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 - S-Spac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 - S-Space"

Copied!
146
0
0

Teks penuh

(1)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2) 국문 초록. 뚝갈의 배당체 성분 연구 Glycosides from the Aerial Parts of Patrinia villosa. Patrinia속 식물은 마타리과 (Valerian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 이 풀로 동아시아와 북미지방에 분포되어 있으며, 세계적으로는 20 여. 종이.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의. ShenNongBenCaoJing (신농본초경)에 기술되어 있는 한약재로 2000년 전부터 사용되어 온 약용식물로 청열, 해독, 배농파어 (排 膿破瘀)의 효능이 있어 충수염, 하리, 목적종통 (目赤腫痛), 적백대 하, 산후어체복통 (産後瘀滯腹痛)의 치료에 이용 되어왔다. 뚝갈 (뚜갈)은 전초를 백화패장 (白花敗醬) 이라고 하며, 항종양, 항염 및 항산화 등의 효능연구가 수행되었으며, 피부염증, 급성충수염, 간 염, 편도선염, 월경통과 자국내막증의 치료에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나라에는 4 종 [P. scabiosaefolia Fisch. (마타리, 황화 패장 (黃花敗醬), P. saniculaefolia Hemsl. (금마타리), P. rupestris Juss. (돌마타리) 및 P. villosa (Thunb.) Juss. (뚝갈, 백화패장 (白 花敗醬)]의 Patrinia 속 식물이 자생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 에서 자생하는 뚝갈에 관한 성분 연구는 전혀 보고된 것이 없다. 따 라서 국내에서 자생하는 뚝갈을 채집하여 성분 연구에 착수하여 이 로부터 새로운 화합물을 분리하여 이들의 화학구조를 구명하였다. I. (3) 그 결과 3종의 iridoid [loganin (6), valerosidate (7) 및 loganic acid (11)], 3종의 flavonoid glycoside [kaempferol 3-O-4'"acetylrhamninoside (8), catharticin (9) 및 kaempferol 3-Orhamninoside (10)] 등 6종의 알려진 화합물들 외에 지금까지 밝 혀지지 않은 5종의 새로운 성분 (compound 1`~ 5)들을 분리 하였 다. 이들 성분들은 1D-, 2D-NMR과 MS 등의 분광학적 방법 및 화학적 방법 등을 통해 구조를 구명하였다. Compound 1 ~ 5는 각 각 2종의 flavonoid glycoside (1, 2), 1종의 iridoid (3) 및 2종의 saponin (4, 5) 계 성분들로 확인하고 각각의 구조를 구명하여 patriviloside 1 (1), patriviloside 2 (2), patrinovalerosidate (3), patrinoviloside A (4) 및 patrinoviloside B (5) 로 명명하고 이들의 화학구조를 각각 rhamnocitrin 3-O-α-L-rhamnopyranosyl-(1 →3)-(4ʹʹʹ-O-acetyl-α-L-rhamnopyranosyl)-(1→6)-β-Dgalactopyranoside. (1),. rhamnocitrin. 3-O-4ʹʹʹ-. acetylrhamninoside 5-O-β-D-glucopyranoside (2), 1-Oisovaleroxyl-11-O-β-D-glucopyranosyl. jatamanin. J. (3),. mesembryanthemoidigenic acid 3-O-β-D-xylopyranosyl-(1 →4)-β-D-glucopyranosyl-(1→3)-α-L-arabinopyranoside (4) 및 3-O-β-D-glucopyranosyl-(1→3)-(2-O-acetyl-αL-arabinopyranosyl). ursolic acid 28-O-β-D-apiofuranosyl-. (1→4)-β-D-glucopyranosyl-(1→4)-β-D-glucopyranosyl ester (5)로 밝혔다. 6종의 기지물질 가운데 valerosidate (7), kaempferol 3-O-4ʹʹʹ-acetylrhamninoside (8), catharticin (9) 및 loganic acid (11) 등 4종의 화합물들은 이 식물로부터는 처음으 II. (4) 로 분리, 동정 되었다. 주요어: Patrinia villosa (Thunb.) Juss., Valerianaceae, flavonoid, iridoid, saponin, isolation and structure elucidation. 학번: 2009-30471. III. (5) List of Contents 국문초록. I. List of Contents. IV. List of Schemes. VII. List of Tables. VIII. List of Figures. IX. List of Abbreviations. XV. I. 서론. 1. II. 재료 및 실험. 10. 1. 식물 재료. 10. 2. 기기 및 시약. 10. 2.1. 시약. 10. 2.2. 기기. 11. 3. 성분 분리. 12. 3.1. 추출 및 분획. 12. 3.2. 분리 및 정제. 13 IV. (6) 3.3. 화합물의 분광분석 data. 17. 3.3.1. Compound 1. 17. 3.3.2. Compound 2. 18. 3.3.3. Compound 3. 19. 3.3.4. Compound 4. 19. 3.3.5. Compound 5. 20. 3.3.6. Compound 6. 21. 3.3.7. Compound 7. 22. 3.3.8. Compound 8. 23. 3.3.9. Compound 9. 24. 3.3.10. Compound 10. 25. 3.3.11. Compound 11. 26. 3.4. 화합물 1~5, 8~10의 산 가수분해 및 당 성분의 확인 28 3.4.1. 산 가수분해. 28. 2.4.2. GC 분석. 28. III. 결과 및 고찰. 30. 1. Compound 1의 구조. V. 30. (7) 2. Compound 2의 구조. 40. 3. Compound 3의 구조. 49. 4. Compound 4의 구조. 59. 5. Compound 5의 구조. 67. 6. Compound 6의 구조. 77. 7. Compound 7의 구조. 82. 8. Compound 8의 구조. 91. 9. Compound 9의 구조. 101. 10. Compound 10의 구조. 110. 11. Compound 11의 구조. 118. IV. 결론. 122. 참고문헌. 124. VI. (8) List of Schemes. Scheme 1.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of the dried aerial parts of P. villosa. 12. Scheme 2. Isolation of compounds 1 ~ 11 from BuOH fraction of MeOH extract of P. villosa. VII. 16. (9) List of Tables. Table 1. Chemical contituents from Patrinia villosa. 4. Table 2. 화합물들의 가수분해물 및 당 표준품들의 GC 분석 결과. 29. Table 3. NMR data of compounds 1 and 2. 35. Table 4. NMR data of 3 in CD3OD. 54. Table 5. NMR data of 4 in pyridine-d5. 63. Table 6. NMR data of 5 in pyridine-d5. 72. Table 7.. 13. 79. Table 8.. 13. 96. C-NMR data of compounds 6, 7 and 11 C-NMR data of compounds 8, 9 and 10. VIII. (10) List of Figures. Figure 1. Chemical structures of the isolates from P. villosa. 6. Figure 2. Key HMBC correlations of compound 1. 34. Figure 3. 1H-NMR spectrum of compound 1 in DMSO-d6. 36. Figure 4..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1 in DMSO-d6. 36. Figure 5. HMQC spectrum of compound 1 in DMSO-d6. 37. Figure 6. HMBC spectrum of compound 1 in DMSO-d6. 37. Figure 7. IR spectrum of compound 1. 38. Figure 8. FABMS spectrum of compound 1. 38. Figure 9. UV spectra of compound 1 in MeOH (left trace) and NaOMe (right trace). 39. Figure 10. UV spectra of compound 1 in NaOAc (left trace) and NaOAc/H3BO3 (right trace). 39. Figure 11. UV spectra of compound 1 in AlCl 3 (left trace) and AlCl3/HCl (right trace). 39. Figure 12. Key HMBC correlations of compound 2. 44. Figure 13. 1H-NMR spectrum of compound 2 in CD3OD. 45. IX. (11) Figure 14..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2 in CD3OD. 45. Figure 15. HMQC spectrum of compound 2 in CD3OD. 46. Figure 16. HMBC spectrum of compound 2 in CD3OD. 46. Figure 17. FABMS spectrum of compound 2. 47. Figure 18. IR spectrum of compound 2. 47. Figure 19. UV spectra of compound 2 in MeOH (left trace) and NaOMe (right trace). 48. Figure 20. UV spectra of compound 2 in NaOAc (left trace) and NaOAc/H3BO3 (right trace). 48. Figure 21. UV spectra of compound 2 in AlCl 3 (left trace) and AlCl3/HCl (right trace) Figure 22. Key. 1. 48. H- 1 H COSY (bolt line) and long range. correlations (dot line) of compound 3. 52. Figure 23. Important HMBC correlations of compound 3. 52. Figure 24. 1H-NMR spectrum of compound 3 in CD3OD. 55. Figure 25..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3 in CD3OD. 55. Figure 26. HMQC spectrum of compound 3 in CD3OD. 56. Figure 27. HMBC spectrum of compound 3 in CD3OD. 56. Figure 28. 1H-1H COSY spectrum of compound 3 in CD3OD 57 Figure 29. NOESY spectrum of compound 3 in CD3OD. X. 57. (12) Figure 30. FABMS spectrum of compound 3. 58. Figure 31. IR spectrum of compound 3. 58. Figure 32. Important HMBC correlations of compound 4. 62. Figure 33. 1H-NMR spectrum of compound 4 in pyridine-d5 64 Figure 34..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4 in pyridine-d5 64. Figure 35. HMQC spectrum of compound 4 in pyridine-d5 65 Figure 36. HMBC spectrum of compound 4 in pyridine-d5 65 Figure 37. (-)FABMS spectrum of compound 4. 66. Figure 38. IR spectrum of compound 4. 66. Figure 39. Key HMBC correlations of compound 5. 73. Figure 40. 1H-NMR spectrum of compound 5 in pyridine-d5 74 Figure 41..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5 in pyridine-d5 74. Figure 42. HMQC spectrum of compound 5 in pyridine-d5 75 Figure 43. HMBC spectrum of compound 5 in pyridine-d5 75 Figure 44. (-)FABMS spectrum of compound 5. 76. Figure 45. IR spectrum of compound 5. 76. Figure 46. 1H-NMR spectrum of compound 6 in pyridine-d5 80 Figure 47..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6 in pyridine-d5 80. XI. (13) Figure 48. FABMS spectrum of compound 6. 81. Figure 49. IR spectrum of compound 6. 81. Figure 50. Key. 1. H- 1 H COSY (bolt line) and long range. correlations (dot line) of compound 7. 85. Figure 51. Important HMBC correlations of 7. 85. Figure 52. 1H-NMR spectrum of compound 7 in CD3OD. 87. Figure 53..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7 in CD3OD. 87. Figure 54. HMQC spectrum of compound 7 in CD3OD. 88. Figure 55. HMBC spectrum of compound 7 in CD3OD. 88. Figure 56. 1H-1H COSY spectrum of compound 7 in CD3OD 89 Figure 57. NOESY spectrum of compound 7 in CD3OD. 89. Figure 58. FABMS spectrum of compound 7. 90. Figure 59. IR spectrum of compound 7. 90. Figure 60. Key HMBC correlations of compound 8. 95. Figure 61. 1H-NMR spectrum of compound 8 in DMSO-d6. 97. Figure 62..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8 in DMSO-d6. 97. Figure 63. HMQC spectrum of compound 8 in DMSO-d6. 98. Figure 64. HMBC spectrum of compound 8 in DMSO-d6. 