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조영제를 사용하는 전산화단층영상진단의 최근 진료경향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조영제를 사용하는 전산화단층영상진단의 최근 진료경향 분석"

Copied!
11
0
0

Teks penuh

(1)

1. 들어가며

최근 진료경향모니터링시스템 상에서 일부 고가의료장비의 진단검사 건수가 최근 급격히 증 가하고 있다. 특히, 두드러지게 눈에 띄는 검사항목은 ‘일반전산화단층영상진단-복부-조영제 를 사용하는 경우’(이하 “복부조영CT촬영”)이다. 이 검사는 2011년도의 검사건수가 713,668 건으로(건강보험에 한함) 전년대비 증가율이 33.9%로 매우 높았다. 진료비 10대 항목에 나타 난 전체 CT검사건수의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이 5% 전후에 머물고 있음에 비추어 볼 때 이 상경향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전산화단층영상검사는 의사가 보고자하는 환자의 신체 일부에 X-선을 투과시켜 해당 신체부 위에 흡수되는 X-선의 양을 영상화하여 인체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촬영부위에 따라 혈관 조영제나 경구용 조영제를 쓰고 있으며, 여기서 살펴볼 복부조영CT촬영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경구용 조영제를 쓰고 있다. 복부조영CT촬영은 위, 간, 담낭, 췌장, 신장과 같은 상복부와 대장 이나 방광과 같은 하복부 소화기계 질환의 진단을 위하여 검사가 이루어진다. 특히, 신체의 상하 복부와 주변 혈관질환의 진단이 가능하며, 암의 경우는 병변의 위치와 크기 파악, 다른 복부 장기 로의 전이 여부를 진단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삼성의료원 영상의학과, 2012).

이러한 특정진단검사장비를 이용한 검사 증가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진료량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에 관한 한 연구에 의하면, 계절적 변이, 대체검사법의 개발, 환자수의 증

박영택부연구위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정책분석팀

조영제를 사용하는

전산화단층영상진단의

최근 진료경향 분석

(2)

진료경향분석

가, 공급요인의 증가 등을 들 수 있다(신현철, 2007). 복부조영CT촬영검사 건수가 급격히 증 가한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심층분석이 요구되고 있으나, 여기서는 검사건수 증가원 인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 몇 가지 요인만을 선정하여 이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2. 분석방법

분석자료는 2007년-2011년도 기준 지난 5년간의 진료실적이며, 일반전산화단층영상(복 부-조영제) 진단검사 코드는 HA465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진료개시일이 2007년 1월 1일에서 2011년 12월까지이고 심사완료일이 2012년 3월까지인 검사실적을 이용하였다. 건 강보험과 의료보호를 모두 포함하였으며, 보훈환자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의료시설의 경우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만 고려하였다. 추출된 자료는 환자를 기준으로 입원 및 외래 에피소드별로 묶어서 데이터화 하고 분석하였다. 성 및 연령별 환자수는 추출된 자료를 환 자의 아이디를 중심으로 연도별로 중복을 제거하여 산출하였다. 연도별로 환자수를 추적하여 자료를 분석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동일 환자가 다른 연도에 본 검사를 이용하는 경우 이 환자는 해당연도별로 진단건수에 포함되도록 하였다.

3. 분석결과

가. 검사건수 일반현황

2011년도 복부조영CT촬영 총 건수는 대략 76만9천건이었으며, 금액은 1천64억원 수준이 었다. 전년대비 2011년도의 건수 및 진단검사금액 증가율은 각각 33.1%와 22.5%로 나타났 다 (표1, 그림 1). 진료비 10대 진료항에 나타난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관련 전체 CT의 검사건 수 증가율이 최근 5년간 연평균 4.6% 수준임에 비추어 볼 때 복부조영CT촬영 건수의 증가율 은 매우 크다고 하겠다.

표 1. 복부조영CT촬영 건수, 금액 및 전년대비 증가율 (단위: 건, 억원)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건·금액 전년대비증가율 건·금액 전년대비증가율 건·금액 전년대비증가율 건·금액 전년대비증가율 건·금액 전년대비증가율 건수 438,877 - 467,258 11.3 511,131 10.7 578,263 13.5 769,627 33.1

금액 625 - 693 10.9 764 10.4 868 13.6 1,064 22.5

(3)

나. 검사환자 일반현황

연간 복부조영CT촬영을 적어도 한번 이상 한 환자수는 2011년도의 경우 약 62만명이었다.

