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재료 관리 치료재료 관리 치료재료 관리 치료재료 관리 7. 7.
7. 7.
주요 업무 활동 내용 주요 업무 활동 내용 주요 업무 활동 내용 주요 업무 활동 내용 1) 1) 1)
1)
건강보험 정책 개발 및 연구 건강보험 정책 개발 및 연구 건강보험 정책 개발 및 연구 건강보험 정책 개발 및 연구 8.
8.
8.
8.
연구조직 변천과정 연구조직 변천과정 연구조직 변천과정 연구조직 변천과정 1)
1) 1) 1)
가 조사연구실 설립 가 조사연구실 설립 가 조사연구실 설립 가 조사연구실 설립....
나 심사평가정보센터 설립 나 심사평가정보센터 설립나 심사평가정보센터 설립 나 심사평가정보센터 설립....
연구사업 수행관리 연구사업 수행관리 연구사업 수행관리 연구사업 수행관리 2) 2) 2)
2)
가 연구과제 선정관리 및 평가 가 연구과제 선정관리 및 평가가 연구과제 선정관리 및 평가 가 연구과제 선정관리 및 평가....
나 연구과제 수행 인프라 개선 나 연구과제 수행 인프라 개선 나 연구과제 수행 인프라 개선 나 연구과제 수행 인프라 개선....
건강보험 정책개발연구 성과 건강보험 정책개발연구 성과 건강보험 정책개발연구 성과 건강보험 정책개발연구 성과 3) 3)
3) 3)
가 심사연구 분야 가 심사연구 분야 가 심사연구 분야 가 심사연구 분야....
나 평가연구 분야 나 평가연구 분야 나 평가연구 분야 나 평가연구 분야....
다 급여 수가연구분야 다 급여 수가연구분야다 급여 수가연구분야 다 급여 수가연구분야....
라 약제연구 분야 라 약제연구 분야라 약제연구 분야 라 약제연구 분야....
마 재정연구 분야 마 재정연구 분야 마 재정연구 분야 마 재정연구 분야....
구 분 내 용
연구 조정실
연구기획부 연구사업 기획관리 및 평가 국제 교류협력,
급여정책연구팀
건강보험 급여정책 및 제도 연구에 관한 사항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에 따른 제도 도입 및 관리 방안 연구에 관한 사항
심사제도연구팀 심사제도 및 운영체계 개편 연구 심사 평가 연계 관련 연구
의료평가연구팀 질 지표개발 및 질 향상을 위한 정책 지원
약제평가연구팀 약제정책 의약품 경제성평가 의약품 사용 적정성 등 연구, , 기술평가연구팀 의료기술평가를 위한 근거기반 연구 수행
장기 요양 제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연구 수행 통계관리부 건강보험 통계연보 등 주요통계 관리
대국민 행정정보 공개 학술용 진료통계정보 제공,
년 도 조 직 비 고
조사 연구실
2001.5. 1실 부
2 조사통계부 조사연구팀, 조사연구실 설치
2004.1. 1실 팀
2 연구기획팀 연구개발팀, 조사연구실 개편
2004.5. 1실 팀 5
연구기획팀, 심사연구팀, 질평가연구팀, 급여연구 팀 지불제도연구팀,
연구개발팀을 4팀 으로 확대 개편 2005.2. 1실
팀 6
연구기획팀, 심사연구팀, 질평가연구팀, 급여연구 팀 지불제도연구팀 장기요양연구팀, ,
장기요양연구팀신 설
2006.2. 1실 팀 8
연구기획팀 질병정보관리팀, , 1차의료서비스평가연 구팀, 입원의료서비스평가연구팀, 장기의료서비스 평가연구팀, 의약품경제성평가연구팀, 심사연구팀, 지불보상체계연구팀
정책지원 TF운영
※
팀신설
2 ,
팀명칭변경
2006.11. 1실 팀 8
연구기획팀, 질병정보관리팀, 1차의료평가연구팀, 장기의료평가연구팀, 의약품경제성평가연구팀 호스( 피스지원TF ),팀 심사연구팀, 보장성강화 상시모니 터링팀
국민의료비 관리효율화TF팀
※
