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태조사 : 사업체
CODE BOOK
자료번호 A1-1996-0026
연구책임자 정인수 (한국노동연구원)
조사년도 1996년
연구수행기관 한국노동연구원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08년
코드북 제작년도 2009년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정인수 . 1996. 「 취업형태 다양화에 관한 실태조사 : 사업체 」. 연구수행기관 : 한국노동연구원.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08년.
자료번호: A1-1996-0026.
❚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9. 「 취업형태 다양화에 관한 실태조사 : 사업체
CODE BOOK 」 . pp. 5-10.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IND
업종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음식료품제조업 15 49 7.7 7.7
섬유제품제조업 17 21 3.3 3.3
의복 및 모피제조업 18 5 0.8 0.8
가죽, 가방, 마구류 및 신발제조업 19 15 2.4 2.4
목재 및 나무제품제조업 20 4 0.6 0.6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제조업 21 2 0.3 0.3
출판, 인쇄 및 기록매체복제업 22 7 1.1 1.1
코크스, 석유정제품 및 핵연료제조업 23 7 1.1 1.1
화학물 및 화학제품제조업 24 26 4.1 4.1
고무 및 플라스틱식품제조업 25 24 3.8 3.8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26 29 4.6 4.6
제1차금속산업 27 17 2.7 2.7
조립금속제품제조업 28 31 4.9 4.9
달리 분류되지 않는 기계 및 장비제조업 29 22 3.5 3.5
사무, 계산 및 회계용 기계제조업 30 1 0.2 0.2
달리 분류되지 않은 전기기계 및 전기변환장치제조업 31 27 4.3 4.3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제조업 32 20 3.2 3.2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제조업 33 13 2.1 2.1
자동차 및 트레일러제조업 34 33 5.2 5.2
기타 운송장비제조업 35 9 1.4 1.4
가구 및 기타제조업 36 14 2.2 2.2
기타 40 5 0.8 0.8
도매 및 상품중개업 51 65 10.3 10.3
숙박 및 음식점업 55 13 2.1 2.1
금융보험업 65 26 4.1 4.1
정보처리 및 기타 컴퓨터운영관련업 72 6 0.9 0.9
기타 사업관련서비스업 74 57 9.0 9.0
교육서비스업 80 66 10.4 10.4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85 20 3.2 3.2
634 100.0 100.0
SIZE
규모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30~99인 1 246 38.8 38.8
100~299인 2 168 26.5 26.5
300~999인 3 173 27.3 27.3
1,000인 이상 4 47 7.4 7.4
634 100.0 100.0
REG
지역==> 변수값 설명 없음
S_SEL
사업장종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하나의 단독사업소 1 378 59.6 59.6
복수의 사업소 2 212 33.4 33.4
무응답 9 44 6.9 6.9
634 100.0 100.0
S_COTE
사업내용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제조업 1 352 55.5 55.5
도소매/음식/숙박업 2 32 5.0 5.0
금융/보험업 3 22 3.5 3.5
사회 및 개인서비스업 4 58 9.1 9.1
기타 5 118 18.6 18.6
무응답 9 52 8.2 8.2
634 100.0 100.0
S_CNT
사업소 전체 근로자수(명)값
유효합계 618
최소값 3
최대값 16000
평균 389.65 (명)
표준편차 927.680
T_CNT
회사전체 근로자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000명 이상 1 126 19.9 19.9
500명~999명 2 65 10.3 10.3
300명~499명 3 76 12.0 12.0
100명~299명 4 123 19.4 19.4
50명~99명 5 79 12.5 12.5
30명~49명 6 93 14.7 14.7
무응답 9 72 11.4 11.4
634 100.0 100.0
UNI
노조유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280 44.2 44.2
없다 2 339 53.5 53.5
무응답 9 15 2.4 2.4
634 100.0 100.0
·귀사업체의 노조 유무
·회사전체의 상용근로자 수
a1
인력난 유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295 46.5 46.5
아니오 2 333 52.5 52.5
무응답 9 6 0.9 0.9
634 100.0 100.0
a2_1
인력난 극복 방법 1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공장자동화 추진 1 62 9.8 21.0
기존인력의 전환배치등 효율적 활용 2 59 9.3 20.0
감량생산 3 9 1.4 3.1
근무시간 연장 4 24 3.8 8.1
외주하청 확대 5 14 2.2 4.7
해외 현지법인 설립계획 6 3 0.5 1.0
중고령자 활용 7 22 3.5 7.5
여성인력의 활용 8 12 1.9 4.1
기존 인력의 전문화 9 18 2.8 6.1
용역업체에 의한 파견근로 활용 11 14 2.2 4.7
일용/임시/파트타임 활용 12 19 3.0 6.4
외국인력 활용 13 19 3.0 6.4
병역특례의 활용 14 6 0.9 2.0
기타 15 9 1.4 3.1
무응답 99 5 0.8 1.7
비해당 0 339 53.5
634 100.0 100.0 1. 귀사는 인력난을 겪고 계십니까?
2. 귀사에서 현재 당면한 인력난을 어떻게 극복하고 계십니까? (중요한 순서대로 두 가지만 골라 번호를 기 입해 주십시오)
a2_2
인력난 극복 방법 2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공장자동화 추진 1 19 3.0 6.4
기존인력의 전환배치등 효율적 활용 2 55 8.7 18.6
감량생산 3 4 0.6 1.4
근무시간 연장 4 35 5.5 11.9
외주하청 확대 5 30 4.7 10.2
해외 현지법인 설립계획 6 1 0.2 0.3
중고령자 활용 7 8 1.3 2.7
여성인력의 활용 8 14 2.2 4.7
기존 인력의 전문화 9 30 4.7 10.2
업존전환 계획 10 2 0.3 0.7
용역업체에 의한 파견근로 활용 11 8 1.3 2.7
일용/임시/파트타임 활용 12 38 6.0 12.9
외국인력 활용 13 9 1.4 3.1
병역특례의 활용 14 22 3.5 7.5
기타 15 5 0.8 1.7
무응답 99 15 2.4 5.1
비해당 0 339 53.5
634 100.0 100.0
a3_1
평균 근속년수: 사무직값
유효합계 610
최소값 0
최대값 40
평균 7.07 (년)
표준편차 5.459
3. 귀사업체의 정규직 사원의 평균 근속년수는 얼마나 됩니까?
▶사무직
a3_2
평균 근속년수: 생산직값
유효합계 610
최소값 0
최대값 60
평균 3.84 (년)
표준편차 4.948
a4_1_1
94년 입직자수(명)값
유효합계 569
최소값 0
최대값 870
평균 53.29 (명)
표준편차 105.155
a4_1_2
95년 입직자수(명)값
유효합계 570
최소값 0
최대값 918
평균 61.18 (명)
표준편차 119.691
4. 귀사업체의 지난 2년간 정규직 사원의 입직자수와 이직자수는 얼마나 됩니까?
2) 95년 입직자수
4. 귀사업체의 지난 2년간 정규직 사원의 입직자수와 이직자수는 얼마나 됩니까?
1) 94년 입직자수
3. 귀사업체의 정규직 사원의 평균 근속년수는 얼마나 됩니까?
▶생산직
a4_2_1
94년 이직자수(명)값
유효합계 569
최소값 0
최대값 893
평균 51.00 (명)
표준편차 107.967
a4_2_2
95년 이직자수(명)값
유효합계 571
최소값 0
최대값 954
평균 60.01 (명)
표준편차 120.753
a4_3_1
94년 정규직총수(명)값
유효합계 526
최소값 0
최대값 9000
평균 362.71 (명)
표준편차 672.583
4. 귀사업체의 지난 2년간 정규직 사원의 입직자수와 이직자수는 얼마나 됩니까?
5) 94년 정규직총수
4. 귀사업체의 지난 2년간 정규직 사원의 입직자수와 이직자수는 얼마나 됩니까?
4) 95년 이직자수
4. 귀사업체의 지난 2년간 정규직 사원의 입직자수와 이직자수는 얼마나 됩니까?
3) 94년 이직자수
a4_3_2
95년 정규직총수(명)값
유효합계 551
최소값 3
최대값 9000
평균 362.49 (명)
표준편차 660.406
a5_1_1
정규직 사원: 남(명)값
유효합계 601
최소값 0
최대값 5611
평균 257.04 (명)
표준편차 518.142
a5_1_2
정규직 사원: 여(명)값
유효합계 602
최소값 0
최대값 3200
평균 94.16 (명)
표준편차 210.423
5. 취업형태별 근로자수 1_2) 정규직사원 여성 5. 취업형태별 근로자수 1_1) 정규직사원 남성
4. 귀사업체의 지난 2년간 정규직 사원의 입직자수와 이직자수는 얼마나 됩니까?
