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지역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국립공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지역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국립공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Copied!
6
0
0

Teks penuh

(1)

지역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국립공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권헌교1*·심규원1*·한상열2·최종관3·권욱영3

1국립공원관리공단국립공원연구원, 2경북대학교농업생명과학대학임학과, 3국립공원관리공단대외협력실

Estimating the Local Economic Impact of National Park Using 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Heon-Gyo Kwon

1

*, Kyu-Won Sim

1

*, Sang-Yoel Han

2

, Jong-Kwan Choi

3

and Uk-Young Kwon

3

1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Namwon 590-811, Korea

2Department of Forest,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702-701, Korea

3Partnership Department,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oul 121-717, Korea

요 약 :본연구는지역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19개국립공원이지역경제에미치는경제적파급효과를 정량적 으로평가하여 국립공원의 기능과 역할에대한 이해 증진과자연 보전 정책 추진의정당성을 제시하는데 그목적

이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19개국립공원 총 7,600명을대상으로 현지설문조사 분석결과, 19개국립공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생산파급 1조 6,524억원, 소득파급 2,917억원, 부가가치파급 7,965억원, 고용파급 28,333명으로나타났다.

주요어 :지역산업연관분석, 국립공원, 경제적파급효과

Abstracts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economic impacts of the korea national park using a direct survey-based regional input-output (I-O) analysis and present the justification of nature conservation policy, better understanding role and function of National Park. On-site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in nineteen national parks from 2009 to 2011. Total of 7,60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visitors' total expenditures in national park neighborhood generated output impact of 1,652.4 billion Won, income impact of 291.7 billion Won, value-added impact of 796.5 billion Won, and employment impact of 28,333 part-time and full-time jobs.

Key words :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National Park, Economic impacts

서 론

국립공원은 우리나라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을 대표하는 지역이다. 우수한 생태적환경과더불어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천연기념물, 전통사찰 등이 다수 서식·소재 하고 국민의 보건휴양 및 정서함양 등 삶의 질 향상에 이바 지하고 있어 국립공원의 중요성과 생태계 보전 우선 정책은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도

2012~2014년 중장기 경영목표로 ‘자연보전의 핵심, 생태복

지의 선도기관’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4대 전략목표(공원자 원의 지속성 확보, 생태복지 기능제고, 미래성장 기반구축, 공원관리 역량강화)와 14개 세부 전략 과제(공원관리 참여 와 지역사회 복리증진 등)를 마련하여 국립공원의 자원보전,

지속가능한 이용도모, 지역사회와 동반성장을 위한 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국립공원관리에서발생되는사회구성원간의갈등은국립 공원의엄정한자원보전정책과이용우선의상반된입장에서 발생하는 자원배분의 문제이다. 그동안 보전우선 관리정책 이 국민적 지지에도 불구하고 국립공원 지역주민들에게 적 극적 호응을 받지 못한 것은 국립공원구역 내외 규제수준의 차이와 이로 인한 형평성의 문제, 국립공원 지역 내 개발을 통한재산증식욕구, 엄격한 규제로인한주거 및생산활동 의제약때문이었으며(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999), 국립공 원의 엄정한 자원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의 이념적 갈등은 지역주민의 권리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는 지방정부로부터 국 립공원관리의 지원과 협조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했

*Corresponding author

E-mail: kwonhongyo@hanmail.net

(2)

다(한상열 2008).

그러나국립공원관리에있어자원보존우선 정책이반드 시 지역주민과 갈등을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는 것에는 반론 의 여지가 있다. 지속적인 자원보전 우선 정책은 단기적 수 익 지향적인 지역주민에게는 일부 불이익을 가져다주는 것 이 사실이었지만, 중장기적 측면에서는 국립공원의 자연성 이 최소한 현재상태를 유지하거나개선됨으로써 지속가능 한이용이 가능하고, 국립공원소재지역의생태관광 산업을 중심으로 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한상열과 권헌교 2007). 실제로 전 세계 기준 으로 자연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생태관광은 매년 그 수요가 약 8%씩 증가하고 있으며 관광개발이나 관광지 이용에 따 른 문제점을 보완하면서 지역사회에 경제적 편익을 제공할 수 있어미래 수요증가는 이미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오수경 2004; 박은희 등 2010). 따라서 중장기적 관점에서

