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경향분석
1. 들어가며
○ 정형외과는 최근 의료기관들의 재정적 어려움과 매출 격차에도 불구하고 3년 연속 의
원급 기관 별 최고매출을 올리는 진료과목이며1), 본원에서 심사한 요양급여비용총액에 서 5년 연속 입원은 2위, 외래는 3위를 차지하는 등 건강보험급여비에서도 높은 비중 을 차지하고 있음.○ 진료경향 및 진료비 동향 모니터링의 주요 대상은 수가변동 항목이나 이상급등·급감을
보이는 진료과목이나 진료행위임. 그러나 전체에서 차지하는 진료비 규모가 큰 경우 이 상현상을 보이지 않아도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그 흐름을 파악해 둘 필요가 있음.이에 지난 5년 간 정형외과의 총진료비와 내원일수 및 종별 현황을 분석해 보고자 함.
○ 다음의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함.
- 2007년1월~2011년 12월까지 심사를 완결한 건강보험 청구자료 - 병원 종 구분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급2)
- 진료과목이 ‘정형외과’(진료과목코드 05)인 자료의 청구요양급여비용총액(심결기준), 보험자부담률(심결기준), 내원일수(명세서기준) 등을 분석함.
정형외과의 최근 5개년 진료경향 분석
유수연주임연구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정책분석팀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자료실 진료비통계지표
2. 분석결과
가. 진료비 변화
1) 총 진료비
○ 최근 5년간 정형외과의 총 진료비를 살펴봄. 입원의 경우 2011년의 총 진료비는 2007년
보 다 56.38%이상 상승한 2조 1천억 원이었으며, 외래는 2007년보다 40.02%가량 상 승한 1조 6천억 원임.○ 2007년 2,300억 원의 차이를 보이던 입원과 외래 진료비는 2010년까지 계속 10%를 상
회한 입원진료비의 빠른 상승률로 인해 2011년에는 5,500억 원의 차이를 보임. 2011년 에 처음으로 외래진료비 증가율이 입원진료비 증가율을 앞서는 현상이 나타남.○ 2007년에서 2011년 사이 정형외과 입원진료비는 56.38% 증가하여 건강보험 전체 입원
진료비 증가율 56.38%와 비슷한 증가율을 보였으며, 2009년은 전체진료비보다 다소 낮 은 상승률을, 2011년에는 전체진료비보다 1.6% 가량 상회하는 증가율을 보임.○ 2007년에서 2011년 사이 정형외과 외래진료비 40.02% 증가하여 건강보험 전체 외래진
료비 증가율 38.20%에 비해 다소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2009년을 제외하고는 전체 진료비 상승을 상회하는 증가율을 보임.표 1. 정형외과 연도별 요양급여비용총액(심결기준) 및 증감률 (단위: 십억원, %)
구분
입 원 외 래
정형외과 전체 정형외과 전체
총액 증감률 총액 증감률 총액 증감률 총액 증감률
2007년 1,389 - 9,731 - 1,157 - 11,079 -
2008년 1,545 11.2 10,905 12.0 1,252 8.2 11,910 7.50
2009년 1,786 15.5 12,326 13.0 1,389 10.9 13,405 12.55
2010년 2,087 16.8 14,403 16.8 1,508 8.6 14,522 8.33
2011년 2,172 4.1 15,229 5.7 1,620 7.4 15,312 5.44
진료경향분석
2) 종별 진료비(청구요양급여비용총액)
○ 입원 진료비 변화
-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2007년 2천 2백억 원 수준이던 진료비가 2011년 3천억 원으로 약 34.66% 증가하였으며,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이다 2011년에는 전년보다 71억 원 가량 감소하는 현상을 보임.
- 종합병원의 진료비는 2007년 4천 5백억 원이었던 진료비가 2011년에는 6천 7백억으 로 1.5배가량(49.31%) 증가하였으며, 특히 2010년의 경우 전년대비 21.03%의 큰 증 가율을 보임.
- 정형외과 입원진료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병원급임. 병원의 진료비는 지난 5년 사이에 가장 큰 폭의 변화를 보였는데 2007년 4천 7백억 원으로 종합병원보다 2백 억 원 정도 많은 금액이었으나, 2011년은 85.51%가 증가한 8천 7백억 원으로 종합병 원과의 격차가 2천억 원이 넘는 모습을 보임. 최고 증가율을 보인 것은 2009년으로 전 년대비 24.68%가 증가하였음.
