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석탄산업의 2014년 실적과 2015년 전망
해외정보분석실 김정인([email protected])
▶ 중국은 1차에너지 소비에서 약 66%(2014년)을 석탄에 의존하고 있으며, 지난 개혁・개방 이후 약 30년간 국가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했음.
▶ 2014년에 석탄수요 감소 둔화, 공급과잉, 수입 증대 등의 영향으로 2014년 중국 석탄 재고량이 증가하고, 시장가격은 하락했으며, 이에 따라 석탄기업의 경영실적은 크게 악화되었음.
▶ 2014년 중국 석탄산업에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부정적 영향을 미쳤는데, 여기에는 경제성장세 둔화, 에너지소비구조 변화, 에너지 소비감소세, 과잉생산능력, 석탄수입 증대, 석탄기업의 낮은 생산성, 노동자 과잉 고용, 정부의 석탄소비 억제 정책 등이 주로 포함됨.
▶ 2014년 말 기준, 전국 탄광 수는 1.1만개로 2005년에 비해 1.4만개가 감소하였음. 연간 생산량이 120만 톤 이상인 대형 탄광은 970여개로 2005년 680개에서 증가하였으며, 중국 전체 석탄 생산량에서 대형 탄광기업의 생산 비중은 35.7%에서 66.5%로 증가하였음.
▶ 국무원은 ‘석탄업계 어려움 해결 공작회’를 개최하여 석탄 총량제한, 기업의 부담 경감, 석탄수입 규범화, 탄광 폐쇄 메커니즘 구축, 금융지원 확대 등의 조치를 마련하는 등 석탄기업의 문제와 어려움을 해결하는 중대한 조치들을 마련하였음.
▶ 현재 중국 석탄산업은 과잉 생산능력 상태에 있고, 경영실적과 석탄 판매량도 악화되고 있음. 이에 따라 일부 기업들은 비용절감을 위해 근로자 감축, 임금 인하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음.
▶ 전체적으로 2015년에는 중국 석탄시장의 수급 여건이 다소 개선될 것이지만, 과잉공급 상황과 중소형 탄광업체를 중심으로 한 경영실적 악화 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1. 중국 석탄산업의 발전과정과 최근 현황
▣개혁・개방 이후 30년 동안 석탄산업 발전과정
¡중국은 1차에너지 소비에서 약 66%(2014년)을 석탄에 의존하고 있으며, 지난 개혁・개방 이후 약 30년간 국가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했음.
‒ 1981~1991년 동안 경제성장율은 초기에 5.2%에서 1984년에 15.2%까지 상승
했지만 이후에 가격정책에 실패해서 분석기간 말에는 5%까지 하락했음. 석탄생 산 증가율도 초기에 5.9%에서 시작해서 12.3%까지 높았지만, 이후 3%까지 떨 어졌음.
‒ 1991~1999년에는 덩샤오핑의 남순강화 정책으로 중국경제는 고도 성장세를 실
현했는데, 1994년에 GDP 증가율은 약 14%, 석탄 판매량 증가율은 10% 이상 증가하였음. 그러나 1997년에는 아시아 금융위기로 GDP 증가율이 하락하였고, 석탄판매 증가율도 동반 하락하였음.
“중국 경제는 전체 에너지 소비에서 석탄 비중이 66%에 이를 정도로 아직까지 석탄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
‒ 1999~2009년에는 중국이 WTO에 가입하고, 인프라 시설 건설을 활발히 하면 서 높은 경제성장세를 보였음. 석탄 판매량은 2003~2005년에 연평균 15% 증가했지 만, 이후 2008년에 국제 금융위기 상황에서 중국 경제과 석탄산업은 위축되었음. 그러 나 중국 정부는 2009년부터 4조 위안의 경기부양책을 실시했고, 이를 기반으로 중국 경제와 석탄산업은 빠르게 회복되기 시작하였음.
‒ 2011~2013년 동안 중국을 포함 신흥국 경제가 활기를 띠었고, 특히 중국
의 상품 교역량이 크게 증대되었음. 이에 따라 중국 석탄산업도 황금기를 맞이하였음. 그러나 2012년부터 중국 석탄시장에는 공급과잉, 가격 하락 등이 나타나기 시작했음.