6) 95년 정규직총수
a5_2_1
협력업체 파견: 남(명)값
유효합계 602
최소값 0
최대값 550
평균 4.72 (명)
표준편차 37.484
a5_2_2
협력업체 파견: 여(명)값
유효합계 602
최소값 0
최대값 480
평균 1.91 (명)
표준편차 22.571
a5_3_1
파견업체 파견: 남(명)값
유효합계 601
최소값 0
최대값 700
평균 10.41 (명)
표준편차 55.438
5. 취업형태별 근로자수
3_1) 용역 또는 파견업체로부터 파견된 근로자 남성 5. 취업형태별 근로자수
2_2) 협력업체에서 파견된 근로자 여성 5. 취업형태별 근로자수
2_1) 협력업체에서 파견된 근로자 남성
a5_3_2
파견업체 파견: 여(명)값
유효합계 602
최소값 0
최대값 553
평균 5.75 (명)
표준편차 34.707
a5_4_1
파트타임: 남(명)값
유효합계 602
최소값 0
최대값 95
평균 0.48 (명)
표준편차 5.381
a5_4_2
파트타임: 여(명)값
유효합계 602
최소값 0
최대값 150
평균 1.11 (명)
표준편차 8.148
5. 취업형태별 근로자수
4_2) 파트타임(시간제) 근로자 여성 5. 취업형태별 근로자수
4_1) 파트타임(시간제) 근로자 남성 5. 취업형태별 근로자수
3_2) 용역 또는 파견업체로부터 파견된 근로자 여성
a5_5_1
아르바이트: 남(명)값
유효합계 602
최소값 0
최대값 427
평균 1.23 (명)
표준편차 17.742
a5_5_2
아르바이트: 여(명)값
유효합계 602
최소값 0
최대값 826
평균 3.36 (명)
표준편차 37.943
a5_6_1
임시 일용: 남(명)값
유효합계 602
최소값 0
최대값 171
평균 2.36 (명)
표준편차 12.014
5. 취업형태별 근로자수 6_1) 임시·일용 남성 5. 취업형태별 근로자수 5_2) 아르바이트 여성 5. 취업형태별 근로자수 5_1) 아르바이트 남성
a5_6_2
임시 일용: 여(명)값
유효합계 602
최소값 0
최대값 400
평균 2.83 (명)
표준편차 21.301
a5_7_1
계약직: 남(명)값
유효합계 602
최소값 0
최대값 230
평균 2.19 (명)
표준편차 13.238
a5_7_2
계약직: 여(명)값
유효합계 602
최소값 0
최대값 146
평균 1.52 (명)
표준편차 9.822
5. 취업형태별 근로자수 7_2) 계약직 여성 5. 취업형태별 근로자수 7_1) 계약직 남성 5. 취업형태별 근로자수 6_2) 임시·일용 여성
a5_8_1
기타: 남(명)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583 92.0 92.0
2명 2 1 0.2 0.2
3명 3 3 0.5 0.5
4명 4 1 0.2 0.2
5명 5 3 0.5 0.5
6명 6 1 0.2 0.2
7명 7 1 0.2 0.2
9명 9 1 0.2 0.2
22명 22 1 0.2 0.2
23명 23 1 0.2 0.2
24명 24 1 0.2 0.2
30명 30 1 0.2 0.2
47명 47 1 0.2 0.2
51명 51 1 0.2 0.2
213명 213 1 0.2 0.2
무응답 999 33 5.2 5.2
634 100.0 100.0
a5_8_2
기타: 여(명)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0 592 93.4 93.4
2명 2 2 0.3 0.3
3명 3 2 0.3 0.3
4명 4 1 0.2 0.2
8명 8 1 0.2 0.2
20명 20 1 0.2 0.2
21명 21 1 0.2 0.2
198명 198 1 0.2 0.2
721명 721 1 0.2 0.2
무응답 999 32 5.0 5.0
5. 취업형태별 근로자수 8_2) 기타 여성
5. 취업형태별 근로자수 8_1) 기타 남성
a6_2_1
파트타임: 채용이유 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일시적 결원을 보충하기 위하여 1 246 38.8 66.7
단기업무의 증가 또는 업무량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2 77 12.1 20.9
종업원수를 억제하기 위하여 3 19 3.0 5.1
임금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4 18 2.8 4.9
채용 및 교육훈련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5 1 0.2 0.3
필요한 인재를 채용할 수 없기 때문에 6 1 0.2 0.3
자사에서 육성하기 힘든 전문 기술적 업무이기 때문에 7 6 0.9 1.6
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이 높기 때문에 8 1 0.2 0.3
비해당 0 265 41.8
634 100.0 100.0
a6_2_2
파트타임: 채용이유 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단기업무의 증가 또는 업무량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2 137 21.6 41.0
종업원수를 억제하기 위하여 3 18 2.8 5.4
임금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4 103 16.2 30.8
채용 및 교육훈련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5 19 3.0 5.7
필요한 인재를 채용할 수 없기 때문에 6 35 5.5 10.5
자사에서 육성하기 힘든 전문 기술적 업무이기 때문에 7 15 2.4 4.5
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이 높기 때문에 8 7 1.1 2.1
비해당 0 300 47.3
634 100.0 100.0
a7
파트타임: 기피이유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정규직 근로자와 마찬가지로 근로기준법상의 내용을 똑같이 준수해
야 하므로 1 48 7.6 10.4
업무의 성격상 파트타임보다 정규근로시간을 지키는 근로자를 채용
해야 하므로 2 317 50.0 68.8
파트타임을 채용하고 싶으나 구인이 어려우므로 3 31 4.9 6.7
기타 4 65 10.3 14.1
비해당 0 173 27.3
634 100.0 100.0 7. 파트타임 근로자 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6. 귀사업체가 파트타임(시간제) 근로자를 채용하는 경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현재 채용여부에 관계없 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두가지만 선택하여 주십시오)
a8
파트타임: 성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자 근로자를 주로 사용하겠음 1 159 25.1 25.1
여자 근로자를 주로 사용하겠음 2 164 25.9 25.9
구분없이 사용하겠음 3 179 28.2 28.2
무응답 9 132 20.8 20.8
634 100.0 100.0
a9
파트타임: 연령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0대 1 5 0.8 0.8
20대 2 242 38.2 38.2
30대 3 192 30.3 30.3
40대 4 51 8.0 8.0
50대 이상 5 15 2.4 2.4
무응답 9 129 20.3 20.3
634 100.0 100.0
a10
탄력적 근무시간제 실시 유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65 10.3 10.3
없다 2 551 86.9 86.9
무응답 9 18 2.8 2.8
634 100.0 100.0 10. 귀사업체는 탄력적 근무시간제를 도입하고 있습니까? 탄력적 근무시간제란 중요시간대에는 반드시 출 근해 있되 기타시간은 1˜2시간에 걸쳐 출퇴근시간이 다른 경우입니다. 예를들어 7시 출근한 근로자는 4 시에 퇴근, 8시 출근한 근로자는 5시에 퇴근, 10시에 출근한 근로자는 7시에 퇴근하는 제도입니다.
9. 파트타임(시간제) 근로자를 사용할 경우 다음중 어느 연령층을 선호하십니까?
8. 파트타임(시간제) 근로자를 사용할 경우 성별로는?
a11
토요격주 휴무제 실시 유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197 31.1 31.1
없다 2 428 67.5 67.5
무응답 9 9 1.4 1.4
634 100.0 100.0
a12
변형근로시간제 실시 유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42 6.6 6.6
없다 2 580 91.5 91.5
무응답 9 12 1.9 1.9
634 100.0 100.0
a13
(변형근로시간제 채택을 원한다면)원하는 기준 단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주 단위 1 95 15.0 19.6
1개월 단위 2 217 34.2 44.7
3개월 단위 3 62 9.8 12.8
6개월 단위 4 27 4.3 5.6
1년단위 5 14 2.2 2.9
기타 6 70 11.0 14.4
비해당 9 149 23.5
634 100.0 100.0 13. 변형근로시간제 채택을 원한다면 기준 단위는 얼마로 하였으면 좋겠습니까?
12. 귀사는 변형 근로시간제를 채택하고 있습니까? 참고로 변형근로시간제란 2주 또는 한달 또는 몇 달 단 위로, 업무량이 적을 때는 근로시간을 단축하지만 업무량이 많을 때는 시간외 근로수당을 받지 않고 법정주 당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한다. 그러나 평균적으로는 법정근로 시간을 넘기지 않는 근로시간제를 말합니 다.