엄정한 자원보전 우선 정책은 생태계의 건강성 유지뿐만 아 니라 지속가능한 이용과 생태관광 산업을 통해 지역경제 활 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지역산업연관분석을 통해 국 립공원이지역경제에미치는경제적파급효과를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자원보전우선정책추진의타당성확보, 지역주민 들의 자발적 환경 보호활동 유도, 국립공원 관리 이해관계 자(정부, 지방자치단체, 국립공원관리공단, 지역주민, 사찰,

NGO 등) 간의 관계 개선과 사회적 합의 형성을 위한 전략

적 수단을 발굴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1. 산업연관분석

국립공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서는 타산업과의 연관관계를 고려한 산업연관분석(input-

output analysis) 모형이 필요하다. 산업연관분석이란 일정 기

간 동안 행해진 경제 활동을 산업 부문별로 구분하여, 각

부문에 투입(input)된 것과 산출(output)된 것의 상호관계를

파악하는 경제 분석 방법이다(Leontif 1936; 강광하 2002;

Wu and Chen 1990). 기본적으로 산업연관분석은 산업연관

표에 기초하며 산업간 상호연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어 국립 공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는데 매우 유 용한 분석도구이다. 과거경제적 파급효과 측정 방법은 전 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경제구조분석을하여전국 어느 지역에서도 동일한 경제효과 나타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 지 못하고 단지 산업 간 차이를 분석하는 수준이었다. 그러 나 2009년 한국은행에서는 전국 16개 시·도 행정구역으로 구분하여 지역 산업연관표를 발표함에 따라 지역 내 산업간, 지역 간경제교류분석이가능해져지역별로생산, 고용, 소 득, 부가가치 파급효과 분석이용이하게 되었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한국은행에서발표한지역 산업연관표를활용하 여 국립공원 탐방활동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 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지역산업연관분석은 각 산업부문의 원재료투입구성비를 나타내는 지역 투입계수의도출로부터 시작하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투입계수는 각 산업부문이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다른 산업부문으로부터 구입한 각종 원재료 및 연료 등 중간투입액과 부가가치를 그 산업부문의 총 투 입액(=총 산출액)으로 나눈 것이며, 이는 각 산업부문에서 한 단위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각종 중간재 및 부가가치의 구성비를 나타낸다. 지역 간 산업연관표에서중간투입물은 공급지역에 따라 지역 내 생산품, 타 지역 생산품 및 수입 품으로 구분되며 타 지역 생산품은 생산된 지역에 따라 재 구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역 간 산업연관표의 투입계수 는 크게 지역 내 투입계수, 지역 간 투입계수 및 수입 투입 계수로 구분할 수 있다. 전 지역을 지역 1과 지역 2의 두 지역으로 구분한 그림 1의 지역간 산업연관표의 투입계수 산출방법에서, 지역 1이 생산활동을 하기 위해서 자기 지역 및 타 지역에서 구입한 중간재(Z11, Z21), 수입중간재 (M1) 및 부가가치(V1)를 지역 내 산출액(X1)으로 나눈 값이 투입계수가 된다. 따라서 지역 1의 지역 내 투입계수는

, 지역 간 투입계수는 , 수입투입 계수는 , 부가가치계수는 으로나타 낼 수있다.

1) 생산유발계수

생산유발계수는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최종수요가 발생했 을 때, 각 지역 및 산업부문으로 파급되는 생산유발효과의 크기를 계측하는데 이용되는매개변수이다. 지역간산업 연관표에서각 지역의각산업부문에서 생산된생산물은중 간수요(Z)와 최종수요(Y)로배분되는데 두 지역으로 구성된 지역 간 산업연관표는 식 (1), 식 (2)와 같다.

