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왕산국립공원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 다양성 및 군집특성
신현선1·서예지2·정상우1*
1다살이 생물자원연구소, 2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Species Diversity and Characteristic Communities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Juwangsan National Park, South Korea
Hyun Seon Shin
1, Ye Ji Seo
2and Sang Woo Jung
1*
1DASARI Resarch Institute of BioResources, Daejeon 34127, Korea
2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요 약 : 본 연구는 2017년 4월부터 10월까지 주왕산국립공원에서 과거 미 조사지역과 중점조사지역을 대상으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다양성 및 군집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5문 7 강 17목 68과 131종이 출현하였다. 개체군 크기별 기대종 분석결과는 St. 14에서 101개체 당 22종으로 가장 높은 기대종을 보였으나, St. 1에서는 101개체당 3종으로 낮은 기대종을 나타냈다. 우점도지수는 최상류인 St.15가 0.23으 로 가장 안정적인 군집양상을 유지하고 있었다. 다양도지수는 St. 14에서 2.86, 균등도지수는 주산지(St.1)에서 0.99, 풍부도지수는 St. 14에서 5.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섭식기능군은 잡아먹는무리와 주워먹는무리가 비교적 높게 출현하였고, 계곡의 대형무기물질이 풍부한 St. 2, 3, 4, 7, 8, 9, 12, 13, 14, 15에서는 썰어먹는무리 출현이 비교 적 높았으며, St. 1. 5, 10, 11에서는 정수성 서식처의 종조성을 반영하는 주워먹는무리와 잡아먹는무리 등 2개의 섭식기능군이 나타났다. 과거(1985년)부터 현재까지(2017년) 주왕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5문 8강 19목 88과 165속 250종으로 나타나 국립공원 정기 모니터링과 학술연구 수행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주왕산, 기대종, 섭식기능군, 군집분석, 종 다양성
Abstract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communities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in relation to un- investigated and priority investigate regions in Juwangsan National Park. The species were collected from 15 sites during April to October in 2017. The identified species were 131 species belong to 68 families, 17 orders 7 classes, and 5 phyla.
As a results of Rarefaction curve analysis, St. 14 (22 species / 101 Inds./m2) showed the highest expected species number, while St. 1 (3 species / 101 Inds./m2) were the lowest expected species number compared with the other sites. In the results of community analysis, the lowest value of dominance index was 0.23 in St. 15, diversity index was 2.86 in St.
14, richness index was 5.60 in St. 14, and evenness index was 0.99 in St. 1, respectively. In the functional feeding groups, gathering-collectors and predators groups in Juwangsan National Park were relatively highest compared to the other functional feeding groups. Shredders group at St. 2, 3, 4, 7, 8, 9, 12, 14, 15, which caused by inhibiting CPOM (Coarse Particulate Organic Matter) supply from terrestrial, showed th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at the other sites. Whereas at St. 1, 5, 10, 11, which is characterized by a stagnant water, were composed mainly gathering-collectors and predators.
From 1985 to 2017,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inhabitants in Juwangsan National Park were 250 species belonging to 165 genera, 88 families, 19 orders, 8 classes, 5 phyla, which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data for monitoring and research.
Key words : Juwangsan, Rarefaction curve, Functional feeding groups, Community analysis, Species d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총설]
서 론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하천과 같은 담수생태계에서 살 아가는 무리 군으로써 약 2 mm 이상의 크기로 식별이 가능 한 척추가 없는 동물을 의미한다. 기수역이나 바다에도 일 부 서식하고 있지만 담수생태계에 대부분 집중되어 있어서 담수무척추동물이라는 명칭도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다. 우 리나라에서는 1960년대부터 초기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현 재 환경부 및 산하기관에서 전국 단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 동물의 연구를 지역별 또는 유역별로 수행하고 있다. 저서 성 대형무척추동물은 크게 다섯 개의 문(Phylum)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이중 절지동물문(Arthropoda)이 가장 풍부하고 다양성이 높은 분류군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생활사를 담수에서 보내지만 일부 절지동물문에 속하는 수서곤충들은 수온이 올라가는 우화시기가 되면 담수생태계에서 육상생태 계로 나와 번식 활동을 하고 서식환경의 변화에 따라 이동 하게 된다. 국내의 담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약 1,500 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현재 국내외적으로 생물다양성 및 생태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과거에 비해 국내의 담수생태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4대 강 사업으로 하천과 그 안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들의 심각 한 변화가 출몰하여 국가적 또는 국제적으로 저서성 대형무 척추동물의 변화상이 이슈화되고 있다(예: 큰빗이끼벌레 (Pectinatella magnifica)). 이에 따라 장기적인 연구가 수행되
고 담수생태계를 친환경적으로 복원하는 운동이 지역별로 행하여지고 있다. 뿐 만 아니라 전문적인 연구를 통하여 지 표생물이 개발되었으며, 국내 하천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 한 한국오수생물지수(KSI)(Won et al. 2005), 저서동물지수 (BMI)(Ministry of Environment 2015) 등이 환경변화에 따라 적용 및 평가되고 있다.
우리나라 국립공원은 대표적인 생물 보전 보호 지역이며, 급속한 산업화 속에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 으로 남아있는 곳이다. 국립공원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 물의 연구는 1990년대 초반부터 시행되어 왔으며, 아직까지 도 다른 분류군에 비하여 미비하게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주왕산국립공원에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연구는 1 998년 (1기 자연자원조사)에 5개 지점에서 수서곤충을 조사하여 목록화 한 것이 시초이다. 이 후 2008년(2기 자연자원조사) 에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으로 정밀조사가 수행되 어졌으며, 98종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이 밝혀졌 다. 이후 공원내 주요 8개의 격자에서 고정적인 모니터링(국 립공원관리공단, 2015)이 수행되었다. 이번 조사는 현재까지 주왕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대상지역의 미 조사지역과 중 점조사지역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과거부터 현재까지 주왕산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총 정 리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성을 파악하고자 하였 다. 종목록 및 일부 주요종의 기초자료는 주왕산국립공원의 보전 및 보호 대책에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추후 연구
Figure 1. The location map of study sites with grid in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수행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전반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 였다.
연구방법 1. 조사지점 및 시기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현장 조사는 2017년 4월부터 1 0 월까지 수행하였다. 주왕산국립공원의 주산지, 내기사 저수 지, 용추폭포, 학소제, 대전사 상류 일대 등 공원 내 중점관 리조사 지역 추가 조사지점을 포함하여 1 5개 지점을 선정하 였다(Figure 1). 조사 방법으로는 하천의 수계를 따라 상류 로 이동하면서 여울, 소, 낙엽, 수변부 등 저서성 대형무척 추동물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심 이 깊은 저수지에서는 서식공간의 범위를 수심 1 m 안쪽으 로 서식현황을 관찰하였으며, 저수지 내 뿐 만 아니라 저수 지와 연결되어 있는 상류와 하류의 하천을 함께 조사하였다 (Figure 2).
