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ungchul.cho
지역주민의 인지적, 심리적 요인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2015년 11 월 04 일
엄영호 ,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박사과정
엄광호 ,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Contents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서론
UN, 세계행복보고서(2015)
1. 스위스
2. 아이슬란드
3. 덴마크
4. 노르웨이
5. 캐나다
. . . 47. 대한민국
GALLUP, 행복감지수(2015)
1. 파라과이 2. 콜롬비아 3. 에콰도르 4. 과테말라 5. 온두라스
. . . 118. 대한민국
취임사 국정비전
“국민행복”
국민 57회 행복 20회
행복
연구목표
서울시의 주요 정책지표 중 하나인 행복지수에 대하여 지역주민들의 심리적 안정감이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서울서베이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적 분석 수행
지역주민의 행복을 높이기 위하여 지방정부가 어떠한 역할과 정책적 노력을 해야하는지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 분석과 정책방향 제안
개인적 영역으로 간주되던 행복 → 정부의 역할로 변화
지방정부 주민의 삶의 질과 행복 증진을 위해 적극적 대응
행복은 개인과 사회의 상호작용으로 사회통합을 통해 창출 되는 가치(장용석 외, 2012)
지방정부는 지역주민의 행복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필요성과 당위성 존재
행복은 주요 정책지표로 고려되어야 함
●
●
Contents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이론적 논의
행복이란
시대와 철학 등 다양한 관점에 따라 그 의미가 조금씩 다르게 정의
행복의 개념은 다양한 연구에서 주관적 안녕감(Subjective Well-being)으로 정의되며 인지적 삶의 만족감, 빈번한 긍정적 정서, 낮은 부정적 정서라는 세 가지 핵심 요소로 측정되어 옴.
(Diener, 1984, 정명은·김미현·장용석(2014)에서 재인용)
사회과학적 접근과 행정학적 고찰
낙관주의 등의 개인자체의 심리적 요인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으로서 행복에 관심 갖기 시작
행복은 독립적 결과물이 아닌 상호 연관된 유기체
행복은 사회통합을 통해 창출되는 가치(장용석 외, 2012)로 개인의 행복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달성되는 것으로 이해됨(Easterline, 1974; Inglehart, 1990; Durkheim, 1997)
더 나아가 행복은 외부적인 자극에 의해 결정되므로 행복은 개인적인 문제가 아닌 사회전체의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이윤희, 2010)
지방정부의 역할과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차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들 보다는 개인과 사회의 상호작용에 따른 결과로서의 행복에 초점
사회경제적 접근
초기 연구에서 주로 접근
젊음, 건강, 교육수준, 소득, 결혼, 직업 등을 주요한 설명변수로 주장
특히, 소득 등의 경제적 요인이 매우 중요하게 강조
이론적 논의 “선행연구 검토”
행복은 다양한 학문에서 광범위하게 연구
개인의 행복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특정계층, 지역으로 연구범위가 확대
행복은 정부의사결정에 있어서 도시 간, 지역 간의 삶의 질 불균형 완화를 위한 도구로 활용 가능하다고 주장 (Gastil, 1970; Schneider, 1976)
지역사회 환경개선을 위한 신뢰성 있고 타당한 참고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고 주장(Milbrath, 1979)
