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2017년 에너지 부문 핵심 정책
해외정보분석실 전희정([email protected])
▶ 2017년 중국 에너지정책 핵심과제는 ‘13.5계획’을 차질 없이 수행하는 것으로, 석탄 과잉생산 해소 및 청정에너지 이용 확대가 주축을 이루고 있음.
▶ 중국 정부는 에너지수급 믹스 개편을 위해 석탄 소비비중을 63%까지 감축하고, 비화석에너지 및 천연가스 비중을 각각 13%, 6.3%까지 확대할 계획임.
▶ 또한 석탄의존도 감축을 추진하는 한편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연료대체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석탄 연료의 청정에너지 전환을 위한 발전설비 개조 및 청정화 사업도 촉진할 예정임.
▶ 2017년 에너지부문의 중점 과제인 석탄 과잉생산 해소를 위해, 석탄산업의 구조를 조정하고 생산능력과 실제 생산량의 일치성 확보를 위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임.
▶ 그 외에도 에너지 생산 및 이용 효율성 제고를 위해 생산 전력의 유휴현상을 해소하고, 에너지 공급능력 강화를 위한 전방위 국제협력도 강화해 나갈 계획임.
1. 에너지 수급 구조 개편
▣에너지 수급전망1) 및 수급구조 개편
¡ 2017년 중국 에너지정책 핵심과제는 ‘13.5계획 ’을 차질 없이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
석탄 과잉생산 해소 및 청정에너지 이용 확대가 주축을 이루고 있음.
‒
(수요 )
에너지 수요는 44억tce에 달해 전년 대비 1.4%
증가가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석탄 의존도는 60%까지 감축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공급 ) 에너지 생산량은 36.7억 tce에 달해 2016년 대비 (36억 tce)
소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 석탄 생산량은 36.5억 톤
,
원유 생산량은 2억 톤,
천연가스 생산량은 1,700억m
3(
셰일가스 생산량 100억m
3 포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
정부는 에너지수급 믹스 개편을 위해 석탄 소비비중을63%
까지 감축하는 한편, 비화석에너지 비중을13%
까지 확대하고, 특히,
천연가스 비중을6.3%
까지 확대 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음.2)1) 에너지 수급 계획은 국가에너지국에서 발표한 ‘2017년 에너지업무지도의견(2017年能源工作指导意见, 2017.2.10)’ 및 전력계획총원(电力规划设计总院)에서 발표한 ‘중국에너지발전보고 2016(中国能源发 展报告2016, 9.7)’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음.
2) 国家能源局(2016.4.1), 2016年能源工作指导意见
“2017년 에너지 수요는 44억tce에 달해 전년대비 1.4% 증가하고, 생산량은
36.7억tce에 달해 2016년 대비 소폭 상승 될 것으로 전망”
주 : 2016~2017년 총량은 에너지지도업무의견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망치임.
자료 : 중국 국가통계국(2016, 에너지 생산 총량 및 구성, 에너지 소비 총량 및 구성), 국가 에너지국(2016.4, 2017.2), 2016~2017년 에너지업무지도의견
< 중국의 에너지생산 및 수요 변화 추이(2010~2017년) >
2. 연료전환 및 민생에너지 보급 확대 추진
▣연료전환 및 에너지공급망 확충
¡
중국은 석탄의존도 감축을 추진하는 한편,
대기환경을 개선하고자 연료대체 사업 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자 함.
‒
(전기에너지로 대체 )
석탄 보일러 사용 지역에‘전기에너지로의 대체 (
電能替代)’프로젝트를 실시하여 전력화를 추진할 계획
(약 900억 kWh)임 .
‒
(천연가스로 대체 )
징진지(京津冀,
베이징,
톈진,
허베이)의 석탄연소 금지구역
및 저품질 석탄 사용 제한 지역에 산업용 및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석탄을 천연 가스로 대체하는 프로젝트 및 선박
,
자동차 등의 연료를 천연가스로 대체하는 프로젝트를 실시할 계획임.
‒
(전기자동차 충전시설 )
충전시설90만 개를 설치할 계획이며 그중 10만 개는
공공 충전시설로 확충할 계획임
.
‒
(농촌지역 전력망 구축 )
총 1,400개의 전력망(송
・배전)
프로젝트(약 410억 위안 )
를 착공할 계획이며
,
이를 위한 중앙정부 예산으로90억 위안을 배정함 .
신규 전력망 프로젝트(1,900개,
약 630억 위안 규모)를 계획하고 있음 .