(1) (2) 식 (1), 식 (2)에서 중간투입액을 총 산출액으로 나눈 투입 계수(Aij=Zij/Xj)를 대입하여 변환하면 식 (3)과 같다.

(3) A11d

=Z11/X1

( ) A21d

=Z21/X1

( )

A1m(=M1/X1) A1v(=V1/X1)

Z11 + Z12 + Y11d + Y12d = X1 Z21 + Z22 + Y21d

+ Y22d

= X2

A11d A12d A21d A22d

X1 X2 + Yd1

Yd2 = X1

X2

그림 1. 지역 간 산업연관표 투입계수 산출방법.

(3)

여기서, 이다. 이를 다시 행렬 기호를 이용하여 최종수요와생산과의 관계를 나타내면 식 (4), 식 (5), 식 (6)과 같다.

(4) (5) (6) 여기서, Ad는 국산투입계수행렬, X는 총산출액 벡터, Yd는 국산품에 대한 최종수요 벡터, I는 단위행렬이다. 식 (6)에 서 (I=Ad)−1을 생산유발계수라고하는데생산유발계수는최 종수요가한단위 증가하였을경우 이를 충족시키기위해서 각 산업부문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산출규모를 나타 내며, 두 지역으로 구성된 지역 간 산업연관표에서 생산유 발계수 는 식 (7)과 같다.

(7)

지역 간 산업연관표의 생산유발계수를 간단히 행렬로 표 시하고, 이를 이용한 지역 간 산업연관표는 식 (8)과 같으며 여기서 이다.

(8)

2) 산업별소득, 부가가치, 고용유발효과

최종수요의 증가는 생산을 유발하며 이는 다시 생산과정 에서 투입된 소득(피용자보수), 부가가치 및 노동량을 통해 서 소득, 부가가치 및 고용에 각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산 업별소득 유발계수는최종수요에 의해서생산이 유발되고 생산활동을통해서소득(피용자보수)이창출되기때문에총 투입액 중에서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소득계수 의 대각행렬인 을 이용하여 식 (9)와 같이 소 득유발계수를 구할 수 있다.

(9)

산업별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최종수요에 의해서 생산이 유발되고 생산활동을 통해서 부가가치가 창출되기 때문에 총 투입액 중에서 부가가치투입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 내는 부가가치계수 의 대각행렬인 을 이용하 여 식 (10)과 같이 부가가치유발계수를 구할 수 있다.

(10)

산업별 고용유발계수는 일정기간 동안 생산활동에 투입된

산업별 노동량(L)을 산출액(X)으로 나눈 고용계수

의 대각행렬인 을 이용하여 식 (11)과 같이 각 지역의 고 용유발계수를 구할 수 있다.

(11)

3) 국립공원 지출부문분류

지역 산업연관모형을 19개 국립공원 탐방활동과 관련된 산업분야에 적용시킬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지역 산업연관 표상에서 어떻게 분류하고 통합할 것인가이다. 왜냐하면 국 립공원 관련 산업의 분류 및 통합방식에 따라 각종 승수의 크기가 영향을받게되며, 그 결과 총파급효과에도 영향을

미칠수 있기 때문이다(김남조 1998). 국립공원 탐방특성과

유사한 국내·외 선행연구 사례를 살펴보면, 대체로 숙박업·

관광교통업·음식점업·도소매업·문화오락서비스업·기타 서비스업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김규호와 김사헌 1998; 한 국개발연구원 1998; 이충기 2003; 한상열 2008; 한국문화관

광연구원 2010).

국립공원 탐방객들이 지출한 금액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우선국립공원 탐방을 위한 지출액을 지역 산업연관표의 연관부문과 일치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표 1과 같이 2009년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2005년 지역 산업연관표”의 기본부문(168부문)에서 32부문으로 통합하였다.

