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배포 , 전송 , 전시 ,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
l 귀하는 ,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
Disclaimer
저작자표시 .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
비영리 .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
변경금지 .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
∞ ∞ ∞
∞ ∞
〈 ′ ′ 〉 ′ ′
〈 〉 ∝
그림 2 확산음장의 모습. 파란 점들은 음원을, 빨간 원은 수신기를 의미한다.
π π
-5 -4 -3 -2 -1 0 1 2 3 4 5 x 10-3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
time
amplitude
-5 -4 -3 -2 -1 0 1 2 3 4 5
x 10-3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
time
amplitude
-5 -4 -3 -2 -1 0 1 2 3 4 5
x 10-3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time
amplitude
-5 -4 -3 -2 -1 0 1 2 3 4 5
x 10-3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time
amplitude
-5 -4 -3 -2 -1 0 1 2 3 4 5
x 10-3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dC/dt, num of sources: 300
time
amplitude
-5 -4 -3 -2 -1 0 1 2 3 4 5
x 10-3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
time
amplitude
그림 3 평균수에 따른 그린함수 도출 결과.
-5 -4 -3 -2 -1 0 1 2 3 4 5 x 10-3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
time
amplitude
-5 -4 -3 -2 -1 0 1 2 3 4 5
x 10-3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
time
amplitude
-5 -4 -3 -2 -1 0 1 2 3 4 5
x 10-3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time
amplitude
-5 -4 -3 -2 -1 0 1 2 3 4 5
x 10-3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time
amplitude
-5 -4 -3 -2 -1 0 1 2 3 4 5
x 10-3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
time
amplitude
-5 -4 -3 -2 -1 0 1 2 3 4 5
x 10-3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
time
amplitude
그림 4 음원의 수에 따른 그린함수 도출 결과.
-5 -4 -3 -2 -1 0 1 2 3 4 5 x 10 -3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time
am p lit ude
그림 5 평균수:200, 음원의 수:300
Δ
그림 6 알루미늄 철판 모습
그림 7 신호 절단 과정. 왼쪽 상단: 두 가속도계에 들어오는 신호 (raw signal)의 형태. 오른쪽 상단: 이를 확대한 모습.
하단: 각 가속도계의 신호에서 0.4초씩 잘라낸 모습.
-6 -4 -2 0 2 4 6 x 10 -3 -1
-0.8 -0.6 -0.4 -0.2 0 0.2 0.4 0.6 0.8 1
그림 8 격자1번에서 충격을 줄 때 신호들의 상관관계 함수. 신호 절단 0.05~0.1초
-6 -4 -2 0 2 4 6 x 10 -3 -1
-0.8 -0.6 -0.4 -0.2 0 0.2 0.4 0.6 0.8 1
time
그림 9 평균수 194로 평균한 결과
-6 -4 -2 0 2 4 6 x 10
-3-1
-0.8 -0.6 -0.4 -0.2 0 0.2 0.4 0.6 0.8 1