S1: 경북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주산지 (36°21'45.4"N, 129°11'17.9"E)
S2: 경북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128, 주산지 하방 (36°21'45.4"N, 129°10'57.8"E)
S3: 경북 영덕군 지품면 기사리 1 84, 내기사저수지 입구 (36°27'14.3"N, 129°10'39.3"E)
S4: 경북 영덕군 지품면 기사리 33, 내기사저수지 상방 (36°26'18.9"N, 129°11'13.9"E)
S5: 경북 영덕군 지품면 기사리 85-1, 내기사저수지 (36°26'26.8"N, 129°10'55.4"E)
S6: 경북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84, 용추폭포 하방 (36°23'58.0"N, 129°09'51.0"E)
S7: 경북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학소제 (36°23'59.2"N, 129°09'44.5"E)
S8: 경북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926, 대전사 상방 (36°23'50.4"N, 129°08'45.3"E)
S9: 경북 청송군 청송읍 월외리 53 (36°26'11.2"N, 129°09'23.8"E)
S10: 경북 영덕군 지품면 송천리 645, 저수지 상방
(36°26'23.4"N, 129°13'10.9"E)
S11: 경북 영덕군 지품면 송천리 341 (36°26'17.8"N, 129°14'28.9"E)
Figure 2. The view of sampling sites (1~15) in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S12: 경북 영덕군 지품면 송천리 65 (36°25'29.2"N, 129°13'16.6"E)
S13: 경북 영덕군 지품면 송천리 715 (36°25'29.3"N, 129°13'49.4"E)
S14: 경북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절골지구 상방
(36°22'14.2"N, 129°11'04.3"E)
S15: 경북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1575, 대문다리 상방
(36°23'25.28"N, 129°12'09.86"E)
2. 조사방법 및 분석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현장조사는 계류형 정량채집망 Surber sampler(30×30 cm, mesh size=0.5 mm)을 이용하여 지 점별 3회(riffle, run, pool) 정량 채집하였으며,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의 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둥근뜰채 Hand net(mesh size=0.5 mm), 핀셋을 이용하여 수변부, 낙엽이 쌓 인 곳, 수초 등 다양한 서식처에서 정성채집을 병행하였다.
또한 수서곤충의 우화시기에 맞추어 하천주변에서 쓸어잡기
(Sweeping)를 하여 종 다양성을 확보하였다. 채집된 샘플은
현장에서 96% Ethanol로 고정하여, 실험실로 운반 후 해부 현미경 및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동정(identification)하였다.
채집된 표본은 윤일병(1988, 1995), 권오길(1990), 원두희 등 (2005), 박해철 등(2008), 정광수(2011), 김명철 등(2013), 권 순직 등(2013)을 참조하여 동정하였으며, 형태동정이 어려운 일부 분류군은 과(family) 또는 속(genus) 수준에서 sp로 처 리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동정된 표본은 80% Ethanol에 보전하여 연구소에 분류군별로 보관하였다.
주왕산국립공원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다양성은 과거
1998년 조사부터 2017년까지 조사된 결과를 모두 종합하여
제시하였으며, 일부 종명이 변경되거나 잘못된 부분은 수정 하였다. 일부 유충으로 동정이 불가능한 분류군에 대해서는
2017년 곤충조사의 자료를 인용하여 목록에 함께 나타냈다.
주왕산국립공원에서 정량으로 채집된 저서성 대형무척추 동물의 출현종과 개체수를 기준으로 우점도(McNaughton 1967), 다양도(Shannon-Weaver 1949), 균등도(Pielou 1966), 풍부도(Margalef 1958)를 산출하여 조사지점별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였으며, 수생태계 환경을 평가하기 위해 저서동물지수(BMI: Benthic Macroinvertebrate Index)(Ministry of Environment 2015)를 이용하였다. 저서동 물지수는 수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는 지표생물군을 1 53종 선정하여 출현한 각 지표생물군의 오탁계급치 및 지표가중 치를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종의 기댓값(Rarefaction curve)은 Hurlbert(1971)와 James and Rathbun(1981)의 방법에 의해 산출하였으며 섭식기능군 (Functional Feeding Group; FFG) 분석은 노태호(2004)가 Merritt and Cummins(1996)의 체계를 근거로 한 한국산 수 서곤충류 섭식기능군의 유형을 속 수준에서 6가지 기능군으 로 정리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통계처리는 Rarefac.
Bas와 Spdivers. Bas 프로그램(Ludwig and Reynolds 1988) 을 사용하였다.
3. 하상구조와 수환경
본 조사지역의 물리적 하상구조를 알아본 결과는 Table 1 과 같다. 조사지점의 유수폭, 수심 및 하상구조를 측정하였 으며, 유수폭은 거리측정기(Nikon Laser 1200s) 및 목측법을 이용하였다. 하상의 분류체계는 Cummins(1962)의 방법을 적용하여 5단계로 구분하여 비율로 표기하였다. 대부분 조 사지역은 유수지역으로 계곡형 하천이었으며, 지점 1과 5는 주산지와 내기사저수지로 유수역이 흐르는 하천과는 다른 경향의 환경을 보였다. 지점 1 0 역시 상류쪽의 계곡형 하천 이 흐르지만 하류쪽에 정수지역과 연결되어 있어 하상에 낙 엽잎이 풍부한 서식처를 나타내고 있었다. 고도는 평균
324±82m이었으며, 최저 고도는 1 73m 지역(11)으로 도로공
Table 1. Environmental data of 15 sampling sites in Juwangsan National Park.
Sites Water temp.
(oC) Stream width
(m) Mean Water depth
(m) Altitude
(m) Substrate
*B:C:P:G:S
1 13.0 lentic area 0.50 373 B:C:S = 5:2:3
2 12.6 2~4 0.18 330 B:C:P:G:S = 2:5:1:1:1
312.5 4~8 0.15 303B:C:P:G:S = 2:3:2:1:2
4 9.6 0.5~30.13397 C:P:G:S = 4:2:1:3
5 14.6 lentic area 0.45 367 C:P:G:S = 1:3:2:4
6 13.4 1~3 0.30 328 B:C:P:G:S = 1:4:2:2:1
7 13.5 2~3 0.20 281 B:C:P:G = 1:6:1:2
8 15.3 3~4 0.20 270 C:P:S = 6:3:1
9 12.1 0.5~1.5 0.10 444 B:C:P:G = 4:3:2:1
10 20.0 0.5~1 0.10 281 B:C:P = 5:3:2
11 14.37~10 0.30 173B:P:G:S = 2:2:1:5
12 12.6 0.3~0.5 0.10 282 B:C:G:S = 2:1:1:6
13 14.5 0.5~1 0.10 214 B:C:P:G:S = 1:3:3:1:2
14 20.4 2~5 0.15 327 B:C:P:G = 3:2:2:3
15 16.8 0.3~0.5 0.10 492 B:C:P:G:S = 1:3:3:1:2
*B: Boulder (>256 mm), C: Cobble (64~256 mm), P: Pebble (16~64 mm), G: Gravel (2~16 mm), S: Silt/Sand (0.1~2 mm) by Cummins (1962)
사와 하천변공사로 교란과 오염이 심각하게 나타났다. 최고 고도는 492m 지점(15)으로 가메봉(882m)과 인접하고 있었 으며, 하상에 이끼와 자갈이 풍부하게 나타나고 있었지만 수심이 매우 얕게 나타났다.
결과 및 고찰
1. 주왕산국립공원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조사의 역사적 고찰
주왕산국립공원의 본격적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조사 는 2008년 국립공원 종합학술조사 때 시작되었다. 하지만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중에서 가장 다양성이 높은 수서곤 충의 조사는 1985년 한국자연환경보전협회에서 실시한 “주 왕산 일대의 하계 곤충상”에 일부 포함되어 있었다. 초기 학술조사에서는 곤충이 98과 603종이 기록되어 있었으며, 이중 수서곤충에 속하는 분류군은 하루살이목(4종), 잠자리 목(9종), 강도래목(2종), 노린재목(3종), 뱀잠자리목(1종), 딱 정벌레목(1종), 파리목(1종)으로 총 1 5과 20종이 기록되었다.
