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2023년 천연가스 수요 및 LNG 수입 전망
해외에너지정책분석팀 김나연 전문원([email protected])
▶ 2022년에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고에너지 가격 상황에서 중국 가스기업들은 해외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 기 위해 해외 수입을 줄이고, 자국 내 에너지 생산과 석탄 사용을 증대시켰음. Covid-19 봉쇄, 경제성장세 둔화, 석탄소비 증가,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 등으로 인해 중국 천연가스 소비와 수입은 크게 감소하였음.
▶ 2022/23년 겨울철 난방시즌에 천연가스 생산 및 저장을 증대시켜 공급과 가격을 안정화시켰음. 주요 가스 공급기업의 PNG 평균 가격은 2~3위안/㎥이었으며, 일부 피크시간대 가스 가격도 국제 시장가격보다 낮은 4~5위안/㎥으로 규제함.
▶ 중·러 동부노선, 서기동수 4라인, 천기동수 2라인 등 중국 내 수입용 및 내수용 파이프라인 수송망을 확충 하였고, 가스저장용량과 LNG도입터미널 설비용량도 증대시켰음. 지하저장고는 2021년 말 기준 20개 지역 에서 운영 중이며, LNG터미널은 2022년 10월 12일 기준 총 24기가 가동 중임.
▶ 2023년에 천연가스 수요의 경우, 중국석유·화학연맹은 2022년에 비해 5% 증가, IEA(2023)와 IHS(2023)는 7%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했음. 2023년에 중국 경제의 성장세 회복에도 불구하고 자국 내에 부동산 시장 침체, 수출수요 약세, 고유가에 따른 석탄 및 재생에너지 공급 증가 등이 천연가스 수요에 영향을 미칠 것 으로 분석했음.
▶ 2023년에 중국의 LNG 수입의 경우, IHS는 2022년에 비해 추가적으로 약 500만톤(증가율 9.5%), Bloomberg는 약 712만톤(증가율 11.3%)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음. 중국내 가스생산 증가와 러시아 PNG공 급 증가가 중국 LNG수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음.
1. 1. 2022년 중국 천연가스 수급 실적
▣
중국 내 천연가스 생산 및 저장 증대¡중국 정부와 석유・가스 기업들은 2022년에 높은 불확실성을 보인 글로벌 정세 속에서 천연가스 공급 안정을 위해 자국 내 가스 생산 및 저장 증대를 위해 노력했음.1)
‒ 2022년에 전세계적으로 공급망 위기와 고유가 상황으로 에너지 공급 안정을 위해
해외 석유・천연가스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노력들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고, 중국도 자국 에너지 생산과 자국 내 저렴하고 풍부한 석탄 사용을 증대시켰음.
‒ 에너지 공급 위기 상황에서 석탄에서 가스로의 연료 대체가 정부의 최우선적인 정책으로 될 수 없었음.
⦁2017년부터 중국 정부는 대기오염 문제 해결과 기후변화 대응 차원에서 강력 하게 석탄에서 가스로의 연료전환 정책을 추진했었음. 그러나 그동안 가스 수요는 산업생산 증가세 둔화, 정부의 대규모 중앙집중식 청정석탄(clean coal) 보일러 및 석탄기반 열병합발전소(CHP) 도입 정책 등으로 비교적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해 왔음.
1) 中能傳媒研究院, 2023.1.30.
“2022년 글로벌 에너지 공급 위기 상황에서 중국 내 가스 생산 증가, 가스 소비 및 수입 감소”
¡중국 국가통계국 통계에 따르면, 2022년에 실제 천연가스 생산량은 217.8Bcm으로
‘탐사·개발 및 생산 확대 7년 행동계획’ 및 ‘5개년 에너지정책’의 생산량 목표치 (2022년에 214Bcm)를 초과 달성했으며, 매년 천연가스 생산 증가량이 6년 연속 10Bcm을 넘어섬.
‒ ‘14.5(2021~2025년) 기간의 5개년 에너지 정책에서 2025년까지 천연가스 연간 생산량을 230Bcm 이상, 저장능력을 55~60Bcm, 1차에너지 소비에서 천연가스 소비 비중을 약 13%, 그리고 탄층가스 이용률을 6Bcm까지 각각 증대시키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음.2)
※ 국가에너지국(NEA)은 석유·가스 기업의 탐사·개발 및 생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2019년에 ‘탐사·개발 및 생산 확대 7년 행동계획’을 제정함. PetroChina, CNOOC 등은 관련 행동계획을 수립하여 탐사·개발 및 생산을 확대해 옴.