‒
(격리지역 태양광 지원 )
농촌지역(村級,
행정구역 명칭)의 64만 가구 대상으로
전력화율 제고를 위해 태양광 보급사업
(8GW
규모)을 추진하고 있음 .
“석탄 보일러 사용 지역에
‘전기에너지로의 대체’ 프로젝트를 실시할 계획이며, 2017년內 연료대체로 900억kWh의 전력을 추가 공급할 예정임”
¡
석탄연료의 청정에너지 전환을 위한 발전설비 개조 및 청정화사업도 촉진할 예 정임.
‒ 석탄화력 발전설비 개조작업을 통해 80GW 규모의 발전설비를 초저배출형 발전 설비로 전환하고, 60GW 규모의 설비를 에너지절감형으로 개조할 계획임.
‒ 석탄액화
(400만톤 /년 )
프로젝트(션화닝메이그룹 (神華寧煤集團)
3),
고(高)유황
석탄의 청정화 프로젝트
(100만톤 /년 )
4) 등을 2017년 내에 완성할 계획임.
※ 션화닝메이그룹은 2013년 9월 28일 닝동에너지화공기지(寧東能源化工基地) 석탄간접액화 프로젝트를 착수하였음. 총 투자액이 약 550억 위안에 달하며 단일 프로젝트로는 투자 규모와 설비 규모가 가장 큰 석탄 가스화 프로젝트임.
※ 산시루안광업그룹(山西潞安礦業) 산시성(山西省)에서 수행(투자규모: 약 23억 위안)
‒ 합성천연가스
(Synthetic Natural Gas)프로젝트 (수신에너지허펑유한회사 ,
蘇新 能源和豐有限公司)5)가 착공될 예정임.
※ 총 투자액은 300억 위안에 달하며, 연간 40억m³의 합성천연가스를 생산할 수 있음. 장수성(江蘇) 및 신장(新疆) 지역의 청정에너지 부문 지원을 위한 중요한 프로젝트임.
▣민생부문 에너지 공급 확대
¡
중국 정부는2017년 중 대기오염 문제에 대비하는 한편 ,
겨울철 민생용 난방 에너지공급 확충을 위한 계획을 추진하고 있음.‒
(대기오염 )
징진지 및 주변지역,
장삼각(
長三角)등의 지역의 에너지원을 전기로
대체함으로써 전기에너지의 소비비중을 확대할 것임.
※ 장삼각은 양쯔강 하류에 형성된 삼각주를 말하며, 지역상으로는 상하이, 장쑤성 (江蘇省), 저장성(浙江省)일대에 해당됨.
・ 중점지역에 천연가스의 공급을 확대하고 ‘석탄 및 석유를 가스로 대체
(
煤改 氣, 油改氣)’ 등의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석탄 사용량을 감축해 나갈 것임.
‒
(난방공급 ) ‘북방지역 겨울철 난방에너지를 위한 청정에너지 공급계획 (
北方地區冬季清潔取暖規劃
, 2017~2020년 )’
시행을 통해 중국 북방지역에 청정 에너지의 난방공급 비중을 확대할 계획임.
・ 난방공급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천연가스로 공급하기 위하여 파이프라인 및 가스저장시설 구축 프로젝트 등을 추진하는 한편
,
전기에너지,
온돌방식,
열펌프를 이용한 난방공급 방식도 적극적으로 보급할 계획임.
3) 中国机械工业联合会机经网(2013.9.30), 神华宁煤400万吨煤炭间接液化项目开工
4) 山西省国家发改委门户网站(2013.6.10), 山西潞安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高硫煤清洁利用油化电热一 体化示范项目进展
5) 和布克赛尔蒙古自治县门户网站(2013.11.14), 苏新能源和丰公司年产40亿立方煤制天然气项目
“징진지 및 주변지역, 장삼각 지역의
에너지원을 전기 및 천연가스로 대체함으로써 석탄 사용량을 감축해 나갈 것임”
3. 2017년 중국의 에너지부문 중점 과제
▣석탄 과잉생산 해소
¡
중국 정부는2017년 중 자국의 석탄산업 구조 조정을 위해 우선적으로 낙후된
석탄생산 설비를 폐쇄하는 한편,
생산 석탄광의 생산성 제고하며,
특히 생산능력과 실제 생산량의 일치성 확보를 위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임.
