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임스 레게(James Legge, 理雅各)와 東學西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제임스 레게(James Legge, 理雅各)와 東學西漸"

Copied!
25
0
0

Teks penuh

(1)

제임스 레게(James Legge, 理雅各)와 東學西漸

-儒敎經傳 飜譯과 儒敎에 대한 認識을 中心으로-

盧 在 軾 (湖西大)

Ⅰ. 머리말

Ⅱ. 제임스레게의 초기 중국활동과 유교경전 번역

Ⅲ. 제임스레게의 공자와 유교 에 대한 인식

1. 공자에 대한 평가

2. 유교와 유교사상에 대한 인식

3. 중국문화와 중국인에 대한

Ⅳ. 맺음말인식 .

Ⅰ. 머리말

1860년 淸朝가 영불 연합군에게 패하고 나서 체결한 “북경조약”은 중국 근대역사에 큰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이 조약에는 북경에 외국 공사관 설립, 천진 등 11개항구의 개항, 외국 상인과 선교사들의 중국 內地로의 진출 허용 등의 조항이 들어갔고 이로 인해 중국의 문호는 서구 열강 세력에게 완전히 개방되었다. 그 중 서양 교회와 선교사들 의 자유로운 중국 진출은 이후 중국 사회와 역사발전에 큰 변화를 가 져다주었다. 중국의 문호가 개방이 되면서 수많은 개신교, 천주교 선교 회와 선교사들이 중국에 진출을 하게 되었고 그들은 기독교 전파이외 에 서양의 선진화된 지식, 사상 및 문화를 근대 중국 사회에 전파하게 되었다. 학계에서 소위 “서학동점(西學東漸)”이라고 불리는 이 현상에

(2)

대해서 상당한 양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1)

반면 근대 중국 시기 중국에 온 선교사들과 서양인들이 중국의 문화 나 사상에 관심을 가지고 서구 사회에 소개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 다고 할 수 있다. 오히려 명말청초 예수회 선교사들이 중국문화를 연 구하고 서양에 소개한 연구는 적지 않게 이루어졌다.2) 이것은 근대 중 국 시기 서양인들이 주로 서양의 학문과 사상을 중국에 전파하는 데 관심을 가졌고 중국의 학문과 문화를 서양에 소개하는 것은 소홀하였 1) “西學東漸”에 관한 연구는 일일이 나열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이 진척이 되었 다. 대표적인 연구서로 몇 개를 들자면 熊月之, 西學東漸與晩淸社會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95); 顧衛民, 基督敎與近代中國社會 (上海: 上海人民出版 社, 1996); 揚代春, 萬國公報與晩淸中西文化交流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2002); 王林, 西學與變法 -萬國公報硏究 (齊南: 齊魯書社, 2004); 王立新, 国傳敎士與晚清中国現代化 (天津: 天津人民出版社, 2008)등이 있다. 한편 최근 陶飛亞, 基督敎與中國社會硏究入門 (上海: 復旦大學出版社, 2009)에서는 중국 대륙, 대만, 홍콩 및 구미학계의 19세기 말 20세기 초 개신교 선교사들의 근대 중국과 관련된 연구상황을 총 정리하고 있다. 이 책에서 서양 선교사들의 서학 전파에 관한 연구상황과 述評이 소개되어 있다.

한편 1840년 이전의 선교사들과 중서문화에 관한 연구는 조훈, 중국에 온 최초의 프로테스탄트 선교사 -로버트모리슨 (서울: 신망애출판사, 2003); 조 훈, 말라카 선교를 통한 중국 선교기지의 개척자 -윌리엄 밀른 (서울: 그리 심, 2008); 譚樹林, 馬禮孫與中西文化交流 (北京: 中國美術學院出版社, 2004) 등이 있다.

2) 명말청초 시기 예수회 선교사들의 중국문화에 대한 연구는 김종건, 예수회의 동방 선교와 적응주의 선교 전략의 성립 -프란시스코 사비에르를 중심으로- (대구사학 103, 2011); 신태갑, 뱅상 레브 신부와 중국 천주교의 토착화 ( 대구사학 103, 2011); 신태갑, 뱅상 레브 신부의 선교방식과 선교활동의 지역 범위 (대구사학 107, 2012); 이경규, 예수회의 일본 선교와 경제적 배경 (대구사학 105, 2011); 최소자, 東西文化交流史硏究: 明, 淸時代 西學受容 (서울: 삼영사, 1987); 히라카와 스키히로(平川祐弘) 저, 노영희 역, 마테오 리 치: 동서문명교류의 인문학 서사시 (서울: 동아시아, 2002); 許敏, 明淸之際耶 穌會傳敎士與中國社會生活的西傳 (四學集刊 1992-1); 吳孟雪, 明淸歐人對 中國語言文字的硏究(一)-(四) (文史知識 1993-1,2,3,5); 吳孟雪, 明淸歐人對 中國歷史的硏究和介所紹 ; 方義 , 明淸時期中國文化在歐洲的傳播 (中國典籍 與文化 1995-3); 王紀鵬, 淺析明淸時期的傳敎士與東學西漸 (鷄西大學學報 2008-5); 陳超, 對明淸之交“東學西漸”的思考 (東南學術 2011-4); 嚴建强, 18世紀中國文化在西歐的傳播及其反應 (北京: 中國美術學院出版社, 2002) 등이 있다.

(3)

던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처럼 근대 중국 시기 서양 선교사들과 서양인들에 의해 중국 사 회에 서양의 학문과 사상이 주로 전파된 상황에서 일부 서양 선교사들 은 중국의 사상과 문화를 서양세계에 소개하였다. 영국인 제임스 레게 (James Legge, 1815-1897, 중국명: 理雅各, 이후 레게로 약칭)는 그 대 표적인 인물 중의 한 명이라고 할 수 있다. 레게는 영국런던 선교회 (London Missionary Society)의 파견 선교사로 홍콩에 와서 후에는 四 書五經을 비롯한 유교경전을 연구하고 영어로 번역하는 저명한 漢學者 로 활동하였다. 이러한 레게의 공적으로 인하여 레게에 대한 연구는 적지 않게 이루어졌고,3) 최근에는 레게의 유교경전 번역에 관한 연구 3) 제임스 레게에 관한 중국학계의 연구로는 宋新, 理雅各 -從傳敎士到傳播中國 文化的使者 (國際關係學院學報 1997-2); 王輝, 理雅各與中國經典 (中國 飜譯 2003-2); 岳峰, 理雅各宗敎思想中的中西融合傾向 (世界宗敎硏究 2004-4); 段懷清, 理雅各"中國經典"翻譯緣起及體例考略 (浙江大學學報(社科 2005-3); 段懷清, 晚清英國新教傳教士“適應”中國策略的三種型態及其評價 (世界宗教研究 2006-4); 段懷淸, 理雅各與儒家經典 (孔子硏究 2006-6);

王輝, 理雅各的儒敎一神論 (世界宗敎硏究 2007-2); 伍玉書, 協調與非對立 -理雅各論耶儒關係 (廣州社會主義學院學報 2011-2); 王東波, 理雅各對中國 文化的尊重與包容 (民俗硏究 2012-1) 등이 있다. 그리고 顧長聲, 從馬禮遜 到司徒雷登 -來華新敎傳敎士評傳 (上海: 上海書店出版社, 2005), pp.112-129;

顧衛民, 基督敎與近代中國社會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96), pp.218-271 등 에서도 제임스 레게의 대해 언급하고 있다. 한편 최근 岳峰, 架設東西方的橋 梁: 英國漢學家理雅各硏究 (福建師範大學 博士學位論文, 2003): 陳可培, 偏見 與寬容: 理雅各的漢學硏究與論語英譯 (上海師範大學 博士學位論文, 2006) 등 의 제임스 레게에 관한 학위논문들이 보인다.

