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7기 SW Maestro 과정 PRESS KIT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제7기 SW Maestro 과정 PRESS KIT"

Copied!
10
0
0

Teks penuh

(1)

7 기 SW Maestro 과정 PRESS KIT

<2016년도 제7기 SW Maestro 과정 홍보 사무국>

메타커뮤니케이션즈

김승호 본부장 / 010-8811-1994, 02-555-6355 황성예 팀장 / 010-8463-5525, 02-6207-0873 진지웅 대리 / 010-6320-1018, 02-566-6230 1. SW Maestro 과정 소개

“최고급 SW 인재 양성 프로그램 SW Maestro 과정”

SW Maestro 과정은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센터장 이상홍)에서 진행하는 최고급 SW인재 양성 교육 과정이다.

SW역량, 창의력, 열정을 검증 받은 연수생을 대상으로 각 분야의 최고 전문가인 멘토가 현장의 살아있는 노

(2)

하우를 직접 전수함으로써 SW산업을 이끌어갈 최고급 인재를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올해로 제7기째를 맞은 SW Maestro 과정은 매년 100명의 연수생을 모집하여, 1년 동안 경쟁 방식의 2 단계 심화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SW Maestro 과정의 연수생이 되면 SW 전 분야에 걸쳐 풍부한 프로젝트 관리 경험 및 뛰어난 통찰력을 갖춘 최고 전문가로 구성된 멘토단의 도제식 교육을 통해 희망 분야별 멘토링 을 받을 수 있다.

SW Maestro 과정에 참여하고자 하는 예비 연수생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제6기 연수생 모 집에는 740명이 모이며 경쟁률 7.4:1을 기록해 국내 최고의 SW인재 양성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음을 보 여주고 있다. 또한 교육 과정을 마친 수료생들은 실무에 즉시 투입 가능한 역량을 가지고 있어, 국내 주요 SW 및 스타트업 기업의 인재채용 러브콜이 쇄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올해의 제7기 SW Maestro 과정은 4월 18일(월)부터 5월 17일(화)까지 모집이 진행되었으며, 서류평 가 및 면접, 코딩테스트를 거쳐 본 과정은 올해 7월부터 진행될 예정이다.

<SW Maestro 과정 운영 메커니즘>

2. SW Maestro 과정 진행 흐름

“멘토링 시스템을 통한 실전적 SW 개발 커리큘럼”

SW Maestro 과정은 총 2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는 5개월 간의 심화 교육 및 실전형 프로젝트로 이루어진다. 100명의 1단계 연수생들은 SW 개발에 관한 기술 및 교양 과목을 이수하는 동시에, 자신이 원하는 개발 분야의 멘토가 부여한 SW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2단계는 1단계 프로젝트 평가를 통해 선발된 60명의 연수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기본 교육으로 SW 개발에 따른 비즈니스 마인드를 기르는 교육을 진행하며, 각 개인, 팀을 구성하여 자율적인 SW 개발 프로젝 트를 7개월 간 수행하게 된다.

전 과정이 종료되면, 프로젝트 심사를 통해 총 8팀의 SW Maestro 인증자를 선발한다. 인증자 중 3팀에게 는 1인당 2,000만원의 인증 상금이, 창업 의사가 있는 창업지원팀 5팀에게는 3,000만원의 창업지원금이 지급된다.

(3)

<SW Maestro 과정 진행 흐름도>

3. SW Maestro 과정 맛보기

“창의력과 현실이 조화되는 실전적 프로젝트 추구”

SW Maestro 과정의 대부분의 시간이 투입되는 SW 개발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창의력과 현실의 조화이다. 실제 사회에 선보였을 때 성공가능성이 높은 SW 개발에 성공한 팀만이 영예의 SW Maestro 인 증을 받게 된다.