‒ 2014년에 중국 부동산 시장의 거품이 붕괴되고, 경제성장 속도가 둔화되면
서 중국의 석탄수요는 하락하기 시작하였음. 중국 해관총서의 자료에 따르 면, 2015년 1~5월 석탄 수입량은 8,326만 톤으로 전년동기 대비 38.2% 감소하 였고, 5월 석탄 수입량은 전월 대비 28.6%, 전년동월 대비 40.6% 각각 감소하 였음.
¡ 국제 석탄가격이 하락할 때 중국은 다량의 석탄을 수입하여 자국 내 석탄자원의 소비와 석탄채굴 속도를 조절했음.
‒ 최근 들어 중국 내에서 석탄자원에 대한 보호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외국에서 수 입된 석탄 자원이 중국 내 증가하는 석탄수요를 충족시켰음.
‒ 이를 위해 중국 정부는 석탄 수출입 세율을 조정하고, 석탄수입 개방을 실시하 였었음.
▣2014년 석탄산업 현황
¡ 석탄수요 감소 둔화, 공급과잉, 수입 증대 등의 영향으로 2014년 중국 석탄 재고 량이 증가하고, 시장가격은 하락했으며, 이에 따라 석탄기업의 경영실적은 크게 악화되었음.
¡ 정부가 석탄업계의 어려움을 해결해 주려는 정책을 추진하면서 2014년 4분기 이후에 석탄시장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발생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석탄기업들의 경영상황은 여전히 심각하였음.
‒ 2014년 1~11월 동안 중국 석탄 생산량은 35.2억 톤으로 전년대비 2.1% 감소하였 고, 2014년 총 연간 생산량은 2.5% 감소해서 2000년 이후 처음 감소할 것으로 전 망되었음.
“2014년 중국 석탄 기업들은 수요 감소, 공급 과잉, 가격 하락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
< 중국 석탄생산 증감량 변화 추이(2006~2014년) >
(단위 : 만 톤)
자료 : 중국석탄공업협회(2015)
‒ 석탄 철도 수송량은 2014년에 22.9억 톤으로 전년대비 3,044만 톤(1.3%) 감소하 였음.
‒ 2014년 말 석탄기업의 석탄 재고량은 8,700만 톤으로 연초에 비해 2.6% 증가
하였음. 주요 발전기업의 석탄 재고량은 9,455만 톤으로 연초에 비해 1,409만 톤(24일 사용량) 증가(17.1%)하였음.
‒ 2014년 중국 전체 수입량은 전년대비 3,580만 톤(10.9%) 감소한 2억9,122만 톤, 수출량은 전년대비 177만 톤(23.5%) 감소한 574만 톤임. 순수입량은 3,400 만 톤(10.7%) 감소한 2.85억 톤임.
< 2014년 월별 석탄 수입량 변화추이 >
(단위 : 만 톤)
자료 : 중국석탄공업협회(2015)
“2014년에 중국의 석탄 수입량은 전년대비 10.9% 감소, 석탄 수출량은 전년대비 23.5% 감소”
< 2014년 월별 석탄 수출량 변화추이 >
(단위 : 만 톤)
자료 : 중국석탄공업협회(2015)
‒ 2014년 석탄시장 가격은 연초부터 대폭 하락하였다가 10월 이후부터 회복세를 보였음.
중국 석탄가격지수는 연초 161.8포인트에서 10월 10일 연간 최저치인 136.2포 인트로 하락했다가 이후 소폭 반등하여 연말에 1.6포인트 증가한 137.8포인트 를 기록함. 그러나 이는 연초에 비해 24포인트가 하락한 것임.
‒ 2014년 중국 석탄 채굴업의 고정투자 규모는 전년대비 9.5% 감소한 4,682억 위안을 기록했는데, 이는 11.5계획 기간의 연평균 증가율이 26.7%였던 것과 비 교했을 때 36.2%p 감소한 것임.