2. 자료 수집

본 연구는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관리하는 19개 국립공원 을 대상으로 하였다. 현지 설문조사는 19개 국립공원 전체 탐방객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선정을 위해 각 국립공원 별 주요 탐방집중지역을 중심으로 통계적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규모하에서현지설문조사(on-site survey)를 실시하였

다. 조사시기는각공원별성·비수기를 구분하여 실시하였 으며 설문조사에서 여행비용 지출항목은 선행연구에서 도출 된 결과들을 기초로 농·특산물구입비, 문화재관람료, 시설 이용료, 식비, 잡화구입비, 자가용교통비, 버스운송비, 숙박 비, 기타비용으로 구성하였다. 여행비용 발생지점은 국립공 원 인근지역, 국립공원소재지방행정구역(도단위), 출발지에 서 최종목적지까지 전체구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Y1d = Y11d + Y12d + Y2d = Y21d + Y22d

AdX + Yd = X I A– d ( )X = Yd X = (I A– d)1Yd

I A– d ( )1 I A– d

( )1 = I 0 0 I − A11d

A12d

A21d

A22d

⎩ ⎭

⎪ ⎪

⎨ ⎬

⎪ ⎪

⎧ ⎫1

= I A– 11d –A12d A – 21d I A– 22d

1

B = (I A– d)1

X1

X2 = B11B12 B21B22

Y1d Y2d

As(=S1/Xi) Aˆs

s(I A– d)1 = Aˆ

1s

0 0 Aˆ

2s

B11 B12 B21 B22

Av(= Vi/Xi) Aˆv

v(I A– d)1 = Aˆ

1v

0 0 Aˆ

2v

B11B12

B21B22

l(= Li/Xi) lˆ

lˆ(I A– d)1 = ˆl

1 0 0 lˆ

2

B11B12 B21B22

표 1. 지역산업연관표상 국립공원 지출부문 분류

지출부문 지역 간 산업연관표(168부문) 농림수산물구입비 001. 벼 - 011. 수산어획 특산물구입비 129. 도소매업

시설이용료 137. 운수보조서비스

식비 130. 음식점

잡화구입비 019. 육류 및 육가공품 - 034. 담배 자가용교통비 053. 나프타 - 055. 기타석유제품 버스운송비 133. 도로운송

숙박비 131. 숙박

(4)

여행비용은 여행 출발지점에서 종료시까지 예상되는 전체 비용으로 조사하였다. 표본추출방법은 모집단의 대표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단순무작위추출(simple random sampling)방법이나 계통추출법(systematic sampling) 적용이 이상적이나, 국립공원 이용공간이 넓게 산재되어 있으며, 접 근 경로가 다양하기 때문에 2가지 방법적용이 사실상 불가

능하다. 따라서 조사대상 국립공원별로 탐방집중지역을 선 정하고 조사원을 배치하여 가능한 탐방객의 성별비율 및 연 령층을다양하게조사하도록하는편의추출방법(convenience

sampling)을 적용하였다. 설문조사방법은 1:1 대인개별면접

법에 의한 출구조사, 표본크기(sample size)는 각 국립공원별 전체 탐방객을 모집단으로 하고, 모집단 특성을 정확하게 표 2. 오대산국립공원 탐방객의 연간 총 여행비용

구 분 총비용 농산물구입비 특산물

구입비 문화재 관람료 시설

이용료 식 비 잡화

구입비 자가용 교통비 버스

운송비 숙박비 기타 인근지역 1인·1일(원) 27,976 2,182 1,028 1,183 688 5,454 1,324 5,879 596 9,299 341

1년(백만원) 32,259 2,516 1,186 1,365 793 6,289 1,527 6,779 688 10,722 394 지역내 1인·1일(원) 36,313 2,809 1,326 1,322 858 7,552 1,773 6,918 731 12,681 341 1년(백만원) 41,872 3,239 1,529 1,524 990 8,709 2,045 7,977 843 14,623 394 전체 1인·1일(원) 40,632 3,256 1,427 1,352 909 8,201 2,232 8,484 826 13,605 341 1년(백만원) 46,852 3,755 1,646 1,559 1,048 9,456 2,573 9,782 952 15,687 394