즉, 개인과 환경 그리고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증가
심리적(주관적) 설명변수로 개인의 건강 인식, 가족관계의 만족도(Diener et al., 1999; 이영빈·정창무, 2013)나 사회적 신뢰도(Helliwell and Putnam, 2004), 안정적인 애정관계(혼인유무)(Blanchflower and Oswald, 2004), 낙관주의, 대인관계,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일반적인 정신건강(김명소·한영석, 2006) 등의 다양한 변수들이 분석
개인과 사회의 상호작용으로 인식하는 연구들에서 심리적요인은 주로 사회경제적 요인에 집중
주관적 안녕으로서의 행복을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 과거와 현재를 연결고리로 한 심리적 안정감 등의 연구가 부족
연구경향
심리적 요인
이론적 논의 “국내 행정학 주요 선행연구 검토”
연구범주 연구자 연구주제
공공환경 개선 연구 (QoL 측정 및 결정요인 분석)
박병식(1988) 행정평가지표로서 QoL
하혜수(1996) 도시생활에서의 QoL 결정요인분석
허철행・김도엽(2000) 지방정부의입장에서지역주민의삶의질향상시킬수있는결정요인규명 김구(2003) 전남보성군지역의 QoL 측정및결정요인분석
박철민・이태종・송건섭(2000) 지역주민(경주시민)의 삶의질분석・평가
오영석・이곤수(2006) 도농통합시인경주시를대상으로종전도시지역과농촌지역의주민들의삶의질변화분석 이영균・김동규 (2007) 거주지역특성(경기성남의구시가지와신시가지) 따라 QoL 및그구성요인분석
문경삼・박철민 (2000) 부산해운대구지역주민의 QoL 인식과그에대한우선순위
최준호(2001) 대구와경산시주민들을대상으로한광역자치단체와위성기초자치단체의 QoL 비교 송건섭・권용현 (2008) 대구광역시와인근광역생활권내자치단체간 QoL 비교
송건섭(2008) 대구와미국시애틀의비교를통한광역생활권의 QoL 영향요인분석 이태종・이곤수・송건섭・이승철(2005) 대구와그위성도시인경산및청도와의 QoL 비교
사회현상 분석연구 (사회 혹은 행정현상 설명)
김도희 (2002) 환경변화에따른울산광역시의행정조직의개편과정을분석
정준금・김도희(2008) QoL에 대한시민들의기대를충족시키는지방정부(울산시)의행정전개방식에대한분석・기술
효과성 연구
(특정 계층에서의 QoL 특성 연구)
박경효 (1999) 공무원의 QoL 분석을통한개선방안도출
안동근 (2006) 인터넷이용실태분석을통한청소년의 QoL 및결정요인분석 한석태(2008), 박성복 (2004; 2011) 노인의주관적 QoL 결정요인
최경희・조덕호 (2010) 농촌노인들의 QoL과결정요인분석을통한농지연금제실효성분석 조경호・김미숙 (2000) 공공영역과사영역집단간 QoL 비교
이규환・송용찬 (2011) 지역개발선도기관 (강원랜드) 직원들의 QoL 성도경・이지영 (2010) 결혼이주여성들의 QoL 및결정요인분석 국내 행정학 주요 삶의 질 연구(고영철 · 최상옥(2012; 111) 재인용)
이론적 논의 “가설도출”
심리적 안정감
인지적 만족도
사회·경제적 수준
행복지수
?
지역적 특성
지방정부가 질적 역량강화를 위한 정책적 목표
가설 도출
1. 지역주민의 인지적 · 심리적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행복지수가 높아질 것이다.
2. 지역주민의 경제적 만족도 수준이 증가할수록 행복지수가 높아질 것이다.
3. 지역주민을 위한 사회인프라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행복지수가 높아질 것이다.
4. 지역주민의 녹지환경 및 문화활동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행복지수가 높아질 것이다.
이론적 논의 “심리적, 인지적 요인”
장소애착
도시거주 자긍심
고향 or 고향집
자부심
심리적 안정감
인지적 만족도
D’Amico(2004) 김동근(2008)
김상곤·김성중 (2008)
Ryff and Keyes, 1995 김승권 외(2008)
Contents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3-1 분석자료 3-2 측정지표 3-3 분석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연구방법 “분석자료”
핵심적인 설명변수들인 주민의 심리적 안정감(서울 시민 고향 인식도)와 인지적 만족감(서울시민으로서의 자부심) 문항이 서울서베이에 포함된 2007년부터 가장 최근까지를 분석기간으로 함.
