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캐나다 LNG 프로젝트 추진 현황 및 장애요인 - 에너지경제연구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캐나다 LNG 프로젝트 추진 현황 및 장애요인 - 에너지경제연구원"

Copied!
10
0
0

Teks penuh

(1)

캐나다 LNG 프로젝트 추진 현황 및 장애요인

에너지국제협력본부 박아현([email protected])

최근 미국 셰일가스 생산 증가로 가스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캐나다의 가스 수출 량과 생산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이러한 상황에서 B.C.州의 가스 생 산자들은 셰일가스를 액화해 아·태지역으로 수출하는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음.

캐나다 서부지역은 천연가스 매장량이 풍부하기 때문에 대규모 LNG 수출 프로 젝트들이 성사될 잠재성을 지니고 있음. 또한 아시아 시장으로의 수출 확대를 위한 지리적 이점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부의 지원도 전폭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음.

그러나 NEB의 승인을 받은 8개 프로젝트 중에도 최종투자결정이 확정된 프로젝 트는 아직 없음.

막대한 개발 비용과 조세체계의 불확실성이 최종투자결정을 저해하고 있는 것으 로 분석됨. 환경문제 및 원주민 연합의 프로젝트 허가 여부 역시 프로젝트 추진 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1. 캐나다 천연가스 개발 및 프로젝트 현황

□ 캐나다 천연가스 개발 현황

ㅇ 캐나다 천연가스 생산량의 약 98%가 Alberta州, British Columbia(B.C.)州 등 서부지역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최근 미국 셰일가스 생산 증가로 가스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캐나다의 수출량과 생산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캐나다에서 생산되는 천연가스의 70% 정도가 Alberta州에서 생산되지만 대 부분 전통 천연가스로서 생산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반면, B.C.州의 천연가스 생산비중은 약 26%이며, 북부지역의 Horn River, Montney, Cordova, Liard 지대에 매장된 셰일가스 개발로 생산량이 증가하 고 있음.

- 전체적으로 캐나다의 가스 생산량은 2005년 이후 약 18% 감소하였음. 캐나 다 국가에너지위원회(National Energy Board, NEB)의 자료에 따르면, 향후 미국의 낮은 가스가격으로 인해 수출이 감소하게 되면 생산량은 더욱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

NEB는 최근 분석*에서 북미 천연가스 가격이 US$4~5/MMbtu 수준이면, 2015년 생산량이 2005년 대비 23%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

(2)

ㅇ 대미수출 감소에 대응하여 B.C.州의 가스 생산자들은 셰일가스를 액화하여

아·태지역으로 수출하는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음.

- 지난 수년간 캐나다에서 생산된 가스는 주로 파이프라인을 통해 미국으로 수 출되었음. 그러나 최근 미국 셰일가스의 생산 증가로 가스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캐나다 천연가스의 수출경제성이 악화되고 있으며 수출량도 감소함.

- 2013년 말 현재 NEB에 신청한 수출 프로젝트는 총 14건이며, 승인을 받은

프로젝트는 7개임. 이들 프로젝트의 대부분은 캐나다 서부 해안지역에서 추 진되고 있음.

ㅇ 캐나다의 LNG 프로젝트들은 최근까지 더디게 진척되는 모습을 보여 왔으나 일부 주요사항이 확정된다면 향후 아·태지역 천연가스 시장의 판도를 변화시 킬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예상됨.

자료 : Fraser Institute

< 캐나다 B.C.州의 주요 LNG 프로젝트 >

“대미수출 감소에 대응하여 B.C.州의 가스 생산자들은 LNG의 아·태지역 수출을 계획하고 있음”

(3)

□ NEB 승인 프로젝트 현황

프로젝트 참여기업 건설 예정지 규모 승인 일자

Kitimat LNG Apache, Chevron Bish Cove,

Kitimat 13.3Bcm/y 2011년 10월 Douglas

Channel LNG

LNG Partners Houston, Haisla

First Nation

Douglas

Channel, Kitimat 2.4Bcm/y 2012년 2월 LNG Canada Shell, Mitsubushi,

Kogas, PetroChina Kitimat 33Bcm/y 2013년 2월 Pacific

Northwest LNG

Petronas, Japex, IOC, Petroleum Brunei

Lelu Island,

Prince Rupert 32.61Bcm/y 2013년 12월

WCC LNG ExxonMobil,

Imperial Oil 미정 41.4Bcm/y 2013년 12월

Prince Rupert

LNG BG, Spectra Ridley Island,

Prince Rupert 30.08Bcm/y 2013년 12월 Woodfibre LNG Pacific Oil & Gas Squamish, BC 2.8Bcm/y 2013년 12월 Jordan Cove

LNG Veresen Oregon, US 16.03Bcm/y 2014년 2월

자료 : NEB

< NEB가 승인한 캐나다 LNG 프로젝트>

Kitimat LNG

- 미국의 Chevron과 Apache가 각각 5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Chevron 이 하류부문을 운영하고 Apache가 상류부문을 담당함.