11. 귀사는 토요격주 휴무제(토요 전일근무, 토요 전일휴무 교대제 포함)를 실시하고 있습니까?
a14_1
비정규인력 활용형태 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시간제 근로 1 52 8.2 8.2
임시직 근로 2 182 28.7 28.7
용역업체에 의한 파견근로 3 98 15.5 15.5
외국인 산업기술연수 4 21 3.3 3.3
계약직 5 42 6.6 6.6
아르바이트 6 34 5.4 5.4
활용하지 않음 7 127 20.0 20.0
무응답 9 78 12.3 12.3
634 100.0 100.0
a14_2
비정규인력 활용형태 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임시직 근로 2 15 2.4 9.0
용역업체에 의한 파견근로 3 51 8.0 30.7
외국인 산업기술연수 4 16 2.5 9.6
계약직 5 38 6.0 22.9
아르바이트 6 46 7.3 27.7
비해당 0 468 73.8
634 100.0 100.0
a15_1_1
용역업체 파견근로자 사용 이유 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인력의 양적조절이 용이하므로 1 82 12.9 55.0
임금이 저렴하므로 3 26 4.1 17.4
채용이 쉬워서 5 9 1.4 6.0
노사문제를 피할 수 있으므로 6 3 0.5 2.0
전문적 기술이 요구되는 경우 외부에서 제공받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7 11 1.7 7.4
취업대상자의 생산직분야 기피로 8 3 0.5 2.0
기타 10 8 1.3 5.4
무응답 11 7 1.1 4.7
비해당 14 485 76.5
15. 용역 또는 파견업체로부터 파견된 근로자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에 답해 주십시오.
1) 귀사에서 용역업체에 의한 파견근로를 활용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14. 귀사의 비정규인력 활용형태는?(복수응답 가능)
a15_1_2
용역업체 파견근로자 사용 이유 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임금이 저렴하므로 2 15 2.4 14.6
채용이 쉬워서 3 24 3.8 23.3
노사문제를 피할 수 있으므로 4 17 2.7 16.5
전문적 기술이 요구되는 경우 외부에서 제공받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5 18 2.8 17.5
취업대상자의 생산직분야 기피로 6 16 2.5 15.5
기타 7 12 1.9 11.7
무응답 9 1 0.2 1.0
비해당 0 531 83.8
634 100.0 100.0
a15_2
파견근로자에 대한 작업량/작업지시 결정 주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사용자 또는 그곳의 정규직 사원이 지시 1 97 15.3 65.1
용역업체에서 지시하며 일하는 사업체의 정규직 사원과 별도 2 46 7.3 30.9
무응답 9 6 0.9 4.0
비해당 0 485 76.5
634 100.0 100.0
a15_3
근로자파견제 합법화에 대한 의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입법을 빨리하는 것이 현 경제상황에 적합하다 1 74 11.7 49.7
현 단계에서 입법을 반대한다 2 34 5.4 22.8
모르겠다 3 34 5.4 22.8
무응답 9 7 1.1 4.7
비해당 0 485 76.5
634 100.0 100.0 15. 용역 또는 파견업체로부터 파견된 근로자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에 답해 주십시오.
2) 귀 사업장의 파견근로자에게 작업량․작업지시 등의 결정은 주로 누가합니까?
15. 용역 또는 파견업체로부터 파견된 근로자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에 답해 주십시오.
3) 만약 용역업체 또는 파견업체에서 행하고 있는 근로자파견사업을 합법화하는 입법이 이루어진다면 이 에 대한 의견은?
a15_4
향후 파견근로자 사용수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현재는 사용하지 않으나 앞으로 사용하겠다 1 4 0.6 2.7
현재보다 더 사용하겠다 2 45 7.1 30.2
현수준을 유지하겠다 3 80 12.6 53.7
현재보다 줄이겠다 4 9 1.4 6.0
사용하지 않겠다 5 4 0.6 2.7
무응답 9 7 1.1 4.7
비해당 0 485 76.5
634 100.0 100.0
a16_1_1
파견근로자 필요직종 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회사/단체 등의 임원 1 1 0.2 0.3
접수/안내 3 13 2.1 3.6
일반사무원 및 사무보조 5 18 2.8 5.0
회계사무원 6 3 0.5 0.8
기획사무원 7 1 0.2 0.3
영업/판매사무원 8 11 1.7 3.0
사무용기기조작원 10 5 0.8 1.4
속기사 11 1 0.2 0.3
수금원 13 1 0.2 0.3
연구원 14 4 0.6 1.1
정보처리기술자 15 13 2.1 3.6
그외의 각종 기술자 16 8 1.3 2.2
약제사 19 2 0.3 0.6
회계사 22 4 0.6 1.1
교수/교사 23 4 0.6 1.1
기자/편집자 24 1 0.2 0.3
디자인 25 1 0.2 0.3
가공공정작업원 31 43 6.8 11.9
16-1. 아래의 직종분류 보기중에서 귀사업체에서 파견근로자가 필요한 직종을 2개 골라 번호를 쓰십시오 15. 용역 또는 파견업체로부터 파견된 근로자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에 답해 주십시오.
4) 앞으로 파견근로자를 어느 정도 수준으로 사용하시겠습니까?
조립/수리공정작업원 32 26 4.1 7.2
검사공정작업원 33 3 0.5 0.8
제도공 34 4 0.6 1.1
보일러공 35 4 0.6 1.1
크레인 조작 36 1 0.2 0.3
전기작업자 37 7 1.1 1.9
창고작업자 38 21 3.3 5.8
하역작업자 39 12 1.9 3.3
배달원 40 6 0.9 1.7
청소원 41 50 7.9 13.8
건설업 노무직 42 2 0.3 0.6
자동차운전사 43 11 1.7 3.0
그외 운전/운수종사자 44 9 1.4 2.5
전화교환수 46 3 0.5 0.8
음식점종사자 47 3 0.5 0.8
판매점원 48 10 1.6 2.8
외판원 49 1 0.2 0.3
조이사 52 1 0.2 0.3
관리인 54 1 0.2 0.3
광고선전원 56 2 0.3 0.6
엘리베이터 운전요원 57 1 0.2 0.3
수위/경비원/청원경찰 58 46 7.3 12.7
기타 59 4 0.6 1.1
비해당 0 272 42.9
634 100.0 100.0
a16_1_2
파견근로자 필요직종 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접수/안내 3 3 0.5 0.9
비서 4 1 0.2 0.3
일반사무원 및 사무보조 5 16 2.5 5.0
회계사무원 6 2 0.3 0.6
영업/판매사무원 8 3 0.5 0.9
무역사무원 9 1 0.2 0.3
사무용기기조작원 10 6 0.9 1.9
연구원 14 4 0.6 1.3
정보처리기술자 15 6 0.9 1.9
그외의 각종 기술자 16 14 2.2 4.4
약제사 19 1 0.2 0.3
탁아모 20 1 0.2 0.3
변호사 21 1 0.2 0.3
회계사 22 1 0.2 0.3
가공공정작업원 31 7 1.1 2.2
조립/수리공정작업원 32 26 4.1 8.2
검사공정작업원 33 15 2.4 4.7
제도공 34 1 0.2 0.3
보일러공 35 1 0.2 0.3
크레인 조작 36 1 0.2 0.3
전기작업자 37 8 1.3 2.5
창고작업자 38 13 2.1 4.1
하역작업자 39 17 2.7 5.4
배달원 40 5 0.8 1.6
청소원 41 38 6.0 12.0
건설업 노무직 42 3 0.5 0.9
자동차운전사 43 11 1.7 3.5
그외 운전/운수종사자 44 9 1.4 2.8
전화교환수 46 3 0.5 0.9
외판원 49 5 0.8 1.6
조이사 52 2 0.3 0.6
접객업/유흥업 종사자 53 2 0.3 0.6
관리인 54 2 0.3 0.6
여행/관광안내인 55 2 0.3 0.6
광고선전원 56 1 0.2 0.3
엘리베이터 운전요원 57 1 0.2 0.3
수위/경비원/청원경찰 58 71 11.2 22.4
기타 59 12 1.9 3.8
비해당 0 317 50.0
634 100.0 100.0
a16_2_1
파트타임 필요직종 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회사/단체 등의 관리직원 2 1 0.2 0.3
접수/안내 3 13 2.1 3.3
일반사무원 및 사무보조 5 47 7.4 12.0
회계사무원 6 4 0.6 1.0
영업/판매사무원 8 8 1.3 2.0
무역사무원 9 1 0.2 0.3
사무용기기조작원 10 6 0.9 1.5
수금원 13 1 0.2 0.3
연구원 14 1 0.2 0.3
정보처리기술자 15 10 1.6 2.6
그외의 각종 기술자 16 4 0.6 1.0
약사 18 1 0.2 0.3
약제사 19 2 0.3 0.5
탁아모 20 1 0.2 0.3
회계사 22 1 0.2 0.3
교수/교사 23 3 0.5 0.8
카메라맨 26 1 0.2 0.3
가공공정작업원 31 46 7.3 11.7
조립/수리공정작업원 32 33 5.2 8.4
검사공정작업원 33 4 0.6 1.0
제도공 34 1 0.2 0.3
보일러공 35 2 0.3 0.5
전기작업자 37 5 0.8 1.3
창고작업자 38 36 5.7 9.2
하역작업자 39 18 2.8 4.6
배달원 40 8 1.3 2.0
청소원 41 31 4.9 7.9
건설업 노무직 42 4 0.6 1.0
자동차운전사 43 10 1.6 2.6
그외 운전/운수종사자 44 12 1.9 3.1
전화교환수 46 2 0.3 0.5
음식점종사자 47 5 0.8 1.3
16-2. 아래의 직종분류 보기중에서 귀사업체에서 파트타임(시간제) 근로자가 필요한 직종을 2개 골라 번 호를 써 주십시오.