명칭변경, 업무기능 재정비
심사 평가 정보 센터
2007.2. 2실 팀 7
심사평가정보센터 개설 심사평가정보센터 개설심사평가정보센터 개설 심사평가정보센터 개설
심사평가연구실 팀 국 심사평가연구실 팀 국 심사평가연구실 팀 국 심사평가연구실 팀 국
(4 ):
(4 ):(4 ):
(4 ): 제화지원연구조정팀 심, 사평가연구 팀 심사평가연구 팀 심사평가연구 팀1 , 2 , 3
진료정보분석실 팀 진료정보분석실 팀 진료정보분석실 팀 진료정보분석실 팀
(3 ):
(3 ):(3 ):
(3 ): 진료정보모니터링팀, 의약 품 의료기기연구팀 통계 정보공개팀,
2009.2. 2실 부 5
심사평가정책연구소로 명칭 변경 심사평가정책연구소로 명칭 변경심사평가정책연구소로 명칭 변경 심사평가정책연구소로 명칭 변경
정책지원실 부 정책지원실 부정책지원실 부 정책지원실 부
(3 ):
(3 ):(3 ):
(3 ): 연구기획부, 급여정책연구부, 통계 정보공개부
심사평가연구실 부 심사평가연구실 부 심사평가연구실 부 심사평가연구실 부
(2 ):
(2 ):(2 ):
(2 ): 심사연구부 평가연구부,
조직 전면개편 팀을 부로 개편 :7 5
2011.1.
실 1
부 1
팀 7
심사평가연구소로 명칭 변경 심사평가연구소로 명칭 변경심사평가연구소로 명칭 변경 심사평가연구소로 명칭 변경
연구조정실 부 팀 연구조정실 부연구조정실 부 팀팀 연구조정실 부 팀
- (1 7 ):
-- (1(1 7 ):7 ):
- (1 7 ): 연구기획통계부 재정분석, 연구팀 급여정책연구팀 수가제도연구팀 심사제도, , , 연구팀 의료평가연구팀 약제평가연구팀 기술평가, , , 연구팀
조직전면개편 실로 축소 연
:1 ,
구파트를 팀체제 로 운영
2012.1 실 1 센터 1
부 2
연구조정실 부 팀 연구조정실 부연구조정실 부 팀팀 연구조정실 부 팀
- (1 5 ):
-- (1(1 5 ):5 ):
- (1 5 ): 연구기획부 급여정책연구, 팀 심사제도연구팀 의료평가연구팀 약제평가연구, , , 팀 기술평가연구팀,
수 가 제 도 연 구 팀 센터로 편입 2012.7.
제 절 수가 및 지불제도 제 절 수가 및 지불제도 제 절 수가 및 지불제도 제 절 수가 및 지불제도 4 . 4 . 4 . 4 .
행위별수가 행위별수가 행위별수가 행위별수가 1. 1. 1.
1.
상대가치제도 상대가치제도 상대가치제도 상대가치제도 1)
1)
1)
1)
주요 업무 활동 내용 주요 업무 활동 내용 주요 업무 활동 내용 주요 업무 활동 내용 1) 1) 1)
1)
포괄수가제 포괄수가제 포괄수가제 포괄수가제 2. 2.
2. 2.
포괄수가제 포괄수가제 포괄수가제 포괄수가제 1) 1)
1) 1)
구분 1차 시범 월 (‘97.2.~’98.1 )
차 시범 2
월 (‘98.2.~’99.1 )
차 시범 3
월 (‘99.2.~’00.1 )
연장 회(2 ) 월 (‘00.2.~’01.12 ) 대상
질병군
개 진료과
4 ,
∙
개 질병군 5
개 진료과
4 ,
∙
개 질병군 5
개 진료과
6 ,
∙
개 질병군 9
개 진료과
4 ,
∙
개 질병군 8
세부 질병군
수정체 편도, ,
∙
충수 질식분만, , 제왕절개분만
좌동 ( )
∙ ∙좌동
+ 추가 개 ( , 4 )
∙
항문 탈장, , 자궁 부속기, 단순폐렴 늑막염 내(
과 소아, )
좌동
∙ 제외 개 ( , 1 )
∙
단순폐렴 늑막염 진료비 변이가
* 커서 제외
참여현황 54개 132개
개 428 상급종합 개 ( 16 ,
종합병원80 ,개 병원 58 ,개 의원
개 274 )
7 D RG (2009 )
【 】
【 】
【 】
【 】
( ) ,
( )
( ) DRG
( ) DRG ,
( ) DRG
( ) DRG (DRG
13%), DRG 47% DRG . DRG
80% , 80% .