표 2. 정형외과 종별 진료비 및 증감률 (입원) (단위: 백만원, %)
심사년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상급종합 총진료비 229,158 243,040 276,224 315,768 308,584
증감률 - 6.06 13.65 14.32 -2.27
종합병원 총진료비 452,831 491,637 534,496 646,879 676,126
증감률 - 8.57 8.72 21.03 4.52
병원 총진료비 473,119 558,986 696,930 819,555 877,701
증감률 - 18.15 24.68 17.59 7.09
요양병원
총진료비 20,561 29,358 43,396 62,501 74,758
증감률 - 42.79 47.81 44.02 19.61
의원
총진료비 213,836 222,971 235,853 242,713 235,806
증감률 - 4.27 5.78 2.91 -2.85
연도별 진료비 계 1,389,506 1,545,994 1,786,902 2,087,418 2,172,977
- 지속적으로 40%이상의 큰 증가폭을 보인 것은 요양병원이지만, 2007년 2백억 원에서 2011년은 5백억 원이 증가한 7백억 원으로 절대적인 금액이 크지는 않음. 2010년까지 꾸준히 큰 증가폭을 보이다가 2012년에는 19.61%로 증가율이 다소 주춤함.
- 의원의 경우 2007년 2천 1백억 원에서 2011년 2천3백억 원으로 그 증가폭이(10.27%) 가장 작음. 2011년의 경우 상급종합병원과 마찬가지로 2.85%가량 오히려 감소하는 모 습을 보임.
○ 병원급과 요양병원이 전체 정형외과 진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으며, 의
원급의 경우 그 비중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임.그림 1. 종별 정형외과 진료비 구성비 (입원)
○ 외래 진료비 변화
-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2007년 4백 2십억 원에서 2011년 6백 4십억 원으로 51.95%가 증가하였고, 2009년이 20.33%로 전년대비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으며, 최근에는 상 승폭이 줄어들어 2011년의 경우 3.93%증가에 그쳤음.
- 종합병원의 진료비는 2007년 1천 1백억 원에서 2011년 1천 7백억 원으로 50.79%가 증가하였으며, 상급종합병원과는 반대로 2009년의 상승폭이 가장 낮았음. 2011년 병 원급 입원진료비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것에 비해 외래진료비는 10%전후로 지난 4년과 비 슷한 증가율을 보임.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의원 요양병원 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
진료경향분석
- 병원의 진료비는 2007년 2천억 원에서 2011년 3천 6백억 원으로 79.06%의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임. 2008년과 2009년 꾸준히 20%가량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2010년부터 상승폭이 다소 줄어들고 있는 상황임.
- 입원환자 비중이 압도적인 요양병원의 경우, 정형외과 외래진료비는 7십억 원 수준으로 그 비중이 매우 낮으며, 2009년까지는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2010년부터 점차 감 소하고 있는 추세임.
- 정형외과 외래진료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의원급임. 의원의 경우 2007년 에서 2011년 사이에 27.89% 증가했으며, 2011년에는 1조 1백억 원으로 1조원을 넘 어선 상황임. 증가추세도 큰 변화 없이 연간 6~7%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음.
표 3. 정형외과 종별 진료비 및 증감률 (외래) (단위: 백만원, %)
심사년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상급종합 총진료비 42,529 46,824 56,342 62,182 64,624
증감률 - 10.10 20.33 10.36 3.93
종합병원 총진료비 113,851 129,479 141,397 156,334 171,678
증감률 - 13.73 9.20 10.56 9.81
병원 총진료비 203,936 243,471 291,545 333,468 365,167
증감률 - 19.39 19.75 14.38 9.50
요양병원 총진료비 6,245 6,451 8,317 7,947 7,735
증감률 - 3.30 28.92 -4.45 -2.67
의원 총진료비 790,985 826,391 891,637 948,992 1,011,607
증감률 - 4.48 7.90 6.43 6.60
연도별 내원일수 계 1,157,549 1,252,617 1,389,240 1,508,925 1,620,813
○ 정형외과 외래진료비에서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의원급 진료비이지만, 2007년 이후 지속적으로 병원급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상황임.