- 최근 중국 Sinopec이 Kitimat LNG 프로젝트에서 Apache의 지분 일부를 인 수하기 위해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짐.

- 생산용량이 5백만 톤/년인 LNG 트레인 2기(총 1천만 톤/년)가 건설될 예정 이며, 연장 463km의 Pacific Trail 파이프라인을 통해 Summit Lake지역의 가스전에서 Kitimat 액화기지로 가스를 공급할 계획임. Pacific Trail 파이프 라인의 용량은 1Bcf/d임.

- Kitimat LNG 시설 착공은 연내에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며, 상업운전은 2017년 말에 개시될 것으로 보임.

Douglas Channel LNG(BC LNG)

- Douglas Channel LNG 프로젝트는 바지선을 기반으로 하는 용량 190만 톤/

년의 소형 액화 플랜트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Haisla First Nation과 LNG Partners, LLC.가 각각 5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음.

“Kitimat LNG 시설 착공은 연내에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며,

상업운전은 2017년 말에 개시될 것”

(4)

제 등은 새로 건설할 예정임.

- 당초 2014년 초에 건설에 착수하여 2015년에 완공할 예정이었으나, 다소 지 연되어 2016년에 가동될 것으로 예상됨.

LNG Canada

- Shell이 4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외에 한국가스공사(Kogas), Mitsubishi, PetroChina 등이 각각 2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음.

- 6백만 톤/년 규모의 액화 트레인 4기(총 2천4백만 톤/년)가 건설될 예정임.

또한 TransCanada와 함께 Dawson Creek의 가스매장지역에서 액화기지까지 연장 644km의 파이프라인(용량 1.7Bcf/d)을 건설할 예정임.

- LNG Canada 프로젝트는 초기 계획 단계에 있으며 현재 Kogas의 지분처분, 투자비 절감방안 검토, 가격결정방식 등 다양한 문제가 얽혀 있음. 2015년 최종투자결정을 목표로 하고 있음.

Pacific Northwest LNG

- Pacific Northwest LNG 프로젝트는 캐나다 B.C.州 Montney 지대에서 생산 된 천연가스를 Prince Rupert 인근 Lelu Ialand 섬에 위치한 플랜트에서 액 화하여 아시아지역으로 수출할 계획임.

- 현재 말레이시아 Petronas가 77%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본 Japex와 인도석유공사(IOC)가 각각 10%, 그리고 Petroleum Brunei가 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음.

- Petronas는 향후 해당 프로젝트의 지분을 50%까지 낮출 계획이라고 발표하

였으며, Sinopec이 최근 15%의 지분 인수 의사를 밝힌 바 있음.

- 6.5백만 톤/년 규모의 LNG 트레인 2기가 건설될 예정이며, 필요에 따라 동

일 규모의 LNG 트레인 1기가 추가로 건설될 수 있음. 연장 752km의 파이 프라인(용량 2~3.6Bcf/d)을 통해 Fort St. John지역에서 천연가스를 공급함.

- 2014년 말에 최종투자결정이 이루어질 계획이며, 2018년 말 혹은 2019년 초

부터 수출을 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ㅇ WCC LNG

- WCC LNG 프로젝트는 ExxonMobil와 캐나다 Imperial Oil이 공동으로 추 진하는 사업임.

- 연간 10~15백만 톤 규모의 액화시설을 건설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 나, 천연가스 조달에 필요한 파이프라인 건설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음.

- 프로젝트 투자비용을 비롯한 여러 장애요인으로 인해 WCC LNG 사업은 추 진되지 못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LNG Canada 프로젝트는 초기 계획 단계에 있으며 현재 Kogas의 지분처분, 투자비 절감방안 검토, 가격결정방식 등 다양한 문제 존재”

“Petronas는 Pacific

Northwest LNG 프로젝트의 지분을 50%까지 낮출 계획”

(5)

Prince Rupert LNG

- BG Group(BG)이 추진하고 있는 Prince Rupert LNG 프로젝트는 총 2천1백 만 톤/년 규모의 액화플랜트 건설 및 운영사업임.