설문문항은 연도별로 문항번호에 차이가 있을 뿐 매년 질문과 하위 문항이 동일한 문항을 대상으로 분석
분석자료
기간 : 2007년 ~ 2014년(8개년)
자료 : 서울서베이(Seoul Survey) 도시정책지표조사 자료
왜 서울인지 : 부산, 대구 등 다른 광역시와 달리 서울은 낮은 정주성과 많은 인구 등으로 다양한 사회문제가 잠재된 지역임
서울서베이 (Seoul Survey)
서울 도시정책지표에 대한 조사 및 분석 실시
시 정책의 객관적 검증 및 서울시민 생활의 질적 수준을 파악하여 서울시 정책추진의 기초자료로 활용
2003년부터 매년 실시되는 통계자료
매년 10월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2만가구 15세이상 가구원 약 48,000여명을 대상으로 가구방문 면접조사
표본추출방법 : 층화집락추출법(Stratified Cluster sampling)
2014년 기준으로 인구, 경제, 도시발전과 주거, 문화, 관광,
복지, 여성과 가족, 환경, 교통, 정보와 참여, 안전과 재난, 가치와 의식 등 총 12개 분야별 지표에 관련된 사항과 가구 조사 기본 문항으로 구성
Contents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3-1 분석자료 3-2 측정지표 3-3 분석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연구방법 “측정지표”
종속변수
서울서베이 “행복지수” 문항 적용
가장 불행 = 0 ~ 가장 행복 = 10의 척도로 구성
5개의 하위문항으로 구성
- 건강, 재정, 친지·친구와의 관계, 가정생활, 사회생활
결측치를 제외한 평균값을 대푯값으로 산출
신뢰도 Cronbach's α = 0.8423
독립변수
인지적·심리적 요인 - 고향 인식도 지표 - 자부심 지표
사회경제적 요인 - 가구소득 지표
- 정치·경제·사회적 계층 인식 지표
사회인프라 요인
- 보행환경 만족도 지표 - 교통이용 만족도 지표 - 도시위험도 지표
녹지문화환경 요인 - 녹지환경 지표 - 문화활동 지표
응답자 특성 변수
거주기간
학력
혼인
성별
연령
주택형태
주택점유형태
서울태생여부
구분 변수 설명 종속변수 행복 매우 불행 = 1 에서 매우 행복 = 10
독립변수
인지적 · 심리적 요인 고향인식도 고향으로 느끼면 1, 아니면 0
자부심 0 – 100점
사회경제적 요인
정치 · 사회 · 경제적 지위 상상 = 1, 상중 = 2, 중상 = 3, 중하 = 4, 하상 =5, 하하 = 6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 = 1, 100~200만원 미만 = 2, 200~300만원 미만 = 3, 300~400만원 미만 = 4, 400~500만원 미만 = 5, 500만원 이상 = 6
사회인프라 요인
보행환경 만족도 매우 불만족 = 1 에서 매우 만족 = 5 교통이용 만족도 매우 불만족 = 1 에서 매우 만족 = 5
도시위험도 전혀 위험하지 않다 = 1 에서 매우 위험하다 = 5
녹지 · 문화 · 환경 요인 녹지환경 매우 불만족 = 1 에서 매우 만족 = 5 문화활동 매우 불만족 = 1 에서 매우 만족 = 5
응답자 특성
거주기간 1 – 93년
학력 초졸 = 1, 중졸 = 2, 고졸 = 3, 전문대졸 = 4, 대졸 = 5, 대학원 수료/졸업 = 6 혼인 기혼 = 1, 미혼 = 2, 이혼/별거 = 3, 사별 = 4
성별 남자 = 1, 여자 = 0
연령 10대 = 1, 20대 = 2, 30대 = 3, 40대 = 4, 50대 = 5, 60대 이상 = 6 주택형태 단독주택 = 1, 아파트 = 2, 연립주택 = 3, 다세대주택 = 4, 기타 = 5 주택점유형태 자가 = 1, 전세 = 2, 보증부월세 = 3, 월세 = 4, 무상 및 기타 = 5 변수요약
연구방법 “측정지표”
Contents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3-1 분석자료 3-2 측정지표 3-3 분석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연구방법 “분석방법”
멀티레벨 분석
구체적으로 확률절편모형(임의절편모형, random intercept model)을 통한 실증분석을 실시
확률절편모형(random intercept model)은 위계선형모형 중 단순한 형태로 오직 절편만이 무작위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모형으로, 집단 내 모형의 특징은 절편계수만이 무작위적인 효과를 갖고 나머지의 회귀계수는 고정 효과(fixed effect)를 갖게 되는 방법론(민인식 · 최필선, 2010)
멀티레벨 분석이 기존의 다중회귀분석과 다른 점은 모형을 정의하는 등식에는 둘 이상의 오차항(잔차)를 포함 하고 있다는 것이며, 오차항에 대한 분산의 검증을 통해 무작위적 효과를 파악하게 됨
통계적 장점
▶ 한 분석에서 개인과 집단적 특성을 함께 파악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생태적 오류(Ecological Fallacy)와 원자적 오류(Atomistic fallacy)를 피할 수 있음
▶ 위계적인 구조로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개인 구성 효과와 지역 맥락 효과를 동시에 분석 가능 ▶ 여러 수준을 동시에 파악함으로써 지역 맥락 간의 차이 또한 파악 가능
연구방법의 적용
서울서베이 자료는 합동횡단면 형태의 시계열 자료이나 패널자료는 아님
서울서베이 자료의 표본추출방법은 층화집락추출법(stratified cluster sampling)을 이용
층(stratum)은 구, 동, 주택유형을 층으로 구성하였으며, 제1층은 구, 25개로, 제2층은 동(행정동), 423개, 제3층은 주택유형, 4개임.