98. Figure 65. FABMS spectrum of compound 8. 99. XII. (14) Figure 66. IR spectrum of compound 8. 99. Figure 67. UV spectra of compound 8 in MeOH (left trace) and NaOMe (right trace). 100. Figure 68. UV spectra of compound 8 in NaOAc (left trace) and NaOAc/H3BO3 (right trace). 100. Figure 69. UV spectra of compound 8 in AlCl3 (left trace) and AlCl3/HCl (right trace). 100. Figure 70. Key HMBC correlations of compound 9. 105. Figure 71. 1H-NMR spectrum of compound 9 in CD3OD. 106. Figure 72..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9 in CD3OD. 106. Figure 73. HMQC spectrum of compound 9 in CD3OD. 107. Figure 74. HMBC spectrum of compound 9 in CD3OD. 107. Figure 75. FABMS spectrum of compound 9. 108. Figure 76. IR spectrum of compound 9. 108. Figure 77. UV spectra of compound 9 in MeOH (left trace) and NaOMe (right trace). 109. Figure 78. UV spectra of compound 9 in NaOAc (left trace) and NaOAc/H3BO3 (right trace). 109. Figure 79. UV spectra of compound 9 in AlCl3 (left trace) and AlCl3/HCl (right trace) XIII. 109. (15) Figure 80. Key HMBC correlations of compound 10. 113. Figure 81. 1H-NMR spectrum of compound 10 in DMSO-d6 114 Figure 82..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10 in DMSO-d6114. Figure 83. HMQC spectrum of compound 10 in DMSO-d6. 115. Figure 84. HMBC spectrum of compound 10 in DMSO-d6. 115. Figure 85. FABMS spectrum of compound 10. 116. Figure 86. IR spectrum of compound 10. 116. Figure 87. UV spectra of compound 10 in MeOH (left trace) and NaOMe (right trace). 117. Figure 88. UV spectra of compound 10 in NaOAc (left trace) and NaOAc/H3BO3 (right trace). 117. Figure 89. UV spectra of compound 10 in AlCl3 (left trace) and AlCl3/HCl (right trace) Figure 90. 1H-NMR spectrum of compound 11 in CD3OD Figure 91..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11 in CD3OD. 117 120 120. Figure 92. FABMS spectrum of compound 11. 121. Figure 93. IR spectrum of compound 11. 121. XIV. (16) List of Abbreviation AlCl3. Aluminium chloride. Br BuOH. Broad n-Butyl alcohol. CD3OD. Methanol-d4. CHCl3. Chloroform. CH2Cl2. Methylene chloride. COSY. Correlation Spectroscopy. D Dd Dt DMSO-d6. Doublet Doublet of doublets Doublet of triplets Dimethyl sulfoxide-d6. EtOAc. Ethyl acetate. FABMS H3BO3. Fast Atom Bombardment Mass Spectroscopy Boric acid. HCl. Hydrochloric acid. HMBC HMQC HR IR M MeOH NaOAc NaOMe. Heteronuclear Multiple Bond Correlation Heteronuclear Multiple Quantum Correlation High Resolution Infrared Multiplet Methyl alcohol Sodium acetate Sodium methoxide. NMR NOESY. Nuclear Magnetic Resonance Nuclear Overhauser Enhancement Spectroscopy. S SiO2. Singlet Silica gel. T. Triplet. TLC UV. Thin Layer Chromatography Ultraviolet. XV. (17) I. 서론 Patrinia 여러해살이. 속 풀로. 식물은. 마타리과. 동아시아와. (Valerianaceae)에. 북미지방에. 분포되어. 속하는 있으며,. 세계적으로는 20 여 종이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중국의. ShenNongBenCaoJing. (신농본초경)에. 기술되어. 있는. 한약재로 2000 년 전부터 사용되어 온 약용식물로 청열, 해독, 배농파어. (排膿破瘀)의. 효능이. 있어. 충수염,. 하리,. 목적종통. (目赤腫痛), 적백대하, 산후어체복통 (産後瘀滯腹痛)의 치료에 이용 되어왔다. 뚝갈 (뚜갈)은 전초를 백화패장 (白花敗醬) 이라고 하며, 항종양, 항염 및 항산화 등의 효능연구가 수행되었으며, 피부염증, 급성충수염, 간염, 편도선염, 월경통과 자국내막증의 치료에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뚝갈은 양지에서 자라고, 이 식물의. 형태는 높이가 1m 에 달하고 흰 털이 많으며 밑에서 벋는 가지가 지하 또는 지상으로 자라면서 번식한다. 잎은 대생하고 단순하거나, 깃처럼 갈라지며 길이 3 ~ 15 cm 로서 양면에 흰털이 드문드문 있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밑 부분의 것은 잎자루가 있으나 위로 올라가면서 없어진다. 꽂은 7~8 월에 피고 백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꽃차례 분지에는 원줄기의 하반부와 더불어 퍼지거나 또는 밑을 향한 백색 털이 있다. 꽃부리는 지름 4 mm 로서 5 개로 갈라지며 통부가 짧고 4 개의 수술과 1 개의 암술이 있으며 씨방은 하위이고 3 실로 그 중 1 실만이 열매를 맺는다. 열매는 도란형이며 길이 2~3 mm 로서 뒷면이 둥글고 날개는 원심형 (圓心形)이며 길이와 너비가 각각 5~6 mm 이다. 3) 1. (18) 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뚝갈에 대한 약리학적 활성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뚝갈로부터 유래된 volatile extract와 saponin extract는 각각 antioxidant effect와 antitumor effect가. 있다고. 보고되었으며,4). 뚝갈에서. 분리한. 6종의. flavonoid는 anticancer activity가 있다고 보고 되었다.2) 또한 flavonoid extract는 antifungal activity가 있다고 보고가 되었다. 5) 뚝갈의. 성분. 연구는. 1971년. Greger. 와. Ernet에. 의하여. quercetin과 kaempferol을 분리 보고6)를 시작으로 연구가 수행 되었으며, Table 1에서와 같이 현재까지 47 종의 화합물들이 분리 보고 되었다. 특히 보고된 화합물들의 절반 이상인 25 종의 flavonoid 성분들이 분리 보고되었다. Flavonoid성분으로는 (2S)5,7,2',6'-tetrahydroxy-6,8-di(γ,γ- dimethylallyl)flavanone,2),7),8),9) (2S)-5,7,2',6'-tetrahydroxy-6-lavandulylflavanone,. 2),7),8),10). (2S)-5,7,2',6'-tetrahydroxy-4'-lavandulylflavanone,2) (2S)5,2',6'-trihydroxy-2'',2''- dimethylpyrano[5'',6'':6,7]flavanone,2),11) (2S,3''S)-5,2',6'-trihydroxy-3''-γ,γ-dimethylallyl-2'',2''dimethyl-3'',4''-dihydropyrano[5'',6'':6,7]flavanone,2),11) kaempferol 3-O-β-rhamninoside,12) orotinin 5-methyl ether,13) licoagrochalcone isoorientin,14) flavovilloside,12). B,2),13). 3'-prenyl-apigenin,7). apigenin,7). orotinin,7),13). quercetin,7),16). rutin,16). isovitexin,14). bolusanthol. B,7). luteolin7). 등이. 보고되었으며, prenylated flavane계통의 화합물이 다수 분리 보고 되었다.. Iridoid. 성분으로는. villosol,15),16). villosolside,16),17). morroniside,18) loganin18) 등 6 종이 분리 보고 되었다. Saponin 2. (19) 성분으로는 sulfapatrinoside I 와 II triterpenoid계. 화합물들로. 12). 가 보고되었다. 그 외에. 3β-hydroxyurs-12-en-28-oic. acid 23-sulfate,12) 3β-hydroxy olean-12-en-28-oic acid 23-sulfate,12). ursolic. acid16). 보고되었으며,. 기타. ferulic. sitosterol,16). daucosterol,16). 및. acid,16). oleanolic. acid15). 등이. palmitic. acid,15). β-. acetate19). 등의. aurentiamide. 화합물들도 분리 보고 되었다(Table 1 참조). 우리 나라에는 4 종 [P. scabiosaefolia Fisch. (마타리, 황화패장 (黃花敗醬), P. saniculaefolia Hemsl. (금마타리), P. rupestris Juss. (돌마타리). 및. P.. villosa. (Thunb.). Juss.. (뚝갈,. 백화패장. (白花敗醬)]의 마타리속 식물이 자생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3) 한국에서 자생하는 뚝갈에 관한 연구는 2010년 Jeon 등20)이 뚝갈의 물 추출물이 angiogenic 유발인자라는 사실을 in vitro 와. in vivo에서 발표한 것 이외에는 수행 된 적이 없다. 따라서 국내에서 자생하는 뚝갈에 관한 화학적 성분 연구에 착수하여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연구결과를 얻었기에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3. (20) Table 1. Chemical constituents from Patrinia villosa Type. Compound name 1. apigenin 2. luteolin. 7). 7),21),22). 3. 5-hydroxy-7,4'-dimethoxyflavone. 21),22). 4. 5-hydroxy-7,3',4'-trimethoxyflavone 5. 3'-prenylapigenin 6. kaempferol 7. quercetin. 21),22). 7). 6). 6),7),16),22). 8. kaempferol 3-O--D-glucoside. 23). 9. kaempferol 3-O--D-glucoside 7-O--L-rhamnoside 10. rutin. 16). 11. kaempferol 3-O-rhamninoside 12. flavovilloside. 12). 12). 13.(2S)-5,7,2',6'-tetrahydroxy-6,8-di(,Flavonoid. dimethylallyl)flavanone. 2),7),8),9). 14. (2S)-5,7,2',6'-tetrahydroxy-6lavandulylflavanone. 2),7),8),10). 15. (2S)-5,7,2',6'-tetrahydroxy-4'- lavandulylflavanone 2),10),11). 16. villosin A 17. villosin B 18. orotinin. 2),11). 7),10),13) 10),13). 19. orotinin 5-methyl ether 20. licoagrochalcone B 21. bolusanthol B 22. tetrapterol I 23. isoorientin 24. isovitexin. 2),13). 7),9),10). 9). 14),22). 14),22). 25. 8-C-glucosylprunetin. 22). 4. 2). 23). (21) Table 1. (continued) Type. Compound name 26. loganin. 18). 27. villoside. 18). 28. (7-OH)-morroniside iridoid 29. villosol. 18). 15),16). 30. villosolside. 15),17). 31. patrinalloside. 23). 15),24). 32. oleanolic acid 33. ursolic acid. 16),23). triterpenoid 34. 3β-hydroxy-urs-12-en-28-oic acid 23-sulfate. 12). 35. 3β-hydroxy-olean-12-en-28-oic acid 23-sulfate 36. sulfapatrinoside I saponin 37. sulfapatrinoside II 38. stigmasterol. 40. daucosterol. 12). 24). 39. β-sitosterol steroid. 12). 16),23),24). 16),24). 41. 7β-hydroxysitosterol lignan alkaloid (amide) phenolic acid. 42. lariciresinol. 25). 43. aurentiamide acetate 44. ferulic acid. 19),24). 16). 45. palmitic acid others. 24). 15),24). 46. n-dotriacontanoic acid 47. n-dotriacontanol. 24). 5. 24). 12). (22) R3. R1 O. O. OH. R2. HO. O R. OH. 1 2 3 4 5. O. R1=R2= H R3= OH R1= H R2=R3= OH R1= CH3 R2= H R3= OCH3 R1= CH3 R2=R3= OCH3 R1= H R2= -CH2OH=(CH3)2. OH OH. O. 6 7. R3= OH. R= H R= OH. OH. HO. O R. OH O. R3 O. OH. O. OH OH. HO O. O. R4. O HO OH. O. 11 12. OH R2. R= H R= OH. O HO O. O. OH. R1. 8 9 10. R1= OH R2=R3=R4=R5= H R1= OH R2=R4=R5= H R3= α-rhamnose R1=R4= OH R2=R3= H R5= α-rhamnose. O HO. OR5. HO OH. HO H HO. HO. O. H HO. OH. O. OH. OH. OH. O. O. 14. 