홍콩 학계에서는 홍콩 浸會대학의 黃文江과 Lauren F. Pfister가 제임스 레게 에 대해 전문적으로 연구한 학자들이다. 홍콩 浸會대학 사학과의 黃文江은 그 의 석사논문을 수정하여 Wong Man Kong, James Legge: A Pioneer at Crossroads of East and West (Hong Kong: Hong Kong Eductional Publishing Co, 1996)로 출판하였다. 또한 박사논문도 제임스 레게에 관해서 작성하였다. Wong Man Kong, Christian Mission, Chinese Culture and Colonial Administration- A Study of the Actives of James Legge in Nineteenth Century Hong Kong, (홍콩중문대학 박사학위논문, 1996).

홍콩 浸會대학 종교학과의 Lauren F. Pfister의 연구는 Striving for the 'whole duty of man': James Legge and the Scottish Protestant encounter with China (New York: Peter Lang, 2004) 가 있다.

(4)

가 많이 보이고 있다.4) 한편 국내학계에서 레게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고 주로 레게의 論語 번역과 번역상의 특징을 논한 연구들이 약간 있다.5)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1) 레게가 중국의 유교 경전들을 영문으로 번 역하여 출판하고 후에 영국으로 귀국하여 옥스퍼드 대학에서 중국학 교수로서 활동한 업적, 2) 레게의 유교경전의 번역은 기독교적인 선입 관과 선교사라는 직업의 한계를 넘어서지 못했다는 점, 3) 레게의 유

미국에서는 펜실버니아주의 리하이대학교(Lehigh Univ)의 Norman J.

Girardot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Norman J. Girardot, The victorian translation of China: James Legge's oriental pilgrimag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이 책은 최근 중국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古瑞德 (Norman J. Girardot) 著, 段懷情譯, 朝覲東方: 理雅各評傳 (桂林: 廣西師範大 學出版社, 2011).

그리고 제임스 레게의 딸 Helen. E. Legge가 쓴 傳記는 제임스 레게의 중국 에서의 생활과 학술사상을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James Legge -Missionary and Scholar (London: The Religious Tract Society, 1905).

한편 중국, 대만, 홍콩 및 미국 학계의 제임스 레게에 대한 연구동향에 관해서 는 陳可培, 理雅各硏究綜述 (上海飜譯 2008-2)에 비교적 상세하게 서술되 어 있다.

4) 陳飛亞, 一經一緯織美文 -評理雅各英譯論語 (陝西廣播電視大學學報 2000-3); 王輝, 從"論語"三個譯本看古籍英譯的出版工作 -兼與劉重德教授商榷 (廣東外語外貿大學學報 2003-3); 王輝, 理雅各, 龐德“論語”譯本比較 (四川 外語學院學報 2004-5); 姜燕, 理雅各詩經英譯本所繪夏商周三代社會圖景 ( 齊魯學刊 2009-6); 陳先芝, 從言行行爲理論看理雅各“道德經”的 英譯及影響 (安徽理工大學學報(社科版) 2011-2); 宋鍾秀, 析論理雅各對中國神秘文化的處 理方式-以理雅各“禮記”英譯本爲例 (岳山師範學院學報 2012-1); 李宣, 胥瑾,

意識形態對理雅各"易經"英譯的操控 (世紀橋 2012-3) 등이 있다.

5) 이동철, 서구의 논어 수용과 번역 (중국어문논역총간 25, 2009); 이영호, 손철배, James Legge의 논어 번역의 특징과 위상 (東洋哲學硏究 70, 2012); 안성호, 17세기 초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와 19세기 제임스 레그의 중국 유교경전 영어번역본에서 사용된 용어 '상제(上帝)'간의 신학적 연속성 (한국기독교와 역사 32, 2010); 설충수, 제임스 레그의 비교종교연구에서 드 러난 유교일신론(儒敎一神論) 고찰 (한국기독교와 역사 36, 2012) 등이 있 다. 그리고 사지문, 영어로 배우는 논어 (서울: 창작시대, 2001), pp.299-306 에서 레게의 논어번역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하고 있다.

(5)

교경전 번역에서 비록 기독교적인 선입관이 나타나고 있지만 한 세기 넘게 서양학계에서 인정을 받고 유교경전에 대한 표준적인 번역으로 인정되었다는 점 등의 평가들이 지배적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레게 의 유교경전 번역에 나타난 공자와 유교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는 상대 적으로 연구가 부족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레게가 활동하였던 19세기 말 이전에 일찍이 예수회 선교사들 에 의해 중국문화와 유교경전이 소개되고 연구되었다.6) 레게와 예수회 선교사들의 중국 유교경전에 대한 연구가 어떠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 는지에 대해서는 더 고려되어야 할 문제라고 생각된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서 기존의 연구성과를 바탕으 로 레게의 유교경전 번역에서 나타난 레게의 공자와 유교에 대한 인식 을 살펴보고자 한다.

Ⅱ. 제임스레게의 초기 중국활동과 유교경전 번역

레게는 1815년 12월 20일, 영국 스코틀랜드 에버딘(Aberdeen)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기독교적 색채가 농후한 가정에서 성장하였고 1831 년 레게는 에버딘에 있는 King's College에 입학하였다. 대학기간 동 안 레게는 문학을 좋아하였고 언어방면에 천부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 었다. 또한 성적은 항상 상위에 있었고 졸업시에는 1등으로 졸업하였 다.7) 그의 이런 재능은 후에 방대한 중국 유교 경전을 연구하고 번역 6) 관련연구로는 서덕근, 明末淸初 아담 샬(1592-1666)의 宣敎活動과 그 意義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송영배, 마테오리치의 공적 ( 유교문화연구 18집, 2011); 朱兼之 著, 전홍석 역, 중국이 만든 유럽의 근대:

근대 유럽의 중국문화 열풍 (서울: 청계, 2010) 등이 있다.

7) Helen. E. Legge, James Legge-Missionary and Scholar (London: The Religious Tract Society, 1905), p.4; 顧長聲, 從馬禮遜到司徒雷登 -來華新敎傳 敎士評傳, p.112.