・ 그중 민간 고정투자 규모도 전년대비 10.9% 감소한 2,598억 위안을 기록했음.
< 중・대형 석탄기업의 적자규모 현황 >
(단위 : 억 위안)
자료 : 중국석탄공업협회(2015)
‒ 2014년 1~11월 동안 일정규모 이상 되는 석탄기업의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6.6% 감소한 2.74조 위안이었고, 기업이윤은 전년동기 대비 871.9억 위안
“2014년 1~11월 동안 중・대형 석탄기업의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6.6% 감소, 이윤은 44.4%
감소, 이에 따라 적자 규모는 61.6% 증가함”
(44.4%) 감소한 1,104.5억 위안이었음. 기업의 적자규모는 전년동기 대비 61.6% 증가한 683억 위안을 기록했음.
▣2014년 석탄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
¡2014년 중국 석탄산업에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부정적 영향을 미쳤음.
‒ 중국 경제성장세 둔화: 주요 석탄 다소비 산업의 상품생산 증가 속도도 둔화되 었는데, 전력, 철강, 건축자재 등 주요 석탄 다소비 제품의 생산량은 각각 3.4%, 1.4%, 1.1% 감소하였음.
‒ 에너지 소비구조의 변화: 2014년 1차에너지 소비에서 비화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3년 9.8%에서 11.1%까지 증가한 반면, 석탄 비중은 66%에서 64.2%로 감소하였음.
‒ 에너지 소비 감소: 과학기술 발달, 대기환경 개선 노력 등으로 중국 전체 GDP 단위당 에너지 소비량은 2013년에 전년대비 3.7% 감소, 2014년에 4.8% 감소하 였음.
‒ 석탄산업 내 과잉 생산능력 존재: 2013년 말까지 신규로 증가한 석탄 생산능력
은 26억 톤으로 과잉 생산능력 문제가 더욱 심화되고 있음.
‒ 석탄수입 증대: 2014년 세계 석탄시장의 과잉 생산능력으로 국제 석탄가격이 대폭 하락함에 따라 중국은 석탄수입 규모를 증대시켰음. 2011년부터 4년 연속 으로 순수입량이 2억 톤(중국 석탄소비의 약 8%)을 기록했음.
・ 세계경제 회복세가 둔화됨에 따라 국제 석탄소비가 불안정한 상황에서 국제 석탄수출업체들은 對중국 수출증대에 집중하고 있음. 수입석탄 가격이 중국 내 가격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석탄수입은 계속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그 외 중국 석탄기업의 낮은 생산성, 노동자 과잉 고용, 정부의 석탄소비 억제 정책 등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음.
‒ 2014년 말 기준으로 전국 탄광 수는 1.1만개이고, 탄광 1개 당 연간 석탄생산능
력은 약 30만 톤에 불과함. 또한, 소형 탄광 수가 아직까지 많은 편이고, 안전사 고율도 매우 높게 유지되고 있음.
・ 최근 몇 년간 대형 석탄기업들이 설립되었지만, 상위 1~4위 대형기업의 석탄 생산량은 중국 전체의 25%에 불과함.
‒ 탄광마다 노동자 과잉고용 문제를 안고 있는데, 관련된 조사자료에 따르면,
2013년에 석탄산업 종사자는 611.3만 명이며, 탄광 노동자 1인당 생산량은 602
톤(중국 전체 연간 생산량 36.8억 톤)으로 미국, 호주의 생산량 1만 톤과 비교해 서 커다란 차이를 보임.
“중국 경제성장세 둔화,
에너지소비구조 변화, 과잉 생산능력, 석탄수입 증대 등이 석탄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
“그외 석탄기업의 낮은 생산성, 노동자 과잉 고용, 정부의 석탄소비 억제 정책 등도 부정적 영향을 미침”
‒ 대형 탄광기업은 이익을 내고 있는데 반해 소형 기업들은 적가를 보고 있음.
2014년 1~11월 동안 상위 1~10위 대형 석탄기업의 이윤은 744.6억 위안(이중
선화집단(神華集團) 이윤 601억 위안)에 달했음.
