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중동・아프리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중동・아프리카"

Copied!
3
0
0

Teks penuh

(1)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8-20호 2018.6.4 35

중동 ・ 아프리카

▣OPEC, 6월 제174차 정례총회에서 감산 완화 논의 예정

 OPEC은 오는 6월 제174차 OPEC 정례총회(오스트리아 빈, 2018.6.22)에서 非OPEC 감산참여 국들과 감산 완화에 대해 논의할 예정으로 있어, 사우디와 러시아 등 주요 산유국들이 원유 증 산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됨.

‒ 사우디 Khalid al-Falih 에너지부 장관, 러시아 Alexander Novak 에너지부 장관 및 Mohammad Barkindo OPEC 사무총장은 러시아 St. Petersburg에서 열린 국제경제포럼(St. Petersburg International Economic Forum, SPIEF)에서 원유 증산 가능성을 언급하며 6월 OPEC 정례총회 에서 이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밝힘(2018.5.25).

・ 사우디 Khalid al-Falih 에너지부 장관은 St. Petersburg 국제경제포럼(SPIEF) 폐막 이후 기자 회견에서, 원유 소비국들의 불안을 잘 알고 있다며 OPEC 및 非OPEC 감산 참여국들과 공 조하여 2018년 하반기부터 증산하게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2018.5.25).

・ 이에 앞서 al-Falih 장관은 중국 누얼 바이커리(努爾・白克力) NDRC 부주임(NEA 국장 겸직)과의 회동에서 “사우디와 다른 산유국들은 국제 석유시장의 잠재적 공급 감축분과 수요 증가분을 충족시킬 수 있는 충분한 석유 공급을 보장할 것”이라 언급했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힌 바 있음(Washington Post, 2018.5.25).

‒ 또한, OPEC 감산 모니터링위원회(JMMC)는 2018년 4월 감산이행률이 152%라고 발표하면서, OPEC은 공급 부족에 대한 석유 수입・소비국들의 불안을 알고 있으며 국제 석유시장의 안정 과 에너지안보를 위해 OPEC이 기여할 것임을 재확인한다고 밝힘(OPEC, 2018.5.25).

‒ OPEC이 원유 증산을 추진하는 배경은, 최근 이란과 베네수엘라에 대한 미국의 경제제재 재개

및 확대 추진으로 감산이 예상되는 가운데, 이들 국가의 원유 감산 잠재량을 OPEC이 메울 수 있기를 바라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음(WSJ, 2018.5.25).

・ 미국이 빠르게 산유량을 확대시키고 있는 상황에서(2018년 140만b/d 증산 전망), OPEC과 비OPEC의 감산합의가 계속 유지된다면 원유 공급 감소에 따른 가장 큰 수혜자는 미국의 원유 생산자들이 될 것으로 분석됨(WSJ, 2018.5.25).

・ 이와 더불어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세계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이에 따른 원유 수요 감소 전망 등도 OPEC의 원유 증산 추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됨.

 한편, Barkindo OPEC 사무총장은 6월 OPEC 정례총회에서 논의될 OPEC/非OPEC 감산참여 국들의 감산 규모 축소를 통한 증산 합의가 얼마나 견고하고 구체적일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언급함(2018.5.25).

(2)

3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8-20호 2018.6.4

‒ 증산 규모에 대해서는 100만b/d까지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는 OPEC 관계자의 의견도 제시되 는 한편(FT, 2018.5.28), 증산 규모에 대해 사우디와 러시아 간에 이견이 있어 실제 어느 정도 수준에서 결정될지는 미지수임(WSJ, 2018.5.25).

・ 사우디는 국제 석유시장의 수급불균형이 심각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어 30~40만b/d 수준에서 증산을 고려중인 것으로 알려짐.

・ 반면, 러시아는 2018년 4월 기준 감산이행률 152%를 100%로 낮추는데 필요한 70만b/d보다 더 많은 80만b/d 이상을 증산하기 원하는 것으로 알려짐.

러시아 Novak 장관은 국제경제포럼(SPIEF, 2018.5.25)에서, 러시아 기업들은 시장이 과열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며, 러시아 정부는 자국 기업들과 의견을 같이할 것이라고 언급함.

‒ 다만, Barkindo OPEC 사무총장은 증산 규모에 대한 합의를 통하여 OPEC의 원유 생산 조절 활동에 대한 러시아의 기여를 보다 더 확대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함.

・ 한편, 미국은 러시아가 OPEC과의 감산 공조에 이어 증산 공조에도 참여하는데 대하여 단기 적으로는 자국의 물가 안정에 도움이 되어 반길 것이나, 장기적으로는 OPEC과 중동에 대 한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에 부담을 가지게 될 것으로 보임(WSJ, 2018.5.25).

 국제유가는 OPEC과 비OPEC 감산참여국의 감산 완화 가능성이 제기된 이후 하락세로 반전되 었으며, 전문가들은 향후 유가의 변화 방향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음.