(6)

하는 데 큰 기초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대학 졸업 후 선교사를 희망 하고 하이베리 신학원(Highbury Theological College)에 입학하여 신 학을 공부하였다.8) 1838년 런던대학의 사무엘(Samuel Kidd)교수에게 중국어를 배우면서 중국 선교를 준비하게 되었다. 1839년 7월, 런던선 교회의 파견을 받아 다음해 1월 말라카(馬六甲)에 도착하였다. 그는 말 라카에서 로버트 모리슨(Robert Morrison)이 창시한 영화서원(英華書 院, Anglo- Chinese College)의 교장직을 맡게 되었다. 1842년 남경조 약 이후 영화서원이 홍콩으로 이전하게 되면서 레게도 홍콩으로 건너 오게 되고 여전히 교장직을 담당하였다. 홍콩에서 그는 교장직 이외에 도 선교활동에 종사하게 되고 1849년 홍콩연합교회의 목사직을 맡게 되었다.9)

레게는 일직이 말라카에서 영화서원 교장직을 하는 동안 중국 유교 경전에 관심을 가지고 영어로 번역을 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10) 그 리하여 레게는 1843년부터 1873년까지 홍콩에 머무는 동안 중국 고대 문화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유교문헌을 연구하고 번역하는 작업을 하 였다.

그는 중국인의 행위방식과 생활습관은 고대 聖賢들의 규율과 규범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고 여겼다. 그 중 유교사상과 유교경전은 중국인 을 이해하는 열쇠라고 생각했다.11) 물론 레게가 중국의 유교경전을 번 역하게 된 동기 중의 하나가 선교의 목적과도 관련이 있었다. 중국에 진출하는 선교사들이 그 선교 대상인 중국인들을 잘 이해하려면 중국 인들의 사상과 문화에 깊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유교 경전에 대한 이 해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8) 당시 영국을 비롯한 서구유럽에서는 해외선교의 붐이 일어났던 시기였다. 레 게도 이러한 사회적인 영향을 받아서 선교사를 희망하고 신학원에 입학하였다.

9) 顧長聲, 從馬禮遜到司徒雷登 -來華新敎傳敎士評傳, p.114.

10) Norman J. Girardot, The victorian translation of China: James Legge's oriental pilgrimage, p.41.

11) Helen. E. Legge, James Legge-Missionary and Scholar, pp.40-41.

(7)

중국인의 聖書와 중국 성인들이 언급한 사상 영역을 이해해야지만이 진정한 선교사라고 할 만하고 비로소 최종적인 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12) 그리고 四書五經이 중국 사회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 레게는 다음 과 같이 평가하고 있다.

중국의 많은 문헌 중 四書五經은 절대적인 권위를 가지고 있다. 중국 의 지식인들은 四書五經을 매우 깊이 이해하고 있다. 만약 통치계급이 되 려면 四書五經을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 四書五經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면 통치계급이 될 수 없다. 四書五經은 통치자들에게 治國의 방법을 제공해 준다. 중국 통치자들뿐만 아니라 일반 평민들도 모두 유가사상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이처럼 유교와 유교사상은 4000여 년 동안 중국과 중 국인을 지배해 온 것이다.13)

레게는 중국을 이해하려면 반드시 중국 고대 문화를 이해해야 한다 고 생각했다. 四書五經을 핵심으로 하는 중국고대 典籍은 중국 고대 문화의 최고의 성과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중국을 이해하려면 이부터 시작을 해야 한다고 여긴 것이다.

四書五經은 중국 전통문화의 精華로서 중국 몇 천 년 동안의 윤리, 도 덕, 정치, 문화, 경제생활의 기초가 되었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서 四書五 經의 영향은 지금까지 희박해지지 않는 것이다.14)

레게가 보았을 때 이처럼 四書五經에 대한 이해는 중국과 중국인을 이해하는 데 조건이지만 서양에서는 여기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지 않 다는 것이다. 당시 서양에 유교경전의 정확한 번역본이 없어서 그는 四書五經의 번역작업에 착수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비록 서양의 四書五經의 번역본이 보이기는 하지만 이는 단지 부분적 일 뿐 완전하지가 않다. 지금까지 체계적인 번역본이 아직 없다.15)

12) Helen. E. Legge, James Legge-Missionary and Scholar, pp.28-29.

13) Helen. E. Legge, James Legge-Missionary and Scholar, p.32.

14) Helen. E. Legge, James Legge-Missionary and Scholar, p.29.

15) Helen. E. Legge, James Legge-Missionary and Scholar, p.32.

(8)

레게는 왕타오(王韜)등의 도움을 받아서 1861년부터 25년 동안 중국 유교경전들을 영어로 번역하여 출판하였다. 四書五經을 번역한

중국고 전

(The Chinese Classics) 시리즈가 1861년 제1권을 시작으로 모두 5 권으로 출판되었다.16)

The Chinese Classics 제1권에는 유교와 공자에 대한 장문의 서문 이 실려 있는데 서문에서 유교경전을 번역한 목적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중국의 經書를 철저하게 이해하고 중국 聖賢들이 건립한 도덕, 사회, 정치, 생활기초의 사상 영역을 친히 고찰해야지 중국과 중국인을 비로소 바로 이해할 수 있다.17)

한편 레게는 유교경전을 연구하고 번역하는 과정에서 왕타오의 큰 도움을 받았다. 레게가 上海에 있는 묵해서관(墨海書館)을 방문하였을 적에 왕타오의 학문에 대하여 들은 적이 있었다. 그리하여 駐上海 영 국 영사인 메드허스트(Medhurst)에게 부탁을 하여 왕타오를 영화서원 에 초청하였다.18) 왕타오는 사서오경에 대한 이해가 깊었고 레게에게 경전의 의미를 해석해 주었다.19) 레게는 왕타오의 공헌에 대해서 상당 히 높이 평가하고 있는데 한 예로 1871년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 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왕타오는 나의 번역작업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이다. ··· 나는 아직 그와 견줄만한 중국학자를 만나보지 못했다. 20)

The Chinese Classics 제3권의 서문 중에도 레게는 왕타오의 공헌 16) “中國經典”으로 번역되는 이 책은 제1권은 “論語”, “大學”, “中庸”, 제2권은

“孟子”, 제3권은 “書經”, 제4권은 “詩經”, 제5권은 “春秋左傳”으로 이루어졌다.

17) James Legge, The Chinese Classics Vol. 1 (臺北: 敦煌書局影印本, 1978), p.95.

18) 張海林, 王韜評傳 (南京: 南京大學出版社, 1998), p.101.

19) 忻平, 王韜評傳 (上海: 華東大學出版社, 1990), p.75.

20) Helen. E. Legge, James Legge-Missionary and Scholar, p.89.

(9)

을 다음과 같이 평하였다.

나는 왕타오의 공헌에 대해 감사하고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내가 만 난 중국 학자 중 그는 중국경전에 가장 정통한 학자였다. 그는 1862년 홍 콩에 와서 專心으로 나의 번역을 도와주었고 해석을 해 주었다.21)

한편 유교경전을 연구하고 번역하는 과정에서 레게는 매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번역과정 중 중국의 여러 학파의 관점을 최대한 인용하고 다른 관점을 받아들였다. 이러한 레게의 태도에 대해 왕타오 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한 학파나 한 학설을 따르지 않고 여러 가지 견해를 섭렵했다. 공자, 朱熹의 학설을 받아들이고 漢宋의 학설을 섭렵하면서 편견이나 치우침이 없었다.22)

레게의 연구능력과 학술태도에 대해서도 왕타오는 다음과 같이 평가 하고 있다.