환자수 증가율의 경우 2010년까지 11% 전후를 보여주고 있으나 2011년도의 경우에는 30%

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았을 때 여성 환자의 증가율이 남성에 비하여 대략 1-2퍼센 트 포인트 높았으며, 남성과 여성 모두 전년도 대비 2011년도의 환자수 증가율은 각각 32.1%

와 34.0%로 높았다. 연령분포별 환자수의 증가 역시 전 연령층에서 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환자의 일반 특성별 검사건수 증가를 추가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2011년도의 성별 검사건 수 증가율은 환자수에서 나타났던 결과와 거의 비슷했다. 전년도에 비해 남성과 여성이 각각 32.2%와 34.0% 증가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촬영건수의 연령구간별 건수 증가율은 0-19세 구간을 제외하고 30%이상으로 높았다 (표 3). 성별 촬영건수는 지난 5년간 남녀 각각 50% 수 준에서 남성이 촬영하는 건수가 여성에 비하여 1-2% 정도 높았다.

5 10 15 20 25 30 35

2008 2009 2010 2011 연도

전년대비 증가율(%)

그림 1. 복부조영CT촬영 검사건수 및 금액의 전년대비 증가율 검사건수 증가율

금액 증가율

(4)

진료경향분석

다. 환자당 검사건수 비교

이상과 같이 환자수와 검사건수가 전년도에 비하여 크게 증가한데 비해 2011년도의 전체 환 자당 검사건수는 이전 2009년도나 2010년도와 거의 동일한 수준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환자 당 복부조영CT촬영건수가 전년도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검사건수가 증가한 것은

표 2. 복부조영CT촬영 환자수 및 전년대비 증가율 (단위: 명, %)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환자수 전년대비증가율 환자수 전년대비증가율 환자수 전년대비증가율 환자수 전년대비증가율 환자수 전년대비증가율 전체 333,719 - 371,409 11.3 411,028 10.7 466,341 13.5 620,473 33.1

남성 169,557 - 187,313 10.5 205,984 10.0 232,075 12.7 306,468 32.1 여성 164,162 - 184,096 12.1 205,044 11.4 234,266 14.3 314,005 34.0

연령

0 -19 15,633 - 21,028 34.5 28,815 37.0 33,485 16.2 42,218 26.1 20-39 54,183 - 63,562 17.3 74,982 18.0 84,055 12.1 110,103 31.0 40-59 126,940 - 137,986 8.7 148,965 8.0 169,293 13.6 231,155 36.5 60-79 121,887 - 131,505 7.9 138,473 5.3 155,933 12.6 206,043 32.1 70+ 15,076 - 17,328 14.9 19,793 14.2 23,575 19.1 30,954 31.3

표 3. 복부조영CT촬영 건수 일반현황 (단위: 건, %)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촬영건수 전년대비

증가율 촬영건수 전년대비

증가율 촬영건수 전년대비

증가율 촬영건수 전년대비

증가율 촬영건수 전년대비 증가율 전체 438,877 - 467,258 6.5 511,131 9.4 578,263 13.1 769,627 33.1

남성 229,919 - 242,514 5.5 263,417 8.6 295,435 12.2 390,503 32.2 여성 208,958 - 224,744 7.6 247,714 10.2 282,828 14.2 379,124 34.0

연령

0-19 18,128 - 23,089 27.4 31,146 34.9 36,025 15.7 45,212 25.5 20-39 64,071 - 72,444 13.1 83,980 15.9 93,952 11.9 123,415 31.4 40-59 170,310 - 176,965 3.9 189,509 7.1 214,172 13.0 291,051 35.9 60-79 168,464 - 174,712 3.7 183,514 5.0 206,754 12.7 273,410 32.2 70+ 17,904 - 20,048 12.0 22,983 14.6 27,359 19.0 36,539 33.6

(5)

전체적인 검사 환자수의 증가로 인한 것임을 말해준다. 전체적으로 성별에서는 남성과 여성 모 두 2011년도의 환자당 촬영건수가 전년도와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연령구간에 있어서는 70+세 구간에서는 전년도와 비교하여 증가하였으나 0-19세구간과 40-59세 구간에서는 줄어 들었다. 그러나 줄어든 양은 미미하였다(표 4).