( ) DRG (65~80%)
구분 지표명 지표선정사유
의료 의질 (13)
과정 (5)
지표1 퇴원시 환자상태 이상소견율 퇴원 적정성
지표2 재원일수비
과소진료 지표3 기본의료서비스 실시율
지표4 행위별 서비스 제공비
지표5 수술의예방적항생제 사용평가 예방적항생제사용
적정성
결과 (8)
지표6 입원중 사고율
의료서비스의 질을 반영하는 진료결과 지표7 입원중 감염률
지표8 수술합병증 및 부작용 발생률 지표9 재입원율
지표10 입원기간 중 합병증치료를 위한 수술 및 처치율 지표11 퇴원 후 응급실 이용률
지표12 입원기간 중 중환자실 이용률 지표13 사망률
청구및 진료행태
(4)
지표14 중증도‘1’이상 비율
모니터링 upcoding 지표15 기관별 환자구성지수
지표16 입원전또는 퇴원후 외래방문횟수
외래 전이 지표17 입원전또는 퇴원후 외래 진료비
자료제출
충실도(1) 지표18 의무기록자료 일치율 평가자료의 정확도 제고
신포괄수가제 신포괄수가제 신포괄수가제 신포괄수가제 2)
2) 2) 2)
수가 모형 포괄수가 기준수가 일당수가 행위별수가 수가 모형수가 모형 포괄수가 기준수가 일당수가포괄수가 기준수가 일당수가 행위별수가행위별수가 수가 모형====포괄수가 기준수가 일당수가[[[[ ++++ ] +] +] +] +행위별수가
기본진료료는 포괄화 진료비 차이가 큰 행위 고가 의사행위등 는, ( , )
※ 행위별 보상
환자분류체계 개발 관리 환자분류체계 개발 관리 환자분류체계 개발 관리 환자분류체계 개발 관리
3) ·
3) ·
3) ·
3) ·
명칭 명칭명칭
명칭 입원 외래입원 외래입원 외래입원 외래,,,, 구분 구분 구분
구분 용도용도용도용도 관리 개수관리 개수관리 개수관리 개수 최종 최종최종 최종 ( DRG) ( DRG) ( DRG)
( DRG) 개발 연도개발 연도개발 연도개발 연도
KDRG 입원 일반용 (V3.4) 1,874개 V1.0 1986, V2.0 1991 V3.0 2003 신포괄용 (V1.1) 1,941개 V1.0 2010 KOPG 외래 외래 (V1.1) 485개 V1.0 2006 KOPG-OM 외래 한의 (V1.0) 272개 V1.0 2010
분류
588 외래 보건기관 (V1.0) 591개 V1.0 2003
분류원칙분류원칙 분류원칙분류원칙
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수는 별도의 자료수집 노력없이 병원에서 일상적으로 수집되는 전산화된 정보여야 함
개수는 관리할 수 있는 범위내여야 함 각 는 임상적 관점에서 유사한 환자를 포함 각 는 자원소모가 유사한 환자를 포함
업무 활용분야
환자분류체계 KDRG
입원 ( )
KOPG 외래 ( )
KOPG-OM 한의 외래
( )
진료비 지불 포괄수가 지불단위 ○
심사
심사대상 선정 ○ ○ ○
적정급여자율개선제
지표연동관리제 ○ ○ ○
일당정액제 일당정액제 일당정액제 일당정액제 3. 3. 3.
3.