¡(자국 내 탐사·개발 확대) 2022년에 심층 및 심해 지역으로의 육상 및 해상 탐사· 개발 활동이 활발히 추진되었음.
‒ (심층지역) 2022년 6월 중국 육상 가스전으로는 최대 깊이(9,010m)인 시난 석유· 가스전 개발, 7월 타리무분지에 위치한 중국 최대 심층 응축가스전 개발
‒ (심해지역) 5월 남해 동부해역에서 중국 최초의 심해 가스전에서 천연가스 채굴 및 수송량 50Bcm 달성
* 연간 매출액 2,000만 위안 이상 기업
자료: 中國政府網(2023.1.17.), 2022年12月份能源生產情況(중국 국가통계국 통계)
< 중국 기업의* 천연가스 생산량 변화 추이(2021.12월~2022.12월) >
(단위: 억m3/일, %)
¡(천연가스 공급 및 가격 안정) 중국의 주요 석유가스기업인 PetroChina, Sinopec, CNOOC 등은 가스 생산 및 저장을 증대시켜 2022/23년 겨울철 난방시즌에 천연 가스 공급과 가격을 안정화시키려 했음.
2) 인사이트, 제22-7호, 2022.4.11., pp.25~36.
“2022년 중국 탐사·개발 확대 및 천연가스 공급 및 가격 안정화에 노력”
‒ (PetroChina) 창칭 석유・가스전의 5대 가스전 천연가스 일일 생산량 0.14Bcm 이상 으로 확대, 시난 석유・가스전 일일 최대 생산량 0.11Bcm 이상으로 확대
‒ (Sinopec) 시난 석유・가스전에서의 일일 생산량 0.26Bcm으로 사상 최고치 기록, 2022년 11월 20일 기준 푸광 가스전 생산량은 약 7.4Bcm 기록
‒ (CNOOC) 2022/23년 난방시즌에 해상 가스전에서의 총 생산량은 전년동기 대비 4.4% 증가한 8Bcm, 육상 가스전에서 총 생산량은 6% 증가한 1.8Bcm 기록
‒ (PipeChina) 가스저장고에 총 16Bcm을 주입하여 겨울철 난방시즌에 대비함. 난방시즌인 2022년 12월 5일 기준 PipeChina 관할의 11개 가스저장고에서의 일일 수송량이 0.14Bcm에 달하여 북부지역 난방 수요를 충족
‒ 국제 에너지 가격이 고공행진을 하는 상황에서 중국 국영기업들은 자국산 가스, 수입산 PNG 및 LNG 장기 수입계약 등으로 가격 안정화에 나섬.
⦁주요 가스 공급기업의 PNG 평균 가격은 2~3위안/㎥이었으며, 일부 피크시간대 가스 가격도 국제 시장가격보다 훨씬 낮은 4~5위안/㎥으로 규제되었음.
¡한편, 중국의 LNG 수입가격은 2022년에 빠르게 상승했는데, 10월에 $18.69/
MMBtu를 기록해서 과거 최고치를 보인 2021년 12월에 18.88MMBtu에 거의 육박했음.
‒ 2000년대 초반에 중국 CNOOC은 낮은 가격으로 수입계약을 체결했고, 이로 인해 중국은 다른 아시아국가들보다 낮은 가격으로 LNG를 수입할 수 있었음.
‒ 그러나 장기계약 물량이 증가하고, 카타르와 호주와 높은 가격으로 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2016년 6월부터 2018년 12월 동안 평균적으로 높은 가격으로 LNG를 수입 하게 되었음. 2017~2018년에 높은 가격에 의한 현물 LNG수입이 전체적으로
LNG수입비용을 높이는데 일조했음.
‒ 2019년-2020년에 낮은 현물가격은 반대로 LNG 평균 수입가격을 크게 하락시켰고, 이후 러-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수입가격은 크게 증가하게 되었음.
자료: S&P Global Commodity Insights
< 중국의 LNG평균 수입가격 변화 추이(2018.1월~2022.10월) >
(단위: $/MMBtu, 월)
“중국 LNG 수입 가격은 2021년 들어 빠른 상승세를 보였고, 2022.10월에
$18.69/MMBtu 기록”
¡(해외자원 개발 확대) 중국 PetroChina, CNOOC 등이 해외 석유·가스 프로젝트 에서 외국과의 협력을 확대함.
‒ 2022년 4월 30일 PetroChina와 CNOOC가 공동으로 개발에 참여한 브라질 Libra 프로젝트에서 부유식 천연가스 생산·액화·저장 설비(FPSO)인 Guanabara호의 상업가동을 성공적으로 마침. 생산능력은 연간 900만 톤에 달하며, 양사는 동 프로젝트에 10%의 지분을 각각 보유함.