그림 2. 종별 정형외과 진료비 구성비 (외래)
나. 내원일수 변화
1) 총 내원일수
○ 최근 5년간 정형외과의 총 내원일수를 살펴봄. 입원의 경우 2011년의 총 내원일수는
2007년보다 38.87%가량 상승한 1천 6백만 일이며, 외래는 2007년보다 21.48%가량 상승한 7천 2백만 일임. 입원/외래 모두 2009년을 기점으로 증감률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특히 입원의 경우 2011년 내원일수가 소폭 감소(-0.19%)하였음.○ 2007년에서 2011년 사이 정형외과 입원 내원일수는 38.87% 증가하여 건강보험 전체 입
원 내원일수 증가율 44.36%보다 낮은 수준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2011년에는 전체 내 원일수가 소폭 상승한데 반해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2007년에서 2011년 사이 정형외과 외래 내원일수는 21.48% 증가하여 건강보험 전체 외
래 내원일수 증가율 15.43%에 비해 다소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2009년을 제외하고 는 전체 내원일수 증가율을 상회하는 증가경향을 보임.의원 요양병원 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진료경향분석
표 4. 정형외과 연도별 내원일수 및 증감률 (단위: 천일, %)
구분
입 원 외 래
정형외과 전체 정형외과 전체
내원일수 증감률 내원일수 증감률 내원일수 증감률 내원일수 증감률
2007년 11,990 - 73,484 - 59,674 - 562,786 -
2008년 13,323 11.1 83,052 13.0 62,017 3.9 575,229 2.2
2009년 15,017 12.7 91,359 10.0 66,159 6.6 617,200 7.3
2010년 16,684 11.1 102,060 11.7 69,251 4.6 636,634 3.1
2011년 16,651 -0.2 106,085 3.9 72,490 4.6 649,608 2.0
2) 종별 내원일수
○ 입원 내원일수 변화
-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2011년 입원 내원일수는 2007년에 비해 13.91%증가한 112만 일로, 2010년 118만 일에 비해 5.68% 감소한 모습을 보임.
- 종합병원의 입원 내원일수는 2007년 331만 일에서 2011년 438만 일로 32.33%가 증 가하였으며, 상급종합병원과 마찬가지로 2011년에 소폭(1.10%) 감소한 모습을 보임.
- 병원의 입원 내원일수는 2007년에는 종합병원보다 7십만여 일이 많은 386만 일이었으 나 2011년에는 66.30% 증가하여 종합병원보다 2백만여 일이 더 많은 642만 일로 크 게 증가함. 2011년에는 그 증가폭이 다소 둔화되었으나 지난 5년 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
- 요양병원의 경우 2007년과 2011년 사이 증가율은 188.92%로 가장 높으며 2007년에 는 상급종합병원의 3분의 1 수준이던 39만 일이던 내원일수가 2011년에는 상급종합병 원 보다 20만 일이 많은 114만 일로 처음으로 100만 일을 돌파함.
- 2007년 병원급 다음으로 높은 343만 일이던 의원급의 입원 내원일수는 지난 5년 간 각 종별 중 증가율이 가장 낮아(4.07%) 2011년에는 종합병원보다 8십만여 일이 적은 356 만일이었으며, 2010년 보다 7.75%감소하는 현상을 보임.
표 5. 정형외과 종별 내원일수 및 증감률 (입원) (단위: 일, %)
심사년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상급종합 내원일수 984,456 1,017,011 1,090,964 1,188,945 1,121,430
증감률 - 3.31 7.27 8.98 -5.68
종합병원 내원일수 3,313,113 3,564,514 3,803,478 4,433,332 4,384,388
증감률 - 7.59 6.70 16.56 -1.10
병원 내원일수 3,865,885 4,606,339 5,553,110 6,194,489 6,428,882
증감률 - 19.15 20.55 11.55 3.78
요양병원 내원일수 397,096 544,168 755,095 997,720 1,147,300
증감률 - 37.04 38.76 32.13 14.99
의원 내원일수 3,430,444 3,591,234 3,815,203 3,869,938 3,569,921
증감률 - 4.69 6.24 1.43 -7.75
연도별 내원일수 11,990,994 13,323,266 15,017,850 16,684,424 16,651,921
○ 2007년의 입원 내원일수는 종합병원, 병원, 의원이 비슷한 수준의 균형을 이루고 있었으
나, 지난 5년 간 병원급의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의원급의 비중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 는 상황.○ 요양병원의 비중도 증가하고 있으나 요양병원 환자의 특성상 정형외과 질환 단독으로 입
원한 것으로 보기 어려우며, 요양병원 전체 내원일수 증가율에 비하여 높지 않은 수준임.의원 요양병원 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진료경향분석
○ 외래 내원일수 변화
- 상급종합병원의 외래 내원일수는 2007년 94만 일에서 2011년 145만 일로 5년 사이에 53.95% 증가하였으며, 2009년의 경우 24.98%라는 매우 높은 증가율을 보임. 2011 년에는 그 증가율이 다소 둔화되기는 하였으나 입원과는 다르게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2011년 종합병원의 내원일수는 527만 일로 지난 5년 간 꾸준히 연간 7~10%의 증가 율을 보임. 상급종합병원이나 병원급 내원일수가 2011년 증가율이 눈에 띄게 감소한데 반해, 종합병원은 2011년에도 전년과 비슷한 수준(9.49%)으로 증가함.