13. 6. (23) HO H HO. O. O. H HO. O. OH. OH. OH. OH. 16. 15. O. O. HO HO. H H O. O. O. O. OH. OH. OH. OH. O. O. 18. 17. HO H O. O. O. HO. OH OCH3. OCH3. O. 19. O HO. O. OH. O OH. 21 HO. OH O. O OH. 22. 7. 20. (24) OH OH. CH2OH OH. HO. HO. O. H3CO. R. O. O. HOH2C. OH. HO HO. OH. 23 24. O. OH. R= OH R= H. O OH. 25. COOCH3. COOCH3. H. H. HOH2C. HO. O. HO. O. HO HO. O. H. OH. O. O. H. H. O O. HOH2C. O. OH. HO HO. H. OH. HO HO. O. 26. 27. O. O. HOH2C. 28. HOH2C O. H. H. OH. O. O. HO. O. O H. 29a 30a. OR. R= H R= β-glucose. O. H. HOH2C. H O. 31. 29 30. O. R1. R1. HO. HO. R. R. 32 35 37. H. OH. HO. HO. OR. O. HO. CH3. CH3. R= CH3 R1= COOH R= CH2OSO3Na R1= COOH R= CH2OSO3Na R1= β-D-glucopyranosyl-(1→6)-β-D-glucopyranoside. 8. 33 34 36. R= CH3 R1= COOH R= CH2OSO3Na R1= COOH R= CH2OSO3Na R1= β-D-glucopyranosyl-(1→6)-β-D-glucopyranoside. (25) H. H. H. R. H. R1. H. 39 40 41. HO. 38. R= OH R= β-glucose R= OH. R1 = H R1= H R1= OH. O. O. OH. O. NH. O HO. O. N H. OCH3 OH. 42. 43 OCH3. COOH. COOH. 45 COOH. 17 OCH3. 46 CH2OH. OH. 44. 47. Figure 1. Chemical structures of the isolates from P. villosa. 9. (26) II. 재료 및 실험 1. 식물재료 본 실험에서 사용한 뚝갈은 경기도 양평군에 소재한 추읍산에서 2010 년 8 월에 채집한 것을 음건하여 사용하였으며,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서영배 교수가 감정하였다.. 2. 기기 및 시약. 2.1 시약.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기 위하여 silica gel 60 을 사용하였다. 용도에 따라 입자의 굵기가 다른 세 가지 (0.0630.200 nm, 0.040-0.063 nm 및 less than 0.063 nm) 종류를 사용하였다. 순상 TLC plate 는 TLC Silica gel 60 F254 (Merck, Art. no. 5715)와 역상 TLC Silica gel 60 RP-18 F254S (Merck, Art. no. 5685)을 사용하였으며, TLC plate 의 발색을 위하여 20% H2SO4 수용액을 분무한 후 hot plate 를 사용하여 가열한 뒤 발색시켜 확인하였다.. 10. (27) 2.2 기기. FABMS data 는 Jeol 사의 JMS-700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IR spectrum. 과. spectrometer. 선광도는 와,. 각각. P1020. Jasco. polarimeter. 사의 로. FT/IR5300. 측정하였다.. UV. spectrum 은 Hitachi 사의 JP/U3010 spectrometer 를 사용하였고, NMR data 는 Bruker 사의 FT-NMR Avance-400 (400 MHz)와 FT-NMR Avance-500. (500. MHz)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GC 분석은 FID 검출기가 부착된 Younglin 사의 YL 6100 GC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1. (28) 3. 성분 분리. 3.1. 추출 및 분획 풍건한 뚝갈 지상부 1.5 kg 을 세절한 후 추출병에 담아 MeOH 를 가하여 80 ℃에서 수욕상에서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3 시간 정도 추출한 후 여과하여 회전농축기를 사용하여 감압 농축하여. MeOH. 엑스를. 얻었다.. 이. 엑스에.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 동량의 n-hexane 을 가하여 진탕시켜 분획여두에 가하여 하루 동안 방치한 후 분획하여 얻은 n-hexane 층을 감압 농축시켜 Hexane 분획 (43 g)을 얻었다. 수층에는 다시 동량의 EtOAc 를 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진탕 방치한 후 분획하여 EtOAc 분획 (22 g)을 얻었다. 다시 수층에 동량의 BuOH 을 가하여 진탕 방치한 후 얻은 BuOH 층을 감압 농축시켜 BuOH 분획 (51 g)을 얻었다.. Scheme 1.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of P. villosa.. 12. (29) 3.2. 분리 및 정제. 서론에서. 밝힌. 바와. 같이. 뚝갈의. 성분연구는. 주로. 비극성. 분획에서 존재하는 비극성물질들의 분리 및 구조결정에 집중하여 수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극성분획 즉 배당체 성분들이 주로 함유되어있는 BuOH 분획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순수 분리를 하였다. BuOH 분획 (51 g)을 silica gel (Merck no. 7734) column 에 걸고 용출용매로 CH2Cl2/MeOH/H2O = 7 : 1 : 0.5 를 사용하여 100 ml 정도씩 flask 에 받아 용출시켰다. TLC 를 사용하여 용출용액. 중에. 용출되는. 성분들이. 거의. 없을. 때. 용출용매를. CH2Cl2/MeOH/H2O = 6 : 4 : 1 로 바꿔 계속하여 용출시켰다. 각 용출액을 감압 농축시켜 얻은 분획물들을 TLC 로 전개시켜 TLC pattern 이 유사한 용출액들을 합하여 13 개의 소분획 (B-1 – B13)을 얻었다. Compound 1 and 7: 소분획 B-4 (6 g)을 EtOAc/MeOH/H2O (100 : 8 : 6 → 100 : 24 : 18)의 용출용매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얻은 소분획 B-4-3 (6.1 g)을 CHCl3/MeOH/H2O (7 : 1 : 0.5 → 7 : 3 : 1)의 용출용매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소분획 B-4-3-5 (1.5 g)을 얻어 이것을 EtOAc/MeOH/H2O (100 : 1 : 1 → 100 : 8 : 6)의 용출용매로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소분획 B-4-35-5 (800 mg)를 얻어 MeOH/H2O (1 : 1 → 7 : 3)의 용출용매로 RP-18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compound 7 (410 mg)과 compound 1 (190 mg)을 얻었다. 13. (30) Compound 2: 소분획 B-8 (7.4 g)을 EtOAc/MeOH/H2O (100 : 16.5 : 13.5 → 100 : 40 : 20)의 용출용매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MeOH/H2O. 를. (9. 실시하여. :. 2)의. 소분획. B-8-6. 용출용매로. (3.9. RP-18. g)을.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소분획 B-8-6-2 (1 g)을 얻어 MeOH/H2O. (10. :. 0.5)의. 용출용매로. RP-18.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얻은 소분획 B-8-6-2-3 (100 mg)을. MeOH/H2O. (1. :. 1)의. 용출용매로. RP-18.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얻은 소분획 B-8-6-2-3-3 (50 mg)을. MeOH/H2O. (6. :. 4)의. 용출용매로. RP-18.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compound 2 (8 mg)을 얻었다. Compound 3: 소분획 B-4-2 (250 mg)를 CHCl3/MeOH/H2O (7 : 1 : 0.5 → 7 : 2 : 0.5)의 용출용매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얻은. 소분획. B-4-2-3. 을. EtOAc/MeOH/H2O (100 : 1 : 1 → 100 : 8 : 6)의 용출용매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얻은 소분획 B4-2-3-3 을 MeOH/H2O (4.5 : 5.5)의 용출용매로 RP-18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compound 3 (8 mg)을 얻었다. Compound 4: 소분획 B-6 (5.3 g)을 EtOAc/MeOH/H2O (100 : 16.5 : 13.5)의 용출용매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얻은 소분획 B-6-3 (1.3 g)을 CHCl3/MeOH/H2O (7 : 2 : 0.5 → 520 : 280 : 80)의 용출용매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소분획 B-6-3-3 을 얻었고 이것을 14. (31) MeOH/CH2Cl2 의 혼합용매로 재결정을 실시하여 copound 4 (4 mg)을 얻었다. Compound 5: 소분획 B-8-5 (300 mg)을 MeOH/H2O (9 : 2)의 용출용매로 RP-18 column chromatoraphy 를 실시하여 소분획 B-8-5-2 (150 mg)을 MeOH/H2O (8 : 2)의 용출용매로 RP-18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compound 5 (10 mg)을 얻었다. Compound 6: 소분획 B-4-2 (250 mg)를 CHCl3/MeOH/H2O (7 : 1 : 0.5 → 7 : 2 : 0.5)의 용출용매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얻은. 소분획. B-4-2-3. 을. EtOAc/MeOH/H2O (100 : 1 : 1 → 100 : 8 : 6)의 용출용매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compound 6 (5 mg)을 얻었다. Compound 8: 소분획 B-6-2 를 얻어 이것을 MeOH/H2O (6 : 4 → 8 : 2)의 용출용매로 RP-18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compound 8 (166 mg)을 얻었다. Compound 9: 소분획 B-6-2-2 를 MeOH/H2O (1 : 1)의 용출용매로. RP-18.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compound 9 (138 mg)을 얻었다. Compound 10: 소분획 B-8-2 (1 g)을 얻어 이것을 MeOH 의 용출용매로.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compound 10 (985 mg)을 얻었다. Compound 11: 소분획 B-9 (5.2 g)을 EtOAc/MeOH/H2O (100 : 16.5 : 13.5 → 100 : 40 : 20)의 용출용매로 silica gel column 15. (32) chromatography. 를. 실시하여. 소분획. B-9-5. (2.7. g)을. MeOH/H2O (gradient) RP-18 column chromatography 를 수 차례 실시하여 얻은 B-9-5-2-2-2 (10 mg)을 MeOH 의 용출용매로.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실시하여 compound 11 (4 mg)을 얻었다.. Scheme 2. Isolation of compounds 1 ~ 11 from BuOH fraction of P. villosa.. 16. 를. (33) 3.3. 화합물의 분광분석 data. 3.3.1. Compound 1. C36H44O20 Yellow amorphous powder. [α]20D 34.6 (c = 0.2, MeOH). IR νmax cm-1: 3390 (OH), 1739, 1215 (OAc), 1657 (α,β-unsat. C=O), 1598, 1588, 1497 (aromatic C=C), 1072, 1039 (glycosidic C-O). UV λmax nm (log ε): (MeOH): 350 (4.57), 266 (4.63) (NaOAc): 398 (4.19), 265 (4.22) (NaOAc+H3BO3); 354 (4.21), 266 (4.25) (NaOMe): 395 (4.69), 269 (4.57) (AlCl3); 398 (4.52), 353 (4.50), 304 (4.37), 274 (4.64) (AlCl3+HCl); 396 (4.45), 350 (4.47), 302 (4.33), 275 (4.59) 1. H-NMR (400 MHz, DMSO-d6) δ: Table 3.. 13. C-NMR (100 MHz, DMSO-d6) δ: Table 3.. FABMS m/z: 819 [M + Na]+, 797 [M + H]+, 651 [(M + H)  146]+, 609 [(M + H)  146  42]+, 463 [(M + H) - (146 ⅹ 2) - 42]+, 301 [M + H) - (146 ⅹ 2) - 42 - 162]+. 17. (34) HRFABMS m/z: 797.2505 (Calcd for C36H45O20: 797.2504).. 3.3.2. Compound 2. C42H54O25 Yellow amorphous powder. [α]21D 83.8 (c = 0.6, MeOH). IR νmax cm-1: 3374 (OH), 1732, 1222 (OAc), 1626 (α,β-unsat. C=O), 1603, 1511 (aromatic C=C), 1447, 1358, 1285, 1222, 1178, 1073, 1041 (glycosidic C-O), 843. UV λmax nm (log ε): (MeOH): 341 (4.40), 259 (4.39) (NaOAc): 395 (4.02), 345 (4.33), 259 (4.39) (NaOAc+H3BO3): 342 (4.42), 259 (4.41) (NaOMe): 396 (4.51), 260 (4.30) (AlCl3): 409 (4.35), 350 (sh, 4.07), 305 (sh, 4.05), 271 (4.43) (AlCl3+HCl): 410 (4.32), 340 (sh, 4.07), 305 (sh, 4.05), 270 (4.41) 1. H-NMR (400 MHz, CD3OD) δ: Table 3.. 