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 BOOK
자료번호 A1-2010-0044
연구책임자
연구수행기관 KBS 방송문화연구소 조사년도 2010 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2 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2 년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KBS 방송문화연구소. 2010. 「 지방자치제도에 대한 여론조사 」 . 연구수행기관:
KBS 방송문화연구소.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2 년. 자료번호: A1-2010-0044.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2. 「 지방자치제도에 대한 여론조사 CODE BOOK 」 .
pp. 5-10.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sq1
응답자 성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남자 1 259 50.4 50.4
여자 2 255 49.6 49.6
514 100.0 100.0
sq2
응답자 연령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19-29세 1 78 15.2 15.2
30대 2 83 16.1 16.1
40대 3 119 23.2 23.2
50대이상 4 234 45.5 45.5
514 100.0 100.0
sq3
거주지역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서울 1 107 20.8 20.8
부산 2 38 7.4 7.4
대구 3 27 5.3 5.3
인천 4 27 5.3 5.3
광주 5 14 2.7 2.7
대전 6 17 3.3 3.3
울산 7 10 1.9 1.9
경기 8 113 22.0 22.0
강원 9 15 2.9 2.9
충북 10 15 2.9 2.9
충남 11 21 4.1 4.1
전북 12 20 3.9 3.9
전남 13 20 3.9 3.9
경북 14 29 5.6 5.6
경남 15 32 6.2 6.2
제주 16 9 1.8 1.8
514 100.0 100.0 SQ1. 성별 (목소리로 구분)
SQ2. 실례지만, ○○님의 연세는 올해 만으로 어떻게 되십니까?
SQ3. 거주지역 (DB 자동 체크)
q1
지방자치제도 시행 이후 삶의 질 변화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매우 좋아졌다 1 15 2.9 3.2
좋아진 편이다 2 130 25.3 27.5
변화 없다 3 255 49.6 54.0
나빠진 편이다 4 58 11.3 12.3
매우 나빠졌다 5 14 2.7 3.0
잘 모름/무응답 9 42 8.2
514 100.0 100.0
q2
지방자치단체장 활동 평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1 138 26.8 29.8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2 77 15.0 16.6
과거와 다를 바 없다 3 248 48.2 53.6
잘 모름/무응답 9 51 9.9
514 100.0 100.0
q3
지방자치단체장 긍정적 모습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주민여론 수렴 및 반영 1 150 29.2 35.3
청렴 공정한 행정 집행 2 73 14.2 17.2
행정책임의 제고 3 42 8.2 9.9
기업가형 경영능력 4 31 6.0 7.3
지역사회 갈등의 조정 및 통합 5 83 16.1 19.5
없다 7 46 8.9 10.8
잘 모름/무응답 9 89 17.3
514 100.0 100.0 3. 민선 자치단체장들의 긍정적인 모습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 ○○님께서는 지난 1991년 지방의회 선거 도입과 1995년 지방자치제도 시행 이후 지역주민 의 삶의 질이 어떻게 변화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2. ○○님께서는 민선 지방자치단체장의 활동을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q4
지방자치단체장 부정적 모습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개발공약남발 1 150 29.2 32.9
인사 및 재정의 전횡 2 43 8.4 9.4
협상 및 조정 능력 부족 3 33 6.4 7.2
업무능력 부족 4 39 7.6 8.6
도덕성 과 신뢰성 부족 5 91 17.7 20.0
지나친 정당편향 6 93 18.1 20.4
없다 8 5 1.0 1.1
시민에 대한 위압적 모습 10 2 .4 .4
잘 모름/무응답 9 58 11.3
514 100.0 100.0
q5
지방자치제도 시행 이후 긍정적 변화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민원서비스 향상 1 148 28.8 30.6
행정정보 공개 2 36 7.0 7.5
사회복지서비스 향상 3 110 21.4 22.8
문화예술 4 40 7.8 8.3
도로교통 5 65 12.6 13.5
환경관리 6 22 4.3 4.6
지역경제 7 36 7.0 7.5
없다 9 26 5.1 5.4
잘 모름/무응답 10 31 6.0
514 100.0 100.0 4. ○○님께서는 민선 자치단체장의 부정적인 모습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5. 지방자치를 실시한 지난 20년 간 가장 긍정적으로 변화한 분야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q6
지방자치제도 시행 이후 부정적 변화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전시성 사업/무분별한 난개발 1 190 37.0 44.5