‒ 이를 위해서 정부는 석탄산업 정책에 부합하지 않는 탄광을 500곳 이상 폐쇄하여 생산능력 5,000만 톤을 감축할 계획이며
,
동시에 석탄산업에 적용할 안전・환경 보호・기술 기준을 엄격히 관리할 계획임.※ 2016년에는 석탄산업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석탄업계의 과잉생산 해소를 진행
하였으며, 규모가 9만 톤/년 이하인 탄광 폐쇄 등을 통해 1,000곳 이상의 탄광 을 폐쇄하여 생산능력 6,000만 톤 감축을 추진하였음.
‒ 또한 낙후된 석탄화력발전 설비 폐쇄 규모
(4GW이상 )를 설정하는 한편 ,
설비 개조 후에도 에너지효율 및 환경보호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설비는 폐쇄할 계획임.
▣청정에너지 보급 확대
¡
에너지 생산 및 이용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기풍(棄風),
기광(棄光), 기수(棄水)
현상 등을 해결하여 생산 전력의 유휴현상을 해소할 계획임.
※ 기풍, 기광, 기수란 송전망 접속능력 부족, 전력공급의 불안전성 등으로 생산된
전력 일부가 전력망에 연계되지 않아 에너지가 낭비되는 현상을 말함.
‒
(수력발전 )
진사강(金沙江),
야룽강(雅礱江),
다두강(大渡河)등 지역의 대형
수력발전단지 건설에 속도를 내고 서남지역에서 생산된 전력을 화남
,
화중,
화동 지역에 송전할 수 있는 송전망을 구축할 것임.
・ 란창강 마오웨이
(瀾滄江苗尾),
다두강 창어댐(大渡河長河壩),
허우쯔옌(猴
子岩) 지역의 수력발전소를 완공을 통해 발전설비(10GW)를 증설할 계획임 .
・
2017년 중 진사강 바이허탄 (
白鶴灘), 바탕(巴塘),
라와(拉哇 ),
란찬강 투오바(托巴)
지역에 수력발전 설비(30GW)를 착공할 예정임 .
※ 진사강(양쯔강 상류), 야룽강(쓰촨성 서부), 다두강(양쯔강 상강 수계인 민장
(岷江) 최대의 지류)수력발전은 ‘중국 12대 수력발전단지계획6)’에 포함되어 건
설 중에 있으며 수력에너지의 가용량은 각각 110GW, 22GW, 19GW에 달함.7)
6) ‘중국 12대 수력발전단지계획’은 중국의 에너지믹스 조정 계획의 일환으로 수력 발전소 건설을 통한
수력 발전 비중 확대를 위해 전력공업부가 1970년대 말 수력에너지가 풍부하고 개발 조건이 양호한 지역에 수력발전단지 건설 계획을 구상하였으며, 1989년에 12대 수력발전단지가 형성되었음. 투자 규모는 약 2만억 위안에 달하며 2050년에 완공될 예정임. 百度 홈페이지 참고
7) 百度 홈페이지 참고
“석탄산업 정책에 부합하지 않는 탄광 500곳 이상을 폐쇄하는 등 석탄산업 부문 구조 조정을 추진할 계획임”
“송전망 구축 등을 통해 생산 전력 유휴현상을 해소하고 에너지 이용 효율성을 제고할 계획임”
‒
(풍력발전 )
신규 건설하는 풍력발전을 중동부 지역 혹은 남부 지역에 집중되도록 함으로서 풍력발전 구조를 최적화할 것임.
・ 기풍 현상이 심각한 지역에 신규 계통연계를 제한하고
, 2017년 풍력발전산업
조기경보 정보(2017年度風電行業預警信息)를 발표하여 기풍률이 20%
에 육박하는 지역의 경우 신규 풍력발전 건설을 일시 중단시킬 계획이며,
풍력 발전설비 신규 착공 규모는 25GW에 이를 전망임.
※ NEA는 ‘2017년 풍력발전 투자 관리감독 조기경보 결과에 대한 통지’를 통해
적색경보가 발령된 네이멍구(內蒙古), 헤이룽장(黑龍江), 지린(吉林), 닝샤(寧夏), 간쑤(甘肅), 신장(新疆)지역의 신규 풍력 프로젝트에 대한 승인을 전면 중단 한다고 밝힌 바 있음(2017.2.22).
‒
(원전 )
조건에 부합하는 원전 프로젝트의 경우 건설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며,
연해지역의 원전 프로젝트 승인 및 건설을 위한 사전준비에 착수할 것임.・ 신규 원전설비 산먼
(三門) 1호기 ,
푸칭(福清) 4호기 ,
양장(
陽江) 4호기,
하이양(
海陽) 1호기,
타이산(台山) 1호기 등 총 5기 (
총 6.41GW)를 가동할 예정임.