‒ 2022년 11월 10일 PetroChina와 브라질 국가석유공사가 브라질 산토스 분지 Aram Block의 첫 번째 가스정 탐사를 성공함. PetroChina는 Aram Block의 지분 20%를 보유함.
‒ 2022년 2월 14일 CNOOC가 남미 가이아나의 스타브루크(Stabroek) 광구의
Liza-2 프로젝트 상업가동을 예정보다 앞당겨 들어갔다고 밝힘. CNOOC는
동 프로젝트에 2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5년에 일일 80만 배럴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됨.
‒ 2022년 12월 1일 CNOOC는 19억 1,300만 달러로 세계 최대 심해유전인 브라질 부지오스(Búzios) 프로젝트의 5% 지분을 획득함. CNOOC는 2019년에도 동 프로젝트의 지분 5%를 획득하여 총 10%의 지분을 보유하게 됨.
▣
중국의 천연가스 수요 및 수입 감소¡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 통계에 의하면,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와 국제 천연가스 가격 급등 등의 영향으로 2022년 중국 천연가스 수요가 전년대비 1.7% 감소한 366.3Bcm을 기록하면서 약 20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하였음.3)
‒ 2022년 중국 총에너지 수요에서 천연가스 비중이 전년대비 0.4% 감소한 반면,
석탄은 전년대비 0.2%, 비화석에너지는 0.8% 각각 증가하였음.
¡또한 중국 해관총서 통계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천연가스 수입량은 1억 925만 톤으로 9.9% 감소했으며, 수입액은 약 700억 1,900만 달러로 국제가격 급등으로 전년대비 25.7% 증가함.4)
‒ 2022년 천연가스 수요는 코로나19 영향과 높은 수입가격으로 전년대비 감소
하였으며, 수입 대외의존도는 2018년 45.3%에서 2022년 41% 미만으로 감소함.5)
‒ 2022년 중국 LNG 수입량은 6,344만 톤으로 전년대비 19.5% 감소함. PNG 수입량은 전년대비 7.96% 증가한 64.1Bcm(약 4,581만 톤)을 기록함.6)
3) 界面新聞, 2023.2.18.
4) 前瞻數據庫, 2023.3.3.
5) 騰訊網, 2023.3.14.
6) 新浪財經, 2023.3.10.
“중국 기업의 해외에서
가스자원 개발 및 외국기업과의 협력 확대”
‒ 2022년 1~10월 기준 PNG 주요 수입국은 투르크메니스탄, 러시아, 미얀마,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순임.
‒ 2022년 1~11월 중국의 LNG 주요 수입국은 호주(35%), 카타르(24%), 러시아(10%) 등임.
자료: 前瞻數據庫(2023.3.3.), 2022年1~12月中國天然氣行業產量規模及進口數據 統計 全年中國天然氣進口量突破1億噸(중국 해관총서 통계)
< 중국의 천연가스(PNG, LNG) 수입 변화 추이(2016년~2022년) >
(단위: 만 톤, %)
¡2022년에는 신규 PNG 수입 계약 및 LNG 장기계약 확대 등으로 수입원이 다원화됨.
‒ 2월 4일, 중국 CNPC와 러시아 Gazprom은 현재 가동 중인 동부노선을 통해서 연간 10Bcm의 PNG를 중국에 추가로 공급하는 장기계약을 체결함.
‒ 11월 21일 중국 석유·가스 국유기업인 Sinopec이 카타르의 국영기업인 QE(Qatar Energy)와 27년간의 LNG 장기매매계약을 체결함.
⦁Sinopec은 동 계약으로 카타르 북부가스전(North Field) 확장프로젝트인 NFE에서 매년 400만 톤의 LNG를 공급받게 됨.
※ 북부가스전은 카타르와 이란(South Pars)이 공유하고 있는 세계 최대의 가스전임.
카타르는 북부가스전 연간 LNG 생산규모를 7,700만 톤에서 1억 2,600만 톤으로 증산하는 확장프로젝트를 2단계로 나눠 추진하고 있음. 1단계는 LNG 트레인 4개를 증설하는 NFE(North Field East)이며, 2단계는 LNG트레인 2개를 증설하는 NFS(North Field South)임.
‒ Sinopec 이외에도 다수의 중국기업들은 글로벌 에너지가격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LNG 구매전략을 조정하여 LNG 장기계약 체결을 늘림.