학문의 태도가 타인보다 탁월하고 經書에 대한 지식이 매우 깊다.23) 인재배양에 힘쓰고 正道에 힘쓴다. ··· 광동지역에서 識者나 無識者 나 상관 없이 (레게)선생의 명성을 들어보지 않은 자가 없다. 24)

그리고 레게는 The Chinese Classics에서 번역문의 신빙성을 높이 기 위해 상세한 주석과 부록을 수록하였고 서두에는 장편의 서문을 실 었다.25)

21) James Legge, The Chinese Classics Vol 3 (臺北: 敦煌書局影印本, 1978), Preface.

22) 王韜, 送西儒理雅各回國序 (弢園尺牘外編 卷八, 光緖九年, 大文書局鉛印 本), p.4.

23) 王韜, 與英國理雅各學士 (弢園尺牘外編 卷六, 光緖十三年, 大文書局鉛印 本), p.12.

24) 王韜, 送西儒理雅各回國序 (弢園尺牘外編 卷八, 光緖九年, 大文書局鉛印 本), p.4.

25) 王輝, 理雅各與中國經典, p.40에서는 레게가 장편의 서문을 기록한 것이 독

(10)

한편 레게의 번역서가 서양에 전해진 이후 서양 학자들은 그의 노력 에 높은 평가를 하였다. 왕타오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 하고 있다.

四書의 번역서가 출판된 이후 서양 학자들이 보고서 모두 감탄을 하고 그 섬세함에 놀랐다. 26)

레게의 번역서에 나타난 장편의 서문과 상세한 주석은 서양 학자들 이 중국 유교 문화를 이해하고 유교문화의 精髓를 파악하는 기반이 되 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27)

레게는 1873년 영국으로 귀국한 이후 중국에 대한 연구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특별히 중국사회의 근간이 되는 유가사상과 유교 경전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하였다.28) 이러한 가운데 일찍이 중국 에서 외교관과 상업에 종사하였던 영국인들 사이에서 옥스퍼드 대학에 중국학강좌를 설치해야 한다는 여론이 생겼고 레게를 그 담당 교수로 추천하였다. 레게는 1876년 옥스퍼드 대학의 중국학담당 교수가 되었 다. 1897년까지 레게는 옥스퍼드 대학에서 중국학관련 강의를 하였다.

레게는 만 21년 동안 중국의 역사, 문학, 사회, 종교 및 중국의 인물 평전등 다방면으로 연구를 하였다.29) 레게는 옥스퍼드 대학에서 모두

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함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공자의 사상 중 仁, 禮등에 관 한 설명이 부족한 점이 있다고 보고 있다.

26) 王韜, 送西儒理雅各回國序 (弢園尺牘外編卷八, 光緖九年, 大文書局鉛印本, p.4. 미국 선교사 마틴(W. A. P. Martin)은 레게의 업적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 였다. “런던 선교회의 레게 박사는 성품이 뛰어나고 성실하며 博學하다. 그는 영화서원의 교장직을 맡으면서 유교경전을 영문으로 번역하였다. ··· 레게의 번역문은 이후 누구도 대신할 수 없었다. 레게의 이름은 공자와 더불어 긴밀하 게 전달될 것이다” (美)丁韙良 著, 沈弘 譯, 花甲憶記 -一位美國傳敎士眼中的 晩淸帝國 (桂林: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04), p.14 참조.

27) 이동철, 서구의 논어 수용과 번역 (중국어문논역총간, pp.279-280.

28) 顧長聲,從馬禮遜到司徒雷登 -來華新敎傳敎士評傳, p.125.

29) 이상의 내용은 Wong Man Kong, James Legge: A Pioneer at Crossroads of East and West, pp.81-82; 顧長聲, 從馬禮遜到司徒雷登 -來華新敎傳敎士評 , pp.125-126 등을 참조.

(11)

36차례에 걸쳐 중국학 강좌를 개설하고 강의하였는데 그 중 유교경전 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30)

Ⅲ. 제임스 레게의 공자와 유교에 대한 인식

레게는 유교경전을 번역한 이외에도 공자와 유가사상에 대해 연구를 하여 적지 않은 성과를 내었다. 그 주요 성과로는 다음과 같다.

1877년 제1차 선교사대회에서 발표한 “Confucianism in Relation with Christianity”라는 글이 있고 1877년 옥스퍼드 대학에서 “Imperial Confucianism” 이라는 주제로 4차례에 걸쳐서 강연을 했다. 1878년에 는 Life and Teachings of Confucius with Explanatory Notes와 Life and Works라는 두 권의 책을 출판하였다. 1880년에 출판한 The Religious of China -Confucianism and Daoism described and compared with Christianity도 유교에 관한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 고 있다. 1883년에는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Compared in their Teaching on The Whole Duty of man이라는 책을 출판하였 다.31) 여기서는 레게의 공자와 유교에 대한 인식의 몇 가지 특징을 살 펴보고자 한다.

1. 공자에 대한 평가

레게의 공자에 대한 평가는 전후 변화의 과정을 보이고 있다. 우선

30) 레게가 옥스퍼드대학에서 강의한 중국학 강좌 개설과목과 시기, 내용 등에 관해서는 Norman J. Girardot, The victorian translation of China: James Legge's oriental pilgrimage, pp.539-545; 段懷淸, 理雅各與儒家經典 , pp.58-63 참조.

31) 이상의 내용은 岳峰, 理雅各宗敎思想中的中西融合傾向 , p.91과 伍玉書, 協 調與非對立 -理雅各論耶儒關係 , p.56 등을 참고하였다.

(12)

1861년 출판된 The Chinese Classics 1권의 서문에는 공자에 대해 다 음과 같이 평가하고 있다.

내가 공자의 品格과 사상에 대해 장기적으로 연구를 한 이후 그를 偉 人이라 여기지 않게 되었다. 비록 그가 동시대의 많은 관리들이나 문인들 을 초월하기는 하였지만 그 시대를 앞서 간 인물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 다. 그는 문제의 대한 해결책을 내지 못하였다. 그는 전혀 종교적인 열정 이 없고 진보하기를 부정하였다. ··· 내가 보았을 때 중국민족의 공자 에 대한 신뢰는 금방 쇠퇴할 것이다. 32)

그러나 30여 년이 지난 후 1893년 The Chinese Classics의 수정판에 서 레게의 공자에 대한 태도는 다음과 같이 크게 변화된 것을 볼 수 있다.

내가 공자에 대해 연구를 하면 할수록 그의 대한 평가는 날로 높아졌 다. 그는 위대한 인물이다. 그의 가르침과 사상은 중국인들에게 큰 유익 이 된다. 또한 우리와 같은 기독교도들에게도 큰 유익이 된다고 생각한 다. 33)

레게가 처음 중국 유교경전과 공자를 연구하였을 때에는 서양문화의 우월의식으로 인해서 중국 유교문화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을 가지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영국으로 귀국한 후 옥스퍼드 대학에서 강의를 하면서 유교와 공자의 사상에 대해 더욱 깊이 이해를 하게 되 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중국문화를 바라보게 되었다.

또한 그는 공자에 대해 덧붙여 말하기를 “공자는 위대하면서 사람들 로 하여금 감탄하게 하는 인물이다. 그가 수립하고 후대에 전달된 사 상은 공자 본인보다도 더 위대하고 탁월하다”라고 평가하였다.34) 하지 만 레게는 공자를 기존 권력에 복종하는 사람으로 간주했고 중국인의 현실타협주의가 공자의 영향이라고 보았다. 이것은 레게가 유교사상과 32) Jmaes, Legge, Chinese Classics, vol 1, p.113.