※인근지역: 국립공원이 소재하는 시·군 지역, 지역 내: 국립공원 소재 광역 도내 지역

표 3. 강원도 지역 국립공원 승수도출

산업부문 생산승수 소득승수 고용승수 부가가치승수

지역내 지역외 지역내 지역외 지역내 지역외 지역내 지역외

일반산업 부문

광산품 1.2542 0.4996 0.3618 0.0693 0.0107 0.0045 0.6795 0.1891 석유/가죽제품 1.2053 0.9779 0.1741 0.1490 0.0215 0.0094 0.3192 0.3440 목재/종이제품 1.3193 0.7287 0.1819 0.1099 0.0177 0.0064 0.3688 0.2630 인쇄/출판/복제 1.1557 0.7696 0.2662 0.1228 0.0171 0.0063 0.5512 0.2850 석탄제품 2.8343 0.9030 0.6129 0.1324 0.0167 0.0079 0.3919 0.3426 화학제품 1.2048 0.8336 0.1781 0.1143 0.0078 0.0067 0.4195 0.2864 비금속광물제품 1.4424 0.6123 0.2316 0.0832 0.0073 0.0059 0.4833 0.2306 제1차금속제품 1.2241 0.5679 0.1176 0.0674 0.0025 0.0059 0.2799 0.1872 금속제품 1.1639 1.3335 0.1952 0.1561 0.0128 0.0124 0.3196 0.3864 일반기계 1.1828 1.1128 0.2139 0.1520 0.0081 0.0091 0.3683 0.3531 전기/전자기기 1.1962 0.9486 0.1679 0.1302 0.0079 0.0075 0.3124 0.3193 정밀기기 1.1732 0.9271 0.1303 0.1389 0.0074 0.0074 0.2898 0.3409 수송장비 1.2466 1.2938 0.2059 0.1665 0.0053 0.0090 0.3298 0.3815 가구/기타제품 1.1943 0.9548 0.2317 0.1400 0.0168 0.0082 0.4037 0.3250 전력가스/수도 1.1125 0.3998 0.1828 0.0513 0.0030 0.0029 0.6413 0.1451 건설 1.2528 0.7837 0.3158 0.1075 0.0122 0.0066 0.5613 0.2602 운수/보관 1.2256 0.4658 0.3642 0.0559 0.0117 0.0029 0.4660 0.1705 통신/방송 1.3791 0.4625 0.2337 0.0876 0.0066 0.0047 0.6809 0.2175 금융/보험 1.4070 0.3538 0.3323 0.0716 0.0138 0.0030 0.7457 0.1838 부동산/사업서비스 1.2119 0.2997 0.1778 0.0546 0.0087 0.0028 0.8178 0.1335 공공행정/국방 1.1631 0.3828 0.4755 0.0588 0.0095 0.0037 0.7649 0.1345 교육/보건 1.1988 0.3765 0.5985 0.0556 0.0191 0.0034 0.7680 0.1372 사회/기타서비스 1.3767 0.5387 0.2695 0.0823 0.0231 0.0052 0.6907 0.1992 기타 1.7638 0.9850 0.1246 0.1559 0.0162 0.0188 0.3905 0.3934

국립공원 지출부문

농림수산품 1.1827 0.4991 0.0934 0.0619 0.0505 0.0067 0.7007 0.1731 숙박업 1.1933 0.3887 0.3170 0.0566 0.0263 0.0036 0.7592 0.1470 시설이용 1.0970 0.1552 0.1212 0.0233 0.0061 0.0014 0.9020 0.0613 버스운송 1.1454 0.5839 0.3333 0.0627 0.0168 0.0027 0.5678 0.2251 도소매 1.3162 0.3523 0.2985 0.0592 0.0409 0.0035 0.7611 0.1520 잡화구입비 1.3255 0.5731 0.1020 0.0772 0.0138 0.0134 0.6360 0.2235 교통비 1.1985 0.9319 0.1080 0.1100 0.0032 0.0055 0.2148 0.2894 음식점 1.2755 0.5295 0.1977 0.0658 0.0347 0.0126 0.6673 0.2052

(5)

파악하기위해 통계학의 적정표본 수선정방법을 적용하여

공원별 400부(총 7,600명)를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조사의

표본오차는 공원별 95% 신뢰수준에 ±4.9%p이다.