- 병원의 내원일수는 2007년 805만 일에서 2009년 처음으로 1천만 일을 돌파하여 2011 년에는 1천 330만 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5년 간 총 증가율은 65.04%로 입 원과 비슷하며, 다섯 종별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임.
- 요양병원의 경우 2007년 34만 일에서 2009년 46만 일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 계속 소폭 감소하여 2011년에는 42만 일을 기록함.
- 5년 간 총 증가율이 가장 낮은 것은 의원급이며, 2007년 4천 660만 일에서 2011년 5 천203만 일로 11.64% 증가함.
표 6. 정형외과 종별 내원일수 및 증감률 (외래) (단위: 일, %)
심사년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상급종합 내원일수 944,660 1,006,408 1,257,767 1,416,566 1,454,301
증감률 - 6.54 24.98 12.63 2.66
종합병원 내원일수 3,719,118 4,113,064 4,405,818 4,820,556 5,278,210
증감률 - 10.59 7.12 9.41 9.49
병원 내원일수 8,059,171 9,343,014 10,937,669 12,214,638 13,301,230
증감률 - 15.93 17.07 11.67 8.90
요양병원 내원일수 343,074 360,378 461,997 436,162 422,520
증감률 - 5.04 28.20 -5.59 -3.13
의원 내원일수 46,608,746 47,195,041 49,095,803 50,363,621 52,034,191
증감률 - 1.26 4.03 2.58 3.32
연도별 내원일수 59,674,769 62,017,905 66,159,054 69,251,543 72,490,452
○ 의원급이 외래 내원일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압도적이지만, 2007년 78%에서 2011년
71%로 5년 간 꾸준히 소폭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병원급은 반대로 13.51%에서 18.35%로 지속적으로 그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그림 4. 종별 정형외과 내원일수 구성비 (외래)
다. 주상병 별 심결요양급여비용총액 변화
○ 정형외과 종별 구성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병원급과, 반대로 감소하고 있는 의원급의 주
상병 별 심결요양급여비용총액 변화를 살펴봄. 이하 주상병 순위는 모두 2011년 기준임.1) 입원 주상병
○ 주상병 중 지속적인 병원급의 입원진료비 증가를 가져온 것은 무릎관절과 관련한 입원임.
<양쪽 일차성 무릎관절증>의 경우 2010년까지 매우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2011년은 2007년을 기준으로 85.7% 증가했으며, <기타 일차성 무릎관절증>의 경우 2007년 보 다 104.4% 증가함. 무릎관절 질병과 관련이 있는 <현존 반달연골의 찢김>도 금액의 비 중은 작으나 2010년까지 꾸준히 높은 증가율을 보임.