집락(cluster)은 동일한 통/반의 동일한 주택유형을 갖는 세대들을 묶어 집락(cluster)으로 구성
개인 자료를 연도별로 해당 자치구의 평균값으로 구성할 경우 연도별 5만 여명의 개인특성이 사라지는 문제
개인 특성과 지역 특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분석을 실시 가능
Contents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4-1 응답자 특성 및 기술통계
4-2 서울 시민의 행복 영향요인 분석
5 결론
분석결과 “응답자 특성 및 기술통계”
구분
학력 혼인 성별
초졸 중졸 고졸 전문대졸 대졸 대학원
수료/졸업 기혼 미혼 이혼/별거 사별 남 여
빈도 18,991 44,812 137,116 75,115 95,820 5,920 253,519 96,134 11,112 17,517 182,510 195,772
퍼센트 5.03 11.86 36.30 19.88 25.36 1.57 67.02 25.41 2.94 4.63 48.25 51.75
응답자 특성
구분
연령 주택형태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단독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기타
빈도 30,281 54,034 76,151 91,220 67,118 59,478 114,323 92,904 34,473 38,148 666
퍼센트 8.00 14.28 20.13 24.11 17.74 15.72 40.61 33.00 12.60 13.55 0.24
구분
주택점유형태 서울태생
자가 전세 보증부
전세 월세 무상 및
기타 서울
태생 비서울 태생
빈도 164,053 99,687 10,217 6,399 1,158 165,487 212,795
퍼센트 58.28 35.41 3.63 2.27 0.41 43.75 56.25
연도별 행복지수(2007~2014) 지역별 행복지수(평균)
분석결과 “응답자 특성 및 기술통계”
행
복지수고
향인식도자
부심서초구
금천구
강동구
분석결과 “응답자 특성 및 기술통계”
구분 변수 관측치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종속변수 행복지수 378282 6.72 1.23 0 10
독립변수
인지적 · 심리적 요인
고향인식도 378282 0.79 0.40 0 1
자부심 378022 20.99 30.52 0 100
사회경제적 요인
정치·사회·경제적지위 378053 3.96 0.81 1 6
가구소득 374910 4.32 1.37 1 6
사회인프라 요인
보행환경만족도 377963 3.35 0.68 1 5
교통이용만족도 377403 3.46 0.61 1 5
도시위험도 378263 2.86 0.79 1 5
녹지 · 문화 · 환경 요인 녹지환경 285203 3.30 0.87 1 5
문화활동 378049 3.33 0.77 1 5
기초통계 결과
구분 1 2 3 4 5 6 7 8 9
1. 고향인식도 1
2. 자부심 0.0794* 1
3. 정치 · 사회 · 경제적 지위 -0.0253* 0.0361* 1
4. 가구소득 0.0624* 0.0994* -0.3110* 1
5. 보행환경 만족도 0.1041* 0.1400* -0.0308* 0.0658* 1
6. 교통환경 만족도 0.0891* 0.1132* -0.0028 0.0215* 0.4079* 1
7. 도시위험도 -0.0337* 0.0159* -0.0271* 0.0377* -0.0996* -0.1039* 1
8. 녹지환경 0.0494* 0.0621* -0.0220* 0.0929* 0.1383* 0.0909* -0.0148* 1
상관분석 결과 (* : p < 0.05)
Contents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4-1 응답자 특성 및 기술통계
4-2 서울 시민의 행복 영향요인 분석
5 결론
분석결과 “서울 시민의 행복 영향요인 분석”
모형구분 Fixed-effects
비제약 모형 확률절편모형
Coef. S.E. Coef. S.E.