13. C-NMR (100 MHz, CD3OD) δ: Table 3.. FABMS m/z: 18. (35) 981 [M + Na]+, 651 [(M + H)  146  162]+, 609 [(M + H)  146  162  42]+, 301 [(M + H)  146 - 162 - 42 - 146 - 162]+. HRFABMS m/z: 981.2863 (Calcd for C42H54O25Na: 981.2852).. 3.3.3. Compound 3. C21H36O10 White amorphous powder. [α]21D 12.9 (c = 0.5, MeOH). IR νmax cm-1: 3413. (OH),. 1715. (ester. carbonyl),. 1652,. 900. methylene), 1077, 1032 (glycosidic C-O). 1. H-NMR (400 MHz, CD3OD) δ: Table 4.. 13. C-NMR (100 MHz, CD3OD) δ: Table 4.. FABMS m/z: 471 [M + Na]+, 449 [M + H]+, 287 [(M + H)  162]+. HRFABMS m/z: 449.2388 (Calcd for C21H37O10: 449.2387).. 3.3.4. Compound 4. C46H74O17 19. (exo. (36) White amorphous powder. [α]22D +31.0 (c = 0.5, MeOH). IR νmax cm-1: 3378. (OH),. 1643. (trisubstituted. C=C),. 1077,. 1043. (glycosidic C-O). 1. H-NMR (500 MHz, pyridine-d5) δ: Table 5.. 13. C-NMR (125 MHz, pyridine-d5) δ: Table 5.. (-)FABMS m/z: 897 [M  H], 765 [(M  H)  132], 603 [(M  H)  132  162], 471 [(M  H)  132  162  132]. HR(-)FABMS m/z: 897.4837 (Calcd for C46H73O17: 897.4848).. 3.3.5. Compound 5. C60H96O27 White amorphous powder. [α]20D 4.8 (c = 0.6, MeOH). IR νmax cm-1: 3397. (OH),. 1737,. 1251. (acetate. carbonyl),. (trisubstituted C=C), 1067, 1034 (glycosidic C-O). 1. H-NMR (400 MHz, pyridine-d5) δ: Table 6.. 13. C-NMR (100 MHz, pyridine-d5)δ: Table 6.. (-)FABMS m/z: 20. 1644. (37) 1247 [M  H], 1115 [(M  H)  132], 1073 [(M  H)  132  42], 953 [(M  H)  132  162], 911 [(M  H)  132  162  42], 791 [(M  H)  132  162  162], 749 [(M  H)  132  162  42  162], 731 [(M  H)  132  162  42  162  18], 629 [(M  H)  132  162  162  162], 587 [(M  H)  132  162  162  162  42], 455 [(M  H)  132  162  162  162  42  132]. HR(-)FABMS m/z: 1247.6086 (Calcd for C60H95O27: 1247.6061).. 3.3.6. Compound 6. C17H26O10 White amorphous powder. [α]24D -103.5 (c = 0.14, MeOH) IR νmax cm-1: 3391(OH),. 1692,. 1634. (carbomethoxy),. 1078,. 1040. (glycosidic C-O). 1. H-NMR (400 MHz, pyridine-d5) δ: 1.20 (3H, d, J = 6.8 Hz, 10-CH3), 1.73 (1H, m, H-6eq), 2.03 (1H, m, H-8), 2.43 (1H, ddd, J = 4.5, 9.0, 13.5 Hz, H-9), 2.64 (1H, dd, J = 8.0, 13.6 Hz, H-6), 3.52 (1H. dd, J = 8.0, 16.5 Hz, H-5), 3.56 (3H, s, COOCH3), 4.22 (1H, br t, J = 4.1 Hz, H-7), 4.39 (1H, dd, J = 5.4, 11.8 Hz, H-6′a), 4.56 21. (38) (1H, dd, J = 1.8, 11.8 Hz, H-6′b), 5.40 (1H, d, J = 7.8 Hz, H-1ʹ), 5.68 (1H, d, J = 4.5Hz, H-1), 7.69 (1H, s, H-3). 13. C-NMR (100 MHz, pyridine-d5)δ: Table 7.. FABMS m/z: 413 [M + Na]+, 391 [M + H]+, 359 [(M + H) - CH3OH]+, 229 [(M + H) - 162]+.. 3.3.7 Compound 7. C21H34O11 White amorphous powder. [α]21D -92.4 (c = 0.5, MeOH) IR νmax cm-1: 3404 (OH), 1741 (ester), 1671 (trisubstituted C=C), 1078, 1040 (glycosidic C-O). 1. H-NMR (400 MHz, CD3OD) δ: 0.96 (6H, d, J = 6.6 Hz, H-4ʹʹ, 5ʹʹ), 1.36 (3H, s, 10-CH3), 1.98 (2H, m, H-6), 2.06 (1H, m, H-3″), 2.20 (2H, d, J = 7.0 Hz, H-2ʹʹ), 2.24 (1H, dd, J = 3.7, 10.3 Hz, H-9), 3.01 (1H, br dd, J = 8.4, 17.5 Hz, H-5), 3.75 (1H, d, J = 11.5 Hz, H7), 3.66 (1H, dd, J = 4.8, 11.8 Hz, H-6′a) 3.86 (1H, d, J = 11.8 Hz, H-6′b), 4.08 (1H, d, J = 11.5 Hz, H-11), 4.25 (1H, d, J = 11.5 Hz, H-11), 4.30 (1H, d, J = 7.7 Hz, H-1′), 6.16 (1H, d, J = 3.7 Hz, H-1), 6.32 (1H, br s, H-3). 22. (39) 13. C-NMR (100 MHz, CD3OD) δ: Table 7.. FABMS m/z: 485 [M + Na]+.. 3.3.8 Compound 8. C35H42O20 Yellow amorphous powder. [α]20D -38.3 (c = 0.6, MeOH) IR νmax cm-1: 3397 (OH), 1728 (carbonyl), 1656 (α,β-unsat. C=O), 1607, 1507 (aromatic C=C), 1073, 1045 (glycosidic C-O). UV λmax nm (log ε): (MeOH): 350 (4.19), 266 (4.26) (NaOAc): 390 (4.20), 309 (4.05), 274 (4.37) (NaOAc+H3BO3): 355 (4.20), 267 (4.27) (NaOMe): 402 (4.39), 327 (4.06), 274 (4.33) (AlCl3): 399 (4.19), 354 (4.16), 304 (sh, 4.06), 274 (4.31) (AlCl3+HCl): 398 (4.12), 349 (4.14), 304 (sh, 4.02), 274 (4.26) 1. H-NMR (400 MHz, DMSO-d6) δ: 8.06 (2H, d, J = 8.7 Hz, H-2′, 6′), 6.87 (2H, d, J = 8.7 Hz, H-3′,5′), 6.42 (1H, br s, H-8), 6.20 (1H, br s, H-6), 5.31 (1H, J = 7.8 Hz, H-1ʹʹ), 4.82 (1H, t, J = 9.8 Hz, H-4ʹʹʹ), 23. (40) 4.51 (1H, br s, H-1′′′′), 4.48 (1H, br s, H-1′′′), 3.63* (1H, H-5′′), 3.61 (1H, dd, J = 3.9, 11.4 Hz, H-6″a), 3.62* (1H, H-5), 3.61* (1H, H-2′′′), 3.58* (2H, H-4″, 5′′′′), 3.56* (1H, H-2″), 3.53* (1H, H-3′′′), 3.44 (1H, br s, H-2′′′′), 3.41* (2H, H-3″, 3′′′′), 3.33 (1H, dd, J = 3.4, 11.4 Hz, H-6″b), 3.13 (1H, t, J = 9.2 Hz, H-4′′′′), 2.00 (3H, s, CH3CO), 0.99 (3H, d, J = 6.1Hz, 6′′′′-CH3), 0.94 (3H, d, J = 6.1 Hz, 6′′′-CH3). *Overlapping signal. 13. C-NMR (100 MHz, DMSO-d6) δ: Table 8.. FABMS m/z: 805 [M + Na]+, 783 [M + H]+, 637 [(M + H) - 146]+, 595 [(M + H) – 146 - 42]+, 449 [(M + H) - (146 ⅹ 2) - 42]+, 287 [(M + H) - (146 ⅹ 2) - 42 - 162]+.. 3.3.9 Compound 9. C34H42O19 Yellow amorphous powder. [α]20D -41.2 (c = 0.6, MeOH). IR νmax cm-1: 3402(OH), 1657 (α,β-unsat. C=O), 1597, 1498 (aromatic C=C), 1068, 1040 (glycosidic C-O). UV λmax nm (log ε): (MeOH): 350 (4.73), 266 (4.79) 24. (41) (NaOAc): 404 (4.70), 264 (4.77) (NaOAc+H3BO3): 352 (4.74), 264 (4.79) (NaOMe): 392 (4.85), 268 (4.76) (AlCl3): 404 (4.71), 354 (4.66), 302 (sh, 4.53), 274 (4.79) (AlCl3+HCl): 404 (4.65), 350 (4.66), 302 (sh, 4.53), 274 (4.77) 1. H-NMR (400 MHz, CD3OD) δ: 8.11 (2H, d, J = 8.8 Hz, H-2ʹ, 6ʹ), 6.88 (2H, d, J = 8.8 Hz, H-3ʹ, 5ʹ), 6.58 (1H, d, J = 2.0 Hz, H-8), 6.33 (1H, d, J = 2.0 Hz, H-6), 5.06 (1H, d, J = 7.8 Hz, H-1ʹʹ), 4.91 (1H, s, H-1ʹʹʹʹ), 4.50 (1H, s, H-1ʹʹʹ), 3.38 (3H, s, OCH3), 1.17 (3H, d,. J = 6.1 Hz, 6ʹʹʹʹ-CH3), 1.12 (3H, d, J = 6.1 Hz, 6ʹʹʹ-CH3). 13. C-NMR (100 MHz, CD3OD) δ: Table 8.. FABMS m/z: 777 [M + Na]+, 755 [M + H]+, 463 [(M + H) - (146 ⅹ 2)]+, 301 [(M + H) - (146 ⅹ 2) - 42 - 162]+.. 3.3.10. Compound 10. C33H30O19 Yellow amorphous powder. [α]20D -41.1 (c = 0.7, MeOH) IR νmax cm-1:. 25. (42) 3377 (OH), 1656 (α,β-unsat. C=O), 1607, 1507 (aromatic C=C). UV λmax (logε): (MeOH): 351 (4.47), 266 (2.54) (NaOAc): 376 (4.41), 305 (4.33), 274 (4.64) (NaOAc + H3BO3): 354 (4.47), 267 (4.55) (NaOMe): 401 (4.66), 326 (4.32), 274 (4.61) (AlCl3) 399 (4.41), 353 (4.37), 305 (4.24), 274 (4.51) (AlCl3 + HCl): 397 (4.34), 348 (4.37), 303 (4.25), 275 (4.49) 1. H-NMR (400 MHz, DMSO-d6) δ: 8.04 (2H, d, J = 8.6 Hz, H-2′, 6′), 6.86 (2H, d, J = 8.6 Hz, H-3′, 5′), 6.41 (1H, s, H-8), 6.20 (1H, s, H-6), 5.31 (1H, d,. J = 7.6 Hz, H-1″), 4.72 (1H, s, H-1′′′′), 4.40 (1H, s, H-1′′′), 1.07 (3H, d, J = 6.0 Hz, 6′′′′-CH3), 0.97 (3H, d, J = 6.0 Hz, 6′′′-H). 13. C-NMR (100 MHz, DMSO-d6) δ: Table 8.. FABMS m/z: 741 [M + H]+, 637 [(M + H) - 146]+, 449 [(M + H) (146 ⅹ 2)]+, 287 [(M + H) - (146 ⅹ 2) - 162]+.. 3.3.11. Compound 11. C16H24O10 26. (43) White amorphous powder. [α]29D –54.4 (c = 0.2, MeOH). IR νmax cm-1: 3366 (OH), 1279, 1076, 1036 (glycosidic C-O). 1. H-NMR (400 MHz, CD3OD) δ: 1.07 (3H, d, J = 6.8 Hz, 10-CH3), 1.69 (1H, m, H-6β), 1.86 (1H, m, H-8), 2.01 (1H, ddd, J = 4.0, 9.0, 13.5 Hz, H9), 2.20 (1H, dd, J =8.0, 13.6 Hz, H-6α), 3.10 (1H, br q, J = 8.0 Hz, H-5), 3.19 (1H, br t, J = 8.7 Hz, H-2′), 3.27 (1H,. J = 9.0 Hz, H-4′), 3.36 (1H, t, J = 9.0 Hz, H-3′), 3.65 (1H, dd, J = 5.6, 12.1 Hz, H-6′a), 3.89 (1H, br d, J = 12.1 Hz, H-6′b), 4.03 (1H, br t, J = 4.3 Hz, H-7), 4.63 (1H, d, J = 7.8 Hz, H-1′), 5.24 (1H, d, J = 4.0 Hz, H-1), 7.19 (1H, s, H-3). 13. C-NMR (100 MHz, CD3OD) δ: Table 7.. FABMS m/z: 399 [M + Na]+, 377 [M + H]+, 215 [(M + H) - 162]+.. 27. (44) 3.4. 화합물 1~ 5, 8~ 10 의 산 가수분해 및 당 성분의 확인. 3.4.1. 산 가수분해. 각각의 화합물 (약 2 mg)을 소량의 반응 flask 에 취한 후 60% aqueous dioxane 2 ml 에 가하여 용해시킨 후 2 ml 의 5% HCl 용액을 가하여 수욕상에서 1 시간동안 가열하여 가수분해 시켰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감압 농축시킨 후 빙수를 가하여 반응액을 분획여두에 가한 후 CHCl3 을 가하여 진탕 시킨 후 방치하여 분획하였다. CHCl3 층을 취하고 농축하여 각 화합물들의 비당부를 얻었다. 수층에 Ag2CO3 를 소량씩 가하면서 중화시킨 후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시켜 각 화합물의 당부를 얻었다.. 3.4.2. GC 분석. 산. 가수분해를. 통해. 얻은. 당부를. 건조시키고. 여기에. 무수. pyridine 0.1 ml 를 가하여 용해 시켰다. 여기에 L-cysteine methyl ester hydrochloride 2 mg 을 취하여 무수 pyridine 0.1 ml 에 용해시킨 액을 가하여 60℃에서 1 시간 동안 반응 시켰다. 반응 후 반응액에 N2 gas 를 통과시켜 pyridine 용액을 제거시킨 후 여기에 TMS-HT 용액 0.1 ml 을 가하여 60 ℃에서 30 분간 반응 시켰다. 반응 후 반응액에 n-hexane 과 H2O 를 각각 0.4 ml 씩 가하여 진탕한 후 분획하여 얻은 hexane 층을 취하여 무수 Na2SO4 를. 사용하여. 탈수한. 후 28. 농축하여. GC. 를. 실시하여. (45) 확인하였다. 