국내에서 종(species)을 동정할 수 있는 문교부 도감이 1988 년도에 출간된 이후에 1998년 주왕산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가 실시되었으며, 수서곤충류는 총 25과 48종이 기록되었고, 하루살이목(12종), 잠자리목(15종), 강도래목(3종), 노린재목
(3종), 뱀잠자리목(1종), 딱정벌레목(4종), 파리목(3종), 날도
래목(7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왕산국립공원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명칭으로 정밀조사가 수행된 조사는 2008 년 2기 자연자원조사에서 수행되어졌으며, 국립공원의 1 8개 의 격자에서 총 4개의 문(Phylum)을 포함하여 98종의 저서 성 대형무척추동물이 밝혀졌다. 이후 정기적으로 8개의 주 요 격자에서 모니터링이 수행되어지고 있으며, 현재 7차년 도(2015년)까지 수행되어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 성 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지수를 이용한 수생태계 건강성도 평가하고 있다. 2017년 조사에서는 주왕산국립공원의 미조 사지역과 중점조사지역을 추가하여 수행되었으며, 과거 1 0 년 전(2008년)과 비교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성 을 분석하였다. 과거(1985년)부터 현재까지(2017년) 주왕산 국립공원에 서식할 수 있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5 문 8강 1 9목 88과 1 65속 250종으로 나타났으며(Appendix 1), 국립공원에서는 처음으로 정리되는 목록으로 앞으로 주 왕산국립공원의 정기 모니터링과 학술연구를 수행하는데 있 어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2. 2017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본 조사에서 조사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5문 7강
17목 68과 1 31종이 조사되었다. 각 분류군별로는 비곤충류
(Non-Insecta)가 1 0종(7.63%)으로 조사되었고, 곤충류(Insecta) 는 1 21종(92.37%)으로 조사되었다(Figure 3). 비곤충류 중에 는 편형동물문이 1종(0.76%), 유선형동물문이 1종(0.76%), 연체동물문이 2종(1.53%), 환형동물문이 3종(2.29%) 조사되 었으며, 절지동물문에서는 갑각강이 3종(2.29%), 곤충강이 8
목 58과 1 21종으로 조사되었다. 곤충강 중에는 하루살이목 이 37종(28.24%)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는 날도래목이 28종(21.37%), 강도래목과 파리목이 각각 1 4 종(10.69%), 딱정벌레목 1 2종(9.16%), 노린재목 7종(5.34%), 잠자리목 6종(4.58%) 순으로 나타났으며, 뱀잠자리목이 3종
(2.29%)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수서곤충 중에 주요분류
군인 하루살이-강도래-날도래군(EPT group)이 79종(60.31%) 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는 윤명중 등(2011)에서 EPT분류 군의 출현종수가 71종(70%)이 조사된 것에 비해 종수는 많 지만 전체적인 비율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는 본 조사 지점이 최상류의 계곡형과 일부 정수지역의 서식처로 나타 나는 특징으로 판단된다.
3. 개체군 크기별 기대종 분석(Rarefaction curve)
실제 서식 종수에 대한 현장 관찰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 여 실제 관찰값에서 개체군 크기에 따른 종수의 기댓값 Rarefaction curve를 구하였다. Rarefaction curve는 n개체 수 의 표본에서 예상되는 종수를 나타내며, 표본 크기의 경향 과 차이점을 나타낼 수 있고, 조사지역의 종 풍부도를 비교 할 수 있다(James and Rathbun, 1981, 신현선 등, 2008). 각 지점별 현장에서 관찰된 개체수를 101 Inds/m2개체로 동일 하다고 예상하였을 때 종수의 기댓값은 St. 1 4는 E(S, 101 Inds/m2)=22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St. 9가 E(S, 101 Inds/m2)=19, St. 3 E(S, 101 Inds/m2)=18, St. 2외 6이 E(S, 101 Inds/m2)=17, St. 7과 1 5가 St. 3 E(S, 101 Inds/m2)=14, St. 13이 St. 3 E(S, 101 Inds/m2)=13, St. 8이 St. 3 E(S, 1 01 Inds/m2)=11, St. 11이 St. 3 E(S, 101 Inds/m2)=8, St. 1 2가 St. 3 E(S, 101 Inds/m2)=7, St. 10과 5가 St. 3 E(S, 1 01 Inds/m2)=6, St. 1이 St. 3 E(S, 101 Inds/m2)=3종의 순으로 나타나 St. 1 4에서 가장 높은 종 기댓값을 보여 안정된 하천 생물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4). 그러나 St. 1 , 5, 10, 11, 12은 1 0종 이하로 다른 지점에 비해 단위면적당 종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른 지역에 비해 용존
Figure 3. The relative abundanc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species in Juwangsan National Park.
산소량이 적은 정수지역으로 하상구성물이 모래의 비중이 높거나 주변의 공사로 인해 서식처 교란이 심각하게 나타났 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최상류 골짜기는 적은 수 량으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이 서식할 수 있는 범위가 제 한적인 것도 원인 중에 하나이다. 추후 본 지역에서 채집되 는 종수의 질적인 양의 변화 양상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으 며, 다양도 증가 또는 감소의 원인을 객관적인 자료를 가지 고 분석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4. 군집 및 안정성 분석
조사지점별 군집분석 결과 우점종 및 아우점종은 주산지 를 포함하여 일부 계곡부에 위치한 지점까지 주로 Chironomidae sp.1, Ephemella dentata 등이 우점하고 있었 으며, 아우점종은 대부분 하루살이목인 Cloeon dipterum, Paraleptophlebia japonica, Choroterpes altioculus, Thraulus
grandis 등과 계곡부에서 낙엽 잎을 갉아먹는 옆새우류
(Gammarus spp.)가 아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우점도지수는 평균 0.49±0.20(0.91~0.23)로 나타났으며, 최상 류인 St. 1 5에서 가장 안정적인 군집양상을 유지하고 있었다.
다양도지수는 평균 2.06±0.62(2.86~0.97)로 나타났으며, 절골 지구(St. 1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안정된 군집구조를 유지 하고 있었다. 우점도지수와 다양도지수는 서로 상반되게 나 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St. 10에서 가장 불안정한 군 집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균등도지수는 평균 0.83±0.14(0.99~0.54)로 나타났으며, 주산지(St. 1)에서 상대적으로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부 도지수는 평균 2.96±1.36(5.6~0.96)로 나타났으며, St. 14에 서 종풍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체적으로 조사지점(St. 14, St. 15)에서 상대적으로 안정된 군집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에, 유수지역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St.
Figure 4. Rarefaction curves of each site in Juwangsan National Park.
Table 2. Dominant and subdominnt species at each site in Juwangsan National Park.
