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8-42호 2018.11.26
23
중국
▣중국 베이징市, ’20년까지 대중교통 버스를 신에너지 버스로 교체할 계획
¡ 중국 베이징市는 ‘베이징市 청정대기보호 3개년 행동계획(北京市打贏藍天保衛戰三年行動 計劃)’을 통해 2020년까지 베이징 시내에서 운행 중인 대중교통 버스를 신에너지 및 청정에너 지 버스로 교체할 계획이라고 밝힘(2018.9.15).
※ 중국 교통운수부(交通運輸部)는 대기오염 방지를 위한 조치의 하나로 2020년까지 ‘수송부문 대기오염 방지 임무 완수(交通運輸汙染防治攻堅戰任務圓滿完成)’를 목표로 제시하였으며, 구 체적으로는 2020년까지 중점 지역(직할시 및 省급 정부 소재 도시) 내에서 운행 중인 대중교 통 버스를 모두 신에너지차량으로 교체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음(2018.6.25).
‒ 국영운수기업인 베이징대중교통그룹(北京公交集團)은 베이징市에서 운행 중인 기존의 노후 경유・휘발유 버스를 신에너지 및 청정에너지 버스로 교체하는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2018.11.18).
‒ 또한 2020년에는 전기버스의 비중에 크게 확대될 것이며, 베이징市에 약 11,000대의 전기버 스를 운행하여 전체 버스 중 전기버스의 비중을 50% 이상으로 확대하고, 베이징市의 중점 지 역에 대해서는 대중교통 버스를 모두 전기버스로 대체할 계획이라고 밝힘.
・ 베이징대중교통그룹은 2018년 말에는 자사가 운행하는 노선 버스 중 신에너지 및 청정에너 지 버스의 비중이 70%에 달하고, 2019년까지는 신규 운행되는 버스 중 전기버스의 비중이 약 90%에 달할 것이라고 밝힘.
‒ 베이징市에서는 2017년에 약 4,281대를 신에너지 버스로 교체하여 누적 대수가 7,815대에 달 하였고 전체 버스 중 신에너지 버스의 비중은 약 24%를 차지함. 또한 지속적으로 노후 경유・ 휘발유 버스를 퇴출시켜 베이징 시내에서 운행 중인 경유버스는 2,224대로 감소함.
・ 2018년 7월 16일 기준, 중국의 신에너지자동차 누적 판매대수는 199만 대이며, 그중 베이징 市에 보급된 신에너지동차는 18.7만 대임.
¡ 한편, 베이징市는 대기오염 저감을 위해 대중교통 버스의 신에너지 버스로의 교체 외에도 신 에너지자동차 보급・확대를 위한 보조금 지급 제도도 시행하고 있음.
‒ 베이징市가 발표한 ‘베이징市 신에너지자동차 보급・확대 관리방안(北京市推廣應用新能源 汽車管理辦法, 2018.2.24.)’에 따르면, 2020년까지 신에너지자동차(전기자동차, 연료전지 자 동차) 구매 시 중앙정부 보조금의 50%를 베이징市 보조금으로 추가 지급할 계획임. 다만 보조 금 총액은 신에너지자동차 최종 판매가격의 60%를 초과할 수 없도록 함.
※ 同 보조금 지급 제도는 2018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으며 적용기간은 2020년 12월 31일까지임.
2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8-42호 2018.11.26 연속주행거리(R)
중앙정부 보조금(위안)
베이징市 보조금(위안)
보조금 총액 (위안)
150≤R<200 15,000 7,500 22,500
200≤R<250 24,000 12,000 36,000
250≤R<300 34,000 17,000 51,000
300≤R<400 45,000 22,500 67,500
400≤R 50,000 25,000 75,000
자료 : 搜狐
< 베이징市 전기자동차 보조금 지급 기준(2018~2020년) >
(搜狐, 2018.7.20; 新華社, 2018.11.4; 證券日報, 2018.11.7)
▣중국 NDRC, 남부 연해지역 항구에 대해 석탄 수입 제한 조치 시행
¡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2018년 석탄 수입량이 2017년 수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남 부 연해지역 항구에 대해 수입 석탄에 대한 통관 업무를 중단할 것을 요구함(2018.10월).