이때 당 표준품도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지표물질로 사용하였으며, GC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column, HP-5 (30 m ⅹ 0.32 mm ⅹ 0.25 μm); detector, FID; oven temperature, 230 ℃; injector and detector temperature, 200 ℃; carrier gas, He; flow rate, 1 ml/min].. Table 2. 화합물들의 가수분해물 및 당 표준품들의 GC 분석 결과. tR. no.. 표준품. tR. 1. 7.97, 12.68. D-glucose. 11.67. 2. 7.95, 11.67, 12.67. L-glucose. 12.18. 3. 11.63. D-galactose. 12.69. 4. 6.76, 6.82, 11.68. L-galactose. 13.45. 5. 6.81, 11.65, 5.80. D-arabinose. 7.30. 8. 7.98, 12.69. L-arabinose. 6.81. 9. 7.97, 12.70. D-xylose. 6.78. 10. 7.98, 12.68. L-xylose. 7.18. D-apiose. 5.81. L-rhamnose. 7.95. 29. (46) III. 결과 및 고찰 1. Compound 1 의 구조. Compound 1 은 황색의 무정형 분말로 HRFABMS 로부터 분자식이 C36H44O20 임을 알 수 있었다. IR spectrum 을 보면 3390 cm-1 에서 hydroxyl, 1739 와 1215 cm-1 에서 acetate carbonyl, 1657 cm-1 에서 α,β-unsaturated carbonyl, 1598, 1588, 1497 cm-1 에서 aromatic C=C, 1072, 1039 cm-1 에서 glycosidic C-O moiety 가 존재함을 추정할 수 있는 흡수 band 들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flavonoid glycoside 로 추정할 수 있었다. UV spectrum 을 측정하여 band I 이 350 nm (log ε 4.57) 에서 나타나며, band II 가 266 nm (log ε 4.63)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화합물은 flavonol 계통의 화합물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26) Shift reagent 로 NaOAc 를 가하여 측정하면 band II 가 265 nm (log ε 4.22)에서 나타나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C-7 위치에 유리 OH 가 결합하고 있지 않음을 추정할 할 수 있었고, NaOAc/H3BO3 를 가하여 측정하면 band I 이 354 nm (log ε 4.21)에서 나타나 흡수 band 가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므로. ortho dihydroxy group 의 존재는 추정할 수 없음을 알았다. 그러나 NaOMe 를 첨가하였을 때는, band I 이 395 nm (log ε 4.69)로 45 nm 장파장 이동하며 흡수강도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C-4′ 위치에 유리 OH 가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고, AlCl3 를 가하면 band I 이 398 nm (log ε 4.52)로 장파장 이동하며, 30. (47) AlCl3/HCl 을 첨가하였을 때 band I 이 396 nm (log ε 4.45)로 AlCl3 를 가하여 측정할 때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C-5 위치에 유리 OH 가 존재 함을 추정할 수 있음으로, 이 화합물은 C5 및 C-4′ 위치가 유리 OH 로 치환되어 있는 flavonol 로 추정 할 수 있었다.26) 산 가수분해를 실시하여 얻은 aglycon 의 NMR data 를 문헌. 27). 과. 비교하여 rhamnocitrin (3,5,4′-trihydroxy-7-methoxy flavone) 임을 확인 하였고, 당은 galactose 와 rhamnose 가 결합되어 있음을 표준품과의 비교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당의 absolute configuration rhamnose 따라. 은. 의. 가수분해하여. 표준품들을. thiazolidine. 얻은. 각각. 유도체들을. 당과. Hara. 합성한. 후. galactose 28). 등. 의. GC. 와. 방법에. 분석을. 통하여. galactose 는 D-form, rhamnose 는 L-form 임을 확인하였다 (Table. 2).. 따라서. 고분해능. FABMS. 로부터. 얻은. 분자량. (C36H44O20)을 고려하여 rhamnocitrin (300 amu)에 galactose 1 mol. 과. rhamnose. 2. mol. 이. 결합하고. 있는. flavonoid. glycoside 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FABMS 에서 m/z 797 [M + H]+, 651 [(M + H) - 146]+, 609 [(M + H) - 146 - 42]+, 463 [(M + H) - (146 ⅹ 2) - 42]+, 301 [(M + H) - (146 ⅹ 2) - 42 - 162]+ 등의 fragment ion 들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aglycon. 에. 당이. rhamnose→rhamnose→. galactose 의 순서로 linear 하게 결합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고 이 외에도 1 mol 의 acetyl group 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었다.29) 이와 같은 추정은 이 화합물의 NMR data 를 통하여 확인할 수 31. (48) 있었다. 즉,. 1. H-NMR data 로부터 B-ring 의 H-3ʹ, 5ʹ와 H-2ʹ,. 6ʹ이 각각 δ 6.87 과 8.10 에서 A2B2 type 의 doublet (d, J = 8.7 Hz)으로 각각 나타나고, A-ring 의 H-6 와 H-8 이 δ6.38 (d, 1.8)과 δ6.72 (d, 1.8)에서 meta coupling (d, J = 1.8 Hz)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δ 3.86 에서 하나의 methoxyl group 에 기인하는 singlet signal 를, δ 1.99 에서 하나의 acetoxyl 기에 기인하는 singlet signal 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δ 0.95 와 0.98 에서 각각 J = 6.2 Hz 로 나타나고 있는 rhamnose methyl group 에 기인하는 doublet 들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δ 5.35 (d, J = 7.6 Hz, H-1ʹʹ), 4.47 (br s, H-1ʹʹʹ) 및 4.51 (br s, H-1ʹʹʹʹ)에서 각각 나타나는 3 개의 anomeric proton 을 통하여 galactose 와 rhamnose 가 각각 β-결합 및 α결합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들은 이 화합물의 13. C-NMR. data. 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rhamnose→rhamnose→galactose 의 순서로 결합하고 있는 당의 결합위치는 HMBC data (Figure 2)를 해석하여 결정할 수 있었다. 즉, galactose H-1 (δH 5.35; δC 102.0)이 aglycon 의 C-3 (δC 133.5) 와 cross peak 를 나타나므로 rhamnocitrin 의 C-3 OH 에 galactose 가 결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말단 당인 rhamnose 의 H-1 (δH 4.51; δC 102.5) 이 중간에 결합하고 있는 당인 rhamnose 의 C-3 (δC 76.3) 와, 이 rhamnose 의 H1 (δH 4.47; δC 100.5) 이 galactose 의 C-6 (δC 66.6) 와 각각 cross peak 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아 당은 rhanmnocitirn 의 C-3 OH 에 rhamnopyranosyl(1→3)-rhamnopyranosyl(1→6)32. (49) galactopyranose 의 형태로 결합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당은 α-L-rhamnopyranosyl-(1→3)-α-Lrhamnopyranosyl)-(1→6)-β- D -galactopyranose 즉 rha mninose 형태로 결합하고 있음을 알았다. 또한 이들 당에 결합하고 있는 acetoxyl group 의 결합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HMBC spectrum 을 검토한 결과 rhamnose H-4 (δH 4.82, t, J = 9.8 Hz)가 acetoxyl C=O (δC 169.7) 와 cross peak 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하나의 acetoxyl group 은 중간 당인 rhamnose 의 C-4 OH 에 acylation 되어 결합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화합물 1 의 화학구조는 rhamnocitirn 3-Oα- L -rhamnopyranosyl-(1→3)-(4ʹʹʹ- O -acetyl-α- L rhamnopyranosyl)-(1→ 6)-β - D -galactopyranoside (rhamnocitrin. 3-O-4′′′-acetylrhamninoside)로. 동정하였으며,. patriviloside 1 으로 명명 하였다. 이 화합물은 자연계에서 처음 분리 보고되는 화합물임을 알았다.. 33. (50) OH. H3CO. O. OH OH. O HO O OH. O O O O H 3C. O O OH O. HO HO OH. Figure 2. Key HMBC correlations of compound 1. OH. H3CO. 1'. O. 7. 6. OH. O. 4. 5. OH OH. HO. O. O. 1''. 6'' O. O 1'''. O O 4'''. O OH 1''''. O HO HO OH. 1. 34. (51) Table 3. NMR data of compounds 1 and 2 (δ in ppm, J in Hz) 1a) No. δH δC. a). 2b) δH. δC. 2 3 4 5 6 7 8 9 10 OCH3 1'. – – – – 6.38 (d, 1.8) – 6.72 (d, 1.8) – – 3.86 (s) –. 157.0 133.5 177.6 160.9 97.9 165.2 92.4 156.3 104.9 56.1 120.7. – – – – 6.91 (d, 1.8) – 6.84 (d, 1.8) – – 3.92 (s) –. 158.0 138.0 176.1 159.6 103.8 166.2 97.0 159.8 110.3 56.8 122.3. 2', 6'. 8.10 (d, 7.6). 131.0. 8.16 (d, 8.7). 132.5. 3', 5'. 6.87 (d, 8,7). 115.1. 6.89 (d, 8.7). 116.2. 4'. –. 160.2. –. 161.7. 1''. 5.35 (d, 7.6). 102.0. 5.00 (d, 7.8). 105.5. 2''. 3.58 (br t, 7.9). 71.1. 3.82 (br t, 9.2). 73.0. 3''. 3.45*. 72.9. 3.60*. 75.1. 4''. 3.62. *. 68.2. 3.78 (d, 3.3). 70.4. 5''. 3.61*. 73.4. 3.69*. 75.3. 6''. 3.55*, .3.62*. 66.6. 3.54*, 3.79*. 68.8. 1'''. 4.47 (br s). 100.5. 4.56 (br s). 102.2. 2'''. 3.58*. 69.8. 3.70 (dd, 1.8, 3.5). 71.8. 3'''. 3.53 (dd, 3.0, 9.4). 76.3. 3.71 (dd, 3.5, 10.0). 77.9. 4'''. 4.82 (t, 9.8). 72.4. 4.93 (t, 10.0). 74.2. 5'''. 3.62*. 66.0. 3.71*. 67.8. 6'''. 0.95 (d, 6.2). 17.4. 0.99 (d, 6.2). COCH3. –. COCH3. 1.99 (s). 169.7 20.6 102.5. – 2.02 (s) 4.66 (br s). 17.7 172.0 21.0. 1''''. 4.51 (br s). 103.8. 2''''. 3.54 (br d, 2.8). 70.3. 3.64 (br d, 3.3). 72.0. 3''''. 3.43*. 70.7. 3.65*. 72.3. 4''''. 3.13 (t, 9.2). 71.9. 3.32 (t, 10.5). 73.8. 5''''. 3.55*. 68.6. 3.63*. 70.2. 6''''. 0.98 (d, 6.2). 17.6. 1.11 (d, 6.2). 18.0. 1'''''. 4.92 (d, 7.5). 104.9. 2'''''. 3.59*. 74.8. 3'''''. 3.51 (t, 9.1). 78.7. 4'''''. 3.42 (t, 9.1). 71.3. 5''''' 6'''''. 3.53 (m) 3.72 (dd, 5.2, 11.2) 3.93 (br d, 11.2). 77.2 62.6. DMSO-d6.. b). CD3OD. *Overlapping signal.. 35. (52) 1. Figure 3. H-NMR spectrum of compound 1 in DMSO-d6. Figure 4..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1 in DMSO-d6. 36. (53) Figure 5. HMQC spectrum of compound 1 in DMSO-d6. Figure 6. HMBC spectrum of compound 1 in DMSO-d6. 37. (54) Figure 7. IR spectrum of compound 1. Figure 8. FABMS spectrum of compound 1. 38. (55) Figure 9. UV spectra of compound 1 in MeOH (left trace) and NaOMe (right trace). Figure 10. UV spectra of compound 1 in NaOAc (left trace) and NaOAc/H3BO3 (right trace). Figure 11. UV spectra of compound 1 in AlCl3 (left trace) and AlCl3/HCl (right trace). 39. (56) 2. Compound 2 의 구조. Compound 2 은 황색의 무정형 분말로 HRFABMS 로부터 분자식이 C42H54O25 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화합물 1 의 분자식 (C36H44O20)보다 162 amu 가 크므로 1 mol 의 hexose 가 추가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IR spectrum 도 화합물 1 과 매우 유사하였다. 