○ 무릎 관련 질병이외에도, 어깨 관련 질병들(근육둘레띠증후군, 어깨의 근육둘레띠의 근
육 및 힘줄 손상)이 증가추세를 보이며, 2007년까지 10위권 밖이던 총액이 2011년에는 6위권 안으로 진입함.의원 요양병원 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진료경향분석
표 7. 병원급 정형외과진료 상위 주상병 요양급여비용총액 및 증감률 (입원) (단위: 백만원, %)
주상병 2007 2008 2009 2010 2011
총액 증감률 총액 증감률 총액 증감률 총액 증감률 총액 증감률
양쪽 일차성
무릎관절증 70,586 - 78,257 10.9 102,561 31.1 131,405 28.1 131,088 -0.2 기타 일차성
무릎관절증 24,086 - 30,957 28.5 38,922 25.7 46,769 20.2 49,238 5.3 현존 반달연골의
찢김 10,297 - 14,131 37.2 21,788 54.2 26,839 23.2 27,370 2.0 오래된 찢김 또는
손상으로 인한 반달연골의 이상
10,496 - 11,836 12.8 16,686 41.0 22,293 33.6 27,029 21.2
근육둘레띠증후군 3,890 - 4,926 26.6 8,406 70.6 12,901 53.5 22,888 77.4 어깨의
근육둘레띠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3,289 - 6,308 91.8 12,964 105.5 17,881 37.9 20,697 15.7
대퇴골 경부의
골절 10,255 - 16,320 59.1 17,667 8.3 19,943 12.9 20,190 1.2 요골하단의 골절 8,793 - 10,192 15.9 12,432 22.0 16,716 34.5 19,893 19.0
무릎의(전)(후) 십자인대를 침범 하는 염좌 및 긴장
5,911 - 8,647 46.3 11,242 30.0 13,485 20.0 19,565 45.1
신경뿌리병증을 동반한 요추 및 기타 추간판 장애
8,513 - 10,989 29.1 15,172 38.1 16,814 10.8 18,017 7.2
○ 반대로 의원급의 <양쪽 일차성 무릎관절증>상병의 증가율은 5년 연속 10% 미만이며,
2009년과 2010년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인 <요추의 염좌 및 긴장>보다 낮은 순위를 기록하기도 함.○ <일차성 무릎관절증>을 제외하고 의원급 진료비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허리관
련 질병인데, 2011년에는 진료비가 대부분 감소하는 현상을 보임. 지속적으로 증가하던<요추의 염좌 및 긴장>상병도 2011년에는 큰 폭으로 감소하여 -20.4% 증감률을 보임.
○ 병원급으로의 이동으로 유추되는 <일차성 무릎관절증>과는 달리, <요추의 염좌 및 긴
장>의 경우 병원급도 2010년까지 의원급과 동일하게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2011년에 큰 폭으로 감소(-13.2%)하고 있어, 의원급에서 병원급으로의 이동으로 보기 어려움.표 8. 의원급 정형외과진료 상위 주상병 요양급여비용총액 및 증감률 (입원) (단위: 백만원, %)
주상병 2007 2008 2009 2010 2011
총액 증감률 총액 증감률 총액 증감률 총액 증감률 총액 증감률
양쪽 일차성
무릎관절증 12,045 - 13,118 8.9 13,878 5.8 15,041 8.4 15,254 1.4 요추의 염좌
및 긴장 10,083 - 12,025 19.3 15,022 24.9 16,631 10.7 13,241 -20.4 신경뿌리병증을
동반한 요추 및 기타 추간판 장애
8,614 - 9,406 9.2 10,039 6.7 10,798 7.6 10,310 -4.5
현존 반달연골의
찢김 6,514 - 7,752 19.0 8,253 6.5 8,504 3.0 7,985 -6.1 외측복사의 골절 5,738 - 5,787 0.9 6,629 14.5 7,265 9.6 7,167 -1.3 요골하단의 골절 3,775 - 4,027 6.7 4,360 8.3 5,385 23.5 5,998 11.4
요추의 골절 5,972 - 6,091 2.0 6,130 0.6 6,459 5.4 5,962 -7.7 척추 협착 3,911 - 4,032 3.1 4,132 2.5 4,517 9.3 4,663 3.2 (후천성) 외반무지 1,671 - 2,428 45.3 3,054 25.8 3,443 12.7 4,503 30.8 중족골의 골절 3,392 - 3,799 12.0 4,222 11.1 4,176 -1.1 4,241 1.6
2) 외래 주상병
○ 병원급 외래 1위 주상병도 입원과 마찬가지로 <양쪽 일차성 무릎관절증>이지만, 외래
의 경우 입원과 달리 2011년에도 지속적인 높은 증가율을 보임. 이는 의원급의 경우에 도 마찬가지였으나, 증가율을 병원급이 더 높았음. (5년간 병원급 125.2% 증가, 의원급 69.2% 증가)○ 병원급 진료비 증가의 주된 원인은 금액의 규모가 큰 <양쪽 일차성 무릎관절증>(2011년
기준 280억원)이 매년 10%가 넘는 증가율을 보이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밖에진료경향분석
도 <척추협착>, <어깨의 유착성 피막염>등 대부분의 질병이 증가세를 보이며 병원급 정 형외과 외래진료비를 증가시키고 있음.