라. 입원 및 외래별 검사건수 및 검사금액

촬영건수를 입원과 외래로 구분하면 2011년도가 2010년도와 비교하여 입원과 외래 모 두에서 높은 전년대비 검사건수 증가율을 보였으나, 외래에서의 증가율이 35.5%로 입원의 29.2% 보다 높았다. 2007년도 이후 검사건수 증가율을 보면 2008년도와 2009년도의 경우 입원에서의 증가율이 외래에 비하여 높았으나, 2010년도와 2011년도의 경우에는 외래에서의 증가율이 입원에 비해 높았다.

표 4. 환자당 복부조영CT촬영 건수 (단위: 건)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전체 1.32 1.26 1.24 1.24 1.24

남성 1.36 1.29 1.28 1.27 1.27

여성 1.27 1.22 1.21 1.21 1.21

연 령

0-19 1.16 1.10 1.08 1.08 1.07

20-39 1.18 1.14 1.12 1.12 1.12

40-59 1.34 1.28 1.27 1.27 1.26

60-79 1.38 1.33 1.33 1.33 1.33

70+ 1.19 1.16 1.16 1.16 1.18

표 5. 입원 및 외래 복부조영CT촬영 촬영건수 및 전년대비 증가율 (단위: 건, %)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전년대비

증가율 전년대비

증가율 전년대비

증가율 전년대비

증가율 전년대비

증가율 전체 438,878 - 467,257 6.5 511,131 9.4 578,264 13.1 769,627 33.1 입원 166,468 - 180,955 8.7 199,475 10.2 222,566 11.6 287,567 29.2 외래 272,410 - 286,302 5.1 311,656 8.9 355,698 14.1 482,060 35.5

(6)

진료경향분석

진단검사비용의 발생은 건수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되어 있기 때문에, 검사건수가 증가한 사 실에 비추어볼 때 커다란 증가가 예상된다. 일부 진단검사 항목인 복부조영CT촬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검사비는 2007년도에는 625억원이었으나 2011년도에는 1,063억원이었다. 촬영건 수와 마찬가지로 외래에서 발생하는 금액이 커서, 2011년도의 경우 전체의 63.8%인 670억원 이 외래에서 발생하였다. 전년대비 검사비 금액증가율은 22.5%이었으며, 입원(18.5%)에 비 하여 외래 검사비 증가율이 25.0%로 높았다 (표 6).

5 10 15 20 25 30 35 40

2008 2009 2010 2011 연도

전년대비 증가율(%)

그림 2. 입원과 외래별 복부조영CT촬영 검사건수 전년대비 증가율 입원 증가율

외래 증가율

표 6. 입원 및 외래 복부조영CT촬영 검사비 및 전년대비 검사비 증가율

(단위: 억원, %)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금액 % 금액 % 금액 % 금액 % 금액 %

검사비

전체 624.7 100.0 692.5 100.0 764.2 100.0 868 100.0 1,063.7 100.0 입원 235.1 36.5 267.3 37.4 297.2 37.8 332.4 37.3 394.0 36.2 외래 389.6 63.5 425.2 62.6 467 62.2 535.6 62.7 669.7 63.8

전년대비 검사비 증가율

전체 - 10.9 10.4 13.6 22.5

입원 - 13.7 11.2 11.8 18.5

외래 - 9.1 9.8 14.7 25.0

(7)

마. 의료기관 종별 검사건수 및 금액

의료기관 종별로 복부조영CT촬영 검사건수 현황을 살펴보았다. 2011년도의 경우 상급종합 병원에서의 전년대비 검사건수 증가율은 거의 46%에 이르고 있었으며, 종합병원은 29.2%이 었다. 특히, 종합병원은 검사건수가 가장 많은 의료기관일 뿐만 아니라 증가율 또한 30%대로 높아 2011년도의 전체 검사건수 증가에 크게 기여하였다 (표 7, 그림 3). 표7에서 보는 바와 같 이 검사건수의 경우 전체에서 종합병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47%전후로 가장 높았고 상급종합병 원은 36% 수준을 보이고 있다.

