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 길 1 구 역 도 시 개 발 사 업
전 략 환 경 영 향 평 가
< 초 안 : 요 약 보 고 서 >
2018. 01
(가칭)왕길1구역 도시개발사업조합
목 차
제1장 계획의 개요
··· 1제2장 환경현황조사, 예측 ・ 분석 및 저감방안
··· 62.1 생물다양성 서식지 보전
··· 62.2 지형 및 생태축의 보전
··· 72.3 주변 자연경관에 미치는 영향
··· 82.4 수환경의 보전
··· 92.5 대기환경기준의 부합성(대기질)
··· 102.6 대기환경기준의 부합성(악취)
··· 112.7 토양환경기준의 부합성
··· 112.8 소음・진동환경기준의 부합성
··· 122.9 자원・에너지 순환의 효율성
··· 132.10 환경친화적 토지이용
··· 13제3장 종합평가 및 결론
··· 13제1장 계획의 개요
1.1
계획의 목적
∙
도시공간구조변화에 대응- 인천 서북지역 일원의 중․장기적 도시공간구조 변화에 대응한 미래지향적 도시개발 사업 추진
∙
주변의 신시가지 개발과 연계되는 계획적 개발 도모- 검단신도시, 검단산업단지 등과 같은 대규모 산업단지의 개발을 고려, 계획적 개발 을 통해 직주근접의 실현 및 친환경적인 배후 주거지의 개발로 택지공급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
1.2
계획의 추진경위
∙
2016. 11. 16. : 왕길1 도시개발구역 지정 제안(조합→區)∙
2016. 12. 15. : 도시개발구역 지정 제안 수용 통보(區→조합)∙
2016. 12. 19. : 주민 의견 청취(2017.01.02까지, 14일간)∙
2017. 02. 28. : 區도시계획위원회 자문∙
2017. 03. 23. : 도시개발구역지정요청서 제출∙
2017. 06. 13. : 구역지정 및 개발계획수립(안) 관계기관 협의∙
2017. 11. 17 ~ 12. 01 : 환경영향평가항목 등의 결정내용 공개1.3
계획의 개요
∙
사업명 : 왕길1구역 도시개발사업∙
사업자 : (가칭)왕길1구역 도시개발사업조합∙
계획승인기관 : 인천광역시∙
위 치 : 인천광역시 서구 왕길동 64-46번지 일원∙
면 적 : 506,220㎡∙
사업기간 : 실시계획인가일 ~ 환지처분일까지∙
토지이용계획구 분 면적(㎡) 구성비(%) 비 고
합 계 506,220 100.0
소 계 278,658 55.0
주거 용지
단 독 주 택 용 지 27,079 5.3 공 동 주 택 용 지 195,003 38.5 준 주 거 시 설 용 지 56,576 11.2 상 업 용 지 19,757 3.9
소 계 207,805 41.1
기반 시설 용지
도 로 94,233 18.6 철도중복 416㎡
주 차 장 5,035 1.0
공 원 51,437 10.1 저류지중복 7,983㎡
녹 지 38,408 7.6
학 교 18,000 3.6 초1, 유1
하 수 도 667 0.1
가스공급설비 25 0.1
저 류 지 (7,983) (1.6) 공원중복
∙
주택용지 배분계획구 분 블 록 생 활 권 면 적 (㎡) 구성비 (%) 주
택 용 지
합 계 - 소생활권 278,658 100.0
단독주택용지 - 27,079 9.7
공동주택용지 BL 1 74,564 26.8
BL 2 120,439 43.2
준주거시설용지 - 56,576 20.3
∙
주택용지 밀도계획구 분 블록 면적
(㎡) 규모 세대수 인구
(인)
용적률 (%)
주거용지
합 계 - 278,658 - 4,668 11,390 - 단독주택용지 27,079 65획지 130 317 200
공동주택 용지
소계 195,003 - 4,538 11,073
BL 1 74,564 85㎡이하 1,475 3,599 240 85㎡초과 261 636 BL 2 120,439 85㎡이하 2,382 5,813
85㎡초과 420 1,025 준주거
시설용지 - 56,576 - - - 400
세대 당 인구 2.44인 (2030 인천도시기본계획상 2025년 가구당 인구)
인구밀도 총밀도 : 225인/ha
∙
계획지구 위치도∙
계획지구 현황도1
2
3
4
1.4
검토 항목 및 범위 설정
항 목 평가대상지역 선정사유
결정결과
시간적범위 공간적 범위 생물다양성·서식지의 보전
(동·식물상) • 주변 녹지지역 영향 및 연계성 공사시 계획지구 및 주변지역(1㎞) 지형 및 생태축의 보전