33) Jmaes, Legge, Chinese Classics, vol 1 (Revised Second Edition, 1893),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 1960), p.111.

34) Jmaes, Legge, Chinese Classics, vol 1 (Revised Second Edition), p.149.

(13)

공자의 사상을 번역하고 연구할 때에 기본적으로 기독교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레게의 공자에 대한 또 다른 지적은 공자가 말한 “己所不欲, 勿施於 人”사상은 일종의 소극적인 태도라고 한 것이다. 반면 기독교에서 예 수가 말한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남을 대접하라”라는 교리 는 적극적인 태도라고 비교하고 있다.35) 여기에서 레게는 기독교의 교 리가 유교보다 높다고 말하고 있다.36)

그리고 레게는 공자가 죽음과 死後세계에 대한 설명을 회피하는 태 도를 聖人답지 못하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중국에서 전통적으로 시행 되어온 조상 숭배에 대한 전통을 공자가 도덕적인 禮로 변환시킴으로 써 후대 중국인들의 종교경험을 억누르는 결과를 초래하였다고 여기었 다. 37) 레게는 공자가 자신과 자신의 가르침에 대해 매우 겸손한 평가 를 하였던 인물로 간주하였지만 그의 제자들이 그를 신격화한 것은 부 적절한 전통이라고 평가하였다. 38)

2. 유교와 유교사상에 대한 인식

1877년 상해에서 개최된 제1차 在中國선교사대회에서39) 레게의

“Confucianism in Religion to Christianity” 이라는 주제의 글이 발표 35) 성경 마태복음 7장 12절.

36) James Legge, The Chinese Classics, Vol 1, preface, p.109. 두 경전에 나오 는 유사한 이 구절의 내용을 통해 기독교가 유교보다 우월하다고 일반화시킬 수는 없다. 다만 이 구절에 대해서 레게는 기독교가 유교보다 우위에 개념에 있다고 본 것이다.

37) James Legge, The Chinese Classics, Vol 1, p.101.

38) 이영호, 손철배, James Legge의 논어 번역의 특징과 위상 (東洋哲學硏 ), p.320.

39) 1877년 5월10일부터 5월 24일까지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개신교 선교사들의 회의가 상해에서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 관한 기록은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the Protestant Missionaries of China at Shanghai, May 10-24, 1877 (Shanghai: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78)으로 출 판되었다.

(14)

되었다. 당시 그는 이미 귀국한 상황이라 참석을 하지 못했고 代讀을 통해서 그의 문장이 발표되었다.

그는 이 글에서 중국의 유교사상은 비록 결함이 있지만 선교사들은 유교의 장점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

유교와 기독교를 비교하였을 때 유교는 부족하고 결함이 많으며 완전 하지가 않다. 그러나 선교사들은 이러한 이유로서 유교 중의 좋고 유익한 부분들을 부정해서는 안 된다. ··· 선교사들은 유학 중의 유익한 내용 들을 충분히 이용해야 한다.

그는 선교사들이 종종 공자를 폄하하고 부정시하는 태도를 비판하였 다. 또한 맹자의 性善說을 높이 평가하였고 기독교의 교리로서 유교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기독교와 유교는 대립되 는 것이 아니라고 지적하면서 선교사들도 공자와 유교를 선교사들과 대립되는 위치에 놓지 말라고 주장하였다.

다음의 내용은 기독교와 유교의 관계에 대한 레게의 생각을 잘 대변 해준다고 하겠다.

유교는 불교나 이슬람교 같이 기독교와 완전히 대립되는 종교가 아니 다. 유교는 동양 전통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 선교사들은 비록 그것의 가치를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최대한 이용해야지 부정해서는 안 된다....

(선교의 일이) 분주하다는 이유로 유교경전을 이해하고 노력하는 것을 소 홀해서는 안 된다.40)

이 문장에서 레게는 유교와 기독교의 조화를 시도하였던 것이다. 이 러한 레게의 주장에 대해 로버트 넬슨(Robert N. Nelson)을 중심으로 당시 회의에 참석한 일부 선교사들은 반대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는 The Chinese Recorder상에 레게의 의견을 반대하는 문장을 발표하였 다. 레게가 주장한 기독교가 유교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할 수 있다는

40) 이상의 내용은 James Legge, Confucianism in Religion to Christianity (London: Trubner & Co, 1877), p.104. 伍玉書, 協調與非對立 -理雅各論耶儒 關係 , p.57에서 재인용.

(15)

것은 유교를 기독교보다 상위에 놓은 발언이고 맹자의 성선설과 기독 교의 교리는 상반된다고 지적하였다. 동시에 레게의 문장은 공자와 유 교를 너무 높이 평가한 것이라고 반박하였다.41) 최종적으로 레게의 문 장은 출판되는 것이 허락되지 못하였다.42)

하지만 레게가 제창한 유교와 기독교의 조화를 시도한 정신은 후에 파베르(Faber), 엡스킨(Edskin)등의 개신교 선교사들에게 이어져 그들 의 저작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파베르의 Civilization, Chinese and Christian과 엡스킨의 Religion in China 등의 저작은 레게의 사 상을 발전시킨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43)

또한 레게는 孝는 유교의 가장 중요하고 큰 가르침이라고 여기었다.

또한 유교의 효 사상에서 기독교 윤리의 진리성을 발견할 수 있다고 여겼다.44) 레게는 기독교의 효 관념이 유교의 그것보다 더 높다고 보 고 있다. 유교에서 말하는 효의 기본개념은 봉사나 복종의 개념이지만 기독교의 효는 존중에 기초한다고 보았다. 또한 그는 조상에 대한 제 사의식은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여기었다. 즉 제사의식은 “神靈 을 보호한다는 미신풍속을 조장시킬 수 있고 인간의 건전한 心智를 개 발시키거나 유리한 행동을 취하지 못하게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기독교의 효의 개념이 유교의 효의 개념보다 더 높다는 주장이었다.45)

하지만 레게는 중국인들의 제사의식에 대해서 마테오 리치와 유사한 비교적 관용적이고 포용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46) 이는 그가 “禮儀

41) Robert N. Nelson, “Book Review for Legge's Confucianism in Religion to Christianity” (The Chinese Recorder, 1877), pp.351-352.

42) 古瑞德(Norman J. Girardot) 著, 段懷情 譯, 朝覲東方: 理雅各評傳, p.187.

1877년 선교사 회의에서 출판이 거부된 이후 레게는 일부 지지자들의 도움 하에 영국에서 별도로 이 문장을 책으로 출판하였다. James Legge, Confucianism in Religion to Christianity (London: Trubner & Co, 1877).

43) 古瑞德(Norman J. Girardot) 著, 段懷情 譯, 朝覲東方: 理雅各評傳, p.208.

44) 레게는 기독교 십계명의 제5계명인 “너의 부모를 공경하라”는 계명이 유교의 효 관념과 연관이 있다고 여기었다.

45) James Legge, Confucianism in Religion to Christianity (London: Trubner

& Co, 1877); 伍玉書, 協調與非對立 -理雅各論耶儒關係 , p.57에서 재인용.