외판원 49 1 0.2 0.3
이/미용사 51 1 0.2 0.3
조이사 52 12 1.9 3.1
접객업/유흥업 종사자 53 2 0.3 0.5
관리인 54 1 0.2 0.3
광고선전원 56 1 0.2 0.3
수위/경비원/청원경찰 58 29 4.6 7.4
기타 59 10 1.6 2.6
비해당 0 242 38.2
634 100.0 100.0
a16_2_2
파트타임 필요직종 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회사/단체 등의 관리직원 2 1 0.2 0.3
접수/안내 3 8 1.3 2.4
비서 4 2 0.3 0.6
일반사무원 및 사무보조 5 11 1.7 3.3
회계사무원 6 2 0.3 0.6
기획사무원 7 1 0.2 0.3
영업/판매사무원 8 5 0.8 1.5
사무용기기조작원 10 6 0.9 1.8
검침원 12 1 0.2 0.3
수금원 13 2 0.3 0.6
정보처리기술자 15 2 0.3 0.6
그외의 각종 기술자 16 5 0.8 1.5
약제사 19 2 0.3 0.6
탁아모 20 1 0.2 0.3
회계사 22 3 0.5 0.9
교수/교사 23 3 0.5 0.9
디자인 25 2 0.3 0.6
카메라맨 26 1 0.2 0.3
통역 28 1 0.2 0.3
가공공정작업원 31 10 1.6 3.0
조립/수리공정작업원 32 26 4.1 7.7
검사공정작업원 33 13 2.1 3.9
보일러공 35 1 0.2 0.3
크레인 조작 36 2 0.3 0.6
전기작업자 37 7 1.1 2.1
창고작업자 38 19 3.0 5.6
하역작업자 39 24 3.8 7.1
배달원 40 4 0.6 1.2
청소원 41 45 7.1 13.4
건설업 노무직 42 6 0.9 1.8
자동차운전사 43 8 1.3 2.4
그외 운전/운수종사자 44 9 1.4 2.7
무선/유선방송기술자 45 1 0.2 0.3
전화교환수 46 6 0.9 1.8
음식점종사자 47 5 0.8 1.5
판매점원 48 8 1.3 2.4
외판원 49 2 0.3 0.6
조이사 52 4 0.6 1.2
접객업/유흥업 종사자 53 1 0.2 0.3
관리인 54 3 0.5 0.9
광고선전원 56 3 0.5 0.9
엘리베이터 운전요원 57 1 0.2 0.3
수위/경비원/청원경찰 58 43 6.8 12.8
기타 59 23 3.6 6.8
비해당 0 297 46.8
634 100.0 100.0
a17_1
정규직과의 임금비교: 협력업체 파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임금수준이 동일 1 27 4.3 33.8
0~9% 낮다 2 15 2.4 18.8
10~19% 낮다 3 23 3.6 28.8
30~39% 낮다 5 3 0.5 3.8
정규직 보다 높다 8 5 0.8 6.3
무응답 9 7 1.1 8.8
비해당 0 554 87.4
634 100.0 100.0 17. 귀사업체에서 비슷한 자격과 경력을 갖춘 비정규직의 임금수준이 정규직의 임금수준과 비교하여(시간 당 임금 기준) 어느 정도 입니까?
1) 협력업체로 부터 파견된 근로자
a17_2
정규직과의 임금비교: 파견업체 파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임금수준이 동일 1 28 4.4 14.6
0~9% 낮다 2 43 6.8 22.4
10~19% 낮다 3 55 8.7 28.6
20~29% 낮다 4 22 3.5 11.5
30~39% 낮다 5 10 1.6 5.2
40~49% 낮다 6 4 0.6 2.1
50% 이상 낮다 7 5 0.8 2.6
정규직 보다 높다 8 11 1.7 5.7
무응답 9 14 2.2 7.3
비해당 0 442 69.7
634 100.0 100.0
a17_3
정규직과의 임금비교: 파트타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임금수준이 동일 1 26 4.1 23.4
0~9% 낮다 2 19 3.0 17.1
10~19% 낮다 3 20 3.2 18.0
20~29% 낮다 4 17 2.7 15.3
30~39% 낮다 5 7 1.1 6.3
40~49% 낮다 6 3 0.5 2.7
50% 이상 낮다 7 1 0.2 0.9
정규직 보다 높다 8 7 1.1 6.3
무응답 9 11 1.7 9.9
비해당 0 523 82.5
634 100.0 100.0 17. 귀사업체에서 비슷한 자격과 경력을 갖춘 비정규직의 임금수준이 정규직의 임금수준과 비교하여(시간 당 임금 기준) 어느 정도 입니까?
2) 용역 또는 파견업체에서 파견된 근로자
17. 귀사업체에서 비슷한 자격과 경력을 갖춘 비정규직의 임금수준이 정규직의 임금수준과 비교하여(시간 당 임금 기준) 어느 정도 입니까?
3) 파트타임
a17_4
정규직과의 임금비교: 아르바이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임금수준이 동일 1 26 4.1 18.1
0~9% 낮다 2 26 4.1 18.1
10~19% 낮다 3 26 4.1 18.1
20~29% 낮다 4 24 3.8 16.7
30~39% 낮다 5 7 1.1 4.9
40~49% 낮다 6 2 0.3 1.4
50% 이상 낮다 7 8 1.3 5.6
정규직 보다 높다 8 14 2.2 9.7
무응답 9 11 1.7 7.6
비해당 0 490 77.3
634 100.0 100.0
a17_5
정규직과의 임금비교: 임시 일용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임금수준이 동일 1 52 8.2 23.2
0~9% 낮다 2 62 9.8 27.7
10~19% 낮다 3 41 6.5 18.3
20~29% 낮다 4 26 4.1 11.6
30~39% 낮다 5 8 1.3 3.6
40~49% 낮다 6 2 0.3 0.9
50% 이상 낮다 7 5 0.8 2.2
정규직 보다 높다 8 15 2.4 6.7
무응답 9 13 2.1 5.8
비해당 0 410 64.7
634 100.0 100.0 17. 귀사업체에서 비슷한 자격과 경력을 갖춘 비정규직의 임금수준이 정규직의 임금수준과 비교하여(시간 당 임금 기준) 어느 정도 입니까?
5) 임시·일용
17. 귀사업체에서 비슷한 자격과 경력을 갖춘 비정규직의 임금수준이 정규직의 임금수준과 비교하여(시간 당 임금 기준) 어느 정도 입니까?
4) 아르바이트
a17_6
정규직과의 임금비교: 계약직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임금수준이 동일 1 52 8.2 36.1
0~9% 낮다 2 26 4.1 18.1
10~19% 낮다 3 19 3.0 13.2
20~29% 낮다 4 10 1.6 6.9
30~39% 낮다 5 4 0.6 2.8
40~49% 낮다 6 4 0.6 2.8
50% 이상 낮다 7 2 0.3 1.4
정규직 보다 높다 8 16 2.5 11.1
무응답 9 11 1.7 7.6
비해당 0 490 77.3
634 100.0 100.0
a18_1
계약종료시의 조치: 협력업체 파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자동적으로 연장된다 1 51 8.0 63.8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계약기간 만료와 함께 퇴사시킨다 2 16 2.5 20.0
계약기간과 상관없이 언제라도 퇴사시킬 수 있다 3 2 0.3 2.5
잘 모르겠다 4 3 0.5 3.8
무응답 9 8 1.3 10.0
비해당 0 554 87.4
634 100.0 100.0 18.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계약기간이 종료되면 귀사는 어떠한 조치를 취합니까? 해당란에 체크(V)해 주 십시오.
1) 협력업체로부터 파견된 근로자
17. 귀사업체에서 비슷한 자격과 경력을 갖춘 비정규직의 임금수준이 정규직의 임금수준과 비교하여(시간 당 임금 기준) 어느 정도 입니까? 취업형태별로 해당하는 난에 체크(∨)해 주십시오.