(지형·지질) • 절・성토로 인한 지형변화 공사시 계획지구
주변 자연경관에 미치는 영향 (경관)
• 절・성토로 인한 지형변화 및
구조물 신설에 따른 변화 운영시 계획지구 및 주변지역(3㎞)
수환경의 보전 (수질)
• 공사시 토사유출로 인접 수계의 오탁가중 예상
• 운영시 발생오수에 따른 영향
공사시 및 운영시
계획지구 및 주변지역 수계
대기환경기준의 부합성 (대기질, 악취)
• 공사시 및 운영시 대기질 변화 예상
• 운영시 주변 악취발생원에 의한 악취 영향 예상
공사시 및 운영시
계획지구 및 주변지역 (3㎞)
토양환경기준의 부합성 (토 양)
• 계획지구의 토양오염 현황 파악 및 장비가동에 따른 토양오염
공사시 및
운영시 계획지구 및 주변지역
소음·진동환경기준의 부합성 (소음・진동)
• 공사시 건설장비가동에 따른 영향예측
• 운영시 유발교통량에 따른 소음영향 예상
공사시 및 운영시
계획지구 및 주변지역 (1㎞)
자원·에너지 순환의 적정성 (친환경적 자원순환)
• 공사시 폐유, 폐자재의 발생
• 운영시 생활폐기물 발생
공사시 및
운영시 계획지구
환경친화적 토지이용 (토지이용)
• 지목별, 용도별 토지이용변화
• 상위계획 및 현실성을 고려한 배치계획 수립
공사시 및
운영시 계획지구
제2장 환경현황, 예측·분석 및 저감방안
2.1
생물다양성 서식지 보전
현 황
∙ 본 계획지구 및 주변지역은 상수리나무군락, 밤나무식재림, 아까시나무식재림 등이 분
포함- 식물상 : 73과 194종 27변종 2품종 등 총 223분류군 - 식생보전등급: Ⅲ,Ⅳ,Ⅴ등급
- 포유류: 5과 5종 - 조류: 13과 20종 239개체 - 양서·파충류: 5과 5종 - 육상곤충: 10목 35과 57종 - 어류: 4과 6종 - 저서동물: 14과 18종 - 법정보호종: 7종(문헌조사포함)
영향예측
∙ 공사 시 계획지구 일대로 귀화식물과 노변 및 노방식물 등이 일부 유입되거나 증가될
것으로 예상됨∙ 육상동물상은 외부 간섭요인들이 분포하므로 그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판단됨
∙ 운영 시 공사 후 계획지구는 조경식재에 의한 조경수종과 사초과 식물의 유입이 예상되
며, 또한 귀화식물 및 노변식물의 증가가 예상됨∙ 법정보호종의 경우 대부분의 종들이 충분한 이격거리를 두고 출현하여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됨저감방안
∙ 단계별 토공계획수립, 출입차량의 속도제한, 토공작업구간에 주기적인 살수, 방진망 설
치, 운반차량(덤프트럭 등)에 먼지덮개 설치 등으로 비산먼지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 여 주변 식생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계획지구 내에 편입되는 식생의 약 59.8%를 원형보전하여 공원 및 녹지계획에 반영2.2
지형 및 생태축의 보전
현 황
∙ 계획지구 동측으로 약 1.3km 이격되어 한남정맥이 위치하며, 기반암은 편마암 및 편암
의 변성암류로서 심하게 풍화되어 풍화대가 매우 깊으며 완만한 구릉성 산지지형이 과업 구간 북동부와 중앙부에 남북방향으로 분포하며, 계획지구의 남측은 해성퇴적층의 충적평 야 및 해안 간척사업에 의해 형성된 매립지가 인접함∙ 지질은 선캠브리아의 변성암류, 제4기 충적층 등으로 대별 할 수 있으며, 본 계획지구에는
흑운모편마암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됨영향예측
∙ 도시개발계획을 수립하는 사업으로 절·성토에 의한 사면발생 , 지형변화가 비옥토 발
생, 토사유출 발생 등이 예상됨- 절토 : 219,639㎥
- 성토 : 542,528㎥
- 부족토 : 322,889㎥
저감방안
∙ 건축물 배치 및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여 과대 사면발생을 지양하고, 지형훼손 및 변화
를 최소화 할 계획임∙
부족한 토량(322,889㎥)는 외부의 시민사토를 반입할 계획임∙ 가배수로를 설치하여 하류지역으로 원활한 배수유도 및 급유속에 따른 피해가 예상되
는 구간에는 사면보호공을 설치∙ 비옥토는 지구 내 적정장소에 적치한 후 녹지 등 수목・잔디식재를 위한 표토로 재활용
