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청년층 일자리 대책 방향과 지역의 역할 - s i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청년층 일자리 대책 방향과 지역의 역할 - s i"

Copied!
7
0
0

Teks penuh

(1)

청년층 일자리 대책 방향과 지역의 역할

청년층고용문제가사회적쟁점이되고있으나이를해결하기는쉽지않 다.통계청의2016년4월「고용동향」에따르면청년층(15∼29세)실업 률은10.9%(실업자수48만4천명)로전체실업률(3.9%)의2.8배수준 이다.실업자와실제시간관련추가취업희망자,그리고잠재구직자 를모두합하면청년층취업애로계층은120만명에이를것으로보인 다.청년층고용률은2000년대초반과비교해도낮은수준이다.2004년 청년층고용률은45.1%였으나2015년에는41.3%를보이고있다.국제 비교를해도우리나라청년층(15~24세)고용률은OECD국가들의평균 보다13.9%p낮은수준이다(2014년기준).우리보다청년층고용률이 낮은국가로는그리스,이탈리아,헝가리,폴란드등이있다.

청년층고용사정이나빠지고있는것은추세적특징으로단기간에해 결되기가쉽지않을전망이다.청년층고용을위축시키는노동시장의구 조적문제와더불어에코세대의노동시장진입에따른청년층노동공급 의확대가향후몇년간지속될전망이어서청년층고용문제에더욱적 극적인대처가요구되고있다.

이 규 용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email protected]

1. 청년층

고용문제의 현실

• 성균관대학교 경제학박사, 현 한국노동연구원 지역고용연구실장

• 최근 연구: “이민정책의 국제비교(2015)”, “한국의 지역고용전략(2014)” 등 저자 학력, 경력 및 최근 연구

취업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취업을 희망하고, 추가취업이 가능한 자

(2)

상단은 15~64세 기준 고용률이며 하단은 14~24세 기준임

OECD Stat Extracts, http://stats.oecd.org

자료

터키 49.3 그리스 49.7

이탈리아스페인멕시코 55.756.1 60.2 슬로바키아아일랜드포르투갈폴란드벨기에헝가리칠레 61.061.962.062.062.262.363.0 슬로베니아유로존프랑스한국 63.964.064.165.5

OECD 평균 룩셈부르크에스토니아오스트리아아이슬란드이스라엘네덜란드뉴질랜드노르웨이핀란드캐나다덴마크스웨덴스위스미국체코호주영국일본독일 65.765.967.868.268.769.170.071.672.072.272.672.873.173.974.074.675.175.1 79.781.4

45.0 55.0 65.0 75.0 85.0

그리스 14.0 스페인

이탈리아 16.0 룩셈부르크

16.6 슬로바키아

19.1 헝가리

22.1 포르투갈

23.0 벨기에

23.5 폴란드

24.2 슬로베니아

25.6 한국

25.8 체코

26.2 프랑스

27.1 아일랜드

27.8 칠레

28.4 유로존

29.9 터키

30.8 에스토니아

32.9 OECD 평균

33.3 일본

39.7 핀란드

40.5 멕시코

41.3 스웨덴

41.4 이스라엘

43.2 독일

44.7

미국 46.2

영국

47.4 노르웨이

48.3 뉴질랜드

49.552.2 오스트리아네덜란드덴마크캐나다스위스 53.354.555.5 60.961.0

아이슬란드 68.5

10.0 20.0 30.0 40.0 50.0 60.0 70.0

<그림 1> 고용률의 국제비교(2014)

(3)

청년일자리문제가심각해짐에따라중앙정부는지속적으로관계부처 합동형식으로청년층일자리정책을발표하고있고,지자체도중앙정부 와궤를같이하거나혹은독자적인대책을마련하여제시하는등청년층 일자리문제에대한원인과진단,그리고정책처방에관한다양한논의 가쏟아지고있다.1997년외환위기직후실업대책의하나로중앙정부 가추진해온청년고용대책은2000년이후부터는구조적인문제에초점 을맞추었으며고용촉진을위한다양한정책방안을모색하였다.2004년 에「청년실업해소특별법」이제정되었으며이법은2009년에는「청년고 용촉진특별법」으로개정하였다.2010년이후청년고용대책은더적극 적으로전개되었다.정부는2010년4월에제1차청년고용촉진특별위원 회를개최하고대책을발표한후2011년10월과2012년9월에2차및 3차대책을발표하였다.2014년4월과2015년7월,그리고2016년4월 에도범정부차원의청년고용대책을마련하였으며2016년대책은청년 층에게직접지원을하는보조금제도의도입이라는특징이있다.

