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16
2011년 12월 고2 영남권연합학력평가 문제지
제 4 교시 과학탐구 영역 (지구과학 I )
성명 수험 번호 2
1
◦자신이 선택한 과목의 문제지인지 확인하시오.
◦문제지의 해당란에 성명과 수험 번호를 정확히 쓰시오.
◦답안지의 해당란에 성명과 수험 번호를 쓰고, 또 수험 번호와 답을 정확히 표시하시오.
◦선택한 과목 순서대로 문제를 풀고, 답은 답안지의 ‘제1선택’란부터 차례대로 표시하시오.
◦문항에 따라 배점이 다르니, 각 물음의 끝에 표시된 배점을 참고하시오.
3점 문항에만 점수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점수 표시가 없는 문항은 모두 2점입니다.
1. 그림은 지구과학적 현상을 시간 규모와 공간 규모로 나타낸 것이다.
다음 현상 중 공간 규모가 가장 큰 것은?
① 태풍 ② 빙하기
③ 해류 순환 ④ 화산 분출
⑤ 지구의 기원
2. 그림 (가)는 지구 진화 과정의 일부를, (나)는 지구 내부의 층상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미행성 충돌
A
마그마 바다의 형성
B
원시 지각과 바다의 형성
C
대기 중의 산소 증가
(가) (나)
(나)와 같은 층상 구조가 생성된 시기와 이 시기 지구의 핵에 가장 많이 포함된 물질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생성된 시기 핵에 가장 많이 포함된 물질
① A
② B
③ A
④ B
⑤ C
3. 그림은 지구 환경에서 탄소의 순환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① 화산 분출은 A에 해당한다.
② 호흡은 B, 광합성은 C에 해당한다.
③ 화석연료 생성은 D에 해당한다.
④ 수온이 상승하면 E가 증가한다.
⑤ 석회동굴이 생성되는 과정은 F에 해당한다.
4. 그림은 지구 자전축이 26,000년을 주기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현재로부터 13,000년 후 지구의 기후를 예측한 내용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지구 자전축의 방향을 제외한 모든 요인은 같다.) [3점]
<보 기>
ㄱ. 여름과 겨울이 서로 바뀐다.
ㄴ. 지구 전체의 평균 기온은 상승한다.
ㄷ. 우리나라는 기온의 연교차가 작아진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5. 그림은 지진 발생 시 행동 요령에 관하여 학생들이 나눈 대화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실내에 있을 때는 즉시 튼튼한 탁자
밑으로 몸을 피해야 해.
건물에서 나갈 때는 계단을 이용해야 해.
건물 밖에 있을 때는 건물 벽 쪽으로
대피해야 해.
학생 1 학생 2 학생 3
적절한 행동 요령을 말한 학생만 있는 대로 고른 것은?
① 학생 1 ② 학생 2 ③ 학생 3
④ 학생 1, 학생 2 ⑤ 학생 2, 학생 3
2 과학탐구 영역(지구과학 I ) 고2
8 16 6.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해석한 것으로 옳은 것은? [3점]
① 정단층이 나타난다.
② 마그마의 관입은 없었다.
③ C는 신생대에 퇴적된 지층이다.
④ 이 지역은 한 때 역전된 적이 있었다.
⑤ F → E → D → C → G → B → A 순으로 형성되었다.
7. 그림은 순상화산과 종상화산의 모식도이고, 그래프는 함량에 따른 용암의 점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순상화산 종상화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ㄱ. 함량이 많을수록 유동성은 커진다.
ㄴ. 함량이 많을수록 화산체의 경사가 커진다.
ㄷ. 순상화산은 종상화산보다 함량이 많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8. 그림은 남아메리카 부근에서 발생한 지진의 발생 위치와 깊이를 나타낸 것이다.
이 지역의 지각 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ㄱ. 해구가 발달하고 화산활동이 일어난다.
ㄴ. 대륙판이 해양판 밑으로 들어가고 있다.
ㄷ. 태평양에서 대륙 쪽으로 갈수록 진원의 깊이는 깊어진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9. 그림은 2011년 3월 28일 포항 인근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3.2인 지진의 진앙과 관측소 A, B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그림의 동심원은 각각 진앙 거리가 같은 지점을 연결한 것이고, 진앙 거리 이외의 조건은 모두 같다.) [3점]
<보 기>
ㄱ. PS시는 A보다 B가 크다.
ㄴ. 지반의 진동은 B보다 A가 강하다.
ㄷ. 지진 규모는 진앙에서 B로 갈수록 작아진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10. 다음은 구름의 발생 원리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 과정이다.
