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주간 해어황 정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주간 해어황 정보"

Copied!
4
0
0

Teks penuh

(1)

강화 인천 화성 태안 대천 군산 부안

* 관측치는 2012.09.16∼2012.09.22까지 정지관측점의 표층수온, 평년치는 2007∼2011년 평균임

관 측 치

23.3

평 년 치 24.2

23.4 24.2

20.4 24.7

-3.9 23.3

23.6 21.2

24.1 24.3

전 년 치

평 년 차 전 주 치

-0.8 전 주 차

22.3 25.3

20.3 24.3

-0.3

2012 년도

주간 해어황 정보

22.3

20.5 22.4

22.8

1

-1.8

전 년 차 -3.9

-0.7 0.2

-1.9 0.6

-4.3 -0.8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032)745-0610

제 40 호 예보기간 2012.09.30∼10.06

지난 주(2012.09.16∼2012.09.22) 서해중부 연안의 수온분포는 20.4∼23.4℃ 로써 평년에 비하여 모든 지역에서 0.3∼4.3℃ 저온상을 보였습니다. 지지난주

(2012.09.09∼2012.09.15)에 비하여 모든 지역에서 0.8∼3.9℃ 저온상을 보였습니 다. 이번 예보기간(2012.09.30∼2012.10.06)의 평년 평균수온은 20.2∼22.3℃ 입니 다.

-5 0 5 10 15 20 25 30

평년차 2012 평년 대천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Ⅰ. 해 황

0 5 10 15 20 25 관측치 30

평년치 전년치 전주치

구분 지역

(2)

경인방송 90.7 MHz

11:00 14:00

해ㆍ어황의 주간예보 및

해양수산관련 시험 및 연구결과 정보 방 송 내 용

방송시간 방송국

근해안강망어업 ㅇ개황 :

ㅇ전망 :

기선저인망어업 ㅇ개황 :

ㅇ전망 :

Ⅱ. 어 황

<<무선방송 실시안내>>

각종 보도매체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있는 해ㆍ어황예보를 선박에서 직접 청취 할 수 있도록 매주 목ㆍ금요일 경인방송 라디오를 활용하여 방송되고 있으니 많은 청취 바랍니다.

금주 쌍끌이어업은 거문도 남동부 및 동중국해 중부해역에 어장이 형성 되겠으며, 주로 갈치류, 참조기 등이 어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외끌이 어업은 남해 중부 및 제주 남부해역을 중심으로 어장이 형성되겠으며, 옥 돔, 성대류 등이 어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금주의 주 어장은 서해연안 및 남해서부 연안해역을 중심으로 형성되겠 으며, 주요 어획 대상 참조기, 갈치, 반지, 고등어, 병어 등으로, 어황은 평년에 비하여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지난주 인천, 군산, 여수, 목포에서는 연 91척이 163, 174, 184, 202, 203, 204, 211, 212, 220, 221, 222, 223 해구에 출어하여 총 252.9톤, 척당 2.8톤을 어획하였으며, 평년 같은 기간에는 연 82척이 출어하여 총 719.2톤, 척당 8.8톤을 어획하였습니다. 척당 어획량은 평년에 비하여 약 68.1% 감소하였습니다.

지난주 인천에서는 연 5척이 150, 151 해구에 출어 조업하여 총 31.9톤, 척당 어획량 6.4톤을 어획하였으며, 평년 같은 기간에는 연 9척이 출어하여 총 56.8톤, 척당 어획량 6.3톤을 어획하였습니다. 척당 어획량은 평년에 비 하여 1.6% 증가하였습니다.

(3)

1. 어획상황 자료(2012.09.16∼2012.09.22)

구분

입항척수 총어획량 척당 단위노력당

어가 위판시세(kg당)

어업 지역

(kg) 어획량 어획량(kg/통)

어종 어가

합계 참조기

갈 치

장항 반 지

군산 병 어

여수 아 귀

목포

어 종 별 어획량(kg)

1) 본 조사자료는 지정항(인천, 장항, 군산, 목포, 여수)에 어선이 직접 입항하여 위판된 자료만 조사한 사항임 2) 단위노력당 어획량은 근해안강망 - 양망당, 기선저인망 - 인망당임

3) 어가는 수협 최고, 최저 어가임

91

-

인천 1

-

-

4 132

- 132

16,620 38,660 2,779

77 252,931

25,040

합계

척당 어획량 총 어획량(kg)

31,968 5

홍 어 3

71

조업척수

고등어 16

209,779

참조기 93,452 17,980

1,124

8,347

2,955

가자미류

- 붕장어 : 35㎝

- 넙치 : 21㎝

- 대구 : 30㎝

- 황돔 : 15㎝ - 민어 : 33cm - 참돔 : 24㎝

- 돌돔 : 24㎝

- 문치가자미 : 15㎝

- 농어 : 30㎝

10,160 722

- 백합 : 5㎝

- 펄닭새우 : 10㎝

- 꽃게 : 6.4㎝

- 황복 : 20㎝

11,946

복어류 324 기 타

반 지

- 감성돔 : 20㎝ - 참가자미 : 12㎝ - 쥐노래미 : 20㎝

- 조피볼락 : 23㎝ - 참홍어:42cm

※ 수산동물의 포획금지체장

1,140 대 구

- 개서대 : 26㎝

기 타

아 귀 7,676

6,188

양망당 어획량

236.8 병 어

6,394 8,415

31

갈 치

82

232

89,596

어종별 어획량 (kg)

