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중동・아프리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중동・아프리카"

Copied!
4
0
0

Teks penuh

(1)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46호 2016.12.26 49

중동 ・ 아프리카

▣OPEC, ’17년 상반기까지 석유 공급과잉 이어질 것으로 전망

¡ OPEC은 최근 OPEC과 주요 非OPEC 산유국들이 감산에 합의하였음에도 2017년 상반기까지 는 국제 석유시장에서 공급과잉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함(2016.12.14).

‒ OPEC은 11월 30일 정례총회에서 약 120만b/d를 감산하는 것에 최종 합의하였으며(인사이

트 제16-44호(12.5일자) pp.55~56 참조), 12월 10일에는 주요 非OPEC 산유국들과 회동하여 11개 非OPEC 산유국이 총 55만8천b/d를 감산하는 것에 최종 합의함.

‒ 감산합의에 따라 OPEC은 2017년 1월 1일부터 6개월간 산유량을 3,250만b/d로 유지해야 함.

・ OPEC은 11월에 전월 대비 15만b/d 증가한 3,387만b/d(2차 자료 기준)를 생산하여 내년 1월 1일부터 약 140만b/d를 감산하여야 함.

‒ OPEC은 2017년 1, 2분기 평균 對OPEC 원유 수요를 약 3,180만b/d로 전망하였으며, 이에 따 라 2017년 상반기에도 공급과잉 상태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음.

・ OPEC은 2017년 연평균 對OPEC 원유 수요는 3,260만b/d가 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주요 非OPEC 산유국의 감산참여로 국제 석유재고량 감소 속도가 빨라져 2017년 하반기에는 국 제 석유시장에서 공급과잉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함.

¡ 반면, 국제에너지기구(IEA)는 OPEC과 주요 非OPEC 산유국들이 감산을 충실히 이행할 경우 2017년 상반기에 국제 석유시장에서 공급이 부족해질 것으로 전망함(2016.12.13).

‒ IEA는 OPEC이 생산량을 3,270만b/d 수준으로 낮추고 11개 非OPEC 산유국들이 55만8천b/d 를 감산할 경우에 2017년 상반기에는 60만b/d가 부족해질 것으로 전망

・ IEA는 OPEC 및 주요 非OPEC 산유국들의 실제 감산량에 대해 전망한 바는 없으며, OPEC 과 주요 非OPEC 국가들이 발표한 감산 목표치를 바탕으로 국제 석유시장 수급에 대한 전 망만을 제시하였다고 밝힘.

‒ 이번 보고서에서 IEA는 전 세계 석유 수요가 2016년에는 140만b/d, 2017년에는 130만b/d 증 가할 것으로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였으며, 非OPEC 산유국들의 석유 공급은 22만b/d 증가하 는데 그칠 것이라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함.

‒ OPEC의 감산합의 이전에는 IEA 역시 적어도 2017년 하반기 전까지 국제 석유시장에 공급부

족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며 4년 연속 공급과잉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 바 있음.

(IEA, 2016.12.13; Financial Times, 2016.12.13,14; OPEC, 2016.12.14)

(2)

5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46호 2016.12.26

▣두바이, 2.4GW 규모의 석탄화력 발전소 건설사업 추진

¡ 두바이는 Hassyan에 2.4GW 규모의 석탄화력 발전소를 건설하는 Hassyan 1 프로젝트를 사우 디 민간기업 ACWA와 중국 Harbin社에 발주함.

‒ Hassyan 1 사업은 민자발전사업(Independent power producer, IPP)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으 며 ACWA(26.95%), Harbin(22.05%), 두바이 전력공사 DEWA(51%)가 지분을 가지고 있음.

・ ACWA와 Harbin은 25년간 1kWh 당 0.045달러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수급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 PPA)을 DEWA와 체결하였음.

‒ ACWA와 Harbin은 총 사업예산 34억 달러 중 24.7억 달러를 중국 국책은행 5곳으로부터 확 보하였고, 나머지는 UAE 은행 4곳, Standard Chartered, 사우디 은행 NCB로부터 조달함.

‒ ACWA는 각 발전시설이 초임계압 보일러(supercritical boiler), 증기터빈, 분탄 및 배출가스 처리시설 등으로 구성될 것이며, 유럽연합(EU)과 국제금융공사(IFC)의 기준보다 더 엄격한 기 준을 적용하여 건설될 것이라고 밝힘.

‒ EPC(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계약에 따라 미국 GE社와 Harbin이 발전소를 건설하고 있음.

‒ 중동경제전문지 MEES(Middle East Economic Survey)는 Hassyan 1 발전소가 최대로 가동되 기 위해서 연간 1,090만 톤의 석탄(hard coal)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하였으며 비슷한 규모의 가스복합발전시설(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가동을 위해서는 320Mcf/d의 가스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함.

‒ 두바이는 본래 Hassyan에 가스화력 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었으나 가스 확보가 용이하지 않 다는 점을 감안하여 석탄화력 발전소 건설을 추진함.

두바이의 전원믹스(설비용량 기준)에서 가스발전의 비중은 99.9%(2015.12월 기준)이며 두바이는 아부다비와 카타르로부터 가스를 수입하고 있음. 두바이는 2030년까지 전원믹스에서 가스발전 비중을 61%로 낮추고 태양에너지 비중을 25%, 석탄과 원자력 비중을 각각 7%로 확대할 계획임.

・ DEWA는 Hassyan 지역에 1.2GW 규모의 석탄화력 발전소 2개를 더 신설할 계획임.