그림 10 상호상관 관계 함수 미분 결과
′
∆
시간 평균(|forward-backward|)
① 0~0.05초 0.05904
② 0.025~0.075초 0.0466
③ 0.04~0.09초 0.04628
④ 0.05~0.1초
0.04517
⑤ 0.06~0.11초 0.0478
⑥ 0.075~0.125초 0.0471
⑦ 0.1~0.15초 0.048
⑧ 0.125~0.175초 0.04675
⑨ 0.15~0.2초 0.05238
표 1 절단 시간에 따른(시간 간격 0.05초 고정) 차이의 평균값 분석
-6 -4 -2 0 2 4 6 x 10
-3-1
-0.8 -0.6 -0.4 -0.2 0 0.2 0.4 0.6 0.8 1
그림 11 그린함수 도출 결과. 평균수 194, 절단 시간 영역 0.05~0.1초
-6 -4 -2 0 2 4 6
x 10
-3-1
-0.8 -0.6 -0.4 -0.2 0 0.2 0.4 0.6 0.8 1
그림 12 그린함수 도출 결과. 평균수 194, 절단 시간 영역 0.1~0.15초
시간 평균(|forward-backward|)
① 0~0.1초 0.05245
② 0.025~0.125초 0.04533
③ 0.05~0.15초
0.04398
④ 0.075~0.175초 0.04588
⑤ 0.1~0.2초 0.04757
⑥ 0.125~0.225초 0.04669
표 2 절단 시간에 따른(시간 간격 0.1초 고정) 분석
시간 평균(|forward-backward|)
① 0~0.15초 0.0514
② 0.025~0.175초 0.04474
③ 0.05~0.2초
0.04368
표 3 절단 시간에 따른(시간 간격 0.15초 고정) 분석
-6 -4 -2 0 2 4 6
x 10
-3-1
-0.8 -0.6 -0.4 -0.2 0 0.2 0.4 0.6 0.8 1
그림 13 평균수 194, 절단 시간 영역 0.2~0.25초
그림 14 신호 절단 0.05~0.1초에 평균수에 따른 평균값 결과
그림 15 신호 절단 0~0.05초에 평균수에 따른 평균값 결 과
그림 16 신호 절단 0.1~0.15초에 평균수에 따른 평균값 결과
-6 -4 -2 0 2 4 6 x 10
-3-1
-0.8 -0.6 -0.4 -0.2 0 0.2 0.4 0.6 0.8 1
그림 17 절단 신호 0~0.15초를 0.05간격으로 분할(N=582개) 결과
절단 시간 절단 시간간격 평균수 평균(|forward-backward|)
0~0.15초 0.15 194 0.0514
① 0~0.15초 0.05 582 0.04411
② 0~0.15초 0.03 970 0.04185
③ 0~0.15초 0.015 1940 0.03904
0~0.1초 0.1 194 0.05245
④ 0~0.1초 0.05 388 0.04673
⑤ 0~0.1초 0.02 970 0.04521
0.05~0.15초 0.1 194 0.04398
⑥ 0.05~0.15초 0.05 388 0.04276
⑦ 0.05~0.15초 0.02 970 0.04088
0~0.05초 0.05 194 0.05904
⑧ 0~0.05초 0.025 388 0.05443
0.05~0.1초 0.05 194 0.04517
⑨ 0.05~0.1초 0.025 388 0.04173
0.1~0.15초 0.05 194 0.048
⑩ 0.1~0.15초 0.025 388 0.0454
표 4 분할 시간 간격의 변화에 따른 결과
∥ for ∥∥ ∥
for ×
for ×
for
그림 18 격자수 20에 간격1인 경우, 격자 위치를 뽑는 방법
그림 19 격자수 20에 간격2인 경우, 격자 위치를 뽑는 방법
그림 20 찰흙이 두 센서 사이에 위치할 때.
그림 21 1차 실험 결과. N=20, 격자 간격=1
그림 22 1차 실험 결과. N=30, 격자 간격=1
그림 23 1차 실험 결과. N=20, 격자 간격=2
그림 24 2차 실험 추가 결과. N=20, 격자 간격=1.
그림 25 2차 실험 추가 결과. N=30, 격자 간격=1.
그림 26 2차 실험 추가 결과. N=20, 격자 간격=2.
그림 27 찰흙의 위치 별 사진. 왼쪽부터 상황(case)1, 상황2, 상황3
그림 28 다양한 위치 실험 결과. N=20, 격자 간격=1
그림 29 다양한 위치 실험 결과. N=20, 격자 간격=2
그림 30 다양한 위치 실험 결과. N=30, 격자 간격=1
그림 31 다양한 위치 실험 결과. N=30, 격자 간격=2
그림 32 다양한 위치 실험 결과. N=40, 격자 간격=1
그림 33 다양한 위치 실험 결과. N=50, 격자 간격=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