⦁2022년 1월 중국 신아오그룹은 러시아 민간 가스기업 Novatek와 The Arctic LNG-2에서 생산한 LNG를 11년간 연간 60만 톤을 공급받는 장기계약을 체결 하였음. 또한 중국 저넝그룹은 Novatek와 The Arctic LNG-2에서 생산한 LNG를 15년간 연간 100만 톤을 공급받는 장기계약을 체결하였음.
⦁2022년 7월 중국가스주식유한회사와 광둥에너지그룹은 미국 LNG프로젝트 개발기업인 NextDecade와 20년 장기계약을 잇따라 체결했는데, 공급량은 2개 기업 모두 각각 100만 톤임.
¡한편, 중국의 3대 국영 석유・가스기업이 가스산업을 지배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 정부는 2013년에 Jovo Group, Guanghui, ENN 등의 민간 가스기업들도 독자적 으로 LNG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자체 LNG도입터미널을 건설・운영할 수 있게 허용했음.
¡또한, 송유관과 가스관의 소유・운영을 전담하는 국영 PipeChina가 2019년 말에 설립되었고, 현재 기존 국영 석유・가스기업들이 소유하고 있는 파이프라인을 포함한 중류부문 자산을 PipeChina에 이전하는 작업이 추진 중임. 그리고 신규 가스 사업자의 수송망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을 보장하는 행정 조치들이 마련되고 있음.
2. 2. 중국의 천연가스 수송인프라 확충
¡(파이프라인 수송망) 중·러 동부노선, 서기동수 4라인 등 중국 내 수입용 및 내 수용 파이프라인 수송망을 확충함.
‒ (러시아 PNG 수입용 동부노선) 2022년 9월 16일, 중·러 동부노선의 남부구간 주요 부분인 허베이省 안핑~산둥省 친안 구간의 상업 가동이 개시되면서 환보 하이지역의 에너지 공급 능력이 증대됨.
⦁2022년 12월 7일, 산둥省 친안~장쑤省 타이싱 구간이 상업가동에 들어가면서 북부에서 남부로 이어지는 중·러 동부노선과 서부에서 동부로 이어지는 서기동수(西氣東輸: 서쪽 가스를 동쪽으로 수송) 가스관이 장쑤省 타이싱에서 연계되어 장강 삼각주 지역으로 러시아 극동 및 시베리아지역의 천연가스가 공급되게 됨.
※ 중국 CNPC와 러시아 Gazprom이 ‘중-러 동부노선 국제가스수송관 설계・건설에 관한 협정’을 체결한 후 러시아 구간은 2014년, 중국 구간은 2015년에 각각 착공함.
러시아는 자국 구간을 Sila Sibiri(Power of Siberia)-1으로, 중국은 ‘동부노선’
으로 각각 명명함. 중국은 동부노선으로 러시아 극동지역 가스전에서 총 1Tcm의 천연가스를 30년간 공급받기로 함.
⦁중·러 동부노선은 북부, 중부, 남부 구간으로 나뉘는데, 이 중 북부와 중부 구간은 모두 상업가동 중임. 남부 구간 중에서 상하이까지의 구간은 2025년에 완공 예정임.7)
‒ (자국 내 노선) 서기동수 4라인과 천기동송 1라인 승압시설 및 2라인의 착공
7) 現代煤化工, 2023.2.23.
“2022년 러시아 PNG수입용 동부노선의 중국내 남부구간 상업가동 개시로 환보하이 지역 가스 공급 증대”
⦁(서기동수) 2022년 9월 28일에 서기동수 4라인을 공식 착공함. 4라인 완공 후에 서기동수 2라인 및 3라인과 연계 운영할 예정이며, 서기동수 연간 수송량이 약 100Bcm에 달할 전망임.
⦁(천기동송) 2022년 11월 8일 천기동송(川氣東送: 쓰촨의 가스를 동쪽으로 수송) 승압시설 공사를 완료하여 연간 수송능력을 17Bcm으로 증대시킴. 최근 천기동송 가스관 연계 및 개조 작업을 추진하여 푸광 가스전, 푸링셰인 가스전 등의 공급원을 새롭게 확보함. 2022년 10월에 천기동송 2라인이 건설 허가받아서 12월에착공에 들어감.
⦁동년 11월 18일 동북지역 최대의 천연가스 수송허브에 가스설비를 확충하여, 일일 천연가스 수송능력을 약 0.1Bcm으로 증대하였으며, 동북지역의 가스 부하 조정능력이 제고됨.