서울시청년일자리대책도중앙정부의일자리대책과유사한틀을갖 추고진행되고있다.서울시자료에따르면서울시청년일자리대책의 추진전략은1)일경험기회확대를통한민간일자리진입지원,2)맞춤 형통합취업지원서비스개선,3)지역·산업맞춤형직업훈련개선,4)고 용지원및창직(jobcreation)지원강화이다.주요사업으로는청년뉴딜 일자리확대,현장중심취업지원서비스,취업성공밀착지원서비스지 원,산업수요에맞는청년전문인력양성,첫일자리경험지원등이다.

<그림 2> 서울시 청년층(15~29세) 경제활동 추이

경제활동참가율(%) 고용률(%) 실업률(%)

2005 54.1 9.0 49.2

8.8 47.5

7.5 47.6

7.7 46.0

44.0 43.6

8.2 8.4 8.3

45.1

43.9 43.3 43.7

8.3 8.7 10.3

2006 52.1

2007 51.5

2008 49.8

2009

48.0 47.7 49.2 47.9 47.4 48.7

2010 2011 2012 2013 2014

(4)

이러한정책들은청년들의일자리문제를완화하는데기여하고있지 만청년층고용문제가크게개선되지않고있는이유는현재의정책처방 으로는한계가있는노동시장의구조적문제에원인이있기때문이다.

또한편으로는현재의정책처방의유효성을제고하기위한실행전략이 미흡한측면도있다.아울러청년층대책과관련하여그동안많은논의 가이루어졌고이들중에는적극적으로모색해볼수있는대안들도있 지만여러가지이유등으로이러한대안들이정부나지자체의정책으로 자리매김하지못하는탓도있다.

청년일자리문제는청년층문제를넘어일자리정책전반에걸쳐있는 문제이기도하며,청년층일자리문제를넘어청년대책이요구되고있기 도하다.그럼에도불구하고현재의여건에서청년층일자리문제해법 을위한효과적인정책대안을지속적으로마련해야할당위성이존재한 다.그런점에서현재의정책처방으로제시되고있는다양한정책프로 그램의한계를검토해볼필요가있다.

청년층노동시장문제를진단하는논의의핵심가운데하나는양질의 일자리가부족하다는점이다.이로인해대졸고학력인력의활용이미 흡하고,중소기업을중심으로인력수급미스매치(부조화)가양적·질적 으로확대되고있는실정이다.청년층에대한수요감소및청년층의노 동시장진입어려움은청년층일자리문제를더욱어렵게만드는요인 으로작용하고있다.이러한상황에서청년층일자리문제의해결을위 해초기노동시장진입에초점을맞춘노동공급중심의예산투입은결과 적으로청년층문제에대한적극적인해결방안이되는데한계가있으며 예산의낭비를초래할우려도있다.

현행과같은방식으로는재정지원일자리사업이청년층일자리문제 해소에크게기여하지못할가능성이있다.청년인턴과같은사업주지 원방식의일자리는사업주에대한지원정책으로자리매김하고있어청 년층에대한일자리유인효과가떨어져정책사업으로하기에는일정한 한계가있다.그리고인력양성이나훈련정책또한투입된인적자본의성 과를확대하고지속성을높이기위한연계정책이마련되지않는한실질 적효과를기대하기가쉽지않다.공급자중심의인력양성만으로는취업 자의직무능력과상대적으로일자리창출여력이큰중소기업현장수요 간의괴리현상을적극적으로해결하기어렵다.아울러중소기업의인력 수급불일치문제의근본원인인임금·복지·장래성등3저(低)문제개 선이미흡하여중소기업의인력난해소와청년층유인이적극적으로이

2. 청년층 고용해법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

(5)

루어지지못하고있는여건에서다양한훈련정책이소기의성과를얻기 는쉽지않다.청년층의노동시장이행촉진및경력형성과노동시장에서 상향이동이라는취업성과의지속성관점에서볼때현재와같은개별적 사업추진을통해서는일자리성과를제고하는데한계가있다.