Sites Dominant species Subdominant species DI H' J' RI
1 Chironomidae sp.1 Cloeon dipterum 0.75 1.08 0.99 0.96
2 Ephemerella dentata Choroterpes altioculus 0.34 2.51 0.87 4.00
3Chironomidae sp.1 Caenis sp. 0.51 2.37 0.78 3.82
4 Chironomidae sp.1 Gammarus sp. 0.56 1.96 0.68 2.86
5 Limnodrilus gotoi Chironomidae sp.1 0.82 1.01 0.56 1.07
6 Semisulcospira libertina, Drunella latipes 0.31 2.65 0.94 4.37
7 Limnodrilus gotoi Gammarus sp. 0.38 2.32 0.84 3.08
8 Suragina KUb Chironomidae sp.1 0.45 2.07 0.832.42
9 Ephemerella dentata Chironomidae sp.1 0.35 2.62 0.85 4.03
10 Palaemon paucidens Thraulus grandis 0.91 0.97 0.54 1.24
11 Limnodrilus gotoi Chironomidae sp.1 0.56 1.81 0.87 1.95
12 Paraleptophlebia japonica Paraleptophlebia japonica 0.48 1.830.94 1.97
13 Suragina KUb Choroterpes altioculus 0.40 2.32 0.88 3.01
14 Baetis fuscatus Eubrianax ramicornis 0.32 2.86 0.86 5.60
15 Ephemera strigata Eubrianax ramicornis 0.232.54 0.96 3.99
10은 수환경에 따른 특정종의 비율이 우점하여 다른 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천의 군집 안정성 분석 결과, 하천생태계의 상대적 회 복력과 저항력이 모두 약한 III 특성군과 양극화된 특성으로 회복력과 저항력이 모두 높은 I 특성군이 대부분을 차지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5). I 특성군은 대부분 이동 력이 뛰어나고 수환경변화에 내성범위가 뛰어난 분류군인 딱정벌레목(Coleoptera), 잠자리목(Odonata) 및 깔따구과
(Chironomidae)의 비율이 높게 출현하여 나타난다. II 특성
군의 비율도 일부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서식처에 대한 저 항력은 비교적 낮으나 교란에 대한 회복력을 보이는 분류군 으로 생물군집의 안정화에 있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기능군이다. 반면에, 상대적인 저항력과 회복력이 매우 낮은 III 특성군(Perlidae, Nemouridae, Belostomatidae, Psephenidae,
Philopotamidae)의 비율은 주변의 인위적인 간섭이나 작은
교란에도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분류군으로 언제든지 개 체수가 감소하여 종 다양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분류군 이다.
5. 섭식기능군 및 주요종 분포현황
하천 간 유역사이에서 구별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섭식기능군 차이는 먹이자원 특성 및 서식환경을 반영한다 (배연재 등 2003; Williams and Feltmate, 1992; Ward, 1992;
Cummins, 1974). 먹이형태 및 섭식특징 등을 기반으로 6개
섭식기능군으로 분류하는데(Shim, 2011), 주왕산국립공원
15개 지점을 대상으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섭식기능군
별(FFGs) 분포 현황을 조사한 결과 잡아먹는무리(Predator) 21종(33.33%), 주워먹는무리(Gathering-Collector) 18종(28.57
%), 썰어먹는무리(Shredders) 11종(15.87%), 긁어먹는무리 (Scrappers) 8종(11.11%), 걸러먹는무리(Filtering-Collectors) 6종(9.52%), 찔러먹는무리(Plant-piercers) 1종(1.59%)이 서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t. 2, 3, 4, 7, 8, 9, 12, 13, 14, 15에 서는 주왕산의 특징인 계곡의 낙엽과 대형유기물이 풍부하 기 때문에 썰어먹는무리가 출현한 것으로 판단된다. St. 1.
5, 10, 11에서는 주워먹는무리와 잡아먹는무리 등 2개의 섭
식기능군으로 매우 단순하게 출현하여 정수성 서식처의 종 조성 특성을 반영하였다. 본 조사에서 전체적으로 잡아먹는 무리가 높게 출현한 결과는 계곡 하천이 흐르는 지역보다는 일부 정체되어 나타나는 서식처가 대부분으로 과거보다 수 량이 많지 않고 상류쪽에 저수지가 풍부한 먹이자원과 함께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내준다. 그와 반대로 걸러먹는무리와 찔러먹는무리가 적게 나타나 중하류지역에서의 유기물과 하 천의 수생식물이 일반 하천과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 로 판단된다.
주왕산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중 환 경부에서 지정한 주요종으로는, 국외반출승인대상종 9종(줄 새우, 가재, 가는무늬하루살이, 뿔하루살이, 큰그물강도래, 한국강도래, 두눈강도래, 애반딧불이, 수염치레날도래), 한국 고유종 4종(가는무늬하루살이, 뿔하루살이, 한국강도래, 수 염치레날도래), 분포특이종 8종(연가시, 가재, 여러갈래하루 살이, 맵시하루살이, 참물맴이, 광대소금쟁이, 계곡물날도래, 둥근얼굴날도래)으로 확인되었다. 과거부터 현재(2017년)까 지 관찰된 종 중에서 파악된 주요종은, 국외반출승인대상종
33종, 한국고유종 7종, 분포특이종 1 4종, 기후변화생물지표
종 2종이 확인되었다(Appendix 1). 추후 관련 종들의 명확 한 서식여부가 밝혀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모니터링 수행 시 개체군 크기와 밀도변화를 관측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6. 2008-2017년 선행연구와의 비교와 전망
주왕산국립공원의 1 0년 전 과거 정밀조사(2008년)에서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이 총 4문 6강 1 2목 40과 98종을 기 록하였으며, 본 조사(2017년)에서는 총 5문 7강 1 7목 68과
131종이 조사되어 33종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이 추가되
어 관찰되었다(Table 3). 새롭게 관찰된 저서성 대형무척추 Figure 5. Analysis of stability factors with resistance and
resilience for aquatic insects in Juwangsan National Park.
Table 2. Functional feeding groups composition of benthic marcroinvertebrates at each site in the Juwangsan National Park.
Sites Functional feeding groups
SH GC FC SC PR PP
1 0.00% 100.00% 0.00% 0.00% 0.00% 0.00%
2 23.08% 23.08% 7.69% 7.69% 38.46% 0.00%
314.29% 50.00% 14.29% 0.00% 21.43% 0.00%
4 33.33% 16.67% 8.33% 16.67% 16.67% 8.33%
5 0.00% 66.67% 0.00% 0.00% 33.33% 0.00%
6 0.00% 38.46% 15.38% 30.77% 15.38% 0.00%
7 30.77% 23.08% 0.00% 0.00% 38.46% 7.69%
8 14.29% 28.57% 0.00% 0.00% 57.14% 0.00%
9 18.75% 31.25% 12.50% 6.25% 31.25% 0.00%
10 0.00% 40.00% 0.00% 0.00% 60.00% 0.00%
11 0.00% 33.33% 0.00% 0.00% 66.67% 0.00%
12 25.00% 50.00% 0.00% 0.00% 25.00% 0.00%
139.09% 36.36% 9.09% 0.00% 45.45% 0.00%
14 13.64% 36.36% 9.09% 9.09% 31.82% 0.00%
15 10.00% 20.00% 20.00% 10.00% 40.00% 0.00%
*SH: Shredders, GC: Gathering-Collectors, FC: Filtering-Collectors, SC: Scrappers, P: Predators, PP: Plant-Piercers.