(16)

論爭”에 대한 평가에서 “중국의 禮俗을 반대해서 야기되는 악영향은 선교사들의 무지와 오만 때문이다”라고 지적한 데서 엿볼 수 있다.47)

레게는 유교의 인성론에 대해서 많은 결함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기독 교로 유교의 부족한 점을 보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레게는 맹자의 성선설을 찬성하면서 기독교의 교리와 모순이 되지 않는다고 여겼다.

하지만 성선설이 비록 좋은 가르침이지만 잘못된 부분도 많다고 지적 하였다. 즉 사람의 악한 성품이 聖人의 가르침과 도움으로 선해질 수 있다는 것은 큰 잘못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 원인은 유가사상가들은 인간과 理想사이에 충돌이 존재하는 도리를 잘 이해하지 못하였기 때 문이라는 것이다. 유교경전중에는 人性문제를 해결해 줄 만한 교리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기독교의 교리로서 유교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해 야 한다고 주장하였다.48)

레게는 The Religious of China-Confucianism and Daoism described and compared with Christianity에서 중국의 유교와 도교, 그리고 서양의 기독교를 비교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다.

각 방면을 비교하였을 적에 기독교가 모두 유리하다. 유교는 도교보다 더 오래되어서 약간의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기독교가 각 방면에서 모두 유교를 초월한다. 유교의 장점은 기독교 안에 모두 있고 유교의 잘못된 부분은 기독교에서 이미 수정이 되었다.49)

그리고 유학의 여성관에 대해서 레게는 기독교에서는 남녀차별이 없 46) 마테오리치의 제사의식에 관한 인식의 연구는 陳雪花, 淺議利瑪竇“合儒” ( 浙江學刊 1991-4); 郭熹微, 試論利瑪竇的傳敎方式 (世界宗敎硏究 1995-1) 등을 참조.

47) James Legge, “A Lecture on the Nestorian Monument of His-an Fu: and The Present Prospects of Christian Missions in China” (Nestorian Monument of His-Fu in Shen-his), p.58; Wong Man Kong, James Legge:

A Pioneer at Crossroads of East and West, p.112에서 재인용.

48) James Legge, The Religious of China-Confucianism and Daoism described and compared with Christianity(London: Hodder and Stougton, 1880), p.104.

49) James Legge, The Religious of China-Confucianism and Daoism described and compared with Christianity, pp.275-276.

(17)

다고 주장하며 이런 관점에서 기독교가 유교보다 더 높다고 간주하고 있다.50)

3. 중국문화와 중국인에 대한 인식

레게는 중국문화와 서양문화를 비교하였을 때 서양문화에 대한 일종 의 우월감을 가지고 있었다. 한 예로 駐英公使였던 꾸어송타오(郭嵩燾) 와의 대화에서 이러한 점이 엿보인다.

郭嵩燾: 존경하는 박사님. 당신은 비록 영국에서 출생하였지만 거의 저 와 같은 중국인과 다름이 없으신 것 같습니다. 영국과 중국을 비교하시다 면 어느 나라가 더 우수하다고 여기십니까?

레게: 공사님께서 기왕 이렇게 질문하셨으니 말씀드리는데 기분 나쁘 게 생각하지 마세요. 저는 영국이 더 우수하다고 봅니다.

郭嵩燾: 저도 인정합니다. 만약 공업, 철도, 해군방면에서 비교를 한다 면 그렇게 말할 수 있겠죠. 그런데 저의 뜻은 도덕적, 사상적 각도에서 비교를 하였을 때 어떤지를 질문한 것입니다.

레게: 도덕적 방면에서 비교하였을 적에도 여전히 저는 영국이 더 우 수하다고 봅니다.51)

이상의 대화에서 보듯이 레게는 당시 영국이 공업과 산업부분에서 뿐만 아니라 사상, 문화 측면에서도 중국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한 것이 다. 하지만 동시에 레게는 중국의 고대문명의 가치와 학문에 대해 긍 정적으로 평가하고 중국인들을 존중하는 입장을 말하고 있다.

중국의 문명은 결코 야만적인 문명이 아니다. 4,000여 년 동안 중국인 들은 그곳에서 생활, 번영, 성장하였다. 다른 기타 문명 -예를 들어 로마, 이집트 및 선진적인 제국문화-은 모두 흥망, 성쇠를 겪었지만 중화제국은 50) 레게는 신약 성경의 “남편들도 자기 아내 사랑하기를 자기 자신과 같이 할지

니”(에베소서 5: 28)의 구절을 예를 들면서 기독교에서는 남녀가 평등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James Legge, The Religious of China -Confucianism and Daoism described and compared with Christianity, p.268.

51) Helen. E. Legge, James Legge -Missionary and Scholar, pp.224-225; 顧長 聲, 從馬禮遜到司徒雷登 -來華新敎傳敎士評傳, p.127.

(18)

4000여 년간 존재해 오고 있다. 이것은 무슨 이유인가? 중국민족에게는 반드시 미덕과 사회원칙이 있는 것이다. 52)

중국은 위대한 도덕 원칙을 가지고 있다. 중국인들이 추구하는 師道의 尊嚴성은 어떤 국가와도 비교할 수 없다. 중국인들처럼 학문을 敬重하는 민족도 많지 않다. 53)

내가 오래 동안 중국인들 사이에서 생활하는 동안 다른 영국인들보다 더 중국인을 존중하고 중국인들의 도덕원칙을 존중하며 중국인들의 지혜 를 존중하는 것을 배우게 되었다. 54)

레게는 유교와 공자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비록 기독교적인 가치관으 로 기독교를 유교보다 높게 평가하기는 하였지만 유교의 가치를 최대 한 존중, 인정하였고 중국의 고대문명과 문화에 대해서 존중하고 이해 하는 입장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레게는 당시 근대 중국 사회에 만연해 있는 아편의 피해를 인식하고 영국정부가 중국에게 행하는 아편무역을 강하게 반대하는 입 장을 취하였다.55) 1873년 5월, 홍콩을 떠나기 이전에 레게는 華北지방 을 돌아보았다. 그곳에서 레게는 농민들이 아편을 재배해서 생계를 유 지하는 것을 목도하였다. 레게는 그의 부인에게 보낸 편지에서 “우리 (영국)정부는 아편을 중국에 강제적으로 주었을 뿐 아니라 중국인들로 하여금 아편을 재배하게 하였다. 이것은 진실로 받아들이기 힘든 일이 다. 우리정부의 정책과 노선은 장차 엄중한 처벌을 받을 것이다”라고 쓰고 있다.56)

52) Helen. E. Legge, James Legge-Missionary and Scholar, p.28.

53) James Legge, The Chinese Classics, Vol. 1, p.10.

54)James Legge, The Religious of China-Confucianism and Daoism described and compared with Christianity, p.306.

55) 레게의 근대 중국 사회의 아편흡연에 대한 인식은 그의 공자나 유교에 대한 인식과는 별개의 문제일 것이다. 본문에서는 레게의 중국사회에 대한 인식의 한 단면으로 아편흡연과 아편무역에 대한 그의 견해를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 다.

56) Helen. E. Legge, James Legge-Missionary and Scholar, p.225.