< 중국 PNG 수입 노선 현황 >
수입대상국 노선명 연간 수송량
(Bcm) 상태 가동 일시
러시아
동부노선(Power of Siberia-1) 38 가동 2019 서부노선(Power of Siberia-2) 50 계획 2030
Power of Siberia-3 10 건설 중 2026
미얀마 중국-미얀마 12 가동 중 2013
중앙아시아
A 15 가동 2009
B 15 가동 2010
C 25 가동 2014
D 30 건설 중 2026
자료: 全國能源信息平台(2022.10.27.), 中國管道氣進口是否會進入新的黃金時期?
< 중국 서기동수·천기동송 가스관 >
구분 총 연장
(km) 상업가동 수송능력
(Bcm) 기점 및 종점
서기동수
1라인 4,200 2004.
10월 17 신장 타림분지의 룬난 가스전~상하이 서기동수
2라인 4,918 2012.
12월 30
신장 훠얼궈쓰~상하이, 홍콩 (투르크메니스탄,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파이프라인과 연계) 서기동수
3라인 5,220 2015 30
신장 훠얼궈쓰~푸젠 푸저우
(투르크메니스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앙시아 파이프라인과 연계) 서기동수
4라인 3,340 2024
(1단계)
15
(1단계) 신장 우차~닝샤 중웨이
천기동송
1라인 2,170 2010 17 쓰촨분지~상하이
천기동송
2라인 1,575 2024 20 쓰촨분지~후베이
자료: 個人圖書館(2022.7.25.), 我國主要天然氣長輸管線分布情況, 佳文馨怡(2022.12.14.), 川氣東送二線天然氣管道工程川渝鄂段穿越施工 등 내용을 재구성
“2022년에 중국 송유관·가스관 총연장 18만km으로 10년 전보다 2배 증가”
‒ (총 연장) 중국은 송유관·가스관의 전국단위 연계를 추진하고 있는데, 현재는 총 연장이 10년 전보다 2배 늘어난 18만km 이상을 기록함. 2025년에는 ‘14.5 에너지 5개년 계획에 따라 약 21만 km로 늘어날 전망임.
¡(저장 설비) 2022년에 지하저장고, LNG터미널 등 저장설비를 크게 확충했음.
‒ (지하저장고) 2022년 6월 23일 PipeChina가 중위안 원23저장고 2단계 건설을 추진 하여, 중국의 총 가스 저장용량은 12.234Bcm, 운영 가스량은 4.735Bcm으로 늘어남.
※ 중국은 1999년부터 지하저장고를 건설해왔으며, 현재는 도입기를 지나 성장기에 들어섬.8)
‒ 2022년 5월 23일 PetroChina의 랴오허 가스저장고 단지의 가스 주입능력이 일일 0.03Bcm으로 늘어나 가스 주입능력 측면에서 중국 내 최대 규모의 가스저장단지가됨. 6월 28일, 창칭유전의 쑤둥39-61 가스저장고 가동을 개시
‒ 6월 8일 Sinopec이 중국 내 최대 깊이의 암염동굴 가스저장고를 정식 가동
< 중국 지하저장고(단지) 현황(2021년) >
가스저장고 위치 용량(Bcm) 운영가스량(Bcm) 운영社 다칭 저장단지 헤이룽장
다칭 0.43 0.27
PetroChina 랴오허 솽6 랴오닝 판진 5.52 3.00
랴오허 레이61 랴오닝 판진 0.53 0.34 솽퉈쯔 지린 쑹위안 1.12 0.51 화베이 쑤차오 허베이 융칭 6.70 2.30 다강 반난 톈진 빈하이 0.78 0.43 창칭 산224
산시 징볜
1.04 0.50
창칭 쑤둥39-61 1.92 0.80
창칭 위37 0.60 0.27
신장 후투비 신장 후투비 11.70 4.50 시난 샹궈쓰 충칭 위베이 4.30 2.30 중위안 원96 허난 푸양 0.59 0.30
Sinopec 장쑤 진탄 장쑤 진탄 1.18 0.72
장한 황양 후베이 첸장 0.23 0.14 다강 저장단지 톈진 다강 6.90 3.04
PipeChina 화베이
저장단지 허베이 융칭 1.87 0.75 장쑤 진탄 장쑤 진탄 2.60 1.71 장쑤 류야 장쑤 류야 0.46 0.25 중위안 원23 허난 푸양 8.43 3.27
진탄 장쑤 진탄 1.20 0.70 강화가스저장유한회사 자료: 華經情報網(2022.5.24.), 2021年全球及中國地下儲氣庫數量分布情況及建設現
狀分析
¡가스저장설비를 건설하는 것은 가스산업 성장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임.