2.3
주변 자연경관에 미치는 영향
현 황
∙ 계획지구는 인천광역시 서구 왕길동 64-46번지 일원 일원으로 계획지구 서측의 산업단
지와 동측의 검단신도시 및 택지개발사업 등이 위치하며, 오류지구와 마전지구 등이 인근 에 입지하고 있음∙ 주요 산지로는 북동측의 토당산에서 이어지는 한남정맥이 주요 산림녹지경관을 형성하고
있고, 계획지구 인근으로는 낮은 구릉지 지형이 곳곳에 분포하고 있음∙
하천으로는 계획지구 남측의 드림파크 주변으로 시천천이 흐르고, 북측으로 검단천 등 수변경관이 분포하고 있음∙
생태자연도 3등급으로 지정되어 있음영향예측
∙
인천 서구 왕길동 일원에 도시개발사업을 통해 공동주택 및 상업시설 등을 조성하는 계획으로써 계획시행으로 인한 토지이용계획 변경, 건축물 배치로 인한 경관 변화가 예상됨저감방안
∙ 대규모 건축물군을 적정규모로 분절시켜 폐쇄감 및 차폐감을 완화시키고 조망권 확보 및
통경축 효과 도모∙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스카이라인이 형성되지 않도록 층수와 배치를 조절∙
지붕의 색채는 원색을 지양하고, 건축물 외벽 색채와 조화롭게 연출∙
과도한 장식이나 로고 부착을 지양하고, 간결한 형태의 세련된 디자인 유도∙
발광조명체는 간접조명방식으로 하며, 판류형이 아닌 입체문자형을 적용2.4
수환경의 보전
현 황
∙
지표수질 현황- W-1 : Ⅰa ∼ Ⅲ(보통)등급 - W-2 : Ⅳ ∼ Ⅵ(매우나쁨)등급
∙
지하수질 현황- GW-1,2 : NO3-N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 먹는물 수질기준 만족
∙
수질오염총량관리: 해당없음영향예측
∙
공사 시- 우수유출량: 6.972㎥/sec - 토사유출량: 110.26ton/일 - 오수발생량: 17.2㎥/일
∙
운영 시- 계획급수량 : 4,453㎥/일 - 계획오수량 : 4,247㎥/일
저감방안
∙
공사시- 우기 피하여 토공사 실시
- 토공계획을 수립하여 발생토사의 적치가 없도록 함 - 가배수로 및 침사지 설치
- 현장사무소 인근에 개인하수처리시설 설치하여 적정처리 및 분뇨의 경우 간이 화장실 설치하여 위탁처리할 계획
∙
운영시- 왕길배수지에서 상수공급할 계획임
- 우수는 계획구역 남서측 소하천을 통해 수도권매립지를 거쳐 굴포천 으로 방류할 계획
- 발생오수는 부지 중계펌프장을 통해 자연유하로 남서측의 오류오수중 계펌프장을 통하여 검단하수처리시설에서 처리하도록 계획
2.5
대기환경기준의 부합성(대기질)
현 황
∙
대기질 현황(4개 지점)- PM-10 : 45.4∼60.1 ㎍/㎥ - PM-2.5 : 29.0∼38.9 ㎍/㎥
- SO2 : 0.004∼0.005 ppm - NO2 : 0.027∼0.041 ppm - O3 : 0.006∼0.018 ppm - CO : 0.5∼0.8 ppm - Pb : 0.012~0.035㎍/㎥ - 벤젠 : 0.01∼0.07㎍/㎥
∙
측정결과 24시간 평균 대기환경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됨영향예측
∙
공사시 ∙ 운영시(누적평가)- PM-10 : 48.26∼58.46 ㎍/㎥ - PM-10 : 48.22∼57.93 ㎍/㎥
- PM-2.5 : 30.11∼37.22 ㎍/㎥ - PM-2.5 : 30.20∼37.61 ㎍/㎥
- NO2 : 34.02∼38.30ppb - NO2 : 34.31∼41.43ppb
∙
예측결과 전 지점 및 전 항목에서 대기환경기준(24시간)을 만족하는 것으로 예측 되어 공사시 토공사, 운영시 주변 산업단지 및 개발사업으로 인한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판단됨저감방안
∙
공사시 ∙ 운영시(누적평가) - 공사장에 주기적인 살수 - 공원 및 녹지 조성 - 세륜·세차시설 설치 - 환경정화수종 식재 - 작업대기 차량 공회전 금지- 이동식 방진망 설치 및 수직방진망 설치
- 진입도로 및 공사장내 차량속도를 20 km/h 이내로 제한
2.6
대기환경기준의 부합성(악취)
현 황
∙
악취 현황(4개 지점)- 복합악취(희석배수) : 4 ~ 6
∙
측정결과 배출허용기준(기타지역)을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됨영향예측