중앙정치정당 예속 2 104 20.2 24.4
지방유지 세력과의 유착 3 86 16.7 20.1
인사전횡 4 41 8.0 9.6
없다 6 6 1.2 1.4
잘 모름/무응답 9 87 16.9
514 100.0 100.0
q7
지방자치 역점 사항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여성, 청소년, 노인, 복지 확대 1 128 24.9 25.5
지역경제 활성화 2 207 40.3 41.3
청렴하고 친절한 서비스 확대 3 92 17.9 18.4
도로교통 서비스 확충 4 20 3.9 4.0
문화예술서비스 확대 5 16 3.1 3.2
친환경적 행정 강화 6 35 6.8 7.0
소외된 계층에 관심 10 1 .2 .2
장애인 복지 확대 11 1 .2 .2
젊은층 일자리 창출 12 1 .2 .2
잘 모름/무응답 9 13 2.5
514 100.0 100.0 6. 지방자치를 실시한 지난 20년 간 나타난 가장 부정적인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7. ○○님께서는 앞으로 지방자치는 어떤 점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q8
지방자치 중점 과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주민 의견 반영 활성화 1 144 28.0 29.4
자치단체장과 의원의 자질과 책임감 2 127 24.7 25.9
주민의 참여와 의식개혁 3 96 18.7 19.6
중앙정부로부터의 독립성과 권한이양 4 33 6.4 6.7
재정적 독립 및 예산 확충 5 36 7.0 7.3
재정의 투명성 확보 6 54 10.5 11.0
잘 모름/무응답 9 24 4.7
514 100.0 100.0
q9_1
기초자치단체장에 대한 인지1: 이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그렇다 1 258 50.2 50.2
아니다 2 256 49.8 49.8
514 100.0 100.0
q9_2
기초자치단체장에 대한 인지2: 소속정당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그렇다 1 233 45.3 45.3
아니다 2 281 54.7 54.7
514 100.0 100.0
q9_3
기초자치단체장에 대한 인지3: 주요공약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그렇다 1 70 13.6 13.6
아니다 2 444 86.4 86.4
514 100.0 100.0 8. ○○님께서는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지방자치를 위해 무엇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생 각하십니까?
9. 현재 거주하시는 지역의 기초자치단체장(시장, 군수, 구청장)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 까? 알고 계신 것을 모두 말씀해 주십시오.
q9_4
기초자치단체장에 대한 인지4: 개인이력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그렇다 1 98 19.1 19.1
아니다 2 416 80.9 80.9
514 100.0 100.0
q9_5
기초자치단체장에 대한 인지5: 전혀모름/무응답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그렇다 1 216 42.0 42.0
아니다 2 298 58.0 58.0
514 100.0 100.0
q10_1
지역 기초의회 의원 인지1: 이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그렇다 1 165 32.1 32.1
아니다 2 349 67.9 67.9
514 100.0 100.0
q10_2
지역 기초의회 의원 인지2: 소속정당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그렇다 1 164 31.9 31.9
아니다 2 350 68.1 68.1
514 100.0 100.0
q10_3
지역 기초의회 의원 인지3: 주요공약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그렇다 1 51 9.9 9.9
아니다 2 463 90.1 90.1
514 100.0 100.0 10. 현재 거주하시는 지역의 기초의회 의원(시/군/구의원)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알고 계신 것을 모두 말씀해 주십시오.
q10_4
지역 기초의회 의원 인지4: 개인이력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그렇다 1 65 12.6 12.6
아니다 2 449 87.4 87.4
514 100.0 100.0
q10_5
지역 기초의회 의원 인지5: 전혀모름/무응답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그렇다 1 301 58.6 58.6
아니다 2 213 41.4 41.4
514 100.0 100.0
q11
지방자치단체 추진사업에 대한 공청회 및 토론회 참여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있다 1 64 12.5 12.5
없다 2 450 87.5 87.5
514 100.0 100.0
q12
지방자치단체 추진사업에 대한 공청회 및 토론회 참여횟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1회 1 20 3.9 31.3
2회 2 25 4.9 39.1
3회 이상 3 19 3.7 29.7
비해당 8 450 87.5
514 100.0 100.0 11. 현재 거주하시는 지역의 기초자치단체에서 추진하는 사업에 대한 주민공청회나 토론회에 참 여한 적이 있으십니까?