동물은 비곤충류에서 5종(연가시, 수정또아리물달팽이, 돌거 머리, 줄새우, 가재), 하루살이목에서 9종(여러갈래하루살이, 알락하루살이, 맵시하루살이, 네점하루살이, 햇님하루살이, 깊은골하루살이, 깨알하루살이, 갈고리하루살이, 등딱지하루 살이류), 잠자리목에서 5종(물잠자리, 방울실잠자리, 어리장 수잠자리, 가시측범잠자리, 잔산잠자리), 강도래목에서 2종
(녹색강도래 KUa, 큰등그물강도래 KUa), 노린재목에서 8종
(꼬마물벌레, 송장헤엄치게, 물자라, 게아재비, 소금쟁이, 애
소금쟁이, 등빨간소금쟁이, 광대소금쟁이), 뱀잠자리목에서
3종(가는좀뱀잠자리, 얼룩뱀잠자리, 뱀잠자리붙이), 딱정벌레
목에서 1 1종(노랑무늬물방개, 모래무지물방개, 애기물방개, 자색물방개, 참물맴이, 뒷가시물땡땡이, 주왕물땡땡이, 무늬 여울벌레, 긴다리여울벌레류, 둥근물삿갓벌레, 애반딧불이), 파리목에서 1종(장수각다귀 KUa), 날도래목에서 9종(계곡물 날도래, 넓은입술날도래류, 둥근날개날도래, 둥근얼굴날도래, 일본가시날도래, 큰애우묵날도래, 날개날도래, 채다리날도래 류, 나비날도래 KUb) 총 53종 이었다. 새롭게 관찰된 종들 의 특징은 최상류 계곡의 골짜기에서 주로 출현하는 종들과 서식처 특이성을 가지고 있는 종(예: 여러갈래하루살이) 및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잠자리목의 정수성의 종들이 추가 조 사되었는데, 이는 이상기상에 따른 국지적 집중강우와 탐방 객에 의한 일부 수계구간의 교란과 과거 전문가의 부족 등 으로 종(species) 조성이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추 후 거머리와 같은 환형동물문과 수서곤충의 경우 성충조사 를 병행하게 된다면 주왕산국립공원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 물 종수는 증가할 것으로 생각되며, 보존가치 측면으로는 서식처에 우점하는 종들의 개체군 특성 및 생활사 연구를 통해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보존 가치를 넓혀야 할 것 으로 판단된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다양성 증가를 위한 관리 및 방안
본 조사에서는 주왕산국립공원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지역 (4격자: 11, 21, 22, 32)과 2기 자연자원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6격자: 10, 12, 13, 19, 20, 24)을 중점적으로 조사 하여 다양성을 판단하였다. 중점조사지역은 경관이 우수한 지역으로 탐방객들의 왕래가 많아 인위적 교란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이 불안정한 지역이다. 인위적인 교란이 빈번한 지역은 종 다양성은 일 정기간 동안 유지될 수 있지만 개체수는 점차 감소하여 생 태계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미조사지역은 대 부분 최상류의 수량이 적은 지점으로 특이종이 추가 될 수 있지만 종 다양성에 영향을 주기에는 부족하다. 주산지와 같은 수량의 유지를 위해 일정량을 댐으로 조절하는 곳에서 는 악취가 나는 부패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의 먹이자원 및 생물이 서식하거나 번식하기에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정수지역의 생물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서는 저수지 주변의 수변 식생을 조성하여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만들어 줘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장기적으 로 정수성 분류군인 딱정벌레목, 노린재목, 잠자리목의 먹이 자원이 풍부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수량과 수위의 조절도 함께 병행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하천에서도 일부 지역의 잦은 공사와 오염물질로 하천의 연속성이 유지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 은 오염과 내성에 강한 일부 파리목에 속하는 개체수가 매 년 증가하여 대발생할 수 있으며, 심각하게는 질병을 유발 시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립공원에서는 사전에 인 위적인 하천형태를 바로 잡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불필요한 하천정비가 수행되기 전과 후에 전문가들의 의견교환이 충분히 이루어지면서, 철저한 감시 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천의 조사는 하천별 또는 유역별로 조사하여 생물상을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며, 하천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활용하기 위하여 물의 흐름이 거 의 없는 최상류부터 하류까지 서식처와 종 선호도를 구별해 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에는 국립공원의 생물상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면서 도 아직까지 생물상이 체계화되어 보고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국립공원의 3기 조사가 끝나면, 전체적으 로 전문가를 활용하여 국립공원의 생물종 목록을 정리할 필 요가 있으며, 지속적인 환경변화에 변화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가이드북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성은 인간의 간섭, 농경지 증가, 지역발전과 더불어 매년 감소되고 있다. 하천의 도시 화는 2년마다 1종씩 수서곤충의 다양성을 감소시킨다고 한 다(Bae and Lee 2001). 본 조사에서 너구마을 상류(격자10) 의 경우 하천을 가운데 두고 나무를 식재하였으며, 수확과 해충방지를 위하여 약품의 사용이 빈번하여 다양성 감소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무주군에서 서식처가 Table 3. Individual number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on
2008 and 2017 in Juwangsan National Park.
Year
Taxon 2008 2017 Variation
Platyhelminthes 1 1 -
Nematomorpha - 1 ▲ 1
Mollusca 1 2 ▲ 1
Annelida 4 3 ▽ 1
Arthropoda
Crustacea 1 3 ▲ 2
Insecta
Ephemeroptera 30 37 ▲ 7
Odonata 2 6 ▲ 4
Plecoptera 17 14 ▽ 3
Hemiptera - 7 ▲ 7
Megaloptera 1 3 ▲ 2
Coleoptera 312 ▲ 9
Diptera 15 14 ▽ 1
Trichoptera 2328 ▲ 5
Total 91 121 ▲ 30
Total 92 124 ▲ 32
Total 98 131 ▲ 33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애반딧불이 서식처가 주왕산국 립공원 내에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반딧불이 개체 수가 꾸준히 증가할 수 있도록 다슬기와 같은 먹이자원을 풍부하게 공급해주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출현지역 에 서식처가 훼손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위를 알려야 할 필 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국내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연구는 1990년대에 이르 러 한국의 주요 하천의 계발과 함께 큰 위기를 맞이하고 있 다. 현재는 큰 강을 중심으로 하천의 상류 계곡까지 하천의 정비사업과 친수시설이 마련되고 있어 하천의 생물상에 대 한 보존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처럼 국립공원별 생물상을 빠르게 정리하여 지역적 생물상의 범위를 마련하고, 인위적 환경변화에 대한 다양성 파괴와 보전에 대한 체계적이고 장 기적인 복원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 사
본 연구는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자연자원조 사의 연구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본 조사를 위해서 협력해주 신 주왕산국립공원 관계자 분들께 감사드린다.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 1998. 주왕산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 원연구원. 254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08. 주왕산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 원연구원. 534pp.
국립공원관리공단. 2015. 주왕산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7차년도).
주왕산국립공원사무소. 279pp.
권오길. 1990. 한국동식물도감. 동물편(연체동물I). 문교부, 446pp.
권순직, 전영철, 박재흥. 2013. 물속생물도감. 자연과생태. 791pp.
김명철, 천승필, 이존국. 2013. 하천생태계와 담수무척추동물. 지 오북. 438pp.
김창환, 이창언, 박희천, 남상호, 권용정. 1985. 주왕산 일대의 하계 곤충상. 한국자연환경보전협회. 23: 93-110.
노태호. 2004. 한국산 수서곤충류 섭식기능군 유형 및 군집안정성 분석. 한국육수학회지. 37(2): 137-148.
박해철, 심하식, 황정훈, 강태화, 이희아, 이영보, 김미애, 김종길, 홍성진, 설광열, 김남정, 김성현, 안나희, 오치경. 2008. (우리 농촌에서 쉽게 찾는) 물살이곤충,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349pp.
배연재, 원두희, 황득휘, 진영헌, 황정미. 2003. 경기도 가평천의 하 순에 따른 수서곤충 군집조성과 섭식기능군. 한국육수학회.
36(1): 21-28.