표 7. 의료기관종별 복부조영CT촬영 검사건수 및 전년대비 증가율 (단위: 건, %)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전년대비

증가율 전년대비

증가율 전년대비

증가율 전년대비

증가율 전년대비 증가율 전체 438,877 - 467,257 6.5 511,131 9.4 578,263 13.1 769,625 33.1 상급 168,604 - 161,969 -3.9 169,337 4.5 193,241 14.1 281,170 45.5 종합 202,495 - 228,429 12.8 250,594 9.7 276,928 10.5 358,356 29.4 병원 40,778 - 49,142 20.5 61,893 25.9 75,836 22.5 93,118 22.8 의원 27,000 - 27,717 2.7 29,307 5.7 32,258 10.1 36,981 14.6

-10 0 10 20 30 40 50

2008 2009 2010 2011 연도

전년대비 증가율(%)

그림 3. 의료기관 종별 복부조영CT촬영 검사건수 전년대비 증가율 병원

의원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8)

진료경향분석

표 8에 나타난 복부조영CT촬영 검사금액은 종합병원에서 47% 전후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으로는 상급종합병원에서 36% 정도로 높게 발생하였다. 2011년도가 전년도에 비하여 뚜렷한 특징을 보이지는 않았으며, 다만 비용발생이 전체에서 발생하는 비율이 전년도에 비하여 상급종 합병원에서 증가하였으며, 종합병원에서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2010년도와 비교하여 2011년 도의 검사비 규모는 상급종합병원에서 34.1%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8).

바. 주요 상병변화

2011년도의 진료건수의 증가가 상병의 변화 때문일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환자들의 주 진단명을 3단코드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진단명 상위 10순위를 살펴보았다. 주진단명의 상위 10순위 중 4위까지와 7순위, 8순위는 최근 3년간에 큰 변화 없이 일정하였다. 가장 눈에 띄는 특징 중의 하나는 주진단명의 순위변화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각 진단명별 진단건수가 증가했 다는 것이다 (표 13). 예를 들면, 위의 악성신생물(C16)은 2010년도에 64,460건의 검사가 이루어졌으나, 2011년도에는 83,351건으로 무려 29.3%가 증가하였다. 결장의 악성신생물 (C18)과 급성충수염(K35)은 각각 전년대비 26.0%와 18.5%가 증가하였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새로운 환자가 해당 진단을 받아서 복부조영CT촬영을 받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검사건

표 8. 복부조영CT촬영 검사금액 및 전년대비 금액 증가율 (단위: 억원, %)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금액 % 금액 % 금액 % 금액 % 금액 %

검사금액

전체 624.7 100.0 692.5 100.0 764.2 100.0 868.1 100.0 1,063.7 100.0 상급 240.1 38.3 250.1 34.5 263.9 33.0 302.1 33.4 405.1 36.5 종합 291.6 46.0 336.8 48.8 373.5 49.0 414.0 47.7 490.0 46.4 병원 56.7 9.4 68.3 10.6 86.8 12.2 107.0 13.2 120.8 12.2 의원 36.3 6.3 37.3 6.1 40.0 5.8 45.0 5.7 47.8 4.9

전년대비 검사금액 증가율

전체 - 10.9 10.4 13.6 22.5

상급 - 4.2 5.5 14.5 34.1

종합 15.5 10.9 10.8 18.4

병원 20.5 27.1 23.3 12.9

의원 - 2.8 7.2 12.5 6.2

(9)

수가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상위순위가 악성신생물이나 급성 충수염과 관련된 진단명이기 때문에 최근의 암 관련 질환의 증가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 물론 상위순위의 변화 이외에도 표에 제시되지 않은 10순위 이외의 진단명에서 건수가 증가했을 가능성이 있다.

감염성·상세불명 기원의 기타 위장염·대장염(A09)이 전년도의 6위에서 5위로 순위가 올 라갔으며, 반면에 복부 및 골반통증(R10)은 전년도의 5위에서 2011년도에 6위로 내려갔다.

2011년도에 간·담관의 악성신생물(C22)이 새로이 9위에 들었던 것과, 기타·부위불명 소화기 계통의 양성신생물(D13)이 전년도에 9위에서 10위로 내려간 것 외에는 커다란 상병변화는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9).