∙
운영시(누적평가)- 복합악취(희석배수) : 4.59~11.08ou/㎥
∙
주변 산업단지 운영시 악취 누적평가를 실시한 결과 배출허용기준(기타지역)을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계획지구 내 악취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판단됨저감방안 ∙
계획지구 내 완충녹지 조성을 통해 주변 악취발생원으로 인한 영향을 저감토록 할 계획임2.7
토양환경기준의 부합성
현 황
∙
토양 현황(2개 지점)- Cu : 12.9∼57.8㎎/㎏ - As : 9.04~13.32㎎/㎏
- Pb : 25.4~31.1㎎/㎏ - TPH : 71㎎/㎏
- Cd, Hg, Cr+6, CN, 페놀, 유기인, PCB,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 렌은 불검출
∙
전 지점에서 토양오염우려기준 1지역 기준을 만족함영향예측
∙
지장물 철거시 토양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저감대책 필요∙
공사장비 운용에 의한 폐유발생이 예상됨∙
투입인부에 의해 분뇨 발생이 예상됨저감방안
∙ 지장물 중 토양오염을 유발할 우려가 있는 오염원이 확인되면 전문처리업체에 위탁 처리
∙
공사장비 오일교환은 인근 정비업소에서 실시∙ 불가피하게 현장에서 오일교환시 폐유보관소 설치하고, 수집·보관하여 전량 위탁처리
∙ 공사시 작업인부에 의한 분뇨는 현장사무소 내 화장실 또는 이동식 간이화장실을 설치
하여 전량 위탁처리2.8
소음·진동환경기준의 부합성
현 황
∙
소음 현황(4개 지점)- 일반지역 - 도로 및 철도변
· 주간 : 45.3~54.0 dB(A) · 주간 : 64.9 dB(A) · 야간 : 41.4~44.7 dB(A) · 전철통행시 : 62.0 dB(A) · 녹지지역기준 상회, 일반주거지역 · 환경기준 만족
기준 만족
∙
진동 현황(4개 지점)· 주간 : 23.6 ~ 28.5 dB(V) · 야간 : 18.5 ~ 24.7 dB(V) · 모든 지점 기준치 만족
영향예측
∙
공사 시 소음- 예측결과 49.8~70.7dB(A)로 계획지구와 인접한 정온시설에서는 해당 목표기준을 초과
∙
공사 시 진동- 전 지점에서 해당 목표기준을 만족
∙
운영 시 소음- 주간 : 50.9~58.2 dB(A) - 야간 : 44.6~54.9 dB(A) - 환경기준 만족
저감방안
∙
공사시- “공사장 소음 ․ 진동 관리지침서” 를 준수
- 공사 투입 차량의 속도제한(20km/hr 이하) 및 경적사용, 공회전 금지 - 저소음 ․ 저진동 건설장비의 운용권장
- 가설방음벽 높이 3~5m 설치 → 목표기준 만족
∙
운영시- 충분한 건축선 이격 및 완충 녹지 조성
2.9
자원·에너지 순환의 효율성
내 용
∙
공사시 건설장비에 의한 폐유, 인부에 의한 생활폐기물 및 분뇨등이 예상됨∙ 인근 정비업소를 이용하거나 폐유보관소에 보관 후 위탁처리, 분리수거함 및 이동
식 간이 화장실 설치 등 저감방안을 시행한다면 계획시행으로 인한 주변 지역에 미 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됨2.10
환경친화적 토지이용
현 황
∙
지목별 토지이용 현황- 전체면적 506,220㎡으로 잡종지가 전체 52.6%를 차지하고 있으며 답 15.2%, 전 11.5% 순으로 분포함
∙
소유자별 토지이용현황- 전체 506,220㎡ 중 국유지 2.0%, 공유지 2.6%, 사유지 95.4% 순으로 분포함
영향예측
∙
토지이용계획- 전체면적 506,220㎡ 중 주거용지 278,658㎡(55.0%), 상업용지 19,575㎡(3.9%), 기반시설용지 207,805㎡(41.4%)
∙
생태면적률 : 35.00%저감방안 ∙ 사업지구 편입 토지 및 건물, 지장물 등에 대해서는 적법한 절차를 통해 당사자 및
주민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보상할 계획
제3장 종합평가 및 결론
3.1
종합평가 및 결론
내 용
∙ 공사에 따르는 미세먼지 농도 및 토양오염, 소음영향으로 인한 주변 환경영향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