즉, 3374 cm-1 에서 hydroxyl, 1732, 1222 cm-1 에서 acetate carbonyl, 1626 cm-1 에서 α,β-conjugated carbonyl. 1603, 1511 cm-1 에서 aromatic C=C, 1073, 1041 cm-1 에서 glycosidic C-O 의 moiety 가 존재함을 추정할 수 있는 흡수 band 들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flavonoid glycoside 로 추정할 수 있었다. UV spectrum 및 shift reagent 에 의한 흡수 band 들의 변화도 화합물 1 과 매우 유사하였다. 즉, band I 이 341 nm (log ε 4.40) 에서 나타나며, band II 가 259 nm (log ε 4.39)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화합물은. flavonol. 계통의. 화합물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26) Shift reagent 로 NaOAc 를 가하여 측정하면 band II 가 259 nm (log ε 4.39)에서 나타나 MeOH 용액에서 측정한 흡수 band 와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C-7 위치에 유리 OH 가 결합하고 있지 않음을 추정할 할 수 있었고, NaOAc/H3BO3 를 가하여 측정하여도 band I 이 342 nm (log ε 4.42)에서 나타나 흡수 band 가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므로. ortho dihydroxy group 의 존재는 추정할 수 없음을 알았다. 그러나 NaOMe 를 첨가하였을 때는, band I 이 396 nm (log ε 4.51)로 55 nm 장파장 이동하며 흡수강도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40. (57) 보아 C-4′ 위치에 유리 OH 가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고, AlCl3 를 가하면 band I 이 409 nm (log ε 4.35)로 장파장 이동하며, AlCl3/HCl 을 첨가하였을 때 band I 이 410 nm (log ε 4.32)로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C-5 위치에 OH 가 존재 함을 추정할 수 있음으로, 이 화합물이 C-5 및 C-4′ 위치가 OH 로 치환되어 있는 flavonol 로 추정 할 수 있었다.26) 산 가수분해를 통하여 얻은 aglycon 의 NMR data 를 문헌. 27). 과. 비교하여 rhamnocitrin (3,5,4′-trihydroxy-7-methoxy flavone) 임을 확인 하였고, 당은 galactose 와 rhamnose 외에 glucose 가 결합되어 있음을 표준품과의 비교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당의 absolute configuration 은 가수분해하여 얻은 당과 glucose, galactose 와 rhamnose 의 표품들을 각각 Hara 등의 방법. 28). 에 따라 thiazolidine 유도체들을 합성한 후 GC 분석을. 통하여 glucose 와 galactose 는 D -form, rhamnose 는 L form 임을 확인하였다 (Table 2). 따라서 고분해능 FABMS 로부터 얻은 분자량 (C42H54O25)을 고려하여 rhamnocitrin 에 glucose 와 galactose 가 각각 1 mol 과 rhamnose 2 mol 이 결합하고 있는 flavonoid glycoside 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FBAMS 에서 m/z 981 [M + Na]+, 651 [(M + H)  146  162]+, 609 [(M + H)  146  162  42]+, 301 [(M + H)  146 - 162 - 42 - 146 162]+ 등의 fragment ion 들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화합물 1 과 같이 aglycon 에 당이 rhamnose→rhamnose→hexose 의 linear 결합 외에, 또 하나의 hexose 가 결합되어 있는 bisdesmoside 의 형태로 결합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29) 41. (58) 이와 같은 추정은 이 화합물의 NMR data 를 통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1H-NMR data 로부터 B ring 의 H-3′, 5′와 H-2′, 6′이 각각 δ 6.89 (d, J = 8.7 Hz)과 8.16 (d, J = 8.7 Hz)에서 A2B2 type 의 doublet 으로 각각 나타나고, A-ring 의 H-6 와 H-8 이 δ6.91 (d, J = 1.8 Hz)과 6.84 (d, J = 1.8 Hz)에서 나타나므로. meta coupling 함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δ 3.92 에서 하나의 methoxyl singlet signal 를, δ 2.02 에서 하나의 acetoxyl 기에 기인하는 singlet signal 를, δ 0.99 와 1.11 에서 각각 J = 6.2 Hz 로 나타나고 있는 rhamnose methyl group 에 기인하는 doublet 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δ 5.00 (d, J = 7.8 Hz, H-1″), 4.56 (br s, H-1′′′), 4.66 (br s, H-1′′′′) 및 4.92 (d, J = 7.5 Hz, H-1''''')에서 각각 나타나는 4 개의 anomeric proton 을 통하여 galactose 와 rhamnose 는 각각 β-결합 및 α-결합하고 있으며, glucose 는 β-결합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들은 이 화합물의. 13. C-NMR data 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당의 결합위치는 HMBC data 를 해석하여 결정할 수 있었다. Figure 1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주요한 HMBC correlation 은 화합물 1 과 매우 유사하였다. 즉, galactose H-1 (δH 5.00; δC 105.5)이 aglycon 의 C-3 (δC 138.0) 와 cross peak 를 나타나므로 rhamnocitrin 의 C-3 OH 에 galactose 가 결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말단 당인 rhamnose 의 H-1 (δH 4.66; δC 103.8) 이 중간 당인 또 하나의 rhamnose 의 C-3 (δ C 77.9) 와, 이 중간당의 rhamnose 의 H-1 (δ H 4.56; δ C. 42. (59) 102.2) 이 galactose 의 C-6 (δC 68.8) 와 각각 cross peak 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아 C-3 OH 에 결합하고 있는 당은 화합물 1 과 같이 α-L-rhamnopyranosyl-(1→3)-α-L-rhamnopyranosyl)-(1→6) -β-D-galactopyranose 즉. rhamninose. 형태로. 결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간에 결합하고 있는 rhamnose H-4 (δH 4.93, t, J = 10.0 Hz)가 acetoxyl C=O (δC 172.0) 와 cross peak 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하나의 acetoxyl group 도 화합물 1 과 같이 중간 당인 rhamnose 의 C-4 OH 에 결합되어 있음을 확인 하였다. 추가로 존재하는 glucose 는 glucose H-1 (δH 4.92; δC 104.9)이 aglycon C-5 (δC 159.6)와 cross peak 이 나타나므로 rhamnocitrin 의 C-5 OH 에 β-D-glucopyranosyl 의 형태로 결합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화합물 2 의 화학구조는 rhamnocitrin 3-O-α-L-rhamnopyranosyl(1→3)-(4′′′-O-acetyl-α-L-rhamnopyranosyl)-(1→6)-Oβ-D-galactopyranoside 결정하였으며,. patriviloside. 5-O-β-D-glucopyranoside 2. 로. 명명하였다.. 자연계에서 처음 분리 보고 되는 새로운 화합물이다.. 43. 이. 로. 화합물도. (60) OH. H3CO. O. OH. O HO. HO. OH. O. O. O. O. HO HO. O. OH. O O H3 C. O O OH O. HO HO OH. Figure 12. Key HMBC correlations of compound 2. OH. H3CO. O. 7. 2. 1' 3. HO O HO HO. 4. 5 O. O. OH. HO. OH O. O. 6''. 1''. 1'''''. O. OH O. 1'''. O O 4'''. 3''' O OH 1''''. O HO HO OH. 2. 44. (61) 1. Figure 13. H-NMR spectrum of compound 2 in CD3OD. Figure 14..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2 in CD3OD. 45. (62) Figure 15. HMQC spectrum of compound 2 in CD3OD. Figure 16. HMBC spectrum of compound 2 in CD3OD. 46. (63) Figure 17. IR spectrum of compound 2. Figure 18. FABMS spectrum of compound 2. 47. (64) Figure 19. UV spectra of compound 2 in MeOH (left trace) and NaOMe (right trace). Figure 20. UV spectra of compound 2 in NaOAc (left trace) and NaOAc/H3BO3 (right trace). Figure 21. UV spectra of compound 2 in AlCl3 (left trace) and AlCl3/HCl (right trace). 48. (65) 3. Compound 3 의 구조. Compound 3 은 백색의 무정형 분말의 형태로 HRFABMS 로부터 분자식이. C21H36O10. 임을. 알았다.. IR. spectrum. 을. 보면. 3413 cm -1 에서 hydroxyl, 1715 cm-1 에서 ester carbonyl, 1652, 900 cm-1 에서 exo methylene, 1077 및 1032 cm-1 에서 glycosidic C-O 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 흡수 band 들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 화합물은. 배당체임을. 추정할. 수. 있었으므로 산 가수분해를 실시하여 당은 glucose 임을 알았고, 당의. absolute. configuration. 은. 가수분해하여. 얻은. 당과. glucose 표준품을 각각 thiazolidine 유도체를 합성하고 이들을 GC 분석. 28). 을 실시하여 glucose 는 D-form 임을 알았다 (Table 2).. 분자식 (C21H36O10)에서 glucose (C6H10O5)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하면 C15H26O5 가 되며 이에 해당하는 부분구조를. 1. H-1H. COSY spectrum 을 해석하여 Figure 22 와 같이 2 개의 부분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A [(O)-CH2-CH-(CH3)2] 와 B [(O)CHCH2-CH()-CH()-CH2] 의 부분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 중 A 는 isovaleric acid 의 존재를 시사하고 있다. 또한 부분구조 B 와 C3 exo methylene 의 proton 들은 독립된 ()-C11H2-(O) 및 부분구조 B [(O)C7H-C6H2-C5H()-C9H()-C1H2]의 methine proton (C5H)과 long range coupling 를 하고 있음을. 1. H-1H. COSY spectrum 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나머지 C10 에 해당하는 부분구조 B 는 iridoid 구조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 iridoid 구조는 같은 마타리과 (Valerianaceae) 식물인 Valeriana 49. (66) jatamansi 전초에서 분리한 jatamanin J30)와 일치함을 알았다. 따라서 화합물 3 은 jatamanin J 의 glucose 배당체이며 여기에 또 하나의 C5 unit 로 마타리과 식물에 널리 존재하는 isovaleric acid 가 ester 결합하고 있는 화합물임을 알 수 있었다.31),43) Glucose 와 isovaleric acid 의 결합 위치는 Figure 23 에 제시한 바와 같이 이 화합물의 HMBC spectrum 으로부터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HMBC spectrum 에서 glucose H-1' (δ 4.27)과 C11 (δ 73.5)의 cross peak 를 나타내므로 glucose 가 C-11 에 결합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고, H-1 (δ 4.05, 4.17)과 isovaleroxyl ester moiety 의 C-1″ carbonyl group (δ 175.0)이 cross peak 를 나타내므로 isovaleroxyl ester moiety 가 C-1 에 결합되어 있음을 확인 하였다. Glucose 의 anomeric proton (δH 4.27 d, 7.8)의 J value 값을 통하여 glucose 는 β-결합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또한 NOESY spectrum 으로부터 H-5 와 H6β 및 H-9 이 서로 cross peak 를 나타내고, H-9 은 C-10 에 결합되어 있는 CH3 과 cross peak 를 나타내고 있으나, H-7 은 H5 및 H-9 와 cross peak 를 나타내고 있지 않으므로 H-5, H-9 및 CH3 은 동일평면인 β 위치에, C-7 에 결합된 OH 는 β, C-8 의 OH 는 α 결합하고 있음을 알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이 화합물이 tetrahydropyran 환의 C-1 과 C-2 가 개열된 cyclopentane 환 구조인 monocyclic iridoid glycoside 임을 알았고,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화합물로는 이미 동속식물인 P. scabra 에서 분리된 patrinioside 가 보고되어 있으나. 31). glucose 와 isovaleric acid 의. 