6) 계약직
a18_2
계약종료시의 조치: 파견업체 파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자동적으로 연장된다 1 110 17.4 57.3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계약기간 만료와 함께 퇴사시킨다 2 44 6.9 22.9
계약기간과 상관없이 언제라도 퇴사시킬 수 있다 3 15 2.4 7.8
잘 모르겠다 4 7 1.1 3.6
무응답 9 16 2.5 8.3
비해당 0 442 69.7
634 100.0 100.0
a18_3
계약종료시의 조치: 파트타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자동적으로 연장된다 1 44 6.9 39.6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계약기간 만료와 함께 퇴사시킨다 2 33 5.2 29.7
계약기간과 상관없이 언제라도 퇴사시킬 수 있다 3 12 1.9 10.8
잘 모르겠다 4 5 0.8 4.5
무응답 9 17 2.7 15.3
비해당 0 523 82.5
634 100.0 100.0
a18_4
계약종료시의 조치: 아르바이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자동적으로 연장된다 1 43 6.8 29.9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계약기간 만료와 함께 퇴사시킨다 2 58 9.1 40.3
계약기간과 상관없이 언제라도 퇴사시킬 수 있다 3 16 2.5 11.1
잘 모르겠다 4 6 0.9 4.2
무응답 9 21 3.3 14.6
비해당 0 490 77.3
634 100.0 100.0 18.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계약기간이 종료되면 귀사는 어떠한 조치를 취합니까? 해당란에 체크(V)해 주 십시오.
2) 용역 또는 파견업체에서 파견된 근로자
18.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계약기간이 종료되면 귀사는 어떠한 조치를 취합니까? 해당란에 체크(V)해 주 십시오.
4) 아르바이트
18.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계약기간이 종료되면 귀사는 어떠한 조치를 취합니까? 해당란에 체크(V)해 주 십시오.
3) 파트타임
a18_5
계약종료시의 조치: 임시 일용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자동적으로 연장된다 1 103 16.2 46.0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계약기간 만료와 함께 퇴사시킨다 2 69 10.9 30.8
계약기간과 상관없이 언제라도 퇴사시킬 수 있다 3 22 3.5 9.8
잘 모르겠다 4 11 1.7 4.9
무응답 9 19 3.0 8.5
비해당 0 410 64.7
634 100.0 100.0
a18_6
계약종료시의 조치: 계약직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자동적으로 연장된다 1 104 16.4 72.2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계약기간 만료와 함께 퇴사시킨다 2 28 4.4 19.4
계약기간과 상관없이 언제라도 퇴사시킬 수 있다 3 1 0.2 0.7
잘 모르겠다 4 3 0.5 2.1
무응답 9 8 1.3 5.6
비해당 0 490 77.3
634 100.0 100.0
a19
비정규직 업무의 3D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비정규직의 80% 이상이 3D에 속한다 1 49 7.7 10.9
비정규직의 50%~79% 정도가 3D에 속한다 2 49 7.7 10.9
비정규직의 20%~49% 정도가 3D에 속한다 3 61 9.6 13.6
비정규직의 19% 이하가 3D에 속한다 4 74 11.7 16.5
3D에 속하지 않는다 5 215 33.9 48.0
비해당 0 186 29.3
19. 귀사업체에서 비정규직의 업무는 어느 정도나 3D(힘들고, 어렵고, 더러운 일)에 속하는 업무입니까?
18.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계약기간이 종료되면 귀사는 어떠한 조치를 취합니까? 해당란에 체크(V)해 주 십시오.
6) 계약직
18.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계약기간이 종료되면 귀사는 어떠한 조치를 취합니까? 해당란에 체크(V)해 주 십시오.
5) 임시·일용
a20
3년간 정규직 감축유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52 24.0 24.0
아니오 2 475 74.9 74.9
무응답 9 7 1.1 1.1
634 100.0 100.0
a21
3년간 정규직 감축이유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기술혁신/자동화 등으로 인해 1 28 4.4 18.4
수주감소/판매부진으로 인해 2 43 6.8 28.3
인건비 압박으로 인해 3 28 4.4 18.4
사무관리혁신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위해 4 29 4.6 19.1
근로자의 자발적인 이직 및 근로자 구하기가 어려워서 5 7 1.1 4.6
공장의 해외이전으로 6 5 0.8 3.3
노사분규를 예방할 목적으로 7 1 0.2 0.7
기타 8 6 0.9 3.9
무응답 9 5 0.8 3.3
비해당 0 482 76.0
634 100.0 100.0
a22
향후 정규직 감축 가능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가능성이 매우 크다 1 46 7.3 7.3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다 2 228 36.0 36.0
가능성이 별로 없다 3 209 33.0 33.0
가능성이 전혀 없다 4 84 13.2 13.2
잘 모르겠다 5 55 8.7 8.7
무응답 9 12 1.9 1.9
634 100.0 100.0 22. 장차 경영합리화 차원에서 정규직 노동자 수를 감축시킬 가능성이 있습니까?
21. 만약 근로자 수를 감축시킨 경험이 있다면 그 가장 중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20. 귀사에서는 지난 3년간 경영합리화를 위해 정규직 노동자 수를 감축시킨 경험이 있습니까?
a23
3년간 정규직 해고유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72 11.4 11.4
아니오 2 552 87.1 87.1
무응답 9 10 1.6 1.6
634 100.0 100.0
a24
향후 정규직 해고 가능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가능성이 매우 크다 1 17 2.7 2.7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다 2 157 24.8 24.8
가능성이 별로 없다 3 266 42.0 42.0
가능성이 전혀 없다 4 120 18.9 18.9
잘 모르겠다 5 61 9.6 9.6
무응답 9 13 2.1 2.1
634 100.0 100.0
a25
고용시 공공직업안전망 이용유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최근에는 예전에 비하여 직업안전망을 통한 구인을 더 많이 이용한다 1 79 12.5 12.5 직업안전망을 통한 구인은 예전과 같은 수준으로 나아진 것이 없다 2 104 16.4 16.4
직업안정망을 통하여 구인을 거의 하지 않는다 3 425 67.0 67.0
무응답 9 26 4.1 4.1
634 100.0 100.0 24. 앞으로 귀사가 경영합리화 차원에서 정규직 노동자를 해고, 권고사직시킬 가능성은?
25. 귀사에서는 노동부 지방사무소, 지방직업안정소 및 시청, 구청에서 운영하는 공공직업안정망을 어느 정도 이용하고 계십니까?
23. 귀사에서는 지난 3년 간 경영합리화 차원에서 정규직 노동자를 해고, 권고사직시킨 적이 있습니까?
a26
직업안정망을 통해 고용한 생산직 인력비율(%)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0 479 75.6 75.6
1% 1 26 4.1 4.1
2% 2 14 2.2 2.2
3% 3 6 0.9 0.9
4% 4 3 0.5 0.5
5% 5 24 3.8 3.8
6% 6 1 0.2 0.2
7% 7 1 0.2 0.2
8% 8 1 0.2 0.2
10% 10 44 6.9 6.9
15% 15 2 0.3 0.3
20% 20 6 0.9 0.9
25% 25 5 0.8 0.8
30% 30 1 0.2 0.2
40% 40 4 0.6 0.6
50% 50 5 0.8 0.8
68% 68 1 0.2 0.2
70% 70 4 0.6 0.6
75% 75 1 0.2 0.2
80% 80 1 0.2 0.2
90% 90 5 0.8 0.8
634 100.0 100.0
a27_1
교육훈련 및 연수 유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다 1 187 29.5 29.5
있다 2 428 67.5 67.5
무응답 9 19 3.0 3.0
634 100.0 100.0 27. 귀사업체에서는 신규 입사한 정규직 사원들을 위하여 교육훈련 및 연수를 얼마동안 실시하십니까?