표 9. 병원급 정형외과진료 상위 주상병 요양급여비용총액 및 증감률 (외래) (단위: 백만원, %)
주상병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총액 증감률 총액 증감률 총액 증감률 총액 증감률 총액 증감률
양쪽 일차성
무릎관절증 12,716 - 16,742 31.7 21,222 26.8 25,241 18.9 28,636 13.5 척추 협착 6,083 - 8,260 35.8 10,951 32.6 12,914 17.9 13,983 8.3 발목의 염좌
및 긴장 5,896 - 7,174 21.7 8,336 16.2 9,338 12.0 10,479 12.2 신경뿌리병증을
동반한 요추 및 기타 추간판 장애
5,662 - 6,744 19.1 7,756 15.0 9,443 21.8 10,437 10.5
기타 일차성
무릎관절증 4,771 - 6,025 26.3 7,821 29.8 8,163 4.4 9,208 12.8 요골하단의 골절 4,109 - 4,543 10.6 4,969 9.4 6,290 26.6 6,636 5.5
요추의 염좌
및 긴장 5,002 - 6,000 20.0 6,544 9.1 6,846 4.6 6,610 -3.4 어깨의 유착성
피막염 2,706 - 3,327 22.9 4,435 33.3 5,134 15.8 5,980 16.5 상세불명의
무릎관절증 3,365 - 4,312 28.1 4,801 11.3 5,182 7.9 5,868 13.2 손톱의 손상이
없는 손가락의 열린 상처
3,792 - 4,252 12.1 4,568 7.4 5,453 19.4 5,715 4.8
○ 의원급 외래 진료비의 경우, 큰 폭으로 하락 혹은 증가하는 상병 없이 지속적으로 증가하
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금액 규모가 큰 <양쪽 일차성 무릎관절증>의 증가세가 병원급 보다 낮은 것이 종별 진료비 점유율을 낮추는 원인인 것으로 보임.표 10. 병원급 정형외과진료 상위 주상병 요양급여비용총액 및 증감률 (외래) (단위: 백만원, %)
주상병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총액 증감률 총액 증감률 총액 증감률 총액 증감률 총액 증감률
양쪽 일차성
무릎관절증 44,789 - 53,223 18.8 60,382 13.5 65,348 8.2 75,774 16.0 요추의
염좌 및 긴장 35,949 - 37,126 3.3 39,121 5.4 39,747 1.6 39,823 0.2 신경뿌리병증을
동반한 요추 및 기타 추간판 장애
30,643 - 32,080 4.7 34,149 6.4 35,382 3.6 37,381 5.6
척추 협착 20,137 - 23,472 16.6 27,228 16.0 30,077 10.5 35,837 19.2 발목의
염좌 및 긴장 24,566 - 25,956 5.7 28,502 9.8 31,121 9.2 35,605 14.4 기타 일차성
무릎관절증 24,876 - 27,847 11.9 30,061 8.0 30,961 3.0 31,920 3.1 아래허리통증 18,014 - 19,742 9.6 22,853 15.8 25,424 11.3 27,820 9.4 신경뿌리병증을
동반한 경추간판장애
16,598 - 17,204 3.7 19,267 12.0 20,447 6.1 22,706 11.0
어깨의 유착성
피막염 15,255 - 15,764 3.3 17,532 11.2 18,553 5.8 20,046 8.0 경추의
염좌 및 긴장 16,505 - 16,839 2.0 18,614 10.5 18,962 1.9 19,331 1.9
3. 나가며
○ 정형외과의 총진료비는 건강보험으로 청구되는 전체 요양급여비용의 변화와 1~2%정도
의 차이를 보이는 유사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음. 그러나 종별로는 증감의 차이를 보이는 데, 종합병원과 병원급 입원과 외래의 경우 총진료비 증가율이 전체의료비 증가율보다 다 소 높은 반면, 의원급은 입원 외래 모두 전체 증가보다 낮은 수준이고, 입원진료비는 최근 감소하는 현상을 보임.진료경향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