※ NDRC는 2017년 7월 1일부터 남부지역 ‘2류 항구’에 대해 석탄 수입 선박의 정박・하역 금지
조치를 취하였으며, 2018년 4월 초에는 이 조치를 남부지역 ‘1류 항구’인 광시자치구 팡청항 과 푸젠省 샤먼항 등으로 확대하였다가, 6월에는 석탄수입 제한 조치를 완화하였음.
※ 중국의 항구는 개방 정도에 따라 ‘1류 항구’와 ‘2류 항구’로 구분되며, ‘1류 항구’는 국무원의 승인을 받아 개방・관리되는 항구를 말하며 ‘2류 항구’는 지방정부의 승인을 받음.
‒ 중국 해관총서(海關總署, 관세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8년 1~10월 중 중국의 석탄 수입량은 2억 5,200만 톤으로, 2017년 석탄 수입량(2억 7,100만 톤)에 불과 1,900만 톤 미달함.
※ 다만, 동절기 전력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긴급 수요가 발생하는 발전소에 한해서는 NDRC에 통관 업무 신청을 면제해주기로 함.
‒ 푸젠省, 저장省 등 석탄 수입 할당량을 초과한 남부지역 항구에서는 수입 석탄 통관 업무가 중단되며, 할당량이 남은 북부지역 항구를 중심으로 수입 석탄 통관 업무가 진행될 예정임.
・ 남부지역 중 푸젠省은 수입 석탄에 대한 통관 업무를 중단하라는 통지를 받았고, 장수省 은 12월 31일 이전에 석탄을 수입할 경우 보고해야 하며, 이미 수입한 석탄의 하역은 가능 하나 2019년 초에 통관 업무를 진행할 수 있음.
・ 연해지역 중 화동 및 화남 지역은 전체 석탄 공급량 중 수입 석탄의 비중이 비교적 높은 데, 최근 수입 석탄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전국 평균 수준을 상회함. 광동省, 푸 젠省, 광시자치구, 저장省, 상하이市는 수입 석탄의 비중이 약 40%를 차지함.
※ 화동 지역은 상하이市, 장수省, 저장省, 안후이省, 산동省 등이며, 화남 지역은 광동省, 광시 자치구, 하이난省, 홍콩・마카오 특별행정구역 등임.
‒ 이번 석탄 수입 제한 조치로 인해 2018년 4분기에 석탄 수입량이 대폭 감소할 것이며, 특히
12월에는 급감할 것으로 예상됨.
・ 중국의 10월 석탄 수입량은 2,308만 톤으로 전년동기 대비 8.45% 증가하였으나 전월 대비 로는 8.19% 감소하였음.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8-42호 2018.11.26
25
¡ 한편, 석탄수입 제한 조치 시행으로 인해 석탄가격 상승에 대한 우려가 제기됨.
‒ 2017년 3, 4분기에는 석탄수급 불균형이 발생하여 무연탄 가격이 톤당 780~800위안까지 상승
하였으며, 이에 대해 2017년 7월 남부지역 2류 항구에 석탄수입 제한 조치로 인한 것이라는 지적이 있자 12월에는 석탄수입 제한 조치를 일시적으로 완화시킨 바 있음.
※ 2017년 7월 석탄수입 제한 조치가 시행되기 전인 6월의 무연탄 가격은 톤당 560위안이었음.
‒ 또한 4분기에는 동절기로 접어들면서 석탄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12월의 경 우 석탄 소비량이 비수기 기간 보다 평균 3,000만 톤이 늘어남.
¡ 그러나 일부 업계 관계자는 연해지역 6대 발전기업(화넝그룹, 궈뎬그룹, 다탕그룹, 저뎬그룹, 상하이그룹, 광동위예뎬그룹)의 재고량이 비교적 많아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전망함.
‒ 11월 14일 기준 연해지역 6대 발전기업의 재고량은 1,704만 톤, 일일 소비량은 51.6만 톤으로 사용가능일수는 33일에 달해 비교적 높은 수준의 재고량을 유지하고 있음.