(19)

레게는 중국에서 아편의 피해를 목도하고 느낀 점을 다음과 같이 기 술하고 있다.

나는 중국에서 30여 년을 생활하면서 아편으로 인한 중국 각 계층 의 피해의 반응을 듣고 보았다. 건강했던 청년들이 아편흡연의 악습으로 건강을 해치고 가정이 파괴되는 상황을 많이 보았다. 또한 아편으로 인하 여 사망하는 경우도 많이 보았다. 나는 처음부터 아편 무역 제지를 주장 했고 그로 인해 “狂熱子”라는 비난도 받았다. 이러한 호칭은 결코 기분 좋은 일은 아니다. 그러나 정의를 갈망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이러한 모욕 은 공자의 말을 빌려 말하자면 단지 뜬 구름과 같을 뿐이다. 57)

레게는 영국으로 돌아가서 계속적으로 아편반대를 주장하였다. 1878 년 런던에서 열린 한 회의에서 駐英 중국 영사인 郭嵩燾와의 대화를 인용하여 영국정부가 행하는 아편무역의 수치를 비판하고 있다.

郭嵩燾: 존경하는 레게 박사님. 만약 공업, 철도, 해군방면에서 비교를 한다면 영국이 중국보다 우수하다고 말할 수 있겠죠. 그런데 저의 뜻은 도덕적, 사상적 각도에서 비교를 하였을 적에 질문한 것입니다.

레게: 도덕적 방면에서 비교하였을 적에도 여전히 저는 영국이 더 우 수하다고 봅니다.

꾸어송타오는 이 말을 듣고 다시 물었다.

郭嵩燾: 박사님. 그렇다면 도덕적으로 우수한 영국이 왜 중국에 강제적 으로 아편을 받아들이라고 하는 것인가요?

레게는 위의 대화를 인용한 후 덧붙여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나는 꾸어송타오의 말을 듣고 부끄러워서 단지 침묵만 지킬 뿐이었다.

지금 나는 이 문제에 대해서 당신들에게 묻고 싶다. 당신들의 의견은 무 엇인가?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내 대답은 우리는 단지 죄악을 중 지하고 선행을 배워야 한다는 것이다. 58)

레게는 중국에 거주하면서 아편흡연의 피해를 인식하였고 영국 정부 57) Helen. E. Legge, James Legge-Missionary and Scholar, p.225; 古瑞德

(Norman J. Girardot) 著, 段懷情 譯, 朝覲東方: 理雅各評傳, p.641.

58)Helen. E. Legge, James Legge-Missionary and Scholar, p.226; 古瑞德 (Norman J. Girardot) 著, 段懷情 譯, 朝覲東方: 理雅各評傳, p.642.

(20)

가 자행하는 아편무역의 부도덕성을 비판하며 아편무역을 중지하라고 주장하였다.

Ⅳ. 결 론

두 차례에 걸친 아편전쟁으로 중국의 문호가 개방이 되고 서양의 문물과 사상이 들어오게 되면서 진출하게 된 서양 선교사들은 일종의 문화우월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중국문화에 대해 존중하는 입 장을 가지지 않았고 경시하는 태도를 보였다.59) 이런 상황에서 19세 기 말 중국에 온 서양 선교사들은 주로 서양의 학문과 문화를 중국에 소개하였지 중국의 문화를 서양에 소개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왕타오도 이런 현상에 대해서, "서학이 중국에 通하기는 했지만 중 국의 經書와 典籍이 서양에 전달된 것은 매우 미비하였다"라고 말하 고 있다. 60)

레게는 처음에는 선교사의 임무를 가지고 중국(홍콩)에 왔지만 후에 는 漢學者로서 더 활동을 하고 명성을 얻었다. 그의 유교 경전 번역은 장기간에 걸친 중국 체류, 40여 년이 넘는 성실한 연구 그리고 왕도라 는 뛰어난 조역자의 도움 때문이었다.

레게는 이러한 역사적 배경하에 중국의 四書五經과 유가경전을 영문 으로 번역하여 서양세계에 소개하였다. 사실 유교경전에 대한 번역은 17세기 중엽 이후 예수회 선교사들의 라틴어 번역으로 시작되었다. 하 지만 이러한 번역은 유교경전에서 기독교의 교리에 상응하는 내용을 찾으려 하거나 기독교적인 해석을 일방적으로 부과하여 기독교의 입장 에서 중국의 사고방식, 의례, 관습 등을 비판하고 있어서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유교 경전에 접근하였다고 할 수 있다.61) 그리고 그들의 번 59) 林治平 主編, 基督敎在中國本色化 (臺北: 今日中國出版社, 1998), p.14.

60)王韜, 送西儒理雅各回國序 (弢園尺牘外編 卷八, 光緖九年, 大文書局鉛印 本), p.3.

(21)

역은 일부분에 지나지 않았고 유가경전에 대한 이해도 깊지 않아서 해 석과 번역상에 문제점이 많았다.62) 유교경전을 거의 완전하게 번역한 자는 레게가 처음이었다고 할 수 있다.

레게와 예수회 선교사들의 중국고전 연구방법에는 유사점이 있었다.

예수회 선교사들과 레게는 중국전통 문화와 기독교 교리는 상반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고 그 근거를 찾고자 노력하였다. 동시에 레게와 예 수회 선교사들의 중국문화에 대한 이해와 서양에 대한 소개의 차이점 은 레게의 연구가 더 논리적이고 체계적이었다는 점이다. 이것은 19세 기 말 서양인들의 중국에 대한 연구의 수준이 명말청초 시기보다 한 단계 더 높았던 것과도 연관이 있을 것이다.63)

레게 이전의 로버트 모리슨을 비롯한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은 과거 예수회 선교사들의 전통을 따라 선교의 목적을 둔 사전, 어휘집, 문화 안내 사전류를 편찬하였다.64) 레게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광범위한 텍 스트와 다양한 맥락에서 유교의 경전을 이해하려 하였다. 그리고 이전 의 번역들이 중국의 경전 주해 전통에 거의 접근하지 못한데 반해 레 게는 중요한 주해서들을 충분히 활용하였다.65)

레게 死後 영국 선교사 엡스킨(Edskins)은 레게의 공헌에 대해 다음 과 같이 기술하였다.

현재 그는 이미 우리 곁에 있지 않지만 그의 위대한 업적은 영원히 우리에게 보류되어 있다. 그의 업적은 서양에서 漢學연구의 新紀元을 열 었다.66)

61) 이동철, 서구의 논어 수용과 번역 , pp.268-273.

62) 張海林, 王韜評傳, p.103.

63) 岳峰, 理雅各宗敎思想中的中西融合傾向 , p.120.

64) 로버트 모리슨에 관한 연구는 조훈, 중국에 온 최초의 프로테스탄트 선교사 -로버트모리슨을 참조.

65) Lauren F. Pfister, Striving for “The Whole Duty of Man”: James Legge and the Scottish Protestant Encounter with China, vol. 2 (Frankfrut: Peter Lang, 2004), pp.152-153.

66) Helen. E. Legge, James Legge-Missionary and Scholar, p.29.