● 제5기 SW Maestro 인증자 최종 프로젝트

제목 사진 내용 개발자

앱 내 콘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AirBridge>

모바일 검색엔진에서 버튼과 링크를 통해 앱 설치 없이 진행 가능한

마케팅 Tool 남성필

쉬운 슬라이드카드 콘텐츠 제작 툴

<Jeegle>

가독성 높은 콘텐츠를 검색해 자동으로 슬라이드 카드를 제작하는

콘텐츠 제작 Tool 류원경

중고차 시세 예측 서비스

<Car Q>

100만개의 중고차 실매율 데이터를 바탕으 로 신뢰도 높은 시세를

제공하는 서비스

안수찬

키넥트 간 호환성 문제 해결 플랫폼

<OpenNUI Framework>

동작인식 센서(Microsoft - 키넥트) 간 호환 성 문제를 해결해주는 저렴한 비용의 New

플랫폼 오세연

(4)

전문가용 락스크린 사진전시 플랫폼

<THIS PLAY>

사진 전문가가 촬영한 사진을 스마트폰 락스 크린을 통해 노출시켜

전시 수익을 보장해주는 서비스 윤지아

푸드 미디어 플랫폼

<Haffle>

1인 에디터들이 제공하는 블로그를 기반으로 항상 리뉴얼되는

‘개인 맞춤형’ 맛집 정보 서비스 조영규

개발자용 데이터 분석/통계 서비스

<chocolat>

서비스 운영 중 발생하는 이벤트를 자동으로 정리하고, 분석, 통계해주는

개발자용 서비스 홍철주

개발자용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

<PlugY>

한 개의 Tool 만으로 서버 관리 및 확장, 분석 등 앱 운영의 모든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홍혜종

4. SW Maestro 과정 연수생 지원 특전

“SW 개발자를 위한 국내 최고 수준의 지원 제공”

SW Maestro 과정 연수생 및 인증자에게는 지원금, 개발 기기 및 공간을 비롯한 다양한 특전이 주어지며, 기타 멘토링 및 교육 이수에 대한 비용은 전액 국가에서 부담하게 된다.

(5)

<SW Maestro 과정 연수생 특전>

5. SW Maestro 과정 5년의 성과들

“대한민국 SW 인재의 산실, SW Maestro”

2010년부터 진행된 SW Maestro 과정은 1기부터 5기까지 500여 명의 고급 인력 양성 및 48명의 인증 자를 배출하였다. 또한 수료생 중 63명(13.1%) 벤처창업(370명 고용창출), 34명 특허출원 등의 성과를 도출하는 등 SW 산업 발전에도 많은 공헌을 하였다.

특히 SW Maestro 과정에서 배출한 수료생의 창업률은 4년 평균 14%로, 정도로 ICT 분야에서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도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이는 대학생 전체 창업률인 0.05% 보다 280배나 높은 수치로, 점차 과정 수료생의 창업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한국 SW 산업 발전에 더욱 많은 부분을 차지할 것으 로 기대되고 있다.

(6)

더불어 전체적인 일자리의 측면에서 바라보면, SW Maestro 과정 연수생의 정규직 진입률은 약 93.5%에 달하고 있다. 이는 현재 학업 진행 중인 인원을 제외한 수치로, 이를 고려하면 대부분의 연수생이 시장 내에 서 활약하고 있는 셈이며, 현재 이들은 각종 SW 기업 및 기관을 비롯, 실리콘 밸리, 대학원 등에서 자신의 능 력을 입증해내고 있다.

<SW마에스트로 과정 연수생과 대학생의 정규직 진입률 및 창업률 비교>

6. SW Maestro 과정 연수생 대표 사례

① 3기 앙현철_UrQA / 소프트웨어 검수 오픈 소스 플랫폼

“오픈 소스로 포기한 10억, 하지만 더 그보다 큰 자부심”

양현철 연수생이 개발한 UrQA는 3기 SW Maestro 과정의 최종 프로젝트 제출품 이었다. 소프트웨어 개발 이후 품질 검수를 대신해주는 프로그램인 UrQA에 대한 평가는 경제적 가치만 138억원이라는 놀라운 금액. 하지만 그는 UrQA를 오픈소스 로 공개하기로 결정한다. 대신 그가 대신 얻은 것은 누구나 사용하는 뛰어난 소프트 웨어 커뮤니티를 운영한다는 자부심이었다. 현재 UrQA는 SK, CJ 등 대기업을 비롯 한 전국 400여개의 기업이 사용하고 있으며, 개발자의 의지에 따라 수익활동으로는 여전히 사용되지 않고 있다.