26. 귀사에서 공공직업안정망을 통하여 확보한 생산직 인력은 전체 생산직 인력의 몇 % 입니까?
a27_2
교육훈련 및 연수 있을 경우 기간(일)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일 1 34 5.4 7.9
2일 2 26 4.1 6.1
3일 3 35 5.5 8.2
4일 4 10 1.6 2.3
5일 5 23 3.6 5.4
6일 6 11 1.7 2.6
7일 7 71 11.2 16.6
10일 10 19 3.0 4.4
12일 12 3 0.5 0.7
13일 13 1 0.2 0.2
14일 14 13 2.1 3.0
15일 15 18 2.8 4.2
19일 19 1 0.2 0.2
20일 20 6 0.9 1.4
21일 21 4 0.6 0.9
24일 24 1 0.2 0.2
28일 28 1 0.2 0.2
30일 30 61 9.6 14.3
40일 40 2 0.3 0.5
42일 42 3 0.5 0.7
45일 45 6 0.9 1.4
50일 50 1 0.2 0.2
55일 55 1 0.2 0.2
60일 60 8 1.3 1.9
70일 70 2 0.3 0.5
90일 90 41 6.5 9.6
무응답 99 26 4.1 6.1
비해당 0 206 32.5
634 100.0 100.0
a28
정규직 사원들을 위한 현장훈련 정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없다 1 96 15.1 15.1
별로 없는 편이다 2 128 20.2 20.2
보통 정도이다 3 261 41.2 41.2
활발한 편이다 4 112 17.7 17.7
대단히 활발하다 5 19 3.0 3.0
무응답 9 18 2.8 2.8
634 100.0 100.0
a29_1
노동조합과 협의: 정리해고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회사의 단독결정 1 92 14.5 31.3
노조와 합의 2 94 14.8 32.0
노조와 사전협의 3 93 14.7 31.6
노조에 사전통고 4 15 2.4 5.1
비해당 0 340 53.6
634 100.0 100.0
a29_2
노동조합과 협의: 변형근로시간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회사의 단독결정 1 83 13.1 30.5
노조와 합의 2 99 15.6 36.4
노조와 사전협의 3 84 13.2 30.9
노조에 사전통고 4 5 0.8 1.8
노조에 사후통고 5 1 0.2 0.4
비해당 0 362 57.1
634 100.0 100.0 29. 귀사는 아래의 여러 가지 항목을 실시할 경우 노동조합과 어떤 식으로 이를 협의하는지 해당 항목에 체 크(∨)해 주십시오.
1) 정리해고
28. 귀사업체에서는 정규직 사원들을 위한 현장훈련(OJT)이 어느 정도 이루어집니까?
29. 귀사는 아래의 여러 가지 항목을 실시할 경우 노동조합과 어떤 식으로 이를 협의하는지 해당 항목에 체 크(∨)해 주십시오.
2) 변형근로
a29_3
노동조합과 협의: 협력업체 파견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회사의 단독결정 1 149 23.5 66.8
노조와 합의 2 33 5.2 14.8
노조와 사전협의 3 26 4.1 11.7
노조에 사전통고 4 9 1.4 4.0
노조에 사후통고 5 6 0.9 2.7
비해당 0 411 64.8
634 100.0 100.0
a29_4
노동조합과 협의: 파견업체 파견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회사의 단독결정 1 195 30.8 72.5
노조와 합의 2 32 5.0 11.9
노조와 사전협의 3 25 3.9 9.3
노조에 사전통고 4 9 1.4 3.3
노조에 사후통고 5 8 1.3 3.0
비해당 0 365 57.6
634 100.0 100.0
a29_5
노동조합과 협의: 파트타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회사의 단독결정 1 185 29.2 80.4
노조와 합의 2 19 3.0 8.3
노조와 사전협의 3 14 2.2 6.1
노조에 사전통고 4 6 0.9 2.6
노조에 사후통고 5 6 0.9 2.6
비해당 0 404 63.7
29. 귀사는 아래의 여러 가지 항목을 실시할 경우 노동조합과 어떤 식으로 이를 협의하는지 해당 항목에 체 크(∨)해 주십시오.
5) 파트타임
29. 귀사는 아래의 여러 가지 항목을 실시할 경우 노동조합과 어떤 식으로 이를 협의하는지 해당 항목에 체 크(∨)해 주십시오.
3) 협력업체로부터 파견된 근로자의 채용
29. 귀사는 아래의 여러 가지 항목을 실시할 경우 노동조합과 어떤 식으로 이를 협의하는지 해당 항목에 체 크(∨)해 주십시오.
4) 용역 또는 파견업체로부터 파견된 근로자의 채용
a29_6
노동조합과 협의: 아르바이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회사의 단독결정 1 209 33.0 85.0
노조와 합의 2 13 2.1 5.3
노조와 사전협의 3 13 2.1 5.3
노조에 사전통고 4 5 0.8 2.0
노조에 사후통고 5 6 0.9 2.4
비해당 0 388 61.2
634 100.0 100.0
a29_7
노동조합과 협의: 임시 일용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회사의 단독결정 1 226 35.6 82.8
노조와 합의 2 18 2.8 6.6
노조와 사전협의 3 19 3.0 7.0
노조에 사전통고 4 5 0.8 1.8
노조에 사후통고 5 5 0.8 1.8
비해당 0 361 56.9
634 100.0 100.0
a29_8
노동조합과 협의: 계약직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회사의 단독결정 1 196 30.9 83.8
노조와 합의 2 17 2.7 7.3
노조와 사전협의 3 11 1.7 4.7
노조에 사전통고 4 6 0.9 2.6
노조에 사후통고 5 4 0.6 1.7
비해당 0 400 63.1
634 100.0 100.0 29. 귀사는 아래의 여러 가지 항목을 실시할 경우 노동조합과 어떤 식으로 이를 협의하는지 해당 항목에 체 크(∨)해 주십시오.
8) 계약직
29. 귀사는 아래의 여러 가지 항목을 실시할 경우 노동조합과 어떤 식으로 이를 협의하는지 해당 항목에 체 크(∨)해 주십시오.
7) 임시·일용
29. 귀사는 아래의 여러 가지 항목을 실시할 경우 노동조합과 어떤 식으로 이를 협의하는지 해당 항목에 체 크(∨)해 주십시오.
6) 아르바이트
a29_9
노동조합과 협의: 기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회사의 단독결정 1 84 13.2 79.2
노조와 합의 2 9 1.4 8.5
노조와 사전협의 3 9 1.4 8.5
노조에 사전통고 4 3 0.5 2.8
노조에 사후통고 5 1 0.2 0.9
비해당 0 528 83.3
634 100.0 100.0
b1_1_1
전체 근로자수: 3년 전-현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205 32.3 32.3
동일 2 183 28.9 28.9
감소 3 184 29.0 29.0
무응답 9 62 9.8 9.8
634 100.0 100.0
b1_1_2
전체 근로자수: 현재-3년 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175 27.6 27.6
동일 2 195 30.8 30.8
감소 3 156 24.6 24.6
불명 4 36 5.7 5.7
무응답 9 72 11.4 11.4
634 100.0 100.0 1. 사업소 전체의 취업형태별 근로자수의 변동과 금후의 예측
1_2) 전체 근로자수: 3년 후
1. 사업소 전체의 취업형태별 근로자수의 변동과 금후의 예측 1_1) 전체 근로자수: 3년 전-현재
29. 귀사는 아래의 여러 가지 항목을 실시할 경우 노동조합과 어떤 식으로 이를 협의하는지 해당 항목에 체 크(∨)해 주십시오.
