

2010년 5.9 24.6 69.5 2007년 3.7 35.3 61.1 증감률(%p) 2.2 -10.7 8.5 부산

2010년 7.3 30.8 61.8 2007년 3.3 57.5 39.3 증감률(%p) 4.1 -26.7 22.6

자료: 주요도매시장(광주각화, 대구북부, 부산반여).

지역별 정식(의향)면적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경기 강원 충청 호남 영남 전국 1월 가중치 9.9 - 87.1 - 3.0 100 증감률 1.4 - -2.3 - 0.0 -1.9 2월 가중치 42.3 1.3 52.9 0.4 3.1 100 증감률 4.9 0.0 3.7 0.0 2.9 4.1 3월 가중치 32.7 4.2 62.7 0.4 - 100 증감률 -0.1 -0.3 2.9 2.8 - 1.8 4월 가중치 46.7 49.6 3.5 0.2 - 100 증감률 0.0 2.0 0.2 0.0 - 1.0

(14)

3월 상순 취청오이 가격 작년 동기보다 높아

�2월은 호남지역에서 흐린 날이 많아 병해충 발생 등 작황 부진으로 반입량이 작년보다 6% 감소하여 도매가격(가락시장 기준)은 상품 50개에 3만 5,400원(중품 3만 2,700원)으로 작년 보다 16% 높았다.

�3월 상순 가격은 상품 50개에 4만 700원(중품 3만 7,800원) 으로 작년보다 22% 높았다.

3월 가격 작년 동월보다 높을 듯

�3월 출하면적은 작년보다 6%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 구례는 일부 농가가 상대적으로 노동력이 적게 필요한 애호박 으로 전환하였고, 전남 여수는 연작장애와 병해충 피해를 줄이기 위해 토마토, 호박으로 전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월 출하량이 겨울철 기상악화로 9% 적어 가격은 작년보다 높은 상품 50개에 2만 6천~3만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3월 상순 가격보다 낮은 수준이다.

3월 정식면적 작년 동월보다 감소 전망

�3월은 지속적인 취청오이 가격 상승으로 인한 연장재배로 전남 순천의 일부 농가가 정식을 늦춰 정식면적이 5% 줄지만 4월은 강원 일부지역의 재배의향 증가로 작년보다 3% 늘 것으로 나타났다.

14

겨울철 기상악화로 출하량 적어 가격 높을 전망

취청오이 월별 도매가격

단위: 원/50개

주 1) 평년가격은 2005�2009년의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2) ( )는 1~9일 평균가격임.

자료: 서울시 농수산물공사(가락시장 기준).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0년 상품 23,046 35,428 (40,736) 중품 20,891 32,747 (37,752)

2009년 상품 27,537 30,610 24,785 15,136 15,718 13,902 14,539 11,433 9,382 7,858 26,273 22,691 중품 25,502 28,791 22,588 13,443 13,572 11,316 11,173 9,312 7,294 6,189 22,544 19,355 상품 21,874 21,828 18,840 14,127 12,819 11,734 14,671 14,671 12,047 13,770 24,680 22,620 중품 20,080 19,752 17,204 12,544 11,054 9,371 11,057 11,057 8,924 10,896 20,385 19,391

취청오이 도매가격 동향 (상품)

자료: 서울시 농수산물공사.

취청오이 출하예상량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1)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2)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모니터 조사치.

3월 4월

출하예상면적1) -5.9 -6.6

2) -2.7 -

출 하 예 상 량 -8.5 -6.6

3월 지역별 출하면적∙단수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호남 영남 전국

가중치 99.9 0.1 100

면적 -5.9 5.0 -5.9

단수 -2.7 0.0 -2.7

월별 정식(의향)면적 작년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2월 26일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

1월 2월 3월 4월

가중치 9.4 25.0 15.6 50.0 100 증감률 -6.8 -2.8 -4.9 3.2 -0.4

(15)

수입과일 - 오렌지

■오렌지 수입량

단위: 톤

주: 평년은 2005~2009년 월별 수입량 중 최대, 최소 제외한 평균임.

자료: 한국무역협회.

■ 2월 오렌지 수입량 작년보다 38% 많아

2월 오렌지 수입량은 작년보다 38% 많은 9,083톤이 었다. 이는 평년보다 30% 적은 양이다.

국내 도매가격(가락시장 기준)은 네이블 상품 18kg 한 상자에 3만 8,900원으로 작년보다 21% 낮았다.