분석결과 1. 국립공원 여행비용 및 승수도출

국립공원탐방객여행비용은공원인근지역, 지역내(도내), 출발지에서부터전체로구분하여지출한금액을 조사하였으 며 가족이나 단체 탐방객의 경우에는 전체 지출비용을 1인 당 비용으로 환산하여 분석하였다. 19개 국립공원 가운데 하나의 사례로 오대산국립공원 탐방객의 연간 총 여행비용 은 표 2와 같다.

승수도출은 비경쟁수입형표인국산거래표를 이용하여 생 산, 소득, 부가가치, 고용승수를도출하였다. 소득승수는지 역주민에게 지출되는 개인소득을 의미하며, 부가가치승수는 피용자보수, 영업승수, 고정자본소모, 간접세, 보조금(공제항 목)을 의미한다. 또한 고용승수는 승수산출 시 100만 원 당

1단위로 표시된다. 표 3은 16개 지역별로 도출된 승수 가운

데강원도 지역의 32개 부문통합승수결과이다.

2. 경제적 파급효과

공원별 경제적 파급효과는 국립공원 지출부문별 연간 총 여행비용(지출부문별 여행비용×연간 총 탐방객 수)에 해당 승수를 고려하여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19개 국립공원이 지 역경제에 미치는 연간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파급 1조

6,524억원, 소득파급 2,917억원, 부가가치파급 7,965억원, 고

용파급 28,333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별로는 한려

해상국립공원, 북한산국립공원, 설악산국립공원이 상대적으 로 높았다. 한려해상과 설악산국립공원의 경우 다양한 자원 특성, 지리적 위치 등의 원인으로 여행비용이 높기 때문에, 북한산국립공원의 경우 1인·1일 여행비용은 낮지만 연간 탐 방밀도가높기 때문에파급효과가큰 것으로판단된다.

반면, 월출산국립공원, 태안해안국립공원, 주왕산국립공원 의 경우 낮은 탐방밀도, 유류유출사고에 따른 자원훼손 및 탐방객 감소, 열악한 접근성 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파급 효과가 낮게 나타났다(표 4).

결론 및 고찰

우리나라 국립공원은자연생태계및 역사·문화자원보전 뿐만 아니라 국민의 보건휴양 및 정서함양, 지역경제 활성 화 등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립공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자원보전 우선 정 책추진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국립공원이 사회에 기여하는 경제적계량 정보를발굴하는것은매우 중요하다. 또한, 국 립공원 자원보전 정책은 장기간에 걸쳐 국가예산이 투입되 는 사업이기 때문에 국가예산이 효율적으로 집행되어 사회·

경제적 성과가 발휘되었는가를 판단할 수 있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지표에 대한 요구는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전국 적으로 분산·분포 되어있는우리나라국립공원 특성상, 특정지역에 위치한 국립공원의지역경제 파급효과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정책입안자와 지역주민에게는주요 관심사중 하나이다.

경제학적 측면에서 지금까지 국립공원과 관련된 정책연구 들은 주로 환경적 편익과 야생 동 ·식물의 보존 및 선택적 가치인 비이용 가치(nonuse value)와 같은 시장메커니즘에서

벗어난 외부효과(externality)를 평가하는 데 국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가상적인 시장을설정하여 평가되기 때문에 결과들에 대한 사회적 신뢰성과 현실적 활 용성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19개 국립공원, 7,600 여 명을 대상으로 여행비용을 조사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19개 국립공원이지역경제에 미치는연간경제 적파급효과는생산파급 1조 6,524억원, 소득파급 2,917억원, 부가가치파급 7,965억원, 고용파급 28,333명인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19개 국립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투자비용

(2011년 국립공원관리공단 예산: 171,645백만원)과 비교하면

약 15.97배(Benefit/Cost)의 경제적 효과가 있으며, 우리나라 국립공원이자연생태계보전뿐만아니라경제적측면에서도 국가나지역사회에미치는순기능이매우 크다는것을시사 한다.