(가) 손가락으로 플라스크를 막은 채 공기 펌프를 눌러 플라스크 내부를 충분히 압축시킨다.
(나) 플라스크를 막았던 손가락을 순간적으로 떼었더니 플라스크 내부가 뿌옇게 흐려졌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보 기>
ㄱ. (가)는 공기가 상승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ㄴ. (가)는 (나)보다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가 높다.
ㄷ. (가)는 (나)보다 플라스크 내부의 수증기량이 많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고2 과학탐구 영역(지구과학 I ) 3
9 16 11. 그림은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기단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ㄱ. 건조한 기단은 A와 B이다.
ㄴ. C와 D기단은 장마전선을 형성한다.
ㄷ. C기단의 영향을 받을 때 무더위가 기승을 부린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2. 그림은 2011년 6월에 발생한 태풍 메아리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ㄱ. A 해상은 B 해상보다 바람이 약했다.
ㄴ. 신의주에 상륙한 후에 태풍 메아리의 세력은 약해졌다.
ㄷ. 태풍이 통과하면서 제주도의 풍향은 반시계방향으로 변했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13. 그래프는 해수의 깊이에 따른 수온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ㄱ. 바람이 강할수록 A층은 두꺼워진다.
ㄴ. 연직운동이 가장 활발한 층은 B이다.
ㄷ. 계절에 관계없이 수온이 일정한 층은 C이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14. 그림은 북태평양과 북대서양의 표층 해류가 순환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① A는 B보다 수온과 염분이 높다.
② A는 B보다 폭이 좁고 유속이 빠르다.
③ A는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주된 해류이다.
④ C는 태평양의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해류이다.
⑤ 대서양에서 B와 같은 성질을 갖는 해류는 멕시코 만류이다.
15. 일기도는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온대 저기압의 모습이고, A~C는 부산에서 온대 저기압이 통과하는 동안 관측한 기상 요소를 순서 없이 일기 기호로 나타낸 것이다.
20 010
27 980 T 028
A B C
이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보 기>
ㄱ. A의 기압은 1001.0 h㎩ 이다.
ㄴ. C의 T는 27보다 크다.
ㄷ. 부산에서 관측된 일기는 A → B → C 순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 과학탐구 영역(지구과학 I ) 고2
10 16 16. 그림은 A, B, C 해역의 표층에서 측정한 수온과 염분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ㄱ. 밀도가 가장 낮은 해역은 A이다.
ㄴ. B 해역은 C 해역보다 염분이 높다.
ㄷ. 염분이 일정할 때 수온이 높아지면 밀도는 커진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7. 그림 (가)는 개기 일식 장면, (나)는 달의 뒷면 사진, (다)는 태양 - 지구 - 달의 위치 관계이다.
(가) (나)
(다)
지구에서 관측할 때 (가), (나), (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보 기>
ㄱ. (가)를 관측할 수 있는 달의 위치는 A이다.
ㄴ. (나) 사진은 C의 위치일 때 촬영이 가능하다.
ㄷ. B보다 D 위치의 달은 새벽녘에 관측하기 쉽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18. 표는 금성과 화성이 태양, 지구와 정확히 일직선이 될 때의 위치와 각 위치에서 행성과 지구까지의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행성 위치 거리(AU)
금성 A 0.3
B 1.7
화성 C 0.5
D 2.5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행성의 공전궤도는 원이라 가정하고 원의 중심에는 태양이 위치하고 있다.) [3점]
<보 기>
ㄱ. C일 때 화성의 역행을 관측할 수 있다.
ㄴ. D의 경우 지구에서 행성의 관측이 불가능하다.
ㄷ. 주어진 조건에서 금성의 궤도 반지름은 0.7AU이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9. 표는 망원경 A와 B의 규격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망원경 대물렌즈의 구경 비 접안렌즈의 초점거리 비
A 1 2
B 2 1
망원경 A와 B를 비교한 내용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대물렌즈의 초점거리는 같다.)
<보 기>
ㄱ. 집광력은 망원경 A가 더 크다.
ㄴ. 배율은 망원경 B가 더 작다.
ㄷ. 분해능은 망원경 B가 더 좋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0. 다음은 절대 등급이 같은 세 별 A, B, C를 찍은 사진이다.
세 별의 연주 시차를 바르게 비교한 것은? (단, 사진에서 크게 보이는 별이 밝게 관측된다.) [3점]
① A > B > C ② A > C > B
③ B > A > C ④ B > C > A
⑤ C > B > A
* 확인 사항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시)했는지 확인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