이는단기적으로쉽게해결될수있는문제가아니다.청년층고용대책 의상당부분은청년층취업역량강화에초점을맞추고있으며초기노 동시장취업성과를강조하고있다.이는양질의일자리가지속적으로확 장되고이러한일자리에서청년층에대한수요가증대해야만효과가있 을수있다.

이런점에서청년일자리대책의방향은노동시장진입촉진지원정책뿐 만아니라청년층일자리의경력관리를강화하는방향으로나아가야한 다.미래비전이보인다면초기노동시장진입도활발해질수있을것이 다.양질의일자리창출과더불어다양한일자리경험이좀더나은일자 리로의디딤돌로이어질수있는환경을만들어주고정책도여기에초 점을맞추어선택과집중을할필요가있다.이러한논의는새로운이야 기가아니며기존에많이지적되어온이행노동시장관점과맥을같이한 다.이행노동시장관점에서일자리사업들을정비하고수요자맞춤형전 달체계의효율화를도모하는정책방향은매우유효하며,이를위한사 업의전달체계와성과관리의재구축및예산의재조정이필요함은주지 의사실이나,여전히이에대한논의가적극적인제도개선으로이어지지 못하는것으로보인다.

청년층일자리문제의해법을위한정책기조변화와부합하는방안을몇 가지제시하면다음과같다.첫째,표준화된정책처방을벗어나목표집 단별정책목표를설정하고이에기초하여구체적인정책을마련함으로 써정책의체감성을높일필요가있다.청년고용대책을마련하기위해서 는청년니트(NEET),신규졸업자,청년층취업취약계층,초기노동시장 진입후이탈자등청년층내다양한정책대상이존재하며,이들의정책 수요는각각차별성을갖고있는만큼대상별맞춤형정책이필요하다.

청년층은다른연령계층보다더다양한정책수요가있음을고려할필요 가있다.

둘째,청년층을위한양질의일자리창출방안에대한실천가능한모 델을만들어나갈필요가있다.청년층의의중임금이나취업희망분야 와제공되는일자리의질이일치하지않는일자리미스매치문제는본질 적으로존재한다.따라서노동수요의변화를도모하지않은채추진되 는‘공급중심의청년일자리정책’이갖는한계가있다.양질의일자리창

3. 청년층 일자리

대책 방향과

지역의 역할

(6)

출문제는경제성장이나산업정책이주된해법이지만성장률제고를통 해양질의일자리수요를늘리는일이쉽지않은것이현실이다.따라서 기존일자리내에서양질의일자리를어떻게확보할것인가에대한방안 들이모색되어야한다.임금피크제나근로시간단축,임금체계의개편 과같은방안이외에도투자유치와일자리모델을연계한협약을체결하 거나지역단위의일자리창출모델을개발할필요가있다.기존의양질의 일자리일부를추가적인일자리에할애하는방식이아닌새로운모델로 서일자리의질이담보되는공생의일자리창출이되어야한다.이를위 해서는일부계층의양보가아닌세대간협력을통한일자리창출이라 는사회적공생에대한논의가모색되어야한다.

셋째,청년층의경력형성지원과이에부합하는노동시장구조개선이 필요하다.우리나라노동시장의이중구조는일자리창출을어렵게만들 고저숙련및저고용함정으로이어질가능성이크다.노동시장이중구 조에따른양질의일자리부족으로고학력인력의활용이미흡하고,중 소기업을중심으로인력부족현상이심화되는인력수급미스매치가양 적·질적으로확대되고있는실정이다.따라서노동시장이중구조해소 를위한실효성있는노동시장정책및산업정책이수행되어야한다.

