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7월 4주 1 (단위: $/배럴)
7/20 7/27 증감
WTI 91.42 90.18 -1.24
브렌트 106.80 106.27 -0.53
두바이 103.39 102.06 -1.33
1.현물 유가
주간 현물원유 가격 추이
자료: 한국석유공사
7
월 넷째 주(7.23~7.27)
국제유가는 지정학적 공급불안 증대에도 불구하고 유로존 경기침체 우려가 확산되면서 약보합세를 나타냄.
유로존 국가들의 경기침체 심화와 중국 경제성장 둔화 가능성이 높아지면 서 유가 하락요인으로 작용함
.
스페인의
10
년 만기 국채금리가7.5%
로 유로화 출범 이후 사상 최고치를 기 록하면서 스페인의 디폴트 가능성이 재 부각되었으며,
그리스는 경기침체 심 화로 오는9
월에 디폴트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됨.
유로존의
7
월 구매관리자지수(PMI)
는46.4
로 시장 예상치(46.5)
를 하회하였으 며 신용평가사인 무디스(Moody’s)
는 독일,
네덜란드,
룩셈부르크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
에서‘
부정적’
으로 강등함.
한편
,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국채매입 등을 통해 유로존 지원에 나설 것 이란 발언은 유로존 사태의 심화 우려를 일부 희석시킴.
중국 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회의
Song Guoqing
교수는 중국 경제포럼에서3
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이7.4%
에 그칠 것이라 전망함에 따라 중국 경제성장 률의7
분기 연속 감소 가능성이 높아짐.
시리아 사태가 악화되면서 중동 지정학적 불안감이 커지며 유가 하락폭을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Vol. 389 2012. 7. 20. ~ 2012. 7. 27.
2 2012년 7월 4주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제한함
.
시리아 정부군과 반정부군 간 교전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시리아 대도시 알레포에서 정부군의 전투기
,
탱크 등을 동원한 공격으로100
여명 이상의 대 규모 사망자가 발생하였으며 생화학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됨.
시리아 반정부군을 지지하고 있는 아랍연맹과 정부군을 지지하는 이란 간 갈 등도 증폭되는 양상을 보임에 따라 이란 핵문제와 함께 중동 지역 원유공급 에 대한 불확실성을 가중시킴.
지난주 미국 원유재고는 전주 대비
2.7
백만 배럴 증가한380.1
백만 배럴을 기록,
휘발유재고는 전주 대비4.1
백만 배럴 증가한210.0
백만 배럴을,
중간 유분재고는 전주 대비1.7
백만 배럴 증가한125.2
백만 배럴을 기록함.
2.선물 유가
Nymex-WTI 선물거래 가격 및 비상업 순매수 추이 (7월 24일 기준)
(단위: 계약)
매수(A) 매도(B) 순매수
(A-B)
상업용 608,497 798,362 -189,865
비상업용 339,805 149,112 +190,693
주: (A-B)가 (-)인 경우 순매도를 나타냄 자료: Reuters, CFTC
7
월24
일 기준Nymex-WTI
선물유가는 전주 대비0.8%
하락한$88.50/
배 럴을 기록함.
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
(CFTC)
가 발표한7
월24
일 기준Nymex
의 대형 투 기자금에 의한 원유(WTI)
선물거래 순매수는 전주 대비17.9
백만 배럴 증가 한190.7
백만 배럴을 기록함.
2012년 7월 4주 3
미국 석유수급 통계
1)
석유재고(
전략비축유 제외)
(단위: 백만 배럴) 일자
구분 6/29 7/6 7/13 7/20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 유 382.9 378.2 377.4 380.1 +2.7 +0.7%
휘발유 205.0 207.7 205.9 210.0 +4.1 +2.0%
중간유분(난방유 등) 117.8 120.9 123.5 125.2 +1.7 +1.4%
중 유 35.0 35.5 35.7 35.5 -0.2 -0.6%
2)
원유정제투입량(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6/29 7/6 7/13 7/20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유처리량 15.63 15.77 15.54 15.80 +0.26 +1.7%
가동률(%) 92.0 92.7 92.0 93.0 - +1.0%p
3)
석유제품 소비(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6/29 7/6 7/13 7/20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휘발유 9.00 8.92 8.63 8.66 +0.03 +0.4%
중간유분(난방유 등) 3.85 3.24 3.37 3.48 +0.12 +3.4%
중 유 0.49 0.27 0.25 0.22 -0.03 -13.0%
총석유제품 19.60 18.54 18.60 19.08 +0.48 +2.6%
4)
수입 및 생산(단위: 백만 b/d)
구분
수 입 생 산
7/6 7/13 7/20 전주대비
7/6 7/13 7/20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물량 변동률
원유 8.63 8.94 9.63 +0.70 +7.8% 6.25 6.25 6.36 +0.12 +1.9%
휘발유 0.92 0.64 1.02 +0.39 +60.6% 9.32 8.89 9.26 +0.37 +4.2%
중간유분 0.09 0.08 0.16 +0.08 +92.9% 4.71 4.76 4.65 -0.12 -2.4%
중유 0.23 0.16 0.15 -0.01 -4.4% 0.51 0.52 0.48 -0.04 -7.9%
자료: EIA/DO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