‒ 또한, 정부의 환경오염 대책 차원에서 대도시 석탄사용 억제 정책 등이 석탄 기 업들을 어렵게 하고 있음.
2. 중국 정부의 석탄산업 개혁 정책
▣석탄거래 관련 기준 마련
¡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2014년 5월에 국무원의 동의를 얻어 석탄거래시 장 체계 구축의 지도사상, 기본원칙, 건설기준, 관리・감독 방법, 협조기구와 보장 조치 등을 명확히 하여 석탄시장 자유화 개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음.
‒ ‘석탄 매매계약 시범 문건’의 발표로 석탄거래가 더욱 더 규범화되었음.
‒ 관련 부처에서 마련한 ‘상품석탄 품질 평가 지침서’는 이미 국가의 표준이 되었음.
‒ 샨시(陝西), 오르도스 석탄가격지수가 새롭게 발표됨에 따라 전국 석탄가격지 수 체계는 더욱 완비되었음.
‒ 인터넷, 빅데이터 등을 통한 전국 석탄거래 데이터 플랫폼이 구축되고 있음.
¡ 과학기술 발달로 석탄 전자상거래 플랫폼 구축이 가속화되어 타이위엔(太原) 석 탄 거래센터의 연간 온라인 거래량은 13.13억 톤, 거래규모는 6,521억 위안에 달하였음.
‒ 샨시(陝西)省의 온라인 석탄 거래량은 누계 1억 톤을 돌파하였고, 거래규모는 348억 위안에 달하였음.
‒ 네이멍구 석탄거래 센터의 온라인 거래량은 8,000만 톤을 넘어섰으며, 거래규모 는 약 200억 위안에 달함.
▣석탄산업의 구조조정
¡ 2014년 말 기준, 전국 탄광 수는 1.1만개로 2005년에 비해 1.4만개가 감소하였음.
‒ 연간 생산량이 120만 톤 이상인 대형 탄광은 970여개로 2005년 680개에서 증 가하였으며, 중국 전체 석탄 생산량에서 대형 탄광기업의 생산 비중은 35.7%에 서 66.5%로 증가하였음.
・ 그중 생산량이 1천만 톤에 달하는 탄광은 53개로 전국 생산량의 18%를 차지함.
‒ 연간 생산량이 30만 톤 이하인 소형 탄광은 약 8,600개로 2005년에 비해 약 1.1 만 개가 감소하였고, 전체에서 소형 탄광기업의 생산 비중은 30%에서 13%로
“중국 NDRC는 2014년 5월, 석탄시장 자유화를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물리적 기반 마련하는 조치 발표”
감소하였음. 그중, 9만 톤 이하의 탄광은 6,600개임.
‒ 2014년에 폐쇄된 소형 탄광은 약 1,100개에 달함.
¡산시(山西), 네이멍구, 샨시(陝西), 구이저우, 허난, 산둥, 신쟝, 안후이 등 8개 省, 區의 석탄 생산량은 1억 톤 이상에 달해 전국 총 생산량의 83%에 달함. 또 한, 대형 석탄생산단지를 조성하였는데, 총 14개 대형 석탄생산단지의 연간 석탄 생산량은 전국 생산량의 90% 이상을 차지함.
¡상위 1~4위 대형 석탄기업의 생산량은 전체 생산량의 25%, 1~10위 석탄기업의 생산량은 44%에 달함. 상위 53개 기업의 연간 생산량은 1천만 톤을 넘어섰고, 그중 9개 기업의 생산량은 1억 톤을 상회했음.
¡기업들의 인수합병이 활발히 이루어졌는데, 징메이집단(京煤集團)과 징능집단 (京能集團) 양사 간의 합병을 통해 베이징능원집단(北京能源集團)을 설립하 여 석탄기업과 에너지기업의 통합화를 추진하였음.
‒ 또한, 기업들의 인수합병을 통해 탄광 수도 점차 감소하고 있음. 구이저우(貴 州)성의 탄광 수는 1,579개에서 800개로 감소하였고, 네이멍구 지역 내 대형 석탄기업의 통합화 추진도 가속화되고 있음.