상수향 6.7120*** 0.0310 5.0346*** 0.0308
독립변수
인지적 · 심리적 요인 고향인식도 0.2653*** 0.0053
자부심 0.0035*** 0.0001
사회경제적 요인 정치·사회·경제적지위 -0.2769*** 0.0028
가구소득 0.1971*** 0.0017
사회인프라 요인
보행환경만족도 0.1835*** 0.0034
교통이용만족도 0.2451*** 0.0038
도시위험도 -0.0594*** 0.0027
녹지 · 문화 · 환경 요인 녹지환경 0.0358*** 0.0026
문화활동 0.0771*** 0.0029
Random-effects Parameters Estimate S.E. Estimate S.E.
sd(_cons) 0.1548 0.2197 0.0992 0.0142
sd(Residual) 1.2199 0.0014 1.1289 0.0015
var(_cons) 0.0240 0.0068 0.0098 0.0028
var(Residual) 1.4880 0.0034 1.2744 0.0034
LR test vs. linear regression: (H0: Random-effects = 0) 0.0000 0.0000
Statistics(Log likelihood) -612004.43 -431402.03
분산감소효과 자치구 수준 60%
확률절편모형 분석 결과 (*p<0.1, **p<0.05, ***p<0.01)
분석결과 “서울 시민의 행복 영향요인 분석”
주요 결론
확률절편(random intercept) 모형이 합동(pooled)OLS 추정보다 적절한지를 비제약모형을 통해 검정한 결과
▶ LR (likelihood-ration) test 결과 LR 검정의 귀무가설이 기각되어 비제약모형과 확률절편모형 모두 OLS와 유의미한 차이 존재 ▶ 모형의 적합도 측면에서 살펴보면 변수 및 확률절편효과 추정범위의 확대에 따라,
Log likelihood가 높아져 모형의 전개에 따라 적합도 측면에서의 제고가 이루어지고 있음
서울을 고향으로 인식 할수록, 서울에 대한 자부심이 높을수록 행복하다
▶ 인구이동이 많고 비서울태생의 인구가 많은 대도시이므로 지역주민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정책목표가 필요 ▶ 특히 도시지역이 아닌 농어촌 지역 출신의 사람들에게 더욱 이질적으로 느껴짐
▶ 따라서 현재 거주하는 지역에서 심리적 안정감을 지니고 지속적 거주의향을 높일 수 있도록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 ▶ 전 세계인이 방문하고 싶어 하는 1등 도시 서울에 대한 자부심을 높일 수 있도록 지역주민들과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 ▶ UN공공행정상 대상을 수상한 선도적인 정책들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행복을 줄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수반
선행연구에서 강조되었던 다른 독립변수들 역시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음
▶ 행복은 상대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으므로 가구소득별, 정치·사회·경제적 지위별로 행복지수를 높일 수 있도록 맞춤형 정책이 필요 ▶ 사회갈등을 예방하고 사회통합을 위한 연결고리를 확립 필요
▶ 거주지의 환경적인 만족도를 높이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 필요
- 예를 들어 정책보험인 풍수해보험을 주택 및 온실을 넘어서서 녹지 공간 등의 사유지의 피해 등 보상범위 확대
▶ 잘 구축된 인프라를 바탕으로 문화바우처 등을 보다 다양하고 맞춤형으로 기획하여 노인 등 사회적 약자에 에 대한 문화활동 지원
가설
모두 지지Contents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결론
연구의 함의
이론적 기여
▶ 개인과 사회의 상호작용으로써 심리적 요인의 다양한 해석과 측정, 그리고 실증 분석
▶ 지역주민을 고객에서, 시민으로 더 나아가 행복을 추구하는 보다 가치적인 인간으로 새로운 정체성 부여 ▶ 행복 역시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제공 및 질적 역량 강화를 위한 관리 대상으로 이해
정책적 함의
▶ 지역주민의 행복 증진을 위한 전반적인 정책 방향 제안
▶ 서울이 고향이 아닌 사람들에게 장소 애착을 통한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도입 필요성 제기 ▶ 서울에 대한 자부심을 높일 수 있는 정책 방향 모색을 위해 선도적인 정책 개발을 통한 공공서비스 제공 방안 제시 ▶ 공공서비스 제공 및 질적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 모색에 적합한 의사결정의 기초자료를 제공
장소에 대한 함의 : 개인의 과거와 현재의 연결고리로서 지방정부를 고찰
지방정부가 질적 역량의 강화를 위한 정책적 목표로서 행복 혹은 삶의 질에 관심을 갖고 공공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행정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
연구의 한계
연구결과가 보다 설득력을 얻기 위해서는 각 자치구 단위의 구체적인 세부분석이 추가되어야 함
서울태생에 대한 통제를 통해 정책적으로 장소에 대한 대안을 추가적으로 고찰해야 함
분석결과에 따른 서울시 정책을 구체적으로 비교·분석하여 보다 심도 있는 정책 제안이 모색되어야 함
지금까지 경청해 주셔서
[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