배연재, 이병훈, 2001. 한국 하천생태계의 환경훼손과 담수 절지동 물의 생물다양성 피해 및 보전. 한국곤충학회. 31(2): 63-76.
이종은, 김중엽, 김재훈. 2015. 주왕산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 저
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pp.
63-118.
윤명중, 권혁영, 정철운, 서을원, 이종은. 2011. 주왕산국립공원 수 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 및 유사도 분석. 국립공 원학술지 2(1): 46-51.
윤일병. 1998. 한국동식물도감. 동물편(수서곤충류). 문교부 840pp.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262pp.
신현선, 최준길, 오사무미타무라, 김숙정. 2008. 수서곤충을 이용 한 원주천 수서생태계 건강도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5): 544-550.
정광수. 2011. 한국 잠자리 유충. 자연과 생태. 399pp.
Cummins KW. 1962. An evalua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i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 Am. Midl. Nat. 67: 477-504.
Cummins KW. 1974. Structure and function of stream ecosystems.
Bioscience 24: 631-641.
Hauer FR, VH Resh. 1996. Benthic Macroinvertebrates
Hurlbert SH. 1971. Th non-concept of species diversity: a critique and aler native parameters. Ecology 52: 577-586.
James FC, S Rathbun. 1981. Rarefaction, relative abundance, and diversity of avian communities. AUK. 98: 785-800.
Ludwig JA, JF Reynolds. 1988. Statistical ecology. pp. 67-106.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 71.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14-168.
Merritt RW, KW Cummins. 1996.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 ects of North America, 3rd ed. Kendall/Hunt, Dubuque.
Iowa.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Survey and evaluation method for river and stream ecosystem health assess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117pp. (in Korea) Pielou ECJ.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13:
131-144.
Shannon CE,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of Illinois Press, Urbana, 233pp.
Sim KS. 2011. Influence of weir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M.A. dissertation. Andong Univ.
Won DH, SJ Kown, YC Jun. 2005. Aquatic insects of Korea Ecosystem service.
Ward JV. 1992. Aquatic Insect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2019년 3월 11일 접수; 2019년 4월 10일 수정;
2019년 4월 22일 채택)
Appendix 1. Taxonomic list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Scientific Name 국명 1985-2015 2017 Remark
Phylum Platyhelminthes 편형동물문 Class Turbellaria 와충강
Order Tricladida 삼기장목 Family Planariidae 플라나리아과
Dugesia japonica 플라나리아 ○ ○
Phylum Nematomorpha 유선형동물문 Class Gordioida 연가시강
Order Gordea 연가시목 Family Gordiidae 연가시과
Gordius aquaticus 연가시 ○ ○ 분
Phylum Mollusca 연체동물문 Class Gastropoda 복족강
Order Mesogastropoda 중복족목 Family Pleuroceridae 다슬기과
Semisulcospira libertina 다슬기 ○ ○
Semisulcospira forticosta주름다슬기 ○ 국,고
Semisulcospira paucicincta 주머니알다슬기 ○
Order Basommatophora 기안목 Family Lymnaeidae 물달팽이과
Radix auricularia 물달팽이 ○
Family Planorbidae 또아리물달팽이과
Gyraulus convexiusculus 또아리물달팽이 ○
Hippeutis cantori 수정또아리물달팽이 ○
Class Pelecypoda 부족강 Order Veneroida 백합목
Family Corbiculidae 재첩과
Corbicula fluminea 재첩 ○
Family Sphaeriidae 산골조개과
Sphaerium lacustre japonicum 삼각산골조개 ○
Phylum Annelida 환형동물문 Class Oligochaeta 빈모강
Order Archioligochaeta 물지렁이목 Family Tubificidae 실지렁이과
Limnodrilus gotoi 실지렁이 ○ ○
Class Hirudinea 거머리강
Order Rhynchobdellida 부리거머리목 Family Glossiphoniidae 넙적거머리과
Alboglossiphonia lata 조개넙적거머리 ○ ○
Batracobdella paludosa 연두넙적거머리 ○
Glossiphonia complanata 갈색넙적거머리 ○
Toryx tagoi 개구리넙적거머리 ○
Order Arhynchobdellidae 턱거머리목 Family Erpobdellidae 돌거머리과
Erpobdella lineata 돌거머리 ○ ○
Family Hirudinidae 거머리과
Hitudinidae sp. 거머리류 ○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Class Crustacea 갑각강
Order Isopoda 등각목 Family Asellidae 물벌레과
Asellus sp. 물벌레류 ○
Order Amphipoda 단각목 Family Gammaridae 옆새우과
Gammarus sp. 옆새우류 ○ ○
Order Decapoda 십각목 Family Atyidae 새뱅이과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새뱅이 ○
Family Palaemonidae 징거미새우과
Macrobrachium nipponense 징거미새우 ○
Palaemon paucidens 줄새우 ○ ○ 국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 국명 1985-2015 2017 Remark
Family Cambaridae 가재과
Cambaroides similis 가재 ○ ○ 국,분
Class Insecta 곤충강
Order Ephemeroptera 하루살이목 Family Leptophlebiidae 갈래하루살이과
Choroterpes altioculus 세갈래하루살이 ○ ○
Paraleptophlebia japonica 두갈래하루살이 ○ ○
Thraulus grandis 여러갈래하루살이 ○ ○ 분
Family Ephemeridae 하루살이과
Ephemera orientalis 동양하루살이 ○ ○
Ephemera separigata 가는무늬하루살이 ○ ○ 국,고
Ephemera strigata 무늬하루살이 ○ ○
Family Ephemerellidae 알락하루살이과
Cincticostella levanidovae 민하루살이 ○ ○
Cincticostella tshernovae 먹하루살이 ○ ○
Drunella aculea 뿔하루살이 ○ ○ 국
Drunella latipes 알통하루살이 ○ ○