■ 3월 오렌지 수입량 평년보다 적을 듯

3월 수입량은 작년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평년보다 적은 양이 수입될 것으로 보인다.

캘리포니아 지역은 잦은 강우로 인한 기상여건 악화로 수확이 지연되고 있으며 품질 또한 좋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07년 12,020 9,768 15,887 21,076 5,120 486 1,788 1,713 1,557 889 1,201 6,166 2008년 9,265 14,334 34,660 30,566 8,416 1,974 1,438 1,067 2,281 2,593 218 1,075 2009년 2,481 6,576 17,740 26,473 9,540 1,232 164 889 2,486 1,751 85 1,804 2010년 4,854 9,083

평 년 8,324 13,051 28,991 28,935 9,557 1,626 1,336 1,223 2,168 2,065 294 3,823

■오렌지 도매가격(상품)

단위: 원/18kg 상자

주 1) ’08년 10월, ’09년 9~10월은 15kg를 18kg로 환산한 가격임. 11~5월은 네이블, 6~10월은 발렌시아 기준임.

2) 평년은 2005~2009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자료: 서울시 농수산물공사(가락시장 기준).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07년 39,740 41,713 42,037 42,447 41,736 - 50,635 41,500 - - 45,981 35,346 2008년 23,280 26,000 31,096 34,146 42,648 39,231 35,278 30,673 34,000 33,500 - 56,725 2009년 51,727 48,979 54,942 48,712 47,442 - 44,907 52,481 35,684 31,620 - 48,708 2010년 41,875 38,932

평 년 36,589 37,021 36,815 39,621 42,393 37,645 35,261 41,782

과채관측 5월호 예고(예정일자: 2010. 4. 12)

이『농업관측월보』는 인터넷(http://aglook.krei.re.kr) 및 농업전문지를 통해서도 볼 수 있습니다. 『농업관측월보』와 관련하여 의견이 있으신 분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 내의【질문 & 답변】을 선택한 후【쓰기】를 이용하여 의견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저희 연구원 홈페이지【KREI회원】에 가입하시면 농업관측월보를 전자우편(e-mail)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 홈페이지 ☞ http://www.krei.re.kr ☎ 02) 3299-4311 FAX: 02) 957-4572 http://www.mifaff.go.kr ☎ 02) 500-1673 FAX: 02) 507-3961

담당자: 정호근(과일과채관측팀장), 김수림(오이, 호박), 지현서(토마토, 딸기), 김종규(수박, 참외), 서은희(기상, 그래픽) 재배의향면적 :수박, 참외, 백다다기오이, 취청오이, 애호박, 일반토마토, 방울토마토 재 배 면 적 :수박, 백다다기오이, 취청오이, 애호박, 일반토마토, 방울토마토, 딸기 황 :수박, 백다다기오이, 취청오이, 애호박, 일반토마토, 방울토마토, 딸기 가 격 동 향 :수박, 백다다기오이, 취청오이, 애호박, 일반토마토, 방울토마토, 딸기 기 상 예 보 : 5~6월 기상

(16)

16

�기상청(www.kma.go.kr), 2010년 3월 3일 발표

순별 예보

�3월 중순: 기온은 평년(평균기온 -1~10℃)과 비슷하고, 강수량은 평년(9~52㎜)보다 많음.

�3월 하순: 기온은 평년(평균기온 1~11℃)보다 높고, 강수량은 평년(14~41㎜)과 비슷함.

�4월 상순: 기온은 평년(평균기온 4~13℃)보다 높고, 강수량은 평년(17~58㎜)과 비슷함.

월별 기상예보

�4월: 이동성 고기압과 기압골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아 기온변화가 크지만 전반적인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고, 일교차가 큰 날이 많음. 전반적인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 하나, 지역적인 차이가 큼.

�5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맑은 날이 많고 기온은 평년보다 높음. 남쪽 기압골의 영향을 받아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한두 차례 많은 비가 오겠으며, 전반적인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음.

2월 일사량 합계

2월 일조시간 합계

이「농업관측(과채)」은 농림수산식품부 지원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농업인들의 재배의향, 작황, 가격 등 각종 통계자료를 수집∙분석한 후, 농업 및 통계 전문가들에 자문하여 작성한 것입니다. 전망 결과는 앞으로 기상 및 수급여건의 변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10년 3월 중순~4월 상순

기상 상 예

예보 보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