- 프로젝트는 2단계에 걸쳐 시행되며, 최종적으로 7백만 톤/년 규모의 트레인

3기가 건설될 예정임. 1단계에서는 트레인 1, 2가 건설되며, 2단계에서는 트

레인 3이 건설됨.

- Spectra Energy는 BG와 Prince Rupert LNG 터미널과 B.C.州 북동부 지역 을 잇는 연장 840km의 파이프라인(용량 4.2Bcf/d)을 건설하는 계약을 체결 함. BG는 50% 지분을 가지며, 전체 용량에 대해 이용 권리를 가짐.

- BG는 가스자산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가스전을 보유한 프로젝트 파트

너를 모색 중이며 말레이시아의 Petronas와 협의하고 있음.

Petronas는 B.C.州 북동부 Montney 셰일지대에 일부 가스전을 소유하고 있음.

- 프로젝트는 아직 기본설계(FEED) 전 단계로 2016년에 착공이 가능할 것으 로 보이며, 2021년에 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Woodfibre LNG

- 인도네시아 독립계 에너지기업인 Pacific Oil & Gas가 주관하는 소규모 LNG 프로젝트(생산용량 210만 톤/년)로, Woodfibre 펄프공장을 LNG 시설 로 전환하는 등 기존의 산업 부지를 이용하게 됨.

- 액화 바지선(floating liquefaction barge)에 대한 FEED 제안서를 제출한 상 태이며, 원료가스의 조달계획은 확정된 바가 없으나 Woodfibre는 기존의 FortisBC 파이프라인을 통해 필요한 가스를 조달한다는 계획임. 또한 Eagle Mountain 파이프라인 증설을 B.C.州 규제당국에 신청한 상태임.

- 소규모 프로젝트인데다 이미 중국 시장에서의 수요처를 확보한 상태이며, 기 존의 수송 인프라를 이용하는 장점이 있음. 그러나 인구밀집지역에 플랜트가 입지하고 있어 환경영향평가 시 반대의견이 많을 것으로 예상됨.

Pacific Oil & Gas는 중국의 Jiangsu성 LNG 인수기지 사업에 PetroChina의 파트너로서 참여하고 있음. Jiangsu LNG 인수기지는 PetroChina가 중국 정부 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은 최초의 LNG 인수기지임.

Jordan Cove LNG

- Jordan Cove LNG 프로젝트는 캐나다산 천연가스를 미국으로 수출하기 위 한 프로젝트로서 캐나다의 Veresen의 참여 하에 미국 오리건州 Coos Bay에 서 추진되고 있음.

- Jordan Cove LNG 프로젝트는 이미 캐나다 정부의 승인을 받은 상태이며

“BG는 가스전을 보유한 프로젝트 파트너를 모색 중이며, Petronas와 협의 중”

“Jordan Cover LNG 프로젝트는 캐나다산

천연가스를 미국으로 수출하기 위한 프로젝트”

(6)

Jordan Cove LNG 터미널을 통해 가스를 수입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 기 때문에 미 정부의 승인이 필요함.

자료 : The Oregonian

< Jordan Cove LNG 프로젝트 >

ㅇ 기타 프로젝트

- NEB가 사업을 승인한 앞의 프로젝트 이외에 Trion LNG, Aurora LNG, Kitsault Energy 등이 있음.

- Trion LNG는 일본 정유회사 Idemitsu와 캐나다 중류부문 사업자 Altagas가 연간 생산용량 230만 톤의 액화 플랜트를 건설하는 사업임. 필요한 원료가스 를 Altagas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조달할 계획임.

- Kitsault Energy는 2018년 가동을 목표로 생산 용량 4~5백만 톤/년의 FLNG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B.C.州에 소재한 Krishnan Suthanthiran이 추진하고 있음. - Aurora LNG는 중국 CNOOC, 일본의 INPEX, JGC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CNOOC가 소유한 캐나다 가스전을 활용하고자 추진하고 있음. 최 초 6백만 톤/년 용량의 플랜트를 건설하는 계획 이외에 사업 내역은 알려진 바가 없음.

2. 캐나다 LNG 프로젝트의 경쟁력

□ 캐나다 천연가스 자원의 경제성

“NEB가 사업을 승인한 프로젝트 이외에 Trion LNG, Auroa LNG, Kitsault Energy 등이 있음”

(7)

로젝트들이 성사될 잠재성을 지니고 있음.