¡ 두바이뿐만 아니라 UAE의 다른 에미리트(emirate)와 MENA 지역 국가들도 석탄화력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음.

‒ UAE 북부 4개 에미리트의 전력공사인 FEWA(Federal Electricity and Water Authority)는

1.8GW 규모의 석탄화력 발전사업 추진을 위해 고문단을 모집한다고 발표하였으나 구체적인

사업일정은 공개되지 않았음.

‒ 북부 지역 에미리트 중 하나인 Ras al-Khaimah는 RAK Maritime City에 발전용량 600MW의 석탄화력 발전소 건설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Utico社는 탄소포집시설을 갖춘 청정 석탄발전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환경영향평가를 마쳤다고 밝힘.

(3)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46호 2016.12.26 51

‒ 석유자원이 부족한 모로코는 이미 3개의 석탄화력 발전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신규 석탄화력 발전소 건설도 추진하고 있음. 이집트 또한 신규 석탄화력 발전사업을 계획하고 있음.

구분 사업명/위치 국가 운영사 /시공사

발전용량 (GW)

석탄소비*

(백만 톤/년) 사업진행 상황

가동 단계

10개 발전소 이스라엘 IEC 4.84 22.02 가스발전으로 전환을 장려

Jorf Lasfar 모로코 ONEE 2.06 9.35 2014년에 발전용량 700MW

확대

Mohammedia 모로코 ONEE 0.30 1.37 150MW급 발전설비 2개로 구성

Jerada 모로코 ONEE 0.17 0.75 55MW급 발전설비 3개로 구성

합계 7.36 33.49

계획 단계

Jerada 모로코 Sepco III 0.32 1.45 건설 단계, 2017년에 가동 예정

Safi 모로코 Engie/Mitsui/

Nareva 1.39 6.32 건설 단계, 2018년에 가동 예정

Hassyan 1 두바이, UAE

ACWA/

DEWA 2.40 10.92 600MW급 발전설비 4개로 구성,

2020~2023년에 가동 예정 Hassyan 2 두바이,

UAE DEWA 1.20 5.46 600MW급 발전설비 2개로 구성

예정 Hassyan 3 두바이,

UAE DEWA 1.20 5.46 600MW급 발전설비 2개로 구성

예정 RAK

Maritime City

RAK, UAE

Utico/

Shanghai Elec. 0.60 2.73 발전용량을 당초 270MW에서 600MW로 확대

W Matrouh 이집트 Elsewedy/

Marubeni 4.00 18.20 EEHC와 양해각서 체결

El

Hamarawein 이집트 Orascom/

IPIC 3.00 13.65 부지 물색 단계

El

Hamarawein 이집트 Shanghai

Elec. 2.64 12.01 전력부와 양해각서 체결

Ayun Musa 이집트 Al-Nowais 2.64 12.01 전력부와 예비계약 체결

El

Hamarawein 이집트 Dongfang

Elec. 1.98 9.01 전력부와 양해각서 체결

합계 21.37 97.22

: * hard coal 기준 자료 : MEES

< MENA 지역 석탄화력 발전소 현황 >

(MEES, 2016.12.16)

▣사우디, 감산 이행에 대해 강력한 의지 표명

¡ 사우디는 감산 이행에 대해 강력한 의지를 표명하였으며 자국의 산유량을 지난 정례총회에서 합의한 수준(1,005만8천b/d) 이하로 낮출 수도 있다는 의사를 밝힘(2016.12.10).

‒ 사우디 Khalid al-Falih 에너지부 장관은 감산합의 발효일인 내년 1월 1일부터 사우디는 감산 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며 기존에 합의한 1,005만8천b/d 이하로 생산할 것이라고 발표함.

(4)

5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46호 2016.12.26

‒ Platts는 이번 Falih 장관의 발언에 대해 ①다른 산유국들에게 감산을 충실히 이행하라는 메시 지를 전하려는 의도이거나 ②다른 국가가 쿼터보다 초과 생산할 경우 자국이 추가로 감산할 수 있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분석함.

‒ 컨설팅기업 Medley Global Advisors는 사우디가 이번 발표를 통해 자국의 감산 의지를 명 확히하였으며 유가가 배럴당 50달러 선 이하로 하락하는 것을 원치 않는 것으로 분석함. 외부 적인 요인보다는 사우디의 내부 변화가 원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함.

‒ 사우디는 감산 합의 이행을 통해 국가 재정상황을 개선하고 경제개혁에 박차를 가하고자 함.

¡ 저유가 상황이 장기화된 가운데 OPEC은 지난 정례회의에서 최종적으로 감산합의를 도출하였 으나 실질적인 감산 이행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견해가 제기되고 있음.

‒ 일각에서는 감산 이행을 강제할 장치가 없고 감산량 중 일부는 이미 자연적으로 감소할 것으 로 전망되어왔던 부분이라는 점에서 실질적인 감산 이행에 대해 회의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음.

‒ 컨설팅기업 Hedgeye는 사우디를 비롯한 걸프만 국가들은 감산 합의를 준수할 것으로 보이나 다른 국가들의 감산 이행 여부는 미지수이며, 감산이 시작되는 2017년 초에도 감산 합의를 이 행하지 않는 국가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

・ Hedgeye는 사우디가 일부 非OPEC 산유국의 감산 불이행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자국의 추

가 감산 가능성에 대한 발언을 한 것으로 분석함.

‒ 사우디 Ali al-Naimi 前석유부 장관은 감산 조치가 국제 석유시장 안정화에 도움을 줄 것이나 실질적으로 감산이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함.

(Platts, 2016.12.11)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