Drunella triacantha 삼지창하루살이 ○ 분
Ephemerella dentata 알락하루살이 ○ ○
Ephemerella setigera 범꼬리하루살이 ○ ○
Ephemerella imanishii 칠성하루살이 ○
Ephemerella kozhovi 흰등하루살이 ○
Ephemerella sp. 알락하루살이류 ○
Uracanthella punctisetae 등줄하루살이 ○ ○
Family Caenidae 등딱지하루살이과
Caenis sp. 등딱지하루살이류 ○ ○
Family Heptageniidae 납작하루살이과
Bleptus fasciatus 맵시하루살이 ○ ○ 분
Cinygmula gradifolia 봄처녀하루살이 ○ ○
Ecdyonurus bajkovae 몽땅하루살이 ○ ○
Ecdyonurus dracon 참납작하루살이 ○ ○
Ecdyonurus kibunensis 두점하루살이 ○ ○
Ecdyonurus levis 네점하루살이 ○ ○
Ecdyonurus joernensis 꼬리치레하루살이 ○
Epeorus nipponicus 흰부채하루살이 ○ ○
Epeorus pellucidus 부채하루살이 ○ ○
Epeorus aesculus 중부채하루살이 ○
Heptagenia kihada 햇님하루살이 ○ ○
Rhithrogena binotata 깊은골하루살이 ○ ○
Heptagenia kyotoensis 총채하루살이 ○
Family Ameletidae 피라미하루살이과
Ameletus costalis 피라미하루살이 ○ ○
Ameletus montanus 멧피라미하루살이 ○ ○
Family Baetidae 꼬마하루살이과
Acentrella gnom 깨알하루살이 ○ ○
Acentrella sibirica 콩알하루살이 ○ ○
Baetiella tuberculata 애호랑하루살이 ○ ○
Baetis fuscatus 개똥하루살이 ○ ○
Baetis pseudothermicus 나도꼬마하루살이 ○
Baetis silvaticus 감초하루살이 ○ ○
Baetis ursinus 방울하루살이 ○ ○
Cloeon dipterum 연못하루살이 ○ ○
Labiobaetis atrebatinus 입술하루살이 ○ ○
Nigrobaetis bacillus 깜장하루살이 ○ ○
Procloeon pennulatum 갈고리하루살이 ○
Procloeon maritimum 작은갈고리하루살이 ○
Order Odonata 잠자리목
Family Calopterygidae 물잠자리과
Calopteryx japonica 물잠자리 ○ ○
Calopteryx atrata 검은물잠자리 ○ ○ 분
Family Coenagrionoidae 실잠자리과
Paracercion calamorum 등검은실잠자리 ○ ○
Paracercion hieroglyphicum 등줄실잠자리 ○ ○
Ischnura asiatica 아시아실잠자리 ○
Family Lestidae 청실잠자리과
Indolestes pereginus 가는실잠자리 ○
Sympecma paedisca 묵은실잠자리 ○
Family Platycnemididae 방울실잠자리과
Copera annulata 자실잠자리 ○ 국
Platycnemis phillopoda 방울실잠자리 ○ ○
Family Gomphidae 측범잠자리과
Anisogomphus maacki 마아키측범잠자리 ○ ○
Asiagomphus melanopsoides 산측범잠자리 ○ 국,고
Gomphidia confluens 어리부채장수잠자리 ○
Sinictinogomphus clavatus 부채장수잠자리 ○
Davidius lunatus 쇠측범잠자리 ○ ○ 국
Ophiogomphus obscurus 측범잠자리 ○ 국,분
Sieboldius albardae 어리장수잠자리 ○ ○ 국
Trigomphus citimus 가시측범잠자리 ○ ○ 국
Family Aeshnidae 왕잠자리과
Anax parthenope julius 왕잠자리 ○
Anax nigrogasciatus 먹줄왕잠자리 ○
Boyeria maclachlani 개미허리왕잠자리 ○
Gynacantha japonica 잘록허리왕잠자리 ○
Family Corduliidae 북방잠자리과
Macromia amphigena 잔산잠자리 ○ ○ 국
Epophthalmia elegans 산잠자리 ○
Family Libellulidae 잠자리과
Crocothemis servilia 고추잠자리 ○
Sympetrum darwinianum 여름좀잠자리 ○
Sympetrum eroticum 두점박이좀잠자리 ○
Sympetrum croceolum 노란잠자리 ○ 국
Sympetrum infuscatum 깃동잠자리 ○ ○
Sympetrum pedemontanum 날개띠좀잠자리 ○ ○ 기
Sympetrum striolatum 대륙좀잠자리 ○ 기
Sympetrum frequens 고추좀잠자리 ○ ○
Orthetrum albistylum 밀잠자리 ○
Orthetrum melania 큰밀잠자리 ○
Lyriothemis pachygastra 배치레잠자리 ○
Pantala flavescens 된장잠자리 ○
Order Plecoptera 강도래목
Family Taeniopterygidae 메추리강도래과
Taenionema KUa 메추리강도래 KUa ○
Taenionema KUb 메추리강도래 KUb ○
Family Nemouridae 민강도래과
Nemoura tau 토우민강도래 ○ ○
Nemoura KUa 민강도래 KUa ○
Nemoura KUb 민강도래 KUb ○ ○
Amphinemura coreana 총채민강도래 ○ ○
Amphinemura KUa 총채민강도래 KUa ○ ○
Amphinemura KUb 총채민강도래 KUb ○ ○
Protonemura KUa 삼새민강도래 KUa ○
Family Capniidae 흰배강도래과
Capnia KUa 흰배강도래 KUa ○
Family Leuctridae 꼬마강도래과
Rhopalopsole mahunkai 꼬마강도래 ○
Family Peltopedidae 넓은가슴강도래과
Yoraperla KUa 넓은가슴강도래 KUa ○
Family Pteronarcyidae 큰그물강도래과
Pteronarcys sachalina 큰그물강도래 ○ ○ 국,분,고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 국명 1985-2015 2017 Remark
Family Perlodidae 그물강도래과
Isoperla flavescens 삼줄강도래 ○
Isoperla KUa 줄강도래 KUa ○ ○
Archynopteryx KUa 큰등그물강도래 KUa ○
Perlodes KUa 점등그물강도래 KUa ○
Stavsolus japonicus 그물강도래붙이 ○
Family Perlidae 강도래과
Kamimuria coreana 한국강도래 ○ ○ 국,고
Kiotina decorata 무늬강도래 ○ ○
Neoperla coreensis 두눈강도래 ○ ○ 국,고
Oyamia nigribasis 진강도래 ○ ○ 국
Paragnetina flavotincta 강도래붙이 ○
Family Chloroperlidae 녹색강도래과
Sweltsa nikkoensis 녹색강도래 ○ ○
Sweltsa KUa 녹색강도래 KUa ○ ○
Order Hemiptera 노린재목 Family Corixidae 물벌레과
Micronecta sedula 꼬마물벌레 ○
Family Notonectidae 송장헤엄치게과
Notonecta triguttata 송장헤엄치게 ○
Family Belostomatidae 물장군과
Appasus japonicus 물자라 ○ ○
Family Nepidae 장구애비과
Ranatra chinensis 게아재비 ○ ○
Family Gerridae 소금쟁이과
Aquaris paludum 소금쟁이 ○ ○
Gerris latiabdominis 애소금쟁이 ○ ○
Metrocoris histrio 광대소금쟁이 ○ ○ 분
Order Megaloptera 뱀잠자리목 Family Sialidae 좀뱀잠자리과
Sialis longidens 가는좀뱀잠자리 ○
Family Corydalidae 뱀잠자리과
Protohermes xanthodes노란뱀잠자리 ○
Neochauliodes formosanus 얼룩뱀잠자리 ○ ○
Parachauliodes asahinai 뱀잠자리붙이 ○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Haliplidae 물진드기과
Peltodytes sinensis 중국물진드기 ○
Family Dytiscidae 물방개과
Oreodytess narix 노랑무늬물방개 ○
Ilybius apicalis 모래무지물방개 ○
Rhantus suturalis 애기물방개 ○
Noterus japonicus 자색물방개 ○
Graphoderus adamsii 아담스물방개 ○ 국,분
Platambus ussuriensis 산수콩알물방개 ○
Hydaticus bowringi 줄무늬물방개 ○
Laccophilus difficilis 깨알물방개 ○
Family Gryinidae 물맴이과