- NEB는 2013년 말 기준으로 서부 캐나다 퇴적분지(Western Canadian Sedimentary Basin)에 861Tcf의 가스가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 또한 Alberta州와 B.C.州의 Montney 지대에는 449Tcf, Horn River 지대에 는 78Tcf가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산함.

- 이들 가스 자원을 바탕으로 BG Group, Chevron, ExxonMobil, Petronas,

Shell 등이 참여하는 14개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는 상황임. 대부분의 프로

젝트들은 2020년 이후 운영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음.

- 이에 따라 캐나다 서부의 LNG 생산량은 2020년에 연간 7백만 톤, 2023년에 는 연간 2천2백만 톤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들이 나오고 있음.

□ 아시아 시장으로의 수출 확대를 위한 지리적 이점 및 정부의 지원

ㅇ 캐나다 서부에 위치한 B.C.州는 아시아 시장으로 캐나다 LNG를 수출하기에 적합한 위치임.

- LNG 운송선이 B.C.州의 Prince Rupert에서 출발할 경우, 일본의 도쿄까지는 약 9일, 한국의 평택까지는 대략 12일이 소요됨. 미국 멕시코 만에서 파나마 운하를 경유해 수송하는 것에 비해 절반 정도의 시간이 소요됨.

ㅇ 캐나다 연방정부와 B.C.州 주정부는 대규모의 LNG 프로젝트를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음.

- 캐나다 보수당 정부는 LNG를 포함하여 아시아 시장으로의 에너지 수출확대 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음.

- B.C.州 주정부는 LNG 수출을 통해 지역경제를 발전시키고자 함. 현재 B.C.

州의 광업과 펄프제지 산업 전망은 그리 밝지 않음. 따라서 B.C.州 정부는 장기적으로 수익을 창출해낼 수 있는 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음.

- B.C.州 주정부는 LNG 수출사업을 유망한 투자대상으로 여기고 있으며, LNG 산업을 육성함과 동시에 천연가스 수출을 통하여 2046년까지 1조 캐 나다 달러에 달하는 재정수입을 거둬들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3. 프로젝트 추진 장애 요인

ㅇ NEB의 승인을 받은 8개 프로젝트 중에도 최종투자결정(final investment decision, FID)이 확정된 프로젝트는 아직 없음.

- 일부 진척을 보이고 있는 프로젝트로는 Kitimat LNG와 Pacific NorthWest LNG뿐임. 그러나 두 프로젝트 역시 FID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현재

“캐나다 서부지역은 천연가스 매장량이 풍부하기 때문에 대규모 LNG 수출 프로젝트들이 성사될 잠재성을 지니고 있음”

“연방정부와 B.C.州 주정부는 대규모의 LNG 프로젝트를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음”

(8)

Kitimat LNG도 아직까지 FID를 확정하지 않고 있음. 기업들의 FID 결정을 저해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막대한 개발 비용

ㅇ NEB의 승인을 받은 LNG 프로젝트는 모두 캐나다 서부의 B.C.州 해안지역에

서 추진될 예정인데, 해당 지역의 항구들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데다가 설 비 건설을 위한 숙련된 인력 및 물자를 항구까지 조달하는 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총 투자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프로젝트를 추진하려면 100억 달러 이상의 비용이 소 요되지만, 추가비용 발생으로 인하여 200억 달러까지도 늘어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자금이 충분한 투자자들마저도 FID를 결정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임.

□ 조세체계의 불확실성

ㅇ LNG 관련 조세체계의 불확실성이 사업 추진을 저해하는 요인 중 하나인 것으 로 지적되고 있음.

- B.C.州 Christy Clark 수상은 가스 수출기업들이 FID를 조속히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LNG세(LNG income tax) 도입에 대한 계획을 2014년 2월에 발표하였음.

- 계획안에 따르면, LNG 수출시설에 대한 초기 세금은 순이익의 1.5%이며, 투자비가 회수된 이후부터는 7%로 인상됨. 가스 수출 관련 추가 규제는 2015년에 마련될 것으로 예상됨.

- 전문가들은 호주, 카타르, 러시아 등과 같은 기존의 LNG 수출업자들과 경쟁 해야 하기 때문에 B.C.州의 계획 이행에는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고 있음.

□ 환경문제

ㅇ 엄격한 환경관련 정책 역시 프로젝트 추진을 어렵게 하고 있음.

- B.C.州는 에너지사업에 탄소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청정에너지 관련법을 통

해 발전소를 운영하는 사업자들에게 청정에너지원의 발전비중을 93%까지 확대해야 하는 의무를 부과하고 있음.