인천 기 대 선 형 저 쌍 인 끌 망 이

1,182 ∼ 1,320

522

∼ 1,522

1,923

∼ 7,692 500

∼ 10,000

4,667

∼ 12,917

(4)

2. 지난주(2012.09.16∼2012.09.22) 어장분포와 예보기간(2012.09.30∼10.06) 어장예상도

3. 2012년 09월 18일∼2012년 09월 24일 합성한 위성영상 표면 수온분포도

담당자 : 조현수 ☎ (032)745-0610

○ 우: 400-420 인천광역시 중구 을왕동 선녀바위로 14번지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해·어황에 관하여 문의가 있으시면 아래 주소 또는 담당자에게 전화로 연락주시면 성실히 답변 해드리겠습니다.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401 402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403 40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4

214 104

110

92

98 99 100

105 106

111 112 368 223

KOREA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408

457

487

602 519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378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501 499 500

470 471 381 379 380

469 405 406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3 234 113

115 243 244

241 242 239 240 238 237 235 236

407 374 376

114 371 232

375

213 194

○ ○

N 37

35

33

31

122 124 126 128 E

근해안강망 기선저인망

301M/T 이상 101∼300

M/T 100M/T

이하

101M/T 이상 50∼100

M/T 50M/T

이하 어

업 별 예 보 기 간 의 어 장 지 난 주 의 어 장

Referensi

Dokumen terkait

어 황 각종 보도매체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있는 해ㆍ어황예보를 선박에서 직접 청취 할 수 있도록 매주 금요일 경인방송 라디오를 활용하여 방송되고 있으니 많은 청취 바랍니다.. 금주 대형저인망어업은 가거도 ~ 제주도 남부 ~ 거문도 간 해역을 중심으로 어장이 형성되겠으며, 주로 가시발새우, 삼치, 민어 등이 어획될 것으로 전

어 황 각종 보도매체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있는 해ㆍ어황예보를 선박에서 직접 청취 할 수 있도록 매주 금요일 경인방송 라디오를 활용하여 방송되고 있으니 많은 청취 바랍니다.. 금주 대형저인망어업은 서해 중부, 남해 중부 및 제주 주변해역에 어장 이 형성되겠으며, 주로 살오징어, 갈치류 등이 어획될 것으로 전망됩니

어 황 각종 보도매체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있는 해ㆍ어황예보를 선박에서 직접 청취 할 수 있도록 매주 금요일 경인방송 라디오를 활용하여 방송되고 있으니 많은 청취 바랍니다.. 금주 쌍끌이어업은 남해 중부 및 제주 남부해역에 어장이 형성되겠으며, 주로 삼치, 참조기 등이 어획될 것으로

어 황 각종 보도매체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있는 해ㆍ어황예보를 선박에서 직접 청취 할 수 있도록 매주 금요일 경인방송 라디오를 활용하여 방송되고 있으니 많은 청취 바랍니다.. 금주 대형저인망어업은 제주도 동남부 해역과 서해 중부 해역을 중심으로 어장이 형성되겠으며, 주로 오징어류, 갈치, 가시발새우 등이 어획될 것으로

어 황 각종 보도매체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있는 해ㆍ어황예보를 선박에서 직접 청취 할 수 있도록 매주 금요일 경인방송 라디오를 활용하여 방송되고 있으니 많은 청취 바랍니다.. 금주 대형저인망어업은 거문도 동부 및 제주 주변해역에 어장이 형성되 겠으며, 주로 삼치, 민어 등이 어획될 것으로

어 황 각종 보도매체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있는 해ㆍ어황예보를 선박에서 직접 청취 할 수 있도록 매주 금요일 경인방송 라디오를 활용하여 방송되고 있으니 많은 청취 바랍니다.. 금주 대형저인망어업은 서해 남부, 남해 중부 및 제주 주변해역에 어장 이 형성되겠으며, 주로 삼치, 갈치류 등이 어획될 것으로

어 황 각종 보도매체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있는 해ㆍ어황예보를 선박에서 직접 청취 할 수 있도록 매주 금요일 경인방송 라디오를 활용하여 방송되고 있으니 많은 청취 바랍니다.. 금주 대형저인망어업은 거문도 ~ 제주도 간 해역에서 어장이 폭 넓게 형성 되겠으며, 주로 삼치, 갈치 등이 어획될 것으로

어 황 각종 보도매체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있는 해ㆍ어황예보를 선박에서 직접 청취 할 수 있도록 매주 금요일 경인방송 라디오를 활용하여 방송되고 있으니 많은 청취 바랍니다.. 금주 대형저인망어업은 남해 동부 및 제주 주변해역에 어장이 형성되겠 으며, 주로 참조기, 민어 등이 어획될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