결합위치가 화합물 3 과 다른 화합물임을 알 수 있었다. 50. (67) 따라서 화합물 3 의 구조는 1-O-isovaleroxyl-11-O-β-Dglucopyranosyl. jatamanin. patrinovalerosidate. 로. J. 명명하였다.. 처음으로 분리 보고 되는 물질이다.. 51. 로 이. 결정하였으며,. 화합물은. 자연계에서. (68) HO. O 1'. HO. O 11. HO. OH. H H. 4 6. HO. 5. 7. 3. 9. 8. O. H 1". 4". 2" 10. H OH. 3". 1. O. 5". Figure 22. Key 1H-1H COSY (bolt line) and long range correlations (dot line) of compound 3. HO O HO. HO. O OH. H. HO O H OH. O. Figure 23. Important HMBC correlations of compound 3.. 52. (69) HO O HO. O 11. 1'. HO. OH. H. HO O. 10. H OH. 3. 53. 1''. 1 O. (70) Table 4. NMR data of 3 in CD3OD (δ in ppm, J in Hz) No.. δH. δC. 1. 4.05 (dd, 7.3, 11.2), 4.17 (dd, 6.0, 11.2). 64.1. 3. 5.13 (br s), 5.31 (br s). 115.3. 4. –. 147.1. 5. 3.19 (m). 41.4. 6. 2.19 (ddd, 4.9, 10.6, 13.4), 1.76 (br dd, 8.2, 13.4). 39.0. 7. 3.78 (d, 4.3). 81.2. 8. –. 83.7. 9. 2.34 (br td, 6.8, 10.3). 47.9. 10. 1.35 (s). 23.0. 11. 4.14 (d, 12.6), 4.31 (d, 12.6). 73.5. 1'. 4.27 (d, 7.8). 102.9. 2'. 3.21 (t, 8.4). 75.1. 3'. 3.33 (dd, 8.4, 9.2). 78.1. 4'. 3.32 (t, 9.2). 71.7. 5'. 3.23 (m). 77.9. 6'. 3.66 (dd, 5.5, 11.9), 3.85 (dd, 1.7, 11.9 ). 62.8. 1''. –. 2''. 2.15 (d, 6.6). 44.4. 3''. 2.04 (dq, 6.6, 13.8). 26.8. 4''. 0.94 (d, 6.6). 22.8. 5''. 0.94 (d, 6.6). 22.8. 175.0. 54. (71) 1. Figure 24. H-NMR spectrum of compound 3 in CD3OD. Figure 25..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3 in CD3OD. 55. (72) Figure 26. HMQC spectrum of compound 3 in CD3OD. Figure 27. HMBC spectrum of compound 3 in CD3OD. 56. (73) 1. 1. Figure 28. H- H COSY spectrum of compound 3 in CD3OD. Figure 29. NOESY spectrum of compound 3 in CD3OD. 57. (74) Figure 30. FABMS spectrum of compound 3. Figure 31. IR spectrum of compound 3. 58. (75) 4. Compound 4 의 구조. Compound FABMS. 4는. 로부터. 백색. 무정형. 분자식이. 분말의. C46H74O17임을. 형태로 알. HR-(-)-. 수. 있었다.. IR. spectrum 을 보면 3378 cm-1에서 hydroxyl, 1643 cm-1에서 trisubstituted double bond, 1077 및 1043 cm-1에서 glycosidic C-O 로 추정되는 흡수 band 들이 나타나 전형적인 saponin 의 흡수 band 들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saponin 으로 추정되었다. 산가수분해를 수행하여 당은 xylose, arabinose, glucose 임을 표준품과. 비교하여. configuration. 은. 확인하였다.. 가수분해하여. 또한. 얻은. 당과. 이들의. absolute. 표준품들을. 각각. Hara 등28)의 방법에 따라 thiazolidine 유도체들을 합성한 후 GC 분석을. 통하여. xylose. 는. D-form,. arabinose. 는. L-form,. glucose 는 D-form 임을 각각 확인 하였다 (Table 2). (-)FABMS 를 보면 m/z 765 [(M - H) - 132]-, 603 [(M - H) - 132 - 162]- 및 471 [(M - H) - 132 - 162 - 132]- 에서 fragment ion 들이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보아 산가수분해 시켜 확인된 당은 각각 1 mol 씩 결합하고 있으며, (arabinose/xylose →glucose→(arabinose/xylose)의 순서로 linear 결합하고 있는 monodesmoside 로 사료되었으며, aglycon 은 472 amu 임을 알 수 있었다. NMR data 를 통하여 화합물 4의 aglycon 은 oleanolic acid32)와 매우 유사한 구조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즉,. 1. H-NMR. spectrum 을 보면 δ 1.28, 0.96, 0.81, 0.99, 1.30 및 1.20 에서 6개의 angular methyl 기에 기인한 singlet signal 들이 각각 59. (76) 나타나며 이는 oleanolic acid 의 7개의 angular methyl group 보다 1개가 적으므로. 하나의. angular methyl. group. 이. 일급알코올이나 산으로 변환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1H-,. 산화되어 13. C-NMR. 및 HMQC spectrum 를 종합하여 이 화합물에는 δ 3.58 (2H) 와 δ 3.31 에서 각각 oxygenated methylene 과 oxygenated methine proton 들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이와 같은 추정을 뒷받침. 해주고. 있으며,. δ. 3.31. 에서. 나타나는. oxygenated. methine proton 은 전형적인 H-3α (1H, dd, J = 4.2, 11.7 Hz)임을. 알. 수. 있었다.. olean(urs)-12-ene. 에. 이. 외에도. 해당하는. δ. olefinic. 5.49에서 proton. 전형적인 이. broad. singlet 로 나타나며, δ 4.72 (1H, d, J = 7.5 Hz, ara-1), 5.34 (1H, d, J = 7.9 Hz, glc-1) 및 δ 5.11 (1H, d, J = 7.7 Hz, xyl1)에서 arabinose, glucose 및 xylose 의 anomeric proton 들이. J 값 (7.5 ~ 7.9 Hz)이 큰 doublet 로 각각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arabinose 는 α-결합, glucose 및 xylose 는 β-결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MS 에서도 aglycon 의 분자량이 oleanolic acid 보다 16 amu 더 큰 것으로 보아 4의 aglycon 에 하나의 CH3 group 이 CH2OH group 으로 산화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CH2OH group 의 결합위치를 알기 위해 HMBC spectrum 을 검토한 결과 Figure 3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C-19 (δC 41.4), C-20 (δC 36.6), C-21 (δC 29.1) 및 C-30 (δC 19.7)이 δ 3.58 (δC 73.9)에서 나타나는 oxygenated methylene proton 과 correlation 하고 있음을 확인 하였고, 60. (77) 이것으로부터. C-20에. 결합된. angular. methyl. 기. 하나가. hydroxymethyl group 으로 산화되어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문헌조사. 결과. C-29에. CH2OH. group. 이. 결합되어. 있으면. mesembryanthemoidigenic acid33)이며, C-30에 결합되어 있으면 queretoric acid34)임을 알 수 있었다. E-ring 의 carbon chemical shift 를 문헌치33)와 비교하여 CH2OH group 이 C-29에 결합되어 있는. mesembryanthemoidigenic. acid. 와. 일치함을. 확인. 하였으므로 aglycon 은 mesembryanthemoidigenic acid 임을 알았다. Mesembryanthemoidigenic acid 에 결합하고 있는 당의 결합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HMBC spectrum 을 검토하여 δH 4.72 에서 나타나는 arabinose 의 anomeric proton 이 aglycon 의 C-3 (δC 88.6)에 correlation 되어 있고 xylose 가 말단당임을 NMR. data. 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당의. 결합순서는. xylose→glucose→arabinose 의 순서로 linear 결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간에 결합하고 있는 glucose 의 anomeric proton. (δH. 5.34). 이. arabinose. 의. C-3′. (δC. 84.3)와. correlation 되어 있고, 말단당인 xylose 의 anomeric proton (δH 5.11)이 glucose 의 C-4ʹʹ (δC 80.7)와 correlation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들 당의 결합위치를 결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mesembryanthemoidigenic. acid. 이. 화합물. 4의. 화학구조는. 3-O-β-D-xylopyranosyl-. (1→4)-β-D-glucopyranosyl-(1→3)-α-L-arabinopyranoside 로 결정하였으며, patrinoviloside A 로 명명 하였다. 이 화합물은 자연계로부터 처음 분리 보고되는 물질이다. 61. (78) CH2OH. COOH. HO O. HO O HO. HO. O. O. HO. O. O. OH. OH. OH. Figure 32. Important HMBC correlations of compound 4. 30. 29 CH2OH. COOH. 3 HO. O. O 1'. OH. OH O. O 1'' OH O HO. O 1''' OH HO HO. 4. 62. (79) Table 5. NMR data of 4 in pyridine-d5 (δ in ppm, J in Hz) 4 No.. δH *. δC. No.. 38.7 26.7 88.6 39.7 55.8 18.4 33.2 39.6 48.0 37.0 23.8 122.5. Ara 1 2 3 4 5. 1 2 3 4 5 6 7 8 9 10 11 12. 0.91 (br d, 13.2), 1.48 * * 1.85 , 2.11 3.31 (dd, 4.2, 11.7) 0.78 (br d, 11.7) * * 1.26 , 1.47 * * 1.26 , 1.45 1.63 (t, 8.7) * 1.87 5.49 (br s). 13. -. 144.9. 5.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2.19 * * 1.99 , 2.19 3.41 (br dd, 3.6, 13.7) * 1.49 , 2.16 (t, 13.1) * 1.86 * * 1.93 , 2.15 1.28 (s) 0.96 (s) 0.81 (s) 0.99 (s) 1.30 (s) * 3.58 1.20 (s). 42.1 28.3 23.8 47.1 41.2 41.4 36.6 29.1 32.7 28.1 16.9 15.5 17.4 26.1 180.3 73.9 19.7. 6. *overlapping signal. 63. Glc 1 2 3 4. Xyl 1 2 3 4 5. δH. δC. 4.72 4.58 4.17 4.39 3.75 4.20. (d, 7.5) (br d, 8.9) (dd, 3.4, 6.5) (br s) (d, 11.5) (br d, 11.5). 107.4 71.9 84.3 69.4 67.1. 5.34 4.04 4.25 4.32 3.90 9.3) 4.45 4.57. (d, 7.9) (t, 8.2) (t, 8.9) (t, 9.3) (br dt, 3.3,. 106.2 75.4 76.2 80.7. (dd, 1.8, 11.8) (dd, 3.7, 11.8). 61.5. 5.11 4.00 4.09 4.13 3.64 4.20. (d, 7.7) (t, 8.4) (t, 8.7) (dd, 5.2, 9.2) (t, 10.5) (dd, 1.8, 10.5). 105.6 74.9 78.3 70.8 67.4. 76.7. (80) 1. Figure 33. H-NMR spectrum of compound 4 in pyridine-d5. Figure 34..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4 in pyridine-d5. 64. (81) Figure 35. HMQC spectrum of compound 4 in pyridine-d5. Figure 36. HMBC spectrum of compound 4 in pyridine-d5. 65. (82) Figure 37. (-)FABMS spectrum of compound 4. Figure 38. IR spectrum of compound 4. 66. (83) 5. Compound 5 의 구조. Compound FABMS. 5는. 로부터. 백색의 분자식이. 무정형. 분말의. 형태로. C60H96O27임을. 알. HR. 수. (-)-. 있다.. IR. spectrum 에서 3397 cm-1에서 나타나는 hydroxyl, 1737 과 1251 cm-1에서 나타나는 acetate carbonyl, 1644 cm-1에서 나타나는 trisubstituted double bond, 1067 과 1034 cm-1에서 나타나는. glycosidic. C-O. 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흡수. band 들이 나타나며 이는 앞서 화합물 4의 IR spectrum 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보아. 이. 화합물. 역시. saponin. 의. 일종으로. 추정되었다. 산가수분해를 실시하여 얻은 aglycon 은 표준품과 비교하여 전형적인 ursane 계 화합물로 자연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ursolic. acid32)임을. 확인하였고,. 당은. glucose,. arabinose. 및. apiose 임을 표준품과 직접적으로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이들 당의 absolute configuration 은 가수분해하여 얻은 당과 arabinose, glucose,. apiose. 의. 표준품들을. Hara. 