9) 기타
b1_2_1
정규직 사원수: 3년 전-현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199 31.4 31.4
동일 2 198 31.2 31.2
감소 3 196 30.9 30.9
무응답 9 41 6.5 6.5
634 100.0 100.0
b1_2_2
정규직 사원수: 현재-3년 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162 25.6 25.6
동일 2 221 34.9 34.9
감소 3 160 25.2 25.2
불명 4 35 5.5 5.5
무응답 9 56 8.8 8.8
634 100.0 100.0
b1_3_1
협력업체 파견: 3년 전-현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34 5.4 31.5
동일 2 55 8.7 50.9
감소 3 19 3.0 17.6
비해당 0 526 83.0
634 100.0 100.0 1. 사업소 전체의 취업형태별 근로자수의 변동과 금후의 예측
3_1) 협력업체 파견: 3년 전-현재
1. 사업소 전체의 취업형태별 근로자수의 변동과 금후의 예측 2_2)정규직 사원수: 3년 후
1. 사업소 전체의 취업형태별 근로자수의 변동과 금후의 예측 2_1) 정규직 사원수: 3년 전-현재
b1_3_2
협력업체 파견: 현재-3년 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31 4.9 23.5
동일 2 46 7.3 34.8
감소 3 23 3.6 17.4
불명 4 32 5.0 24.2
비해당 0 502 79.2
634 100.0 100.0
b1_4_1
용역업체 파견: 3년 전-현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79 12.5 37.4
동일 2 100 15.8 47.4
감소 3 25 3.9 11.8
4 4 7 1.1 3.3
비해당 0 423 66.7
634 100.0 100.0
b1_4_2
용역업체 파견: 현재-3년 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85 13.4 38.1
동일 2 80 12.6 35.9
감소 3 34 5.4 15.2
불명 4 24 3.8 10.8
비해당 0 411 64.8
634 100.0 100.0 1. 사업소 전체의 취업형태별 근로자수의 변동과 금후의 예측
4_2) 용역업체 파견: 현재-3년 후
1. 사업소 전체의 취업형태별 근로자수의 변동과 금후의 예측 4_1) 용역업체 파견: 3년 전-현재
1. 사업소 전체의 취업형태별 근로자수의 변동과 금후의 예측 3_2) 협력없체 파견: 현재-3년 후
b1_5_1
파트타임: 3년 전-현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52 8.2 35.6
동일 2 71 11.2 48.6
감소 3 23 3.6 15.8
비해당 0 488 77.0
634 100.0 100.0
b1_5_2
파트타임: 현재-3년 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58 9.1 33.0
동일 2 59 9.3 33.5
감소 3 20 3.2 11.4
불명 4 39 6.2 22.2
비해당 0 458 72.2
634 100.0 100.0
b1_6_1
아르바이트: 3년 전-현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45 7.1 28.7
동일 2 79 12.5 50.3
감소 3 33 5.2 21.0
비해당 0 477 75.2
634 100.0 100.0 1. 사업소 전체의 취업형태별 근로자수의 변동과 금후의 예측
6_1) 아르바이트: 3년 전-현재
1. 사업소 전체의 취업형태별 근로자수의 변동과 금후의 예측 5_2) 파트타임: 현재-3년 후
1. 사업소 전체의 취업형태별 근로자수의 변동과 금후의 예측 5_1) 파트타임: 3년 전- 현재
b1_6_2
아르바이트: 현재-3년 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53 8.4 29.0
동일 2 66 10.4 36.1
감소 3 24 3.8 13.1
불명 4 40 6.3 21.9
비해당 0 451 71.1
634 100.0 100.0
b1_7_1
임시 일용: 3년 전-현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62 9.8 27.4
동일 2 128 20.2 56.6
감소 3 36 5.7 15.9
비해당 0 408 64.4
634 100.0 100.0
b1_7_2
임시 일용: 현재-3년 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64 10.1 25.6
동일 2 108 17.0 43.2
감소 3 32 5.0 12.8
불명 4 46 7.3 18.4
비해당 0 384 60.6
634 100.0 100.0 1. 사업소 전체의 취업형태별 근로자수의 변동과 금후의 예측
7_2) 임시·일용: 현재-3년 후
1. 사업소 전체의 취업형태별 근로자수의 변동과 금후의 예측 7_1) 임시·일용: 3년 전-현재
1. 사업소 전체의 취업형태별 근로자수의 변동과 금후의 예측 6_2) 아르바이트: 현재-3년 후
b1_8_1
계약직: 3년 전-현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54 8.5 29.8
동일 2 75 11.8 41.4
감소 3 29 4.6 16.0
4 4 23 3.6 12.7
비해당 0 453 71.5
634 100.0 100.0
b1_8_2
계약직: 현재-3년 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45 7.1 24.3
동일 2 67 10.6 36.2
감소 3 29 4.6 15.7
불명 4 44 6.9 23.8
비해당 0 449 70.8
634 100.0 100.0
b1_9_1
기타: 3년 전-현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12 1.9 20.7
동일 2 32 5.0 55.2
감소 3 14 2.2 24.1
비해당 0 576 90.9
634 100.0 100.0 1. 사업소 전체의 취업형태별 근로자수의 변동과 금후의 예측
9_1) 기타: 3년 전-현재
1. 사업소 전체의 취업형태별 근로자수의 변동과 금후의 예측 8_2) 계약직: 현재-3년 후
1. 사업소 전체의 취업형태별 근로자수의 변동과 금후의 예측 8_1) 계약직:3년 전-현재
b1_9_2
기타: 현재-3년 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14 2.2 18.7
동일 2 26 4.1 34.7
감소 3 9 1.4 12.0
불명 4 26 4.1 34.7
비해당 0 559 88.2
634 100.0 100.0
b2_1_1
비정규직 고용이유: 협력업체 파견근로자 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정사원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1 10 1.6 14.9
인원을 쉽게 조절하기 위해서 2 18 2.8 26.9
인건비의 절약을 위해서 3 10 1.6 14.9
긴 영업시간에 대처하기 위해 4 1 0.2 1.5
임시계절적 업무량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5 6 0.9 9.0
전문적인 업무에 대처하기 위해 6 17 2.7 25.4
정규직 근로자가 꺼리는 일을 맡기기 위해서 7 2 0.3 3.0
기타 8 3 0.5 4.5
비해당 0 567 89.4
634 100.0 100.0
b2_1_2
비정규직 고용이유: 협력업체 파견근로자 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인건비의 절약을 위해서 3 7 1.1 41.2
긴 영업시간에 대처하기 위해 4 1 0.2 5.9
임시계절적 업무량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5 5 0.8 29.4
정규직 근로자가 꺼리는 일을 맡기기 위해서 7 3 0.5 17.6
기타 8 1 0.2 5.9
비해당 0 617 97.3
2. 비정규사원을 고용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해당하는 모든 번호에 ○표로 표시해 주십 시오 1) 협력업체로부터 파견된 근로자
1. 사업소 전체의 취업형태별 근로자수의 변동과 금후의 예측 9_2) 기타: 현재-3년 후
b2_1_3
비정규직 고용이유: 협력업체 파견근로자 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임시계절적 업무량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5 3 0.5 50.0
전문적인 업무에 대처하기 위해 6 1 0.2 16.7
정규직 근로자가 꺼리는 일을 맡기기 위해서 7 1 0.2 16.7
기타 8 1 0.2 16.7
비해당 0 628 99.1
634 100.0 100.0
b2_2_1
비정규직 고용이유: 파견업체 파견근로자 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정사원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1 30 4.7 16.5
인원을 쉽게 조절하기 위해서 2 56 8.8 30.8
인건비의 절약을 위해서 3 30 4.7 16.5
긴 영업시간에 대처하기 위해 4 2 0.3 1.1
임시계절적 업무량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5 17 2.7 9.3
전문적인 업무에 대처하기 위해 6 20 3.2 11.0
정규직 근로자가 꺼리는 일을 맡기기 위해서 7 15 2.4 8.2
기타 8 12 1.9 6.6
비해당 0 452 71.3
634 100.0 100.0
b2_2_2
비정규직 고용이유: 파견업체 파견근로자 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정사원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1 2 0.3 2.6
인원을 쉽게 조절하기 위해서 2 7 1.1 9.1
인건비의 절약을 위해서 3 30 4.7 39.0
긴 영업시간에 대처하기 위해 4 6 0.9 7.8
임시계절적 업무량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5 12 1.9 15.6
전문적인 업무에 대처하기 위해 6 5 0.8 6.5
정규직 근로자가 꺼리는 일을 맡기기 위해서 7 13 2.1 16.9
기타 8 2 0.3 2.6
비해당 0 557 87.9
634 100.0 100.0 2. 비정규사원을 고용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해당하는 모든 번호에 ○표로 표시해 주십 시오
2) 용역 또는 파견업체로부터 파견된 근로자
b2_2_3
비정규직 고용이유: 파견업체 파견근로자 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인원을 쉽게 조절하기 위해서 2 1 0.2 3.2
인건비의 절약을 위해서 3 4 0.6 12.9
긴 영업시간에 대처하기 위해 4 2 0.3 6.5
임시계절적 업무량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5 9 1.4 29.0
전문적인 업무에 대처하기 위해 6 3 0.5 9.7
정규직 근로자가 꺼리는 일을 맡기기 위해서 7 12 1.9 38.7
비해당 0 603 95.1
634 100.0 100.0
b2_3_1
비정규직 고용이유: 파트타임 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정사원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1 24 3.8 19.4
인원을 쉽게 조절하기 위해서 2 41 6.5 33.1
인건비의 절약을 위해서 3 24 3.8 19.4
긴 영업시간에 대처하기 위해 4 4 0.6 3.2
임시계절적 업무량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5 27 4.3 21.8
기타 8 4 0.6 3.2
비해당 0 510 80.4
634 100.0 100.0
b2_3_2
비정규직 고용이유: 파트타임 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정사원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1 1 0.2 1.9
인원을 쉽게 조절하기 위해서 2 6 0.9 11.1
인건비의 절약을 위해서 3 17 2.7 31.5
긴 영업시간에 대처하기 위해 4 3 0.5 5.6
임시계절적 업무량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5 20 3.2 37.0
전문적인 업무에 대처하기 위해 6 2 0.3 3.7
정규직 근로자가 꺼리는 일을 맡기기 위해서 7 5 0.8 9.3
비해당 0 580 91.5