- LNG 수출 프로젝트들은 대부분 가스 발전소를 건설하여 액화플랜트를 가동 할 예정임. 따라서 사업자들은 주정부의 탄소배출 규제가 수출 프로젝트의 경제성 확보를 어렵게 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음.

□ 원주민 연합의 프로젝트 허가 여부

ㅇ 캐나다 원주민 연합인 First Nations가 프로젝트를 허가할지에 대한 여부 역시

“해당 지역의 항구들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데다가 설비 건설을 위한 숙련된 노동인력 및 물자를 항구까지 조달하는 데에 많은 비용이 소요”

“LNG 관련 조세체계의 불확실성이 사업 추진을 저해하는 요인 중 하나”

(9)

- 1980년대 연방정부는 캐나다 토착원주민(이후 캐나다 원주민 연합(First Nations)을 구성) 거주지에 대해 투자를 허용했으며, 전통적으로 토지 소유 권을 둘러싼 원주민과의 협상을 거부하거나 지연시켜왔음.

- 1983년 연방 하원에서 원주민 자치정부 조사위원회(Penner Committee)를 구 성,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모든 원주민 부족의 자치정부 구성을 이들의 전 통적 권리로 인정하였으며, 1995년 캐나다 정부는 이들의 자치정부 결성권리 행사를 지원하기 위해 생득권 보호 정책(Inherent Right Policy)를 제정함. - 1999년 초, 캐나다 북부지방 Inuit 원주민들이 Nunavut이라는 지역을 형성

하였으며, 이는 캐나다 원주민 토지에 관한 권리를 인정하는 상징적 사건이

됨. 현재 Nuvanut州는 연방정부에 속해 있기는 하지만 자치정부 및 의회를

통한 강력한 자치권을 행사하고 있음.

- 원주민과의 조약(treaty) 체결은 영국 왕실이나 권한을 위임받은 캐나다 정부 만이 가능하고, 조약을 통해서만 원주민들로부터 토지에 대한 권리를 이양 받을 수 있음.

- 2005년 캐나다 대법원은 모든 (준)주정부가 토지 및 자원에너지 개발이 헌법

에 명시된 원주민의 권익을 침해할 우려가 있을 경우 반드시 사전 협의를 해 야 하는 법적 의무가 있음을 규정함.

- 하지만, 사업 추진 여부의 최종 결정권은 원칙적으로 정부 권한이므로 원주 민, 관련 단체, 정부 등과의 갈등, 마찰 소지가 존재함. 실질적으로 정부로부 터 개발 허가를 받고도 원주민들과의 마찰, 법적공방으로 인해 사업의 시의 성과 경제성이 상실되어 개발이 지연되거나 추진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음.

- B.C.州 원주민들의 경우, 주영토의 지배 권리를 지니고 있지 않기 때문에 B.C.州 LNG 개발업자들은 First Nations와 협상을 통해 허가를 받아야 함.

참고문헌

에너지경제연구원,「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각 호

Natural Gas Daily, “Decisions needed to develop Canadian LNG”, 2014.3.3 National Energy Board, Short-term Canadian Natural Gas Deliverability

2013-2015, Energy Market Assessment, May 2013

The Oregonian, “Proposed Jordan Cove LNG terminal in Coos Bay gets permit to access Canadian gas for exports”, 2014.2.21

PR Newswire, “Progress Energy Canada and Pacific NorthWest LNG welcome third partner to British Columbia LNG export project”, 2014.3.7

Britich Columbia LNG in BC 홈페이지(http://engage.gov.bc.ca/lnginbc/)

Douglas Channel Energy Partnership 홈페이지(http://www.douglaschannelenergy.com/)

“First Nations가 프로젝트를

허가할지에 대한 여부 역시 프로젝트 추진을 저해하는 요인”

“실질적으로 정부로부터 개발 허가를 받고도 원주민들과의 마찰, 법적공방으로 인해 사업의 시의성과 경제성이 상실되어 개발이 지연되거나 추진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음”

(10)

Jordan Cove Energy Project, L.P. 홈페이지(http://www.jordancoveenergy.com/) Kitimat LNG 홈페이지(http://www.kitimatlngfacility.com/)

LNG Canada 홈페이지(http://lngcanada.ca/)

National Energy Board 홈페이지(http://www.neb.gc.ca/)

Pacific NorthWest LNG 홈페이지(http://pacificnorthwestlng.com/) Prince Rupert 홈페이지(http://www.princerupertlng.ca/)

Woodfibre LNG 홈페이지(http://www.woodfibrelng.ca/)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