요양병원 일당 정액 요양병원 일당 정액 요양병원 일당 정액 요양병원 일당 정액 1)
1) 1) 1)
구분 내용
환자분류군별 일당정액수가
입원료 병원관리료 의학관리료 간호관리료
- ( 53%+ 31%+ 16%)
행위료 환자분류군별로 차이 있음
- ( )
약제 치료재료대 환자분류군별로 차이 있음
- , ( )
행위별수가
환자 -입원6일 이내 퇴원 낮병동 입원환자 한방과 입원환자 치과, , , 입원환자
기간 특정기간( ) - 폐렴 패혈증 중환자실 입원기간 외과적 수술 및 관련 치료, , , 기간
항목 특정항목( ) - 식대, CT, MRI, 전문재활치료 혈액투설 및 투석액 전문의약, ,
의료급여 혈액투석 의료급여 혈액투석 의료급여 혈액투석 의료급여 혈액투석 2) 2) 2)
2)
구분 수가 외래 일당( 1 )
계 혈액투석수기료 재 료 대 투 석 액 기타비용 금액 원( ) 136,000 64,320 33,900 12,000 26,030
의료급여 정신과 의료급여 정신과 의료급여 정신과 의료급여 정신과 3)
3) 3) 3)
진료기관
입원 낮병동 외박
입원후 일 1180
(100%)
입원후 일 181360
(97%)
입원후 일 이상 361
(93%)
국 공립병원ㆍ 8,560원 8,560원 8,560원 5,570원 1,460원 지방공사 및
사립정신요양병원 26,820원 25,950원 25,080원 13,880원 4,200원 민간위탁공립
정신병원 29,800원 28,770원 27,720원 15,800원 5,000원 사립진료기관 30,800원 29,710원 28,610원 16,450원 5,270원
: 2003-85 . 9 (2004.1.1 )
기관등급
낮병동 외박
입원후 일 1180
(100%)
입원후 일 181360
(95%)
입원후 일 이상 361
(90%)
G1 51,000원 48,450원 45,900원 36,000원 9,100원 G2 47,000원 44,650원 42,300원 33,000원 8,400원 G3 37,000원 35,150원 33,300원 26,000원 6,600원 G4 33,000원 31,350원 29,700원 23,000원 5,900원 G5 30,800원 29,260원 27,720원 22,000원 5,500원
: , . . 2011
완화의료 병동 일당정액 시범사업 완화의료 병동 일당정액 시범사업 완화의료 병동 일당정액 시범사업 완화의료 병동 일당정액 시범사업 4) 4) 4)
4)
1 2 ( )
161,820
⇒
/ 75,980
< >
39,487 217,381 147,125 100,479 131,250
79,300
/ 113,580 73,500
( ·
①
· )
②
(CT/M RI )
1 4
① 2
/ *
② 30%
16 16~30
제 절 심사 평가 인프라 구축 제 절 심사 평가 인프라 구축 제 절 심사 평가 인프라 구축 제 절 심사 평가 인프라 구축 5 5 5 5 · · · ·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1. 1.
1. 1.
정보시스템 구축 과정 정보시스템 구축 과정 정보시스템 구축 과정 정보시스템 구축 과정 1)
1) 1) 1)
표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활동 표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활동 표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활동 표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활동
< 3-35>
<< 3-35>3-35>
< 3-35>
단계 단계 단계
단계 시행시행시행시행 주요 내용주요 내용주요 내용주요 내용
단계 1
심평원
‘e- ’ 기반 마련
2000- 2003
전산청구의 확대 EDI
의약품 유통개혁에 따른 시스템 연계
요양기관 및 유관기관을 대상으로 한 양방향 서비스 확대 건강보험 정책수립 지원을 위한 정책자료 즉시 제공체계 마련 사무자동화의 실현
시간 가동체제의 무중단 서비스 제공을 위한 종합관제시스템 구축 24
단계 2
심평원
‘e- ’ 실현
2004- 2010
년 년 고객만족과 경영혁신
<2004 -2007 : >
청구명세서 항목간소화 심사의 실시간 접수 처리
종합관리제 전면시행에 따른 적기 대응
중장기 발전전략에 따른 조직경영의 전사적 관리를 위한IT기반 접목
년 년 고객가치 중심의 경영혁신과 비즈니스
<2008 -2010 : >
구조의 개선 및 연계강화 IT
정보기술 향상에 따른 실시간 온라인 서비스 확대 고객만족을 위한 서비스 품질고도화
단계 3 스마트심평원
‘ ’ 2011-
차세대 심사평가시스템 구축 데스크탑가상화시스템 도입
데이터통일 관리 등 각종 최신기술을 접목한 시스템의 보강 대국민 서비스를 확대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성과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성과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성과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성과 2)
2) 2)
2)
인프라 구축 활용 인프라 구축 활용 인프라 구축 활용 인프라 구축 활용 2. 2. 2.