등28)의. 방법에. 따라. thiazolidine 유도체들을 합성한 후 GC 분석을 통하여 glucose 는 D-form,. arabinose 는 L-form 그리고 apiose 는 D-form 임을. 확인하였다 (Table 2). (-)-FABMS 로부터 m/z 1247 [M - H]-에서 나타나는 deprotonated molecular ion peak 이 외에, m/z 1115 [(M - H) - 132]-, 1073 [(M - H) - 132 - 42]-, 953 [(M - H) - 132 - 162]-, 911 [(M - H) - 132 - 162 - 42]-, 791 [(M - H) - 132 - 162 - 162]-, 749 [(M - H) - 132 - 162 - 42 - 162]-, 731 [(M - H) - 67. (84) 132 - 162 - 42 - 162 - 18]-, 629 [(M - H) - 132 - 162 - 162 - 162]-, 587 [(M - H) - 132 - 162 - 162 - 162 - 42]- 및 m/z 455 [(M - H) - 132 - 162 - 162 - 162 - 42 - 132]- 등에서 나타나는 주요. fragment ion. p e ak 들 로 부 터 이 sap on in 은 pentose→glucose→glucose→ glucose→pentose. 의. 순서로. 결합하고. 있는. 하나의. linear. chain 으로 구성된 pentasaccharide 로 된 monodesmoside sugar chain. 으로. 되어있던가,. pentose→glucose→glucose. 로. 구성된 하나의 sugar chain 과 또 하나의 sugar chain. 인. glucose→pentose. 로. 또는. 구성된. bisdesmoside. 형태로. 결합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이 sugar chain 에 하나의 acetyl group. 이. 결합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1. H-NMR. spectrum 을 보면 δ 0.83, 0.89, 1.12, 1.13 및 1.19 에서 각각 singlet signal 로 나타나는 5개의 angular methyl group 에 기인하는 signal 들 이외에, δ 0.89 (d, J = 6.6 Hz) 와 0.92 (d, J = 6.6 Hz)에서 각각 doublet 로 나타나는 2개의 secondary methyl doublet 들이 나타나 ursolic acid 의 존재를 알 수 있었다. 이 외에도. 1. H-NMR 과 HMQC data 로부터 다섯 개의 anomeric. signal [δH 5.06 (d, J = 7.9 Hz), δC 106.5; δH 4.70 (d, J = 7.9 Hz), δC 104.7; δH 6.00 (d, J = 2.7 Hz), δC 111.0; δH 4.98 (d,. J = 7.8 Hz), δC 105.0; δH 6.19 (d, J = 8.0 Hz), δC 95.6] 들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glucose 와 xylose 및 apiofuranose 는 각각 β-결합, arabinose 는 α-결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외에도 [δH 3.22 (dd, J = 3.9, 11.5 Hz), δC 89.1] 에서 68. (85) 나타나는 signal 은 C-3에 당이 결합하고 있는 전형적인 H-3α 의 chemical shift 값에 해당하며,35) 또한 ursolic acid 의 C-28에 당이 ester 결합할 때 나타나는 전형적인 C-28 chemical shift 값인 δ 176.3 및 여기에 결합된 당의 anomeric carbon signal (δC 95.6)들을 각각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35)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당의 결합방식 중 후자인 disaccharide (glucose→pentose) 와 trisaccharide (pentose→glucose→ glucose) 로 구성된 두 sugar chain 이 각각 C-3와 C-28에 결합하고 있는 bisdesmoside 형태로 결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두 개의 말단당은 각각 glucose 와 apiofuranose 임을. 13. C-NMR data 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36),37) 이와 같은 사실은 이 화합물의 HMBC spectrum 을 해석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당의 결합위치도 결정할 수 있었다. 즉 Figure 3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C-3에 결합하고. 있는. disaccharide. (glucose→pentose)의. 말단당인. glucose 의 anomeric proton [δH 5.06 (d, J = 7.9 Hz, H-1ʹʹ)]과 C-3에 직접 결합되어 있는 arabinose 의 C-3′ signal (δC 81.2)이 서로 cross peak 를 나타내고, 이 arabinose 의 H-1′ signal [δH 4.70 (d, J = 7.9 Hz)] 과 ursolic acid 의 C-3 (δC 89.1)가 서로 cross peak 를 나타내므로 ursolic acid 3-O-β-Dglucopyranosyl(1→3)-α-L-arabinopyranoside 를 부분구조로 하는 prosapogenin 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arabinose 의 H-2′ [δH 6.02 (br t, J = 9.0 Hz)] signal 이 저자장 이동하여 나타나며, 이 signal 과 acetyl group 의 carbonyl carbon [δC 169.9 (CH3CO)]이 cross peak 가 나타나므로 acetyl group 은 69. (86) arabinose 의 C-2에 결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화합물 5의 prosapogenin 의 구조는 ursolic acid 3-O-β-Dglucopyranosyl(1→3)-(2-O-acetyl-α-L-arabinopyranoside) 임을 확정하였다. 한편, ursolic acid 의 C-28에 결합하고 있는 trisaccharide. (pentose→glucose→glucose)에서. pentose. 는. apiofuranose 임을 알 수 있으며 δH 6.00 (d, J = 2.7 Hz)에서 나타나는 이 apiofuranose 의 anomeric proton (H-1ʹʹʹʹʹ) 이 중간에. 결합하고. 있는. glucose. 의. C-4′′′′. (δC. 78.9). 와. correlation 되어 있으며, 이 glucose 의 anomeric proton (H-1ʹʹʹʹ) (δH 4.98, d, J = 7.8 Hz)과 δC 69.6에서 나타나는 glucose 의 C-6′′′와 correlation 하고 있으므로 중간당인 glucose 는 안쪽 glucose 의 C-6′′′에 결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δH. 6.19 (d, J = 8.0 Hz)에서 나타나는 glucose 의 anomeric proton (H-1′′′) 과 δC 176.3 에서 나타나는 ursolic acid 의 C-28이 correlation 하고 있으므로 이 trisaccharide 는 ursolic acid 의 C28에 ester 결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ursolic acid 28-. O-β-D-apiofuranosyl(1→4)-β-D-glucopyranosyl(1→4)β-D-glucopyranosyl ester 로 구성된 또 하나의 prosapogenin 구조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이 화합물 5의. 화학구조는. 3-O-β-D-glucopyranosyl(1→3)-(2-O-. acetyl-α-L-arabinopyranosyl)ursolic. acid. 28-O-β-D-. apiofuranosyl(1→4)-β-D-glucopyranosyl(1→4)-β-Dglucopyranosyl ester 로 결정하였으며, patrinoviloside B 로. 70. (87) 명명하였다. 이 화합물은 자연계에서 처음으로 분리 보고 되는 물질이다.. 71. (88) Table 6. NMR data of 5 in pyridine-d5 (δ in ppm, J in Hz) 5 δH. No..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 0.83 , 1.48 1.78 (br t, 13.0) 2.05* 3.22 (dd, 3.9, 11.5) 0.77 (br d, 11.4) * * 1.30 , 1.48 * 1.33 , 1.48* 1.55 (dd, 7.5, 11.6) * 1.91 5.43 (br s) * 2.42 * * 1.91 , 2.05 2.51 (br d, 11.2) * 1.45 * 1.48 * * 1.27 , 1.36 1.78 (br t, 13.0) 1.97 (br d, 13.0) 1.12 (s) 0.89 (s) 0.83 (s) 1.13 (s) 1.19 (s) 0.92 (d, 6.6) 0.89 (d, 6.6). δC. No.. 38.7 26.5. Ara 1' 2' 3' 4' 5'. 89.1 39.2 55.7 18.5 33.5 40.1 48.0 36.9 23.7 126.1 138.4 42.5 28.7 24.6 48.4 53.2 39.3 39.0 30.8 36.8 28.0 16.8 15.7 17.6 23.8 176.3 17.4 21.3. COCH3 COCH3 Glc 1'' 2'' 3'' 4'' 5'' 6'' Glc 1''' 2''' 3''' 4''' 5''' 6''' Glc 1'''' 2'''' 3'''' 4'''' 5'''' 6'''' Api(f) 1''''' 2''''' 3''''' 4''''' 5'''''. *overlapping signal. 72. δH. δC. 4.70 (d, 7.9) 6.02 (br t, 9.0) * 4.23 4.48 (br s) 3.69 (br d, 11.8) 4.16 (br d, 11.8) 2.26 (s). 104.7 72.2 81.2 65.9 67.1. 5.06 (d, 7.9) 3.86 (t, 8.2) 4.24 (t, 8.4) * 4.16 * 4.00 4.35 (dd, 5.1, 11.9) 4.55 (br d, 11.9). 106.5 74.6 78.5 71.6 78.4 62.8. 6.19 (d, 8.0) * 4.14 * 4.00 * 4.31 4.10 (m) * 4.31 4.66 (br d, 10.4). 169.9 21.4. 95.6 73.8 78.7 71.0 77.8 69.6. 4.98 (d, 7.8) 3.96 (t, 8.4) * 4.17 * 4.23 3.76 (m) * 4.29. 105.0 74.9 76.4 78.9 76.9 61.3. 6.00 4.76 4.30 4.74 4.16. 111.0 77.5 80.1 75.1. (d, 2.7) (d, 2.7) (d, 9.4) (d, 9.4) (s). 65.0. (89) O. OH. HO. O. O HO. OH O. O HO. HO. O. O. O. O. HO. HO. OH. O HO. OH. O. O. O. HO. OH. OH. Figure 39. Key HMBC correlations of compound 5. O 28 OH. O HO O. 3. 1''' 6'''. O. O. HO. OH O. 1' O. O. HO. HO. O. 4''''. 3' O HO. 1'' HO. HO. OH. O. O. 1'''''. HO OH. 5. 73. OH. 1'''' OH. (90) 1. Figure 40. H-NMR spectrum of compound 5 in pyridine-d5. Figure 41..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5 in pyridine-d5. 74. (91) Figure 42. HMQC spectrum of compound 5 in pyridine-d5. Figure 43. HMBC spectrum of compound 5 in pyridine-d5. 75. (92)

Referensi

Dokumen terkait

V List of Figures Figure 1.1 Procedures and examples of reservoir characterization…………..2 Figure 1.2 Gas productions at wells 3, 5, 9 for 100 initial ensemble models: a no aquifer,

정규화 항이 있는 목적함수 25을 최적화하는 방법으로는 정규화 항이 없는 목적함수 1을 최적화하는방법인뉴턴방법과MasGrad에 각각대응하는근위뉴턴 방법proximal- newton type method, ProxNewton [3]과 적률 조정 근위 경사하강법moment adjusted proximal gradient descent

Chapter 3 Results and Discussion 3.1 Growth phase diagram In growing oxide thin film, substrate temperature and base oxygen pressure are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to determine the

Predicted binding energies ΔG and common structure of 3 triterpenoids predicted to have higher binding affinities than testosterone, finasteride, and dutasteride toward 5α-reductase

The test was repeated using 16 different combinations of population prevalence and sample prevalence 2.1.3 Step 3: A variance component model to identify pleiotropic loci using GWAS

Key Words: --Epigallocatechin-gallate EGCG, --Epigallocatechin-3- O-3-O-methyl-gallate 3``Me EGCG, SAM dependent O- methyltransferase, Enzyme engineering, virtual screening Student

Statistical analyses revealed that claudin-3 expression was not correlated with perineural invasion P=0.957, a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the clinicopathologic

기각 3-3 상호작용공정성 인식은 ‘조직에 대한 조직시민행동OCBO’ 보다 ‘개인에 대한 조직시민행동OCBI’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조직공정성 구성요소와 비조직시민행동 하위차원CWBO, CWBI의 관계 조직공정성 구성요소가 비조직시민행동의 하위차원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가설을 설정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