(22)

영국의 저명한 漢學者 길레스(Lionel Giles)는 “50여 년 동안 영국 독자들은 공자의 경전을 열람할 수 있었다. 우리들은 레게의 공적에 대해 감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67) 레게의 번역본은 아직 까지도 서양 漢學者들의 유교 경전 번역의 표준이 되고 있다.68)

그리고 20세기 초, 중국문화를 배척한 선교전략이 잘못되었다고 인 정되고 기독교의 중국화가 대두되는 시점에서 레게의 원시안적인 안목 은 차츰 인정을 받게 되었다.69) 레게는 19세기 말 서양 문화 우월주의 사고가 팽배해 있는 상황에서 중국의 유교를 비교적 높게 평가하고 유 교의 좋은 면을 최대한 흡수하여 유교와 기독교를 조화시키고자 노력 하였던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영국으로 귀국한 레게는 1876년에 옥스퍼드 대학교의 초대 중국학 교수를 담당하였다. 이후 그는 계속해서 유교, 도교에 관한 중국의 경 전을 연구하고 번역하였다. 그 후 막스 뮐러(Max Muler)가 편찬한 Sacred Books of East 시리즈로 출판된 “孝經”, “易經”, “禮記”, “道德 經”, “莊子” 등을 번역 출판하였다.

한편 레게가 유교경전을 번역하고 연구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두 가 지의 한계성을 지적한다면,

첫째로 그는 선교사들은 그들이 선교하는 대상과 그들의 사상문화 및 도덕전통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배경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여기었다. 이러한 인식하에 그는 중국문화의 근간을 이루었던 유가사 상 연구에 힘을 기울였다. 레게가 The Chinese Classics 제1권 서문에 서 “나는 이 번역본들을 통하여서 선교사들에게 정보를 제공해 주기를 희망한다”70)라고 밝힌 것처럼 유교경전 번역의 목적 중 하나가 선교의

67) Ride, Lindsay, Biographical Notes, The Chinese Classics, Vol. 1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 1960), p.21; 忻平, 王韜評傳, p.79에서 재인용.

68) (美)柯文 著, 羅檢秋 譯, 在傳統與現代性之間 -王韜與晩淸革命 (南京: 江蘇 人民出版社, 1998), p.57.

69) 顧衛民, 基督敎與近代中國社會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96), p.271.

70) James Legge, The Chinese Classics, Vol. 1, p.94.

(23)

효율성을 높이고 선교에 도움을 주는 데에 있었다는 것이다.

둘째, 레게가 유교경전을 번역할 때 기독교적인 선입관과 선교사로 의 이해관계가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즉 유교경전에 기독교적 세 계관, 윤리관을 부과하여 공자의 교리를 비롯한 유교적 人本主義 보다 는 기독교의 神本主義가 더 우세하다는 논리를 강조하였다.

하지만 레게의 유교경전 번역의 결과는 단순한 종교의 목적을 이루 기 위한 범위를 초월하였다고 할 수 있다. 레게의 유교경전 번역이 선 교의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 과정 중 중국문 화의 존중과 포용이 반영되었다. 비록 레게도 어느 정도 서양 문화의 우월의식을 가지고 있었지만 당시 같은 시기에 활동하였던 서양인들이 나 선교사들처럼 정복자적인 입장에서 중국문화를 대하지 않고 어느정 도 객관적이고 존중하는 입장을 가졌다. 반세기에 걸친 중국 유교 경 전 번역의 결과 레게는 공자에 대해 가졌던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수 정하여 공자의 종교적 감수성 등을 인정하게 되었다.71)

그리고 레게의 번역서에는 번역문이외에 장편의 서문과 상세한 주석 이 있는데 그가 진지하게 고증을 하고 중국문화를 연구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레게는 단지 중국의 유교 경전만 번역하여 소개한 것이 아니라 중국의 종교와 기타 문화 현상 또한 서양에 전파하였다. 레게 의 유교경전의 번역은 단지 언어나 문자상의 번역의 범위를 넘어서 서 양인의 중국유교문화에 대한 인식의 기초를 다져 놓았다는 점에서 더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19세기 말 西勢東漸이 강하였던 시기에 중국에서 활동하던 대부분의 선교사들이나 서양인들과는 달리 중국 유교 사상을 깊이 연구하고 이 해하고자 했던 레게의 노력은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 다.

71) 이영호, 손철배, James Legge의 論語 번역의 특징과 위상 , p.327.

(24)

(中文摘要)

理雅各与东学西渐

卢 在 轼

英国传教士理雅各(James Legge, 1815-1897)出生于英国苏格兰. 他于 1839年被伦敦会派往中国传教. 他先到马六甲, 担任英华书院校长. 1842年

"南京条约"签定后, 理雅各般到香港.

此后, 他十分关心中国儒家文化, 并开始儒家经典的研究和英译工作. 他 在王韬的帮助下, 从1861年起他的成果开始在香港出版. 总名为

中国经典

(The Chinese Classics), 共分五卷, 第一卷是“论语”

“大学”和“中庸”, 第二卷是“孟子”, 第三卷是“书经”, 第四卷是“诗经”, 第五卷是“春秋”.

在他看来, 若要了解中国, 必须知道中国古代文化. 以四书五经为核心的 中国文化是传统文化的精华, 因此要了解中国就必须从它们入手. 既然四书 五经是要了解中国和中国人的必要条件, 可是在西方还没有正确的译本.

理雅各向英国和西方介绍中国的儒家经典受到了欢迎, 并使他得到高的 声誉. 他的译著在欧洲问世后, 西方学者高度评价他的工作.

理雅各在1872年离开香港, 回英国. 他回英国后, 竭力主张应加强对中国 的研究, 当时在英国的原来在中国当外交官, 提出应在牛津大学设立汉学讲 座, 推荐理雅各为该讲座的一任教授. 1876年12月, 牛津大学第一次开设汉 学讲座, 理雅各被聘为第一任教授. 他一直1897年在牛津大学讲座, 培养了 不少汉学家.

晚清来华的西方传教士带着文化偏见和偏见, 有强烈的文化优越感. 因 此, 他们不肯把中国文化向西方介绍. 但是, 理雅各克服了这种文化偏见, 坚持严谨的治学态度, 把四书五经翻译成英文. 理雅各翻译四书五经之前,

(25)

一些西方传教士已经做了这方面的工作. 然而, 他们所译的均只片断, 且中 文不通, 于儒家经典的理解不深. 像理雅各这样完整的译中国儒家经典的人 物史无前列的. 他的译著, 在西方引起了强烈反响, 使欧美人士得以了解中 国文明和中国文化. 其实, 理雅各作为一位传教士, 难免他所处于的职业范 围. 就是, 他的译经的目的给传教士真正的服务. 尽管如此, 理雅各的译著 至今仍被世界各地的汉学家视为标准本. 理雅各的译著打开了新局面. 他的 译经, 阐述了中国人文思想的精义, 其贡献远在语言文学的沟通之上, 它奠 定了西方人认识中国文化的基础.

주제어: 제임스레게, 유교경전, 사서오경, 동학서점, 공자.

關鍵詞: 理雅各, 儒敎經典, 四書五經, 東學西漸, 孔子.

Keywords: James Legge, Confucianism Scriptures, the Nine Chinese Classics, China culture communication to the west, Confucius.

(원고접수: 2012년 9월 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10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10월 19일, 게재 확정: 10월 25일)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