유종 5/18 5/21 5/22 5/23 5/24 5/25 5/28 5/29 5/30 5/31 WTI 71.28 72.24 72.13 71.84 70.71 67.88 - 66.73 68.21 67.04 Brent 78.51 79.22 79.57 79.80 78.79 76.44 75.30 75.39 77.50 77.59 Dubai 77.06 76.43 77.28 76.65 77.03 75.78 73.24 - 73.53 75.45 자료 : 석유공사 Petronet

< 국제유가 변화 추이(5/18~5/31) >

(단위 : 달러/배럴)

‒ OilPrice紙의 애널리스트는 “석유가격의 급등세가 이제 멈추었다”고 평가하며, “OPEC과 러시 아 측의 표현에 비추어볼 때 향후 국제 석유시장의 수요를 충당하기 위한 충분한 공급이 있을 것”이라고 분석함.

‒ 반면, 일각에서는 OPEC 증산 가능성 발표(2018.5.25) 이후의 유가 하락이 단기적인 현상일 수 있다며, 국제 석유재고의 과잉 상태가 거의 해소된 상황에서, 산유국들의 증산 여력은 여전 히 낮고 지정학적 위험도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함(McNally 前국가안보회의 고문).

‒ 한편, OPEC 등 주요 산유국들이 감산을 당초 계획했던 올해 연말까지 유지할 것이라는 소식

이 전해지면서 국제유가는 상승세로 전환함(2018.5.30).

・ 5월 3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7월 인도분 WTI유 가격은 전일 대비 2.2%(1.48달러) 오른 배럴당 68.21달러에 거래를 마쳤고,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7월 인 도분 Brent유 가격은 전일 대비 2.8%(2.11달러) 상승한 배럴당 77.50달러를 기록함.

(OPEC, 2018.5.25 Washington Post, 2018.5.25; Wall Street Journal, 2018.5.25; Financial Times, 2018.5.28)

(3)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8-20호 2018.6.4 37

▣사우디 에너지부 장관, Aramco의 IPO 연기 가능성 시사

 사우디 Khalid al-Falih 에너지부 장관은 Aramco社의 기업공개(IPO)가 당초 2018년에서 2019 년으로 연기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함(St. Petersburg 국제경제포럼(SPIEF), 2018.5.25).

Aramco의 IPO는 사우디 Mohammed bin Salman 왕세자가 추진 중인 경제개혁의 일환으로, 지분 5%를 매각하여 사우디의 경제개혁 자금으로 활용할 예정임. Salman 왕세자는 Aramco 의 가치를 2조 달러(매각 규모 1천억 달러)로 평가받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알려짐.

‒ 그간 사우디는 2018년 하반기 중에 IPO를 추진해왔으나 al-Falih 장관이 2019년 중 IPO가 이 루어질 수도 있다는 인터뷰 발언(Bloomberg, 2018.3.8)으로 연기 가능성이 제기된 바 있으며, 이번 국제경제포럼(SPIEF)에서 al-Falih 장관의 발언을 통해 IPO 연기 가능성이 공식 확인됨.

‒ 다만, al-Falih 장관은 “2019년에 IPO를 추진하는 것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most likely)”면 서도 “거래소 상장에 대한 정식 공지가 나올 때까지는 알 수 없는 일”이라고 덧붙여 Aramco 의 상장 일정이 여전히 조정의 여지가 있음을 내비침.

‒ al-Falih 장관은 Aramco는 상장 준비를 모두 마치고 시장이 준비되기를 기다리고 있다며, 상 장 시기에 대해 “Aramco도, 사우디도 아닌 시장이 준비되었을 때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함.

 al-Falih 장관은 Aramco의 IPO가 지연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으나, 시장 전문가들은 Aramco의 목표 시가총액(2조 달러) 미달과 IPO에 따른 잠재적인 법적・제도 적 문제 발생 우려 등 때문인 것으로 분석함(인사이트 제18-10호(3.19일자) pp.39~40 참조).

‒ 대다수 전문가들은 현재 Aramco의 가치가 Salman 왕세자의 목표치에 못 미치는 1.0~1.5조 달 러 수준에서 평가될 것으로 예상함(OilPrice, 2018.5.25).

‒ Aramco의 재무 및 경영 상황은 수십 년간 비공개 상태로 있었기 때문에 IPO 추진 시 각종 법 적・제도적 문제가 제기될 가능성이 있음.

 Aramco가 2019년까지 상장을 고려중인 거래소는 해외거래소 3개(뉴욕, 런던, 홍콩)와 국내 Tadawul 거래소이며, 그중 Tadawul 거래소만이 현재 Armaco의 상장이 확정된 상황임.

‒ Aramco가 2019년까지 해외거래소에 상장될 수 있을지, 해외거래소에 상장된다면 3개 후보 거

래소 중 어느 거래소에 상장될 지는 여전히 오리무중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음.

・ 지난 2018년 3월 al-Falih 장관은 Bloomberg와의 인터뷰에서 “Aramco의 IPO와 관련하여 확 실한 점은 ▲Aramco가 반드시 상장될 것이라는 점, ▲앵커시장(anchor market)은 사우디 Tadawul 거래소가 될 것이라는 점뿐”이라고 밝힌 바 있음(2018.3.8).

(Bloomberg, 2018.3.8; Guardian, 2018.5.25; OilPrice, 2018.5.25)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