2.
제 절 대국민서비스 제 절 대국민서비스 제 절 대국민서비스 제 절 대국민서비스 6 6 6 6
통계관리 및 정보공개 통계관리 및 정보공개 통계관리 및 정보공개 통계관리 및 정보공개 1. 1.
1. 1.
통계관리업무 통계관리업무 통계관리업무 통계관리업무 1)
1) 1) 1)
정보공개업무 정보공개업무 정보공개업무 정보공개업무 2) 2)
2) 2)
진료비확인 업무 진료비확인 업무 진료비확인 업무 진료비확인 업무 2. 2. 2.
2.
주요 업무 활동 내용 주요 업무 활동 내용 주요 업무 활동 내용 주요 업무 활동 내용 1)
1) 1) 1)
업무 활동 실적 업무 활동 실적 업무 활동 실적 업무 활동 실적 2) 2)
2) 2)
표 진료비확인업무 연도별 실적 표 진료비확인업무 연도별 실적 표 진료비확인업무 연도별 실적 표 진료비확인업무 연도별 실적
< 3-36>
<< 3-36>3-36>
< 3-36>
연도별 접수 건수
처리건수
계 정당 취하 기타 환불 환불금액
2003 2,682 2,494 186 1,513 227 568 272,229 2004 9,921 6,670 375 4,411 664 1,220 892,776 2005 7,733 10,701 919 4,969 1,565 3,248 1,481,384 2006 10,830 9,619 1,956 4,043 725 2,895 2,507,043 2007 18,850 15,569 1,409 5,285 1,647 7,228 15,171,811 2008 21,287 24,876 2,455 6,468 3,299 12,654 8,983,095 2009 46,201 43,958 6,038 10,498 8,793 18,629 7,232,275 2010 24,637 26,619 3,892 6,080 4,558 12,089 4,819,116 2011 23,908 22,816 4,664 4,684 3,536 9,932 3,597,171
상
2012. 13,344 12,954 3,337 2,202 1,453 5,962 2,346,649 계 179,393 176,276 25,231 50,153 26,467 74,425 47,303,549
3. DUR 3. DUR 3. DUR 3. DUR
주요 업무 주요 업무 주요 업무 주요 업무 1) 1)
1) 1)
업무 추진 내용 업무 추진 내용 업무 추진 내용 업무 추진 내용 2)
2)
2)
2)
항 목 계 급 여 비급여
동일성분중복 33,108 14,259 18,849
금기
병용 4,623 2,789 1,834
연령 1,931 1,046 885
임부 6,671 4,186 2,485
사용 중지 453 369 84
종 별 대상기관 수 점검기관 수 비율
계 66,088 65,186 98.6
병원급 이상 2,956 2,871 97.1
의 원 41,405 40,743 98.4
보건기관 1,554 1,548 99.6
약 국 20,173 20,024 99.3
구분 처방전수 약품수
전체 처방전당 개( ) 수진자수 전체 748,986 2,913,609
3.9
43,761 처방단계 381,134 1,481,164 42,129 조제단계 367,852 1,432,445 42,557
상급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 치과병원 치과의원 보건소 약국 6.3% 4.6% 4.7% 6.5% 1.5% 1.4% 9.2% 2.4%
제 장 의료심사 평가 년의 업무분석 및 평가
제 장 의료심사 평가 년의 업무분석 및 평가
제 장 의료심사 평가 년의 업무분석 및 평가
제 장 의료심사 평가 4 4 4 4 · · · · 12 12 12 12 년의 업무분석 및 평가
구 분 내 용
주요 업무별 평가 1.
요양급여비용심사
요양급여적정성 평가 및 의료자원 관리 요양급여기준 및 가격관리 등 정책지원 수가 및 지불제도
심사 평가 인프라구축· 대국민서비스
설립의의에 따른 평가 2.