・ 또한 산먼 3・
4호기 ,
닝더(寧德) 5・6호기 ,
장저우(漳州) 1・2호기 ,
후이저우(惠州)
1
・2호기 등의 원전 프로젝트 (10GW
규모)
사전 준비작업도 추진할 예정임.
・ 고온가스냉각로 시범공정 및 소형원자로 시범 프로젝트 준비작업 추진 등을 통해 원전을 종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해 나갈 계 획임
.
‒
(태양광발전 )
기광현상이 심각(기광률5%이상 )한 지역에 신규 건설을 엄격히
제한함으로서 태양광발전의 구조를 최적화하고
,
태양광열 발전 시범 프로젝트를 안정적으로 추진할 것임.
・ 신규 태양광발전 설비 규모는 20GW에 이를 전망임
.
‒
(바이오매스 및 지열 ) 바이오매스 발전을 지열에너지 산업과 연동시키는 산업정책
을 마련하여 바이오매스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하는 한편
,
지열에너지를 이용한 냉・난방을 공급을 확대할 계획임.
▣에너지 부문 국제협력 강화
¡ ‘저우추취 (走出去,
해외진출)’와 ‘인진라이 (引進來,
외자도입)’
정책을 조화롭게추진하고
,
에너지 공급능력 강화를 위한 전방위 국제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임.
‒ 특히
, ‘일대일로 (㊀带㊀路,
육상・해상 실크로드)’
국가와 지역을 중점으로 석탄,
화력발전
,
수력발전,
신재생에너지,
석탄가스화 등의 분야에서 중국 기업들이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등의 국가들과 협력을 도모하고 있음.
“일대일로 국가와 지역을 중점으로 아프리카, 유럽 등의 국가들과 국제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임”
‒ 중국 정부는 에너지기술
,
설비,
서비스 부문에서 해외진출을 계획하고 있으며,
에너지 R&D, 유지보수 서비스 체제 구축도 추진하고 있음.
‒
(석유가스 ) 중앙아시아 ,
러시아,
중동,
아프리카,
미주,
아태지역에 석유가스 협력개발 지역 국가를 설정하고
,
석유가스 개발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임.
・ 국내 서북, 동북
,
서남지역 및 해상에 건설된 석유가스 송유관을 완비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운송능력을 제고할 것임.
※ 중국 국영석유기업(CNPC)는 중국 에너지의 안전성 보장을 위해, 동북(중-러시아), 서북(중-중앙아시아), 서남(중-미얀마)등 3개의 육상 송유관과 해상 송유관 건설을 추진하고 있음.8)
‒
(원전 ) 3세대 원전 기술인 ‘화롱 1호 ’
기술 수출을 위하여 영국과 원전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추진
(일반설계승인 (GDA)심사 추진)하는 한편 ,
파키스탄 카라치 프로젝트도 추진 중임. 또한 아르헨티나,
터키,
루마니아 등의 국가들과 원전 프 로젝트 추진에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음.
※ 카라치 원전 프로젝트는 파키스탄에서 규모가 가장 큰 원전 프로젝트로, 화룽 1호 기술이 사용되면서 중국 원전기술이 해외로 진출하는 첫 사례가 되었음 (2015.8.20).9)
참고문헌
에너지경제연구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
각 호山西省国家发改委门户网站, “山西潞安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高硫煤清 洁利用油化电热㊀体化示范项目进展”, 2013.6.10
中国机械工业联合会机经网
,“
神华宁煤400万
吨煤炭间接液化项目开工”, 2013.9.30
和布克赛尔蒙古自治县门户网站,“苏新能源和丰公司年产40亿立方煤制天然气 项目”, 2013.11.14
内蒙古日报
, “
内蒙古伊泰煤制油有限责任公司200万吨/年煤间接液化油品项
目环境影响评价公众参与第二次公示信息”, 2014.11.18经济参考报, “中国完成四大油气通道战略拼图”, 2015.7.6
澎湃, “自主三代核电走出国门正式在巴基斯坦卡拉奇开建”, 2015.8.21 国家能源局, “2016年能源工作指导意见”, 2016.4.1
__________, “2017年能源工作指导意见”, 2017.2.10
电力规划设计总院, “中国能源发展报告”, 2016.9.78) 经济参考报(2015.7.6), 中国完成四大油气通道战略拼图
9) 澎湃(2015.8.21), 自主三代核电走出国门正式在巴基斯坦卡拉奇开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