표 9. 복부조영CT촬영을 받은 환자의 연도별 주상병변화

순위 2009 2010 2011

코드 명칭 건수 코드 명칭 건수 코드 명칭 건수

1 C16 위의 악성신생물 61,669 C16 위의 악성신생물 64,460 C16 위의 악성신생물 83,351 2 C18 결장의 악성신생물 34,663 C18 결장의 악성신생물 39,377 C18 결장의 악성신생물 49,620

3 K35 급성 충수염 29,760 K35 급성 충수염 35,500 K35 급성 충수염 42,065

4 C20 직장의 악성신생물 24,669 C20 직장의 악성신생물 27,898 C20 직장의 악성신생물 33,733

5 R10 복부 및 골반통증 17,055 R10 복부 및 골반통증 22,126 A09 감염성·상세불명 기원의 기타

위장염·대장염 31,014

6 A09 감염성·상세불명 기원의 기타

위장염·대장염 14,084 A09 감염성·상세불명 기원의 기타

위장염·대장염 19,656 R10 복부 및 골반통증 30,786

7 K80 담석증 14,053 K80 담석증 14,869 K80 담석증 19,822

8 C50 유방의 악성신생물 8,410 C50 유방의 악성신생물 9,690 C50 유방의 악성신생물 14,587

9 D13 기타·부위불명 소화기계통의

양성신생물 8,247 D13 기타·부위불명 소화기계통의

양성신생물 8,789 C22 간·담관의 악성신생물 10,911

10 N20 콩팥(신장),요관의 결석 7,734 N20 콩팥(신장),요관의 결석 8,640 D13 기타·부위불명 소화기계통의

양성신생물 10,824

(10)

진료경향분석

4. 나가며

최근 일반전산화단층영상진단-복부-조영제촬영에 대한 진단검사 건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대한 진단검사경향을 보다 여러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기 위하여 성이나 연령과 같은 일반 적 특성, 환자수의 증가여부 등 진단검사 건수를 늘리는 요인들에 대한 경향을 살펴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2011년도에 복부조영CT촬영 검사건수가 급격히 증가한 것은 환자당 진단검사 건수가 이전 과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당해 연도의 환자수가 급격히 증가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절대적인 환자수의 증가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검사건수의 증가는 의료장비나 공급자 요인이 영 향을 미칠 수 있으나, 본 분석에서는 의료장비요인 및 공급자적인 요인과의 관계는 살펴보지 못 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검사의 경우 외래 에서의 전년대비 검사건수 증가율이 높았으며, 의료기관 종별로는 상급종합병원에서의 전년대 비 검사건수 증가율이 높았다. 환자의 주진단명에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상위 순위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각 순위별 검사건수가 전년에 비하여 크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새로운 진단검사장비의 도입이 필연적으로 지속될 것임에 비추어 볼 때(박영택, 2011; 이한주, 2011), 복부조영CT촬영 진단검사비용은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검사건수의 급격한 증가와 같은 현상들이 계속된다면 향후 진단검사로 인한 보험재정의 지출압박은 심화될 것이다. 고가장비의 이용에 대한 사전승인을 하지 않는 점, 정밀한 환자의 진단을 위하여 진단장비의 이용이 필수적이라는 측면에서 이미 환자가 촬영한 진단검사 결과를 의료인이 공유하여 보험재정을 절감하는 정책마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11)

참고문헌

1. 삼성의료원 영상의학과 홈페이지 참조.

available from: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checkupMain.

do?cPage=1&DP_CODE=BR&MENU_ID=003.

2. 보건복지부.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개정.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1-43호.

2011.4.6.

3. 신현철, 김명화. 진료비 모니터링 지표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진료비 예측지표 개발을 중심으로. 건강보험심사 평가원: 심사평가정보센터, 2007.11

4. 박영택. 건강보험 진단검사 건수 및 금액의 증감추이와 현황. HIRA 정책동향. 제5권 3호. 2011. 5-6월, pp.65-74

5. 이한주. 의료장비의 질 관리방안. HIRA 정책동향. 제5권 6호. 2011. 11-12월, pp.28-32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