‒ 중국은 2018년부터 천연가스 생산·공급·저장·판매 시스템 구축을 가속화하여 가스저장 규모가 과거 3년 동안 2배 증가함.
8) 上海石油天然氣交易中心, 2021.10.2.
“PipeChina 주도로 가스 저장설비 확충 사업이 활발히 추진”
‒ 2025년 말에는 중국 천연가스 저장능력이 2021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임.
¡(LNG 저장탱크) 2022년 10월 12일 기준 중국 내 LNG터미널은 총 24기에 달하였으며, 기업별 LNG터미널 처리능력이 증대됨.9)
‒ PetroChina 장쑤 LNG터미널의 2022년 누적 하역량이 570만 톤으로 증대
‒ Sinopec의 톈진 LNG터미널 2단계 공사 추진, 2022년 말에 칭다오 LNG터미널에 2번째 선석을 설치하면서 연간 처리능력이 700만 톤에서 1,100만 톤으로 증대
‒ CNOOC 옌천 그린에너지항 1단계 공사에서 총 10기의 대형 LNG저장탱크를
건설하였으며, 이 중 4기는 2022년 9월 26일에 상업가동에 들어감. 향후에 10기가 모두 완공되면 LNG터미널 처리능력은 연간 600만 톤에 달할 예정임.
⦁옌청 그린에너지항 및 주하이 LNG터미널 2단계 공사를 적극 추진 중임.
LNG 터미널 연간 처리능력(만 톤) 저장탱크(만 ㎥) 운영社 운영 개시
톈진 600 36.5
PipeChina
2014
하이난 양푸 300 32 2014
광시 베이하이 600 64 2016
웨둥 후이라이 200 48 2017
선전 뎨푸 400 64 2018
광시 팡청항 60 6 2019
랴오닝 다롄 600 48 2009
장쑤 루둥 1,000 108
PetroChina
2011
허베이 차오페이뎬 650 128 2013
중유 선난 27 4 2014
산둥 칭다오 700* 96
Sinopec 2014
톈진 1,080 64 2018
광둥 다펑 680 64
CNOOC
2006
푸젠 푸톈 630 96 2008
저장 닝보 700 96 2012
주하이 진완 350 64 2013
옌청 그린에너지항 300 88 2022
신아오 저우산 500 64 신아오 2018
선전 화안 80 8 선전가스 2019
상하이 양산 600 89.5 선넝/CNOOC 2009
상하이 우하오거우 150 32 선넝 2000
지우펑 150 16 지우펑 2012
광후이 치둥 500 62 광후이 2018
항자신 100 20 자싱가스/
항저우가스 2022
* 2022년 말에 2번째 선석 추가로 처리능력이 700만 톤에서 1,100만 톤으로 증대된 것은 포함되지 않았음.
자료: 氣體網(2022.10.28.) 2022年底,我國建成投產的LNG接收站將達26座 등 내용을 재구성
< 중국 내 운영 중인 LNG 터미널 현황(2022년 10월 12일 기준) >
9) 氣體網, 2022.10.28.
“2022년 10월 12일 기준 중국 내 LNG터미널이 총 24기 가동 ”
3. 3. 중국의 2023년 천연가스 수요 및 LNG 수입 전망
▣
중국 주요 기관의 전망¡(NDRC)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2030년에 중국 천연가스 수요가 450~500Bcm에 달하여 중국 총에너지 수요에서 약 15%를 차지할 것이라고 발표함.10)
¡(CPCIF) 중국석유·화학연맹(China Petroleum and Chemical Industry Federation, CPCIF)은 2023년 천연가스 수요가 점차 회복되어 전년 대비 5%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11)
‒ 2022년 천연가스 수요는 Covid-19의 영향과 높은 수입가격으로 전년 대비 줄어
들었지만, 2023년에는 중국 경제회복 및 탄소피크·탄소중립 목표, 청정난방으로의 전환, 에너지 총 소비량· 에너지원단위 규제 등 정책 지속으로 천연가스 수요가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함.
‒ CPCIF는 글로벌 천연가스 가격 급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지만, 중국 저탄소녹색
에너지시스템 구축에서 천연가스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에 수요는 향후 에도 지속 증가할 것이며, 2035~2040년에는 중국 천연가스 수요가 600Bcm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함.
¡(스촹에너지) 중국 자문기관 스촹에너지는 2023년 중국 GDP 성장률이 약 5%, 글로벌 국제 유가가 배럴당 80~90달러, 그리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천연 가스 수요도 회복될 것으로 전망함.12)
¡(Sinopec) 중국 Sinopec 경제기술연구원의 ‘중국 에너지 전망 2060’에 따르면 2040년 천연가스 수요는 615.5Bcm으로 피크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함.