② 4기 조재우, 유병한_Team Todait / 스터디 플래너앱 ‘Todait’

“SW Maestro가 이어준 스타트업의 동지”

조재우 연수생과 유병한 연수생은 SW Maestro 과정 입과 로 처음 만나 인연 을 맺은 사이이다. 두 번의 창업실패로 꿈을 주저하던 조재 우 연수생은 SW Maestro 과정이 다시 꿈을 펼 힘을 주었다고 말한다. 유병 한 연수생은 그 꿈 을 지지해 준 소중한 동료. 두 연수생이 만든 ‘Todait’은 공 부에 쉽게 집중하 지 못했던 어린 시절에 착안한 모바일 플래너이다. 계획 자 동 분배 알고리즘 을 통해 자신이 해야 할 하루의 공부 범위를 자동으로 설계 해주는 신개념 플 래너로 현재 별도의 마케팅 없이도 25만 다운로드를 기록

하는 등 성장하고 있다.

(7)

③ 2기 윤형진_엔파이게임즈/ 모바일 FPS 게임

“척박한 모바일 FPS 게임의 오아시스를 꿈꾸다!”

윤형진 연수생은 원래 ‘삼성 테크윈’에서 근무하던 개발자였다. 항상 게임 소프트 웨어 개발의 꿈을 가슴속에 담고 있던 그는 SW Maestro 입과를 통해 다시금 게 임 개발자로 거듭났다. 무엇보다 전담 멘토였던 김성용 멘토를 통해 습득한 운 영, 펀딩, 등의 창업 정보와 피드백이 있었기에 그는 스타트업에 도전할 수 있었 다고 밝힌다. 엔파이 게임즈를 통해 윤형진 연수생은 한국에서 전무한 모바일 FPS 게임을 개발하고자 한다. 앞으로 한국형 모바일 FPS의 신기원을 이룩하겠 다는 것이 그의 당찬 포부이다.

7. SW Maestro 과정 멘토단 소개

“국내 최고의 SW 전문가 48 인으로 구성된 멘토단”

2016년 제7기 SW Maestro 과정은 국내 최고의 SW 분야 전문가들이 모인 멘토단과 함께 진행된다. 지 난 6기까지 멘토단은 SW 개발에서부터 창업 컨설팅에 이르는 총 16개 분야에 48명의 멘토로 구성되었으 며, 2016년부터는 보다 많은 전문가가 멘토단에 합류될 예정이다.

① 송 치 형 멘토(37) / 모바일, 개발기획 분과

• 전자상거래 CRM 부분 대상 수상 (2002)

• 미디어 분석 서비스 뉴스메이트 런칭 (2012)

• 뉴스메이트, 웹어워드 코리아 우수상 수상

• 국내 1위 증권 어플 증권프러스 For 카카오 런칭 (2014)

• 개인 투자자 펀드 운용 서비스 MAP 출시

• 현) 주식회사 두나무 대표이사

② 서 우 석 멘토(38) / 보안 분과

• Microsoft MVP 상 3회 연속 수상(2002 ~ 2005)

• 21세기를 이끌 우수인재상 수상 (2005)

• 국내 유일 Microsoft Architect MVP

• Microsoft Windows Server MVP (2002 ~ )

• INETA User Group Leader

• 현) 유한회사 RGP Korea CTO

③ 류 석 문 멘토(44) / SW 품질관리, SE/SI 분과

• NHN Technology Services 이사 (2012 ~ 2013)

• 티켓몬스터 CIO (2013 ~ 2014)

• NHN MVP (2009)

• SW 산업인의 날 지식경제부장관상 수상(2011)

• IEEE Member

• 현) Riot Games Technical Director 8.테크스타트업협의회 소개

(8)

“자생력 있는 SW 스타트업 생태계를 꿈꿉니다.”

2016년 2월 출범한 테크스타트업협의회(Korea association for Tech Startup, 이하 KaTS)는 SW Maestro 과정 출신 창업기업들이 자신들이 정부에서 받은 수혜를 사회에 환원하겠다는 취지에서 결성한 비 영리단체이다. SW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테크 스타트업의 양적 팽창과 질적 성장을 돕고자, 기업의 기술 및 비즈니스 권리 보호를 위한 교육과 자문은 물론, 타 기업과의 네트워크 형성, 우수인력 지원 등 다방면에 걸 친 공익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 홈페이지 : http://techstartup.kr