Gyrinus gestroi 참물맴이 ○ 국,분
Gyrinus japonicus 물맴이 ○
Family Hydrophilidae 물땡땡이과
Hydrophilus accuminatus 물땡땡이 ○ ○
Laccobius bedeli점물땡땡이 ○
Berosus lewisius 뒷가시물땡땡이 ○
Agraphydrus narusei 주왕물땡땡이 ○ ○
Family Scirtidae 알꽃벼룩과
Scirtes japonicus 알꽃벼룩 ○
Scirtes sp. 알꽃벼룩류 ○ ○
Family Elmidae 여울벌레과
Optioservus gapyeongensis 무늬여울벌레 ○ ○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 국명 1985-2015 2017 Remark
Stenelmis vulgaris 긴다리여울벌레 ○
Stenelmis nipponica 곰보긴다리여울벌레 ○
Stenelmis sp. 긴다리여울벌레류 ○
Family Psephenidae 물삿갓벌레과
Mataeopsephus japonicus 물삿갓벌레 ○
Eubrianax ramicornis 둥근물삿갓벌레 ○ ○
Family Lamphyridae 반딧불이과
Luciola lateralis 애반딧불이 ○ ○ 국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Tipulidae 각다귀과
Nephrotoma virgata 황각다귀 ○
Tipula latemarginata 애아이노각다귀 ○ ○
Tipula coquilletti 잠자리각다귀 ○
Tipula nova 애잠자리각다귀 ○
Tipula sp. 각다귀류 ○
Tipula KUa 각다귀 KUa ○ ○
Pedicia KUa 장수각다귀 KUa ○
Hexatoma KUa 검정날개각다귀 KUa ○ ○
Hexatoma KUb 검정날개각다귀 KUb ○
Hexatoma KUc 검정날개각다귀 KUc ○
Antocha KUa 명주각다귀 KUa ○ ○
Dicranomyia KUa 무늬애기각다귀 KUa ○
Dicranota KUa 애기각다귀 KUa ○
Tipulidae sp. 각다귀류 ○
Family Psychodidae 나방파리과
Psychoda KUa 나방파리 KUa ○
Family Dixidae 애모기과
Dixa sp. 별모기류 ○ ○
Family Simuliidae 먹파리과
Simulium sp. 먹파리류 ○ ○
Family Ceratopogonidae 등에모기과
Ceratopogonidae sp. 등에모기류 ○
Family Chironomidae 깔따구과
Chironomus plumosus 장수깔따구 ○
Chironomidae spp. 깔따구류 ○ ○
Family Blepharoceridae 멧모기과
Philorus KUa 멧모기 KUa ○ ○
Family Athericidae 개울등에과
Atheris KUa 개울등에 KUa ○ ○
Suragina KUa 긴개울등에 KUa ○
Suragina KUb 긴개울등에 KUb ○
Family Stratiomyiidae 동애등에과
Stratiomyia KUa 줄동애등에 KUa ○
Family Dolichopodidae 장다리파리과
Dolichopodidae sp. 장다리파리류 ○
Family Tabanidae 등에과
Tabanus kinoshitai 여린황등에 ○
Family Syrphidae 꽃등에과
Eristalis KUa 흰줄꽃등에 KUa ○
Family Culicidae 모기과
Culex sp. 집모기류 ○
Order Trichoptera 날도래목 Family Stenopsychidae 각날도래과
Stenopsyche marmorata 멋쟁이각날도래 ○
Stenopsyche bergeri 연날개수염치레각날도래 ○ 국
Stenopsyche griseipennis 수염치레각날도래 ○ ○
Family Philopotamidae 입술날도래과
Dolophilodes sp. 넓은입술날도래류 ○ ○
Wormaldia KUa 입술날도래 KUa ○ ○
Family Polycentropodidae 깃날도래과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 국명 1985-2015 2017 Remark
Plectrocnemia KUa 깃날도래 KUa ○ ○ Family Hydropsychidae 줄날도래과
Hydropsyche kozhantschikovi 줄날도래 ○ ○
Hydropsyche orientalis 동양줄날도래 ○ ○
Hydropsyche valvata 흰점줄날도래 ○
Cheumatopsyche brevilineata 꼬마줄날도래 ○ ○
Cheumatopsyche albofasciata 흰띠꼬마줄날도래 ○
Cheumatopsyche infascia 물결꼬마줄날도래 ○
Cheumatopsyche KUa 꼬마줄날도래 KUa ○
Cheumatopsyche KUb 꼬마줄날도래 KUb ○
Macrostemum radiatum 큰줄날도래 ○
Diplectrona KUa 골줄날도래 KUa ○ ○
Family Rhyacophilidae 물날도래과
Rhyacophila brevicephala 넓은머리물날도래 ○ ○
Rhyacophila bilobata 두잎물날도래 ○ 분
Rhyacophila clemens 클라멘스물날도래 ○
Rhyacophila kuramana 계곡물날도래 ○ ○ 분
Rhyacophila nigrocephala 검은머리물날도래 ○ ○
Rhyacophila shikotsuensis 민무늬물날도래 ○ ○
Rhyacophila articulata 주름물날도래 ○
Rhyacophila narvae 무늬물날도래 ○
Rhyacophila retracta 용수물날도래 ○
Rhyacophila sibirica 시베리아물날도래 ○
Rhyacophila yamanakensis 곤봉물날도래 ○ 분
Rhyacophila KUa 물날도래 KUa ○ ○
Rhyacophila KUb날도래 KUb ○
Family Hydrobiosidae 긴발톱물날도래과
Apsilochorema KUa 긴발톱물날도래 KUa ○ ○
Family Glossosomatidae 광택날도래과
Agapetus KUa 큰광택날도래 KUa ○ 국
Glossosoma KUa 광택날도래 KUa ○ ○
Family Hydroptilidaed 애날도래과
Hydroptila KUa 애날도래 KUa ○
Family Phryganopsychidae 둥근날개날도래과
Phryganopsyche latipennis 둥근날개날도래 ○ ○ 국
Family Brachycentridae 둥근얼굴날도래과
Micrasema hanasense 둥근얼굴날도래 ○ ○
Family Limnephilidae 우묵날도래과
Hydatophylax nigrovittatus 띠무늬우묵날도래 ○ ○
Hydatophylax formosus 우리큰우묵날도래 ○
Limnephilus orientalis 동양모시우묵날도래 ○
Nemotaulius admorsus 우묵날도래 ○
Nothopsyche KUa 갈색우묵날도래 KUa ○ ○ 국
Family Goeridae 가시날도래과
Goera japonica 일본가시날도래 ○ ○
Goera parvula 그물가시날도래 ○
Family Uenoidae 가시우묵날도래과
Neophylax ussuriensis 가시우묵날도래 ○ ○
Family Apataniidae 애우묵날도래과
Apatania maritima 큰애우묵날도래 ○
Apatania KUa 애우묵날도래 KUa ○ 국
Apatania KUb 애우묵날도래 KUb ○ 국
Family Lepidostomatidae 네모집날도래과
Lepidostoma elongatum 흰점네모집날도래 ○
Lepidostoma KUa 네모집날도래 KUa ○ 국
Lepidostoma KUb 네모집날도래 KUb ○ ○ 국
Family Sericostomatidae 털날도래과
Gumaga KUa 털날도래 KUa ○
Family Odontoceridae 바수염날도래과
Psilotreta locumtenens 수염치레날도래 ○ ○ 국,고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 국명 1985-2015 2017 Remark
Family Molannidae 날개날도래과
Molanna moesta 날개날도래 ○ ○
Family Calamoceratidae 채다리날도래
Anisocentropus minutus 채다리날도래 ○
Calamoceratidae sp. 채다리날도래류 ○
Family Leptoceridae 나비날도래
Mystacides azurea 청나비날도래 ○
Mystacides KUa 청나비날도래 KUa ○ ○ 국
Ceraclea KUb 나비날도래 KUb ○ ○ 국
Ceraclea KUc 나비날도래 KUc ○ 국
*국: 국외반출승인대상종, 고: 한국고유종, 분: 분포특이종, 기: 기후변화생물지표종 Appendix 1. Continued.
Scientific Name 국명 1985-2015 2017 Re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