▣
해외 주요 에너지 기관의 전망¡(IEA)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3년 ‘천연가스시장 분기 보고서’를 통해 2023년에 중국의 천연가스 수요는 불확실하지만, 천연가스 도입 비용이 감소하고 중국 경제가 급성장한다면, 2023년 중국의 LNG 수입량은 최대 35% 늘어날 것으로 전망함.13)
‒ 그러나 중국의 천연가스 수요 불확실성을 반영한다면 2023년 LNG 순수입량 최저치와 최고치는 40Bcm 정도 차이가 날 것이며, 2023년 중국 천연가스 수요는 2022년 대비 약 7% 반등할 것으로 전망함.
10) 氣體網, 2022.10.28.
11) 인사이트, 제23-4호, 2023.2.27., pp.47~48.
12) 界面新聞, 2023.2.18.
13) 巴中在線, 2023.3.1.
“중국 CPCIF은 2023년 중국 천연가스 수요 전년 대비 5%
증가 전망”
“IEA는 2023년 중국 천연가스 수요 증가율을 7%로 전망
¡(IHS) IHS Markit 자료에 의하면, 2023년에 중국 경제의 성장세 회복에도 불구 하고 자국 내에 부동산 시장 침체, 수출수요 약세, 고유가에 따른 석탄 및 재생 에너지 공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중국의 천연가스 수요 증가율은 7%로 전망됨.
‒ 2022년에 중국은 국제시장에서 LNG 수입을 전년대비 약 1,600만 톤 줄여서 유럽이 LNG을 크게 증대시키는데 일조했음. 2022년에 중국의 가스 수요는 전년대비 1.7% 감소, 자국 내 생산은 6% 증가, PNG 수입은 8% 증가를 기록했음.
‒ 2023년에 LNG수입 증가량은 중국내 가스생산 증가와 러시아 PNG공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약 500만 톤(증가율 약 9.5%)으로 전망되는데, 대부분은 LNG 장기계약에 의해서 이루어질 것임.
⦁2023년에 국제 LNG현물가격은 중국 기업들이 현물 거래물량을 증대시키기 어려운 수준일 것임.
⦁Power of Siberia-1의 2022년에 중국 내 일부구간이 완공되어 이를 통한 러시아 PNG의 추가공급이 가능해졌음.
< 중국의 LNG 계약물량과 LNG 수요 전망(2050년) >
자료: S&P Global Commodity Insights
‒ 중・장기적으로 중국 정부의 도시의 대기오염 감소, 탄소배출 감축, 신규 가스전 개발, 가스수송망 확충 등을 위한 정책은 총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가스 비중을 높이는 역할을 할 것임.
⦁이에 따라 중국의 천연가스 수요는 2023~2025년 동안 연평균 약 20Bcm씩 증가 하고, 2026~2027년에는 연간 30Bcm씩 증가 전망
⦁2022~2026년 동안 중국 내 천연가스 생산은 연평균 5.2% 증가, LNG 수입은 동 기간에 연평균 4.7% 증가전망
⦁부문별로 보면, 향후에도 산업부문이 가스수요 증가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할 것이며, 주택(특히 도시 겨울철 난방) 및 발전 부문에서 가스 수요가 2026년 까지 빠르게 증가할 것임.
“IHS, 2023년 중국의 LNG 수입량이 전년 대비 약 500만톤 증가(전년대비 9.5%) 전망”
⦁운송부문에서는 향후 전기차의 빠른 보급, 석유제품과 천연가스 간 상대가격 차이 감소 등이 가스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
⦁향후에도 발전부문에서 가스화력발전은 피크부하용으로 사용될 것인데, 여름철 에어콘 사용 증가로 인해 2022년 8월에 피크수요가 859.4TWh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해서 이러한 추세는 계속 심화될 것으로 전망됨.
¡(Bloomberg) 중국의 2023년에 LNG 수입은 70.17백만 톤으로 전년 대비 11.3%
증가(약 712만 톤), 2024년에는 71.43백만 톤으로 전년 대비 1.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2022년에 LNG 수입은 63.05백만 톤(중국 해관총서 자료에 의하면 63.44 백만 톤), 2021년에 78.72백만 톤이었음.14)
‒ 2023년 하절기에 LNG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18.6% 증가한 33.58백만 톤, 2023/24년 동절기에 LNG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12.4% 증가한 36.66백만 톤 으로 전망됨.