** 협의회 회원사 (총 56개 사)

9.주목받는 SW Maestro 출신 스타트업 창업 사례

① 개발자를 꿈꾸는 멘티에서 한국 SW 개발자를 대표하는 멘토가 되기까지 - - 제4기 SW Maestro 인증자 조재화 ㈜ Cedar 대표

SW 스타트업 ㈜Cedar의 조재화 대표는 올해 제7기 SW Maestro 과정의 멘토로 선정되었다. 불과 3년 전만해도 연수 생의 자리에서 멘토링을 받던 SW 유망주가 어느새 국내 최고의 전문가로서 후학 양성을 위한 무대에 서게 된 것이다. 이러한 파 격적인 선발의 바탕에는 조 대표의 스타트업 Cedar의 놀랄만

(9)

한 발전이 있었다.

조 대표가 운영하고 있는 스타트업 Cedar는 디지털 사이니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기존의 옥외 인 쇄광고를 대체하며 점차 시장을 넓혀 나가고 있는 이 분야에서, Cedar는 독특한 방법으로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해 나가며, 2015년 미래창조과학부가 선발한 ICT 유망기업(K-Global 300)에 선정되었다.

대부분의 디지털 사이니지가 무겁고 복잡한 윈도우 기반의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에 착안하여 개발된 시더의 솔루션은 보다 가볍고 유동적인 조정이 가능한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하는 솔루션이다. 무엇보다 광고주가 리모콘 작동 만으로 콘텐츠를 조정할 수 있을 정도로 쉬워, 다양한 기업 및 사업체에서 러브콜을 받고 있다.

② 세계 최초 VR 콘트롤러 원천기술로 세계 표준을 노린다 - 제4기 SW Maestro 수료자 장혁 폴라리언트 대표

세계의 신성장 동력으로 각광받고 있는 SW 산업, 그 중에서도 최근 각광받고 있는 분야가 바로 VR(가상현실)이다. 장혁 대표 의 스타트업 폴라리언트는 VR 시장의 판도를 뒤집을 강력한 원 천기술을 보유하고 세계진출의 꿈을 실현해 가고 있다.

폴라리언트에서 개발하고 있는 제품은 VR 콘트롤러 ‘POL’이다.

이는 세계 최초의 ‘편광 센서’를 이용한 VR 콘트롤러로 빛이 있 는 곳이라면 어디든 사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 저비용, 저사양의 장비에서도 구동이 가능해, 위치측정을 위해 한정된 공간, 고사 양의 컴퓨터 장비를 필요로 했던 기존 VR 장비의 패러다임을 새 롭게 변화시킬 것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폴라리언트는 설립 10개월만인 올해 3월 네이버 D2 스타트업 팩토리의 투 자를 유치하였다. 장 대표는 앞으로 낮은 사양과 범용성이 중요한 모바일 VR 분야에 초첨을 맞춰 보유 기술 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며, 더 나아가 세계 시장에서 한국의 VR 기술력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 기대되고 있다.

③ 프로그래밍 ‘레고’ 가지고 놀면서 키워가는 SW 강국의 꿈

- 제3기 SW Maestro 수료자 심규민 엔트리교육연구소 CTO

세계적으로 SW 교육 열풍이 불고 있다. 특히 코딩은 ‘21세기 만 국 공용어’로 비유되며, 영국, 미국을 비롯한 많은 선진국에서 유 아, 어린이 때부터 시작하는 필수 교육으로 자리잡고 있는 추세이 다.

Sw Maestro 제3기 연수생인 심규민 CTO가 개발한 ‘엔트리’는 누구나 쉽게 소프트웨어를 배울 수 있는 SW 교육 플랫폼이다. 어 린이들에게 친숙한 레고를 쌓듯이 알고리즘 블록을 쌓으며 자연스 럽게 코딩 원리와 SW 개발의 알고리즘을 배울 수 있도록 설계되 어 있다.

무엇보다 엔트리는 모바일에서도 쉽게 구동된다는 장점이 있어, 가정이나 학교에서 접근하기가 더욱 용이하다. 이러한 장점을 바 탕으로 현재 월 7만명 이상의 학생들이 엔트리를 교육에 활용하고 있으며, 정부 지정 SW 선도학교와 연구 학교에서는 공식 교육도구로 지정되는 등 한국의 기초 SW 교육을 대표하는 플랫폼으로 입지를 굳혀가고 있 다.

(10)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