단기적으로는정부지원을통해격차를보완하는방안도고려할필요가 있다.이방안의실효성을높이기위해서는정부의지원이시장을교란 하지않는것이필요하다.즉인력부족을겪고있지만상대적으로근로 조건이양호하거나노동관계법을잘준수하는기업등을선정하여이들 기업에취업을유도하도록지원방안을마련함으로써기업의근로조건 개선노력과일자리창출및근로자들의실질소득에대한지원이이루어 지도록할필요가있다.

이문제에대한또하나의해법으로노동시장이행촉진에방점을둘필 요가있다.청년일자리대책은노동시장진입촉진지원뿐만아니라경력 관리를강화하는방향으로나아가야한다.경력형성을통해더나은일 자리로옮겨갈수있도록노동시장구조가개선되어야한다.노동시장 이행촉진은결과적으로노동시장이중구조의개선에도기여할것이다.

넷째,청년대책이취업지원을넘어보다근본적인차원에서의접근이 필요하며고용·교육·복지전반을아우르는방향으로추진되어야하고 이를위한정책인프라를구축할필요가있다.청년고용문제의해법을 위해서는성장을통한양질의일자리확대(경제정책),교육제도개선(교 육정책),노동시장이중구조완화(노동시장정책),대·중소기업간격차 완화(산업정책),지역차원의고용전략(지역고용정책)등복합적인접근 이요구된다.청년층일자리대책이가장핵심적인정책임은분명하지만 주거문제나복지문제등이결합되었을때정책의시너지효과를거둘수

(7)

있을것이다.이러한문제인식과정책처방에대해서는종종논의가이루 어졌다.다만문제의인식강도와정책접근을위한정책거버넌스,그리 고예산문제등이종합적으로검토되어야만정책의연계성을통해실효 성을높일수있을것이다.

끝으로이러한정책의실현가능성을제고하기위한지역특화적인청 년고용대책의마련이요구된다.지역단위에서다양한일자리수요에부 합하는핵심역할을청년층이담당하도록하여지역의지속적인발전의 초석을만들어나갈필요가있다.지역차원에서지역수요에부합하는청 년일자리의개발과청년의지역정착성을높이기위한노력이필요하다.

현재와같이지역수요에부합하는훈련이나일자리제공과같은부문적 인접근으로는지역차원의일자리창출이성과를거두기어렵다.현재 지자체차원에서다양한청년일자리대책이모색되고있으며이는더 확장성을갖고추진해나갈필요가있다.지자체단위대책의성과를제 고하기위한몇가지고려해야할사항을언급하면다음과같다.

첫째는지역에서의청년층일자리대상과범위를고려해야한다.이는 지역의노동시장권역및청년층의노동이동과관련되어있다.둘째는 청년대책을일자리문제를벗어나청년대책의관점에서접근하고이는 지역내청년의정착과연계할수있도록해야할것이다.셋째는청년 층일자리문제가중요하지만지역에서의다양한연령계층의일자리문 제와의조화가이루어질수있도록세심한접근이필요하다.지역내계 층간상생의모델이필요한지점이다.넷째는정책추진체계의효율성 이다.지자체,학교,청년단체,기업체등다양한주체간협력과연계를 통해실현가능한대안들을마련해야한다.이는실질적인대안을마련 하는데도움이될뿐만아니라청년니트,지역내취약청년계층의사 회적통합을만들어내는데도이바지할수있을것이다.이러한대안들 이성과를거두기위해서는실행가능한실천모델로나타나야하며지 속적인모니터링을통해수요자체감성을높이는실행전략이병행되어 야할것이다.

1. 고용노동부, 2014, “2014 한 권으로 통하는 청년고용정책”

2. 관계부처 합동, 2010, “청년 내일 만들기(1차 프로젝트)”, 고용노동부 보도자료, 2010.10.14 3. ________, 2011, “청년 내일 만들기 (2차 프로젝트)”, 고용노동부 보도자료, 2011.5.19 4. ________, 2014, “학교에서 직장까지:일자리 단계별 청년고용대책”,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2014.4.15.

5. 이규용, 2015, “청년층 일자리정책의 방향 모색”, 노동리뷰 2015년 7월호, 한국노동연구원 6. 통계청, 2016, “고용동향”, 2016.4

참고문헌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