‒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 변화로 산업부문을 중심으로 전 부문에서 천연가스 수요 증가가 예상되며, 이에 따라 LNG 수입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다만, 중국 기업들이 2022년에 높은 LNG 현물가격으로 인해 장기계약 물량을 크게 증가 시켰기 때문에 2023년에 현물 LNG에 대한 수입 수요는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됨.
‒ 발전부문에서 가스 수요는 가스화력 발전설비용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높은 가스 가격으로 인한 설비가동률 감소로 제한적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됨.
¡(BP) BP(2023)의 2050년 장기 전망자료에 의하면, 세계 천연가스 수요는 중・장기적 으로 각국의 에너지 전환 추진 속도에 크게 의존하는데, 중국을 비롯한 신흥 개도국의 천연가스 수요는 경제성장 및 산업화 과정에서 빠르게 증가하겠지만, 선진국의 천연가스 수요는 저탄소 에너지원으로의 전환 정책으로 감소할 것임.
‒ 중국의 LNG 수입은 2030년대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2050년까지 계속 감소할 것으로 전망
‒ 발전부문에서 가스화력 발전설비는 중국의 경우에 Accelerated, Net Zero 시나리오에서는 2050년까지 감소하지만, New Momentum 시나리오에서는 크게 확대되는 것으로 전망됨.
※ BP(2023) 전망에서, Accelerated 시나리오와 Net Zero 시나리오는 IPCC의 시나리오와 유사한데, 기본적으로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전제하에 Accelerated 시나리오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75%(2019년 대비), Net Zero 시나리오는 95%까지 감축함. New Momentum 시나리오는 러-우크라이나 사태와 미국의 IRA 등 최근의 정책변화에 의한 에너지 수급 상황과 탈탄소화 정책을 반영함.
14) BloombergNEF(2023.3.06.), Global LNG Summer Market Outlook 2023.
“Bloomberg는 2023년 중국의 LNG수입량이 전년대비 11.3%(약 712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
자료: BP(2023), bp Energy Outlook
< BP의 2050년까지 세계 및 중국의 시나리오별 LNG 수요 전망 >
(단위: Bcm)
자료: BP(2023), bp Energy Outlook
< 세계 및 중국의 시나리오별 전원별 발전량 전망(~2050년) >
(단위: TWh)
“BP는 중국의 천연가스 수요가 2030년대 정점을 이루고 이후에 계속 감소할 것으로 전망”
참고문헌
에너지경제연구원,「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22-7호, 2022.4.11.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23-4호, 2023.2.27.
上海石油天然氣交易中心, 中國儲氣庫業務發展前景及運營模式發展路徑探析, 2021.10.2.
華經情報網, 2021年全球及中國地下儲氣庫數量分布情況及建設現狀分析, 2022.5.24.
個人圖書館, 我國主要天然氣長輸管線分布情況, 2022.7.25.
全國能源信息平台, 中國管道氣進口是否會進入新的黃金時期?, 2022.10.27.
氣體網, 2022年底,我國建成投產的LNG接收站將達26座, 2022.10.28.
佳文馨怡, 川氣東送二線天然氣管道工程川渝鄂段穿越施工, 2022.12.14.
中國政府網, 2022年12月份能源生產情況, 2023.1.17.
中能傳媒研究院, 能源發展回顧與展望2022, 2023.1.30.
界面新聞, 中國天然氣消費量歷史首次下降,拐點到了嗎?, 2023.2.18.
現代煤化工, 2025年俄羅斯天然氣直通上海, 2023.2.23.
巴中在線, 國際能源署:中國天然氣總消費量2023年預計將反彈近7%, 2023.3.1.
前瞻數據庫, 2022年1-12月中國天然氣行業產量規模及進口數據統計 全年中國 天然氣進口量突破1億噸, 2023.3.3.
金融界, 守得雲開見月明 天然氣消費量下滑僅是「虛晃一槍」, 2023.3.10.
騰訊網, 中國天然氣發展形勢與展望, 2023.3.14.
BNEF, “Global LNG Summer Market Outlook 2023”, Mar. 6, 2023.
BP, bp Energy Outlook 2023, 2023.
IEA, Gas Mark Report Q4 2022, Oct 2022.
IHS, “LNG Market Profile: China (Mainland) LNG Market Profile”. Jan. 6, 2023.
IHS, “China Natural Gas Market Briefing: A recovery awaits, but double-digit growth may be a thing of the past”. Feb. 23, 2023.
IHS, “China’s LNG imports: Marginal supply in domestic market, key mover in global trade”, Mar. 2,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