마지막으로 최근 국립공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엄정한 자원보전, 지속가능한 탐방서비스 제공, 지역사회와 협력을 표 4. 국립공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

국립공원명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파급(억원) 소득파급

(억원) 부가가치파급

(억원) 고용파급 (명) 지리산국립공원 1,047 169 500 1,918 북한산국립공원 2,466 376 1,005 3,949 설악산국립공원 1,918 418 1,015 3,707 한려해상국립공원 2,852 534 1,392 5,195 태안해안국립공원 146 25 72 279 경주국립공원 1,483 355 841 724 계룡산국립공원 665 93 301 1,191 속리산국립공원 633 93 303 1,303 내장산국립공원 466 71 211 771 변산반도국립공원 722 124 347 1,483 월출산국립공원 133 15 63 26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421 62 196 859 가야산국립공원 390 59 175 623 덕유산국립공원 1,354 219 690 2,391 오대산국립공원 505 93 258 1,021 주왕산국립공원 236 39 96 410 치악산국립공원 239 36 114 455 월악산국립공원 480 74 227 1,058 소백산국립공원 368 62 159 727 합계 16,524 2,917 7,965 28,333

(6)

통한공익적가치 증대라할 수있다. 따라서본 연구결과 는국립공원의 자원보전및지속가능한이용 정책과관련된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지역사회, NGO, 사찰 등 국립공원 이해당사자들 간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조정하고 국립공원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홍보, 사업예산 확보를 위한 효과성 평 가, 사회 구성원과의 사회적 합의 형성을 위한 정책 자료로 활용할수 있을것이다.

사 사

본 연구는 2009~2011년 국립공원관리공단 주민지원사업 비에 의해 수행됨

참고문헌

강광하. 2000. 산업연관분석론. 연암사.

국립공원관리공단. 2011. 2010국립공원기본통계.

김규호, 김사헌. 1998. 지역산업연관모형에의한관광산업의경제

적효과분석: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22(1): 151- 171.

김남조. 1998. 산업연관분석에서산업통합방법에의한관광승수

의비교분석. 한국관광학회 22(1): 172-188.

박은희, 김통일, 권헌교, 정원옥, 한상열. 2010. 지리산국립공원칠

선계곡탐방만족도및지역경제파급효과. 한국산림휴양학회 지 14(1): 41-48.

오수경. 2004. 여행사의생태관광상품개발에관한연구. 한국여성

교양학회지 13: 151-168.

이충기. 2003. 관광응용경제학. 일신사. pp.294.

한국개발연구원. 1998. 2202년한일월드컵축구대회의국가발전 적의의와경제적파급효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지역산업연관표를활용한관광산업의 경제파급효과분석.

한국은행. 2009. 2005년지역산업연관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999. 환경친화적 국립공원관리방안 연구: 국립공원주민지원방안을중심으로. 146p.

한상열. 2008. 산업연관모델을이용한한라산국립공원의경제적

파급효과.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2(2): 21-26.

한상열, 권헌교. 2007. 국립공원의경제적가치평가및국가경제

파급효과. 국립공원연구원. 46p.

Leontief W. 1936. Quantitative Input-Output Relations in the Economic System of the United State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18(3):105-125.

Wu RH, CY Chen. 1990. On the Application of Input-Output Analysis to Energy Issues. Energy Economics 12(1): 71-76.

(2012년 8월 05일 접수; 2012년 8월 24일 채택)

Referensi

Dokumen terkait

Currently, local communities in Soppeng District are building small-scale adaptation strategies based on learned experiences and previous flood events.. Theref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