¡중국 전체 석탄액화(Coal to liquid)의 연간 생산능력은 158만 톤, 2014년 생산 량은 120만 톤, 석탄에서 올레핀(Olefin)을 추출하는 방식인 CTO(Coal To Olefin)의 연간 생산능력은 226만 톤, 2014년 생산량은 157만 톤에 달함.
‒ 또한, 석탄기업은 셰일가스 탐사・개발에도 참여할 뿐만 아니라 물류, 금융 서비 스 등의 산업 발전에도 참여를 추진하고 있음.
▣정부의 석탄산업 지원조치
¡국무원은 ‘석탄업계 어려움 해결 공작회’를 개최하여 석탄 총량제한, 기업의 부담 경감, 석탄수입 규범화, 탄광 폐쇄 메커니즘 구축, 금융지원 확대 등의 조치를 마 련하는 등 석탄기업의 문제와 어려움을 해결하는 중대한 조치들을 마련하였음.
¡중국석탄공업협회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 국가에너지국, 국가석탄감독국 등 관련 부처와 함께 ‘석탄업계 문제 해결 프로젝트 연석회의 제도’를 구축하여 현재까지 22차례의 연석회의를 개최하였고, 좌담회를 통해 다수의 관련 부처들 과 협의를 진행하였음. 이를 통해 30여 개의 정책 조치를 연구・제정하여 추진 중에 있음.
¡석탄 자원세를 종량세에서 종가세로 전환하였는데, 이를 위해 석탄 관련 펀드 및 석탄가격 조정기금 운영 중지, 省급 이하 지방정부의 석탄 관련 펀드 조성 및 운영 금지, 위법징수에 대한 엄격 적발 등을 추진할 것임.
“중국 정부는 석탄산업의 구조조정 차원에서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소형 탄광기업 폐쇄 및 통합 추진”
“기업간 통합을 통한 대형 석탄기업 설립, 석탄기업과 에너지 기업간 수평적 통합 등 추진”
▣석탄사용으로 발생하는 대기오염 방지대책
¡ 중국 정부는 ‘상품석탄 품질 관리・감독 방법’과 ‘상품석탄 품질 평가 지침서’ 등 의 국가 표준을 발표하여 관리・감독의 중요성을 명확히 하고, 관리・감독 조치를 세분화하였음.
‒ 전면적으로 신규 화력발전소 대기오염 배출량 기준을 마련하고 현장 검사를 강 화하였음. 기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기업에는 도달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고, 유 황함유량이 많고 재가 많은 석탄의 사용을 억제하도록 하였음.
‒ 또한, 저품질의 석탄수입과 사용을 엄격히 제한하여 석탄 수입량이 현저히 감소 하였음.
¡ ‘석탄 총 생산량 제한과 산업구조 선진화에 관한 지도의견’, ‘탄광 폐쇄 사업 확
대에 관한 통지’, ‘석탄 생산 기술과 설비 정책 지도’ 등을 발표하여 새로운 석 탄 프로젝트의 기본 원칙을 명확히 하였고, 신규 생산능력과 프로젝트의 심사・ 비준을 엄격히 하였음.
‒ 제한 및 금지 대상의 석탄생산 기술과 설비목록을 명확히 하였고, 각 지방의 탄 광 폐쇄 조치 강화를 가속화 하도록 요구함.
3. 중국의 2015년 석탄산업 전망
¡ 2015년 현재 중국 석탄산업은 과잉 생산능력 상태에 있고, 경영실적과 석탄 판 매량도 악화되고 있음. 이에 따라 일부 기업들은 비용절감을 위해 근로자 감축, 임금 인하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음.
‒ 중국 석탄운송ㆍ판매협회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2015년 1~7월 석탄 생산량은 전년동기 대비 1.6억 톤(7.18%) 감소한 20.66억 톤, 소비량은 전년동기 대비 1.63억 톤(7.73%) 감소한 19.45억 톤임.
‒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1~7월 동안 석탄수입량은 전년동기 대비 6,170만 톤 (33.75%) 감소한 1억2,112만 톤이고, 수출량은 전년동기 대비 72만 톤(20.69%) 감소한 274만 톤임.