(中國煤炭交易中心, 2018.11.16; 彭博, 2018.11.16; 界面新聞, 2018.11.16)
▣중국 지방정부, 신재생에너지 발전 촉진을 위한 새로운 계획 발표
¡ 중국 국가에너지국(NEA)이 ‘전력부문 13.5계획 중기 평가 및 조정 추진에 대한 통지(關於開展
“十三五”電力規劃中期評估及滾動調整的通知)’를 통해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에 대
한 목표치를 조정할 계획이라고 밝힌 가운데, 저장省, 닝샤 자치구, 산시省 등 지방정부는 신재 생에너지 부문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새로운 계획을 발표함.
※ 에너지 관리감독기관은 2018년 상반기에 13.5계획 이행 현황을 평가한 후 NEA에 평가보고 서를 제출해야 하며, 13.5계획에 대한 수정은 이를 바탕으로 진행될 예정임.
‒ 2018년 6월 기준 태양광발전 설비용량은 155GW(발전소 113GW, 분산형 42GW)로 13.5계획에 서 설정한 목표치(110GW)를 초과 달성하였으며, 6월말 기준 풍력발전의 누적 설비용량은 172GW에 달해 2020년까지 확대 가능한 설비용량은 40GW에 불과함.
‒ (저장省) 저장省은 ‘양질의 에너지 발전 촉진을 위한 시행방안(2018~2020년)(浙江省進㊀步
加強能源“雙控”推動高質量發展實施方案(2018-2020年))’을 통해 2020년까지 태양광・풍 력・바이오매스 등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발전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힘(2018.9.30).
※ 2020년까지 석탄 소비량을 2015년 대비 5% 이상 감소시켜 1.31억 톤 이내로 억제하고, 35T/h 이하의 석탄 보일러 856대를 철거할 계획임.
연도 태양광 풍력 바이오매스
2018년 2,000 150 40
2019년 500 50 100
2020년 500 100 100
자료 : 浙江省進㊀步加強能源“雙控”推動高質量發展實施方案(2018-2020年)
< 저장省 신재생에너지발전 설비용량 목표치(2018~2020년) >
(단위 : MW)
2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8-42호 2018.11.26・ 장수省은 해상풍력을 적극 개발하고 있으며 2017년 기준 총 9개의 해상픙력단지가 조성되 어 있고 설비용량은 총 968MW(전체 설비용량 2,788MW)로 내에서 최대 규모임.
‒ (닝샤 자치구) 닝샤 자치구는 ‘닝샤 자치구 에너지 발전 ‘13.5계획’(수정본)(寧夏回族自治區能 源發展“十三五”規劃(修訂本))’을 통해 2020년까지 비화석에너지 총량을 34TWh까지 확대하 고 1차에너지 중 비화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을 13.7%까지 높일 계획임(2018.9.30).
・ 청정에너지 소비 비중 확대 : 2020년까지 비화석에너지의 소비 비중을 10.0%(2015년 7.7%), 천연가스 소비 비중을 4.6%(2015년 3.9%)까지 높이고, 석탄 소비비중은 80%(2015년 82%)까 지 낮출 계획임.
・ 신재생에너지 전원 설비용량 증대 : 2020년의 전원별 설비용량 목표치를 보면, 총 발전설비 용량 54GW 중 석탄화력 32GW, 수력 0.426GW, 풍력 11GW, 태양광 10GW, 가스화력 및 기타 1.2GW이며, 역외 송전능력은 12GW이며, 그중 태양광 설비용량은 2015년~2020년 기간 중 연평균 26.5% 증가하여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 (산시省) 산시省은 ‘산시省 ‘13.5계획’ 에너지 발전 종합 계획(수정본)(山西省“十三五”綜合 能源發展規劃(修編版))’을 통해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발전을 적극 추진할 것이
며, 1차에너지 중 비화석에너지의 비중을 5% 이상으로 높이고 석탄 소비비중을 80%까지 낮
출 계획이라고 밝힘(2018.10.22).
・ 청정에너지 발전설비용량 확대 : 2020년까지 풍력 및 태양광발전 설비용량을 각각 14GW, 10G까지 확대하고, 석탄층 메탄가스(CBM)발전 7GW, 바이오매스발전 0.5GW, 수력 2.5GW 까지 확대할 계획임.
(浙江省發展和改革委員會, 2018.9.30; 寧夏自治區發展改革委, 2018.10.17; 英利光伏, 2018.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