심사의 공정성 전문성 객관성 효율성· · · 심사결과의 포괄적 연계
양질의 적정의료 보장 보험재정안정 정부정책 지원
분석에 따른 평가
3. SWOT 내부의 감정 및 약정
외부의 기회 및 위협
대상별 평가 4.
의료계 측면
보험자 정부 거버넌스 측면· ( ) 국민 측면
제 절 주요 업무별 평가 제 절 주요 업무별 평가 제 절 주요 업무별 평가 제 절 주요 업무별 평가 1 1 1 1
요양급여비용심사에 대한 평가 요양급여비용심사에 대한 평가 요양급여비용심사에 대한 평가 요양급여비용심사에 대한 평가 1.
1. 1.
1.
요양급여비용심사 요양급여비용심사 요양급여비용심사 요양급여비용심사 1)
1) 1) 1)
가 심사 방향 및 여건 가 심사 방향 및 여건 가 심사 방향 및 여건 가 심사 방향 및 여건....
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십억원) (백만건)
심결건수
청구총진료비 요양기관: 2012년6월83,735기관으로
년 대비 증가
2000 35.5%
심사대상: 2012년 진료건수2000년 대비 배 진료비는 배 증가 3.1 , 3.5 심사인력 공공기관선진화정책으로:
년대비 약 수준 2000 89%
직원1인당 생산성 약: 2.1배 증가
천건 천건
361 (2000)→773 (2011)
나 전반적 평가 나 전반적 평가나 전반적 평가 나 전반적 평가....
현지조사 현지조사 현지조사 현지조사 2)
2)
2)
2)
요양급여적정성 및 의료자원 관리에 대한 업무 평가 요양급여적정성 및 의료자원 관리에 대한 업무 평가 요양급여적정성 및 의료자원 관리에 대한 업무 평가 요양급여적정성 및 의료자원 관리에 대한 업무 평가 2. 2. 2.
2.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1) 1)
1) 1)
구분 급성심근경색증 제왕절개분만
시 범 사 업
질 향상 효과
평균 종합점수 향상
점 점 점
92.1 →97.38 (5.28 ↑)
평균 표준점수 향상
점 점 점
-0.35 →-1.98 (1.63 ↓) 최하위기관 점수 향상
점 점 점
59.08 →88.04 (28.96 ↑)
최하위기관 점수 향상
점 점 점
9.33 →4.79 (4.54 ↓) 진료비
절감효 과
억 진료비 절감효과 50
⇒ 입원일수 사망률 감소로 인한, 명의 조기사망 예방 효과 165
억 천만원 진료비 절감효과 10 4
제왕절개분만율 감소로 인한
⇒
명의 자연분만 전환 효과 562
본 사 업
질 향상 효과
가감지급사업이 처음 적용된 종합병원의 질 향상 뚜렷 종합병원 입원30일 이내 사망률
: 9.6%→9.0%(0.6%p )↓
표준점수 향상
점 점 점
-0.11 →-1.58 (1.47 ↓)
진료비 절감효 과
억 천만원 진료비 절감효과 21 4
건당 입원일수 감소
⇒
일 일
(8.7 →8.6 )
억 천만원 진료비 절감효과 21 8
제왕절개분만율 감소로 인한
⇒
명의 자연분만 전환 효과 1,183
자료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효과분석 모형개발 연구 보고서: (‘09서울대학교 김윤 교수)
평가항목 임상적 효과 경제적효과 연평균순감소( )
제왕절개분만 연평균 감소건수: 2,124건 2,224 허혈성심장질환 사망건수 감소효과: 508건
재원일수 감소효과: 35,941건 64,808 진료량지표 사망건수 감소효과: 91.3건
재원일수 감소효과: 22,458일 28,853 수술의예방적항생제 수술부위감염률 감소 : 47.3% 20,102
약제급여
항생제처방감소건 : 4,116,725건
25,400 주사제처방감소화 : 5,471,108건
항생제내성률 : 1.1%
수 혈 수혈량감소 : 453unit 17
합 계 합 계 합 계
합 계 141,404141,404141,404141,404
의료자원 및 병원 지정 관리 의료자원 및 병원 지정 관리 의료자원 및 병원 지정 관리 의료자원 및 병원 지정 관리 2)
2)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