・ 동기간 석탄수입 규모는 전년동기 대비 약 47% 감소한 766,343.9만 달러이 고, 수출 규모는 전년동기 대비 34.92% 감소한 28,654.6만 달러임.
¡ 석탄이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면서 대형 석탄기업의 적자 상황은 심화되고 있 음. 환보하이 (環渤海) 연료탄 가격지수(Bohai-Rim Steam-Coal Price Index, BSPI)는 2015년 8월 26일 기준 톤당 409위안으로 최저치를 기록함.
¡ 석탄 연소는 중국 탄소배출량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공기오염과 온실가스 배
“현재 중국 석탄기업들은 자구노력의 일환으로 근로자 감축, 임금 인하 등의 비용절감 추진”
출 저감을 위해 중국정부는 2020년까지 석탄사용을 에너지 소비의 약 62%까지 줄이겠다고 발표해 어려움이 가증되고 있음.
¡중국 정부는 2015년 1월부터 ‘상품석탄 질 관리 임시 시행방법’을 실시하였음.
‒ 이에 따르면, 중국은 수입석탄에 대해 새로운 검역 관리ㆍ감독 정책을 실시하 고, 5가지 미세원소 검측기준을 추가 신설하여 재 함유량 16% 이상, 황 함유량 3% 이상인 석탄에 대해서는 징진지, 주강삼각주, 장강삼각주 등의 해당지역에 수입을 금지하였음.
‒ 중국이 석탄수입 제한 조치를 취한 것은 공기 질을 높이고 석탄사용으로 인한 오염물 배출을 감소시켜 대기환경을 보호하기 위함임.
¡2015년 세계 경제 회복의 약세는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불안한 국제 금융시장 상황과 지정학적 문제 등의 어려움이 점차 심화・확대되고 있는 상황에 서 중국 경제는 신창타이(New Normal)에 진입하였음.
‒ 수요 측면에서 보면, 2015년 중국 경제성장 속도가 둔화됨에 따라 정부는 에너 지소비 총량을 조절하고, 1차에너지 소비에서 비화석에너지 비중을 제고시킬 것 으로 전망됨.
‒ 공급 측면에서 보면, 중국의 생산능력은 40억 톤 이상이고, 건설 중인 규모는
10억 톤 이상으로 석탄 생산능력은 점차 증대되고 있지만, 여전히 석탄 수입은
대규모로 이루어지고 있음.
・ 일부 대형 탄광은 안정적인 자금과 근로자들의 운용을 위해 석탄 생산을 감 축하기가 어려운 상황임. 생산활동을 일시 중단한 중소형 탄광들도 시장이 회복되면 생산에 돌입할 것임.
・ 그러나 중국 정부가 탄광업체의 저질 석탄의 생산・소비, 과잉・중복투자 등에 대해 엄격한 조치를 취하고 있어 향후에는 무분별한 생산증가 추세가 둔화 될 것으로 전망됨.
¡전체적으로 2015년에는 중국 석탄시장의 수급 여건이 다소 개선될 것이지만, 과 잉공급 상황과 중소형 탄광업체를 중심으로 한 경영실적 악화 상황은 당분간 지 속될 것으로 전망됨.
참고문헌
에너지경제연구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각 호
中国煤炭工业协会, “中国煤炭工业改革发展情况通报(2014年度报告)”, 2015.1.23 中国报告大厅, “2015年我国煤炭行业发展现状分析:前景不容乐观”, 2015.8.28 ____________, “2015年1-7月我国煤炭行业市场分”, 2015.8.20
“2015년에는 세계 경제회복세 둔화, 불확실성 증대, 중국 경제성장세 둔화(신창타이 단계 진입) 등이 석탄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임”
“2015년 중국의 석탄산업은 2014년과 마찬가지로 생산능력 과잉, 수요 감소 등으로 계속 어려움에 처하게 될 것임”
____________, “2014年我国煤炭行业竞争分析”, 2014.8.19 ____________, “2014年煤炭行业技术特点分析”, 2014.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