2. 비정규사원을 고용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해당하는 모든 번호에 ○표로 표시해 주십 시오 3) 파트타임(시간제) 근로자
b2_3_3
비정규직 고용이유: 파트타임 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인건비의 절약을 위해서 3 2 0.3 10.0
긴 영업시간에 대처하기 위해 4 3 0.5 15.0
임시계절적 업무량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5 11 1.7 55.0
정규직 근로자가 꺼리는 일을 맡기기 위해서 7 3 0.5 15.0
기타 8 1 0.2 5.0
비해당 0 614 96.8
634 100.0 100.0
b2_4_1
비정규직 고용이유: 임시 일용 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정사원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1 44 6.9 19.8
인원을 쉽게 조절하기 위해서 2 50 7.9 22.5
인건비의 절약을 위해서 3 35 5.5 15.8
긴 영업시간에 대처하기 위해 4 5 0.8 2.3
임시계절적 업무량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5 50 7.9 22.5
전문적인 업무에 대처하기 위해 6 10 1.6 4.5
정규직 근로자가 꺼리는 일을 맡기기 위해서 7 17 2.7 7.7
기타 8 11 1.7 5.0
비해당 0 412 65.0
634 100.0 100.0
b2_4_2
비정규직 고용이유: 임시 일용 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인원을 쉽게 조절하기 위해서 2 6 0.9 7.1
인건비의 절약을 위해서 3 21 3.3 25.0
긴 영업시간에 대처하기 위해 4 5 0.8 6.0
임시계절적 업무량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5 32 5.0 38.1
전문적인 업무에 대처하기 위해 6 3 0.5 3.6
정규직 근로자가 꺼리는 일을 맡기기 위해서 7 17 2.7 20.2
비해당 0 550 86.8
634 100.0 100.0 2. 비정규사원을 고용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해당하는 모든 번호에 ○표로 표시해 주십 시오
4) 임시·일용
b2_4_3
비정규직 고용이유: 임시 일용 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임시계절적 업무량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5 16 2.5 72.7
정규직 근로자가 꺼리는 일을 맡기기 위해서 7 6 0.9 27.3
비해당 0 612 96.5
634 100.0 100.0
b2_5_1
비정규직 고용이유: 계약 등록 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정사원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1 17 2.7 15.7
인원을 쉽게 조절하기 위해서 2 21 3.3 19.4
인건비의 절약을 위해서 3 18 2.8 16.7
긴 영업시간에 대처하기 위해 4 1 0.2 0.9
임시계절적 업무량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5 8 1.3 7.4
전문적인 업무에 대처하기 위해 6 31 4.9 28.7
정규직 근로자가 꺼리는 일을 맡기기 위해서 7 4 0.6 3.7
기타 8 8 1.3 7.4
비해당 0 526 83.0
634 100.0 100.0
b2_5_2
비정규직 고용이유: 계약 등록 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인원을 쉽게 조절하기 위해서 2 3 0.5 9.7
인건비의 절약을 위해서 3 10 1.6 32.3
긴 영업시간에 대처하기 위해 4 1 0.2 3.2
임시계절적 업무량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5 6 0.9 19.4
전문적인 업무에 대처하기 위해 6 6 0.9 19.4
정규직 근로자가 꺼리는 일을 맡기기 위해서 7 4 0.6 12.9
기타 8 1 0.2 3.2
비해당 0 603 95.1
2. 비정규사원을 고용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해당하는 모든 번호에 ○표로 표시해 주십 시오 5) 계약·등록
b2_5_3
비정규직 고용이유: 계약 등록 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인원을 쉽게 조절하기 위해서 2 1 0.2 11.1
임시계절적 업무량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5 2 0.3 22.2
전문적인 업무에 대처하기 위해 6 6 0.9 66.7
비해당 0 625 98.6
634 100.0 100.0
b3_1_1
부문별 근로자수 변동예측: 전체 사무관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110 17.4 17.4
동일 2 261 41.2 41.2
감소 3 148 23.3 23.3
무응답 9 115 18.1 18.1
634 100.0 100.0
b3_1_2
부문별 근로자수 변동예측: 전체 연구개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153 24.1 24.1
동일 2 159 25.1 25.1
감소 3 37 5.8 5.8
무응답 9 285 45.0 45.0
634 100.0 100.0 3. 각 부문별로, 현재부터 3년후의 근로자수의 변동예측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표시하고, 취업 형태별로 각 부문별 3년후의 변동예측(증가, 동일, 감소, 불명)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기입해 주십시오.
1_2) 전체 연구·개발부문
3. 각 부문별로, 현재부터 3년후의 근로자수의 변동예측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표시하고, 취업 형태별로 각 부문별 3년후의 변동예측(증가, 동일, 감소, 불명)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기입해 주십시오.
1_1) 전체 사무·관리부문
b3_1_3
부문별 근로자수 변동예측: 전체 생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109 17.2 17.2
동일 2 135 21.3 21.3
감소 3 122 19.2 19.2
무응답 9 268 42.3 42.3
634 100.0 100.0
b3_1_4
부문별 근로자수 변동예측: 전체 영업판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139 21.9 21.9
동일 2 157 24.8 24.8
감소 3 54 8.5 8.5
무응답 9 284 44.8 44.8
634 100.0 100.0
b3_1_5
부문별 근로자수 변동예측: 전체 기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50 7.9 7.9
동일 2 139 21.9 21.9
감소 3 80 12.6 12.6
무응답 9 365 57.6 57.6
634 100.0 100.0 3. 각 부문별로, 현재부터 3년후의 근로자수의 변동예측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표시하고, 취업 형태별로 각 부문별 3년후의 변동예측(증가, 동일, 감소, 불명)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기입해 주십시오.
1_4) 전체 기타
3. 각 부문별로, 현재부터 3년후의 근로자수의 변동예측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표시하고, 취업 형태별로 각 부문별 3년후의 변동예측(증가, 동일, 감소, 불명)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기입해 주십시오.
3. 각 부문별로, 현재부터 3년후의 근로자수의 변동예측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표시하고, 취업 형태별로 각 부문별 3년후의 변동예측(증가, 동일, 감소, 불명)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기입해 주십시오.
1_3) 전체 생산 부문
b3_2_1
부문별 근로자수 변동예측: 정규직 사무관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121 19.1 19.1
동일 2 255 40.2 40.2
감소 3 145 22.9 22.9
무응답 9 113 17.8 17.8
634 100.0 100.0
b3_2_2
부문별 근로자수 변동예측: 정규직 연구개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155 24.4 24.4
동일 2 171 27.0 27.0
감소 3 32 5.0 5.0
무응답 9 276 43.5 43.5
634 100.0 100.0
b3_2_3
부문별 근로자수 변동예측: 정규직 생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107 16.9 16.9
동일 2 140 22.1 22.1
감소 3 119 18.8 18.8
무응답 9 268 42.3 42.3
634 100.0 100.0 3. 각 부문별로, 현재부터 3년후의 근로자수의 변동예측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표시하고, 취업 형태별로 각 부문별 3년후의 변동예측(증가, 동일, 감소, 불명)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기입해 주십시오.
2_1) 정규직 사무관리
3. 각 부문별로, 현재부터 3년후의 근로자수의 변동예측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표시하고, 취업 형태별로 각 부문별 3년후의 변동예측(증가, 동일, 감소, 불명)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기입해 주십시오.
2_3) 정규직 생산
3. 각 부문별로, 현재부터 3년후의 근로자수의 변동예측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표시하고, 취업 형태별로 각 부문별 3년후의 변동예측(증가, 동일, 감소, 불명)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기입해 주십시오.
2_2) 정규직 연구개발
b3_2_4
부문별 근로자수 변동예측: 정규직 영업판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137 21.6 21.6
동일 2 165 26.0 26.0
감소 3 46 7.3 7.3
무응답 9 286 45.1 45.1
634 100.0 100.0
b3_2_5
부문별 근로자수 변동예측: 정규직 기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51 8.0 8.0
동일 2 128 20.2 20.2
감소 3 70 11.0 11.0
무응답 9 385 60.7 60.7
634 100.0 100.0
b3_3_1
부문별 근로자수 변동예측: 협력업체파견 사무관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증가 1 36 5.7 24.3
동일 2 83 13.1 56.1
감소 3 29 4.6 19.6
비해당 0 486 76.7
634 100.0 100.0 3. 각 부문별로, 현재부터 3년후의 근로자수의 변동예측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표시하고, 취업 형태별로 각 부문별 3년후의 변동예측(증가, 동일, 감소, 불명)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기입해 주십시오.
2_5) 정규직 기타
3. 각 부문별로, 현재부터 3년후의 근로자수의 변동예측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표시하고, 취업 형태별로 각 부문별 3년후의 변동예측(증가, 동일, 감소, 불명)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기입해 주십시오.
2_4) 정규직 영업판매
3. 각 부문별로, 현재부터 3년후의 근로자수의 변동예측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표시하고, 취업 형태별로 각 부문별 3년후의 변동예측(증가, 동일, 감소, 불명)에 대해서 해당하는 번호에 ○표로 기입해 주십시오.
3_1) 협력업체파견 사무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