12. 그렇다면 주민공청회나 토론회에 몇 차례 참여하셨습니까?
q13
지방의회 예산안 심의 본회의 방청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있다 1 24 4.7 4.7
없다 2 490 95.3 95.3
514 100.0 100.0
q14
지방의회 예산안 심의 본회의 방청횟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1회 1 12 2.3 52.2
2회 2 2 .4 8.7
3회 이상 3 9 1.8 39.1
비해당 8 490 95.3
잘 모름/무응답 9 1 .2
514 100.0 100.0
q15_1
주민참여제도 인지1: 주민 발의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그렇다 1 73 14.2 14.2
아니다 2 441 85.8 85.8
514 100.0 100.0
q15_2
주민참여제도 인지2: 주민 감사 청구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그렇다 1 79 15.4 15.4
아니다 2 435 84.6 84.6
514 100.0 100.0 15. 다음은 지방자치 행정에 대한 주민참여제도입니다. 알고 계신 제도를 모두 말씀해 주시기 바 랍니다.
13. 현재 거주하시는 지역 기초의회의 예산안 심의 본회의를 방청한 적이 있습니까?
14. 그렇다면 기초의회의 예산안 심의 본회의를 몇 차례나 방청하셨습니까?
q15_3
주민참여제도 인지3: 주민 투표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그렇다 1 228 44.4 44.4
아니다 2 286 55.6 55.6
514 100.0 100.0
q15_4
주민참여제도 인지4: 주민 소송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그렇다 1 82 16.0 16.0
아니다 2 432 84.0 84.0
514 100.0 100.0
q15_5
주민참여제도 인지5: 주민 소환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그렇다 1 149 29.0 29.0
아니다 2 365 71.0 71.0
514 100.0 100.0
q15_6
주민참여제도 인지6: 전혀모름/무응답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그렇다 1 207 40.3 40.3
아니다 2 307 59.7 59.7
514 100.0 100.0
q16
지역문제 참여의향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그렇다 1 311 60.5 60.5
아니다 2 187 36.4 36.4
잘 모름/무응답 9 16 3.1 3.1
514 100.0 100.0 16. 우리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기회나 자리가 있다면 참여할 의향이 있습니까?
q17
지방자치제도 시행 이후 주민 참여 활성화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그렇다 1 192 37.4 37.4
아니다 2 256 49.8 49.8
잘 모름/무응답 9 66 12.8 12.8
514 100.0 100.0
q18
지방자치단체 행정에 참여하기 힘든 요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주민들의 참여의식 부족 1 122 23.7 26.0
주민참여제도의 제도적 실효성 부족 2 98 19.1 20.9
지방자치단체의 일방적 행정 3 122 23.7 26.0
지방 의회의 무관심 4 124 24.1 26.4
홍보부족 6 3 .6 .6
잘 모름/무응답 9 45 8.8
514 100.0 100.0
q19
6.2지방선거 투표참여 의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그렇다 1 400 77.8 77.8
아니다 2 49 9.5 9.5
잘 모르겠다 3 65 12.6 12.6
514 100.0 100.0 17. 지방자치 실시 이후 주민들의 정치 및 행정에 대한 참여가 활발해졌다고 생각하십니까?
18. 지자체 행정에 대한 주민들의 참여를 어렵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9. 금년 6월 2일에 치러질 지방 선거 투표에 참여할 의향이 있습니까?
dq1
응답자 학력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중졸 이하 1 106 20.6 20.9
고등학교 졸업 2 184 35.8 36.3
대학교 재학 이상 3 217 42.2 42.8
잘 모름/무응답 9 7 1.4
514 100.0 100.0
dq2
응답자 직업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전업주부 1 163 31.7 32.2
자영업 2 93 18.1 18.4
판매/서비스업 3 18 3.5 3.6
사무/관리직 4 60 11.7 11.9
전문직 5 7 1.4 1.4
생산/기능직 6 16 3.1 3.2
학생 7 56 10.9 11.1
농/임/수산/축산업 8 34 6.6 6.7
무직 9 59 11.5 11.7
모름/무응답 99 8 1.6
514 100.0 100.0
dq3
월평균 가구소득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100만원 이하 1 84 16.3 19.0
101만원 ~ 200만원 2 79 15.4 17.9
201만원 ~ 300만원 3 105 20.4 23.8
301만원 ~ 400만원 4 78 15.2 17.7
401만원 ~ 500만원 5 41 8.0 9.3
501만원 이상 6 54 10.5 12.2
모름/무응답 9 73 14.2
514 100.0 100.0 DQ 3) 실례지만, 귀 댁의 월 평균 가구 소득은 어떻게 되십니까?
DQ 1) 실례지만, ○○님께서는 학교를 어디까지 마치셨습니까?
DQ 2) 현재 ○○님의 직업은 어떻게 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