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코로나가 가져온 특별한 간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코로나가 가져온 특별한 간호 "

Copied!
65
0
0

Teks penuh

감염환자에 대한 사후관리는 일반 사후관리와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들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 생각하고 그 과정에서 슬픔과 죄책감을 경험하였다. 한편, 코로나19 환자 사후관리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감염관리 지침을 준수하는 것과 환자의 존엄한 죽음을 보장하는 것 사이에서 슬픔과 죄책감을 느꼈다.

서론

연구의 필요성

따라서 간호사의 업무와 경험을 연구함으로써 의료종사자들에게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 앞으로 나타날 신종 감염병의 확산에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Kim, 2018).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코로나19 환자를 직접 간호한 간호사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지금까지 간호사의 환자간호 스트레스와 감염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대한 정량적 연구는 이루어졌으나, 신종 감염병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간호경험에 대한 정성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문헌고찰

신종 감염병과 신종 감염병 유행 시 간호사의 경험

환자에게 안전하고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고, 간호사를 훈련하고, 간호사가 신체적 정신적 회복을 위한 자신만의 전략을 가질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합니다. Liu와 Liehr(2009)의 연구에서도 간호사는 SARS 환자 간호를 통해 자신감을 얻고 새로운 간호 기술을 습득하면서 자기 성장을 이뤘다고 한다.

연구방법

연구 설계

연구 참여자

자료 수집

연구는 간호사 휴게실에서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만 참석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원고를 여러 번 읽고 참여자의 진술 내용을 명확하게 이해하려고 노력하였다.

윤리적 고려

각 면담은 평균 1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면담 후 녹음된 내용을 연구자가 복습하고 전사하였다. 사후 분석 과정에서 내용이 불충분하거나 면담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추가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질 확보

연구자 준비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시작된 코로나19 간호환자의 경험은 연구자에게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주었다. 연구자는 본 연구에 앞서 대학원에서 질적 연구교육을 수료하였다.

자료분석방법

셋째(주제 찾기): 주제를 찾는 과정으로 분류한 코드 중 경험을 잘 표현한 의미 있는 진술을 통합하여 주제를 얻었다. 또한 테마 추출 과정에서 분류된 코드를 대표할 수 있는 테마로 검색이 이루어졌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하고자 노력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주제 도출

연구 참여자들은 격리 병동에 혼자 있는 환자들에게 다른 간호를 제공했다고 말했다. 사후관리 절차는 일반 환자와 다릅니다. 우리는 환자가 만나는 사람들입니다.

간호 외에도 연구 참가자의 성찰은 환자와 간병인에게 안전하게 전달되었습니다. 환자들은 연구 참가자들에게 감사를 표했습니다. 연구 참가자는 ICU 인력과 자원이 부족한 COVID-19였습니다.

"팬데믹"이라는 세계적인 재난 상황에서 COVID-19 환자 치료가 수행되었습니다. 코로나19 감염 확산 위험에도 불구하고 환자를 돌본 연구 참여자들은 자부심을 드러냈다. 참가자들의 지식이 합병증 환자의 치료에 부족한 것 같았습니다.

논의

이는 간병을 포함한 전인적 돌봄을 시행할 수 있었고 이에 대한 만족도를 경험했음을 보여준다. 간호의 궁극적인 목표는 전인적 돌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격리 병동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소수의 환자를 간호하고 있었기 때문에 기본적인 간호와 전인적 간호를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참여자들이 스스로 일차의료를 시작한 이유 중 하나로 보인다. Chung 등(2005)은 격리된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이 혼자 있는 환자에 대해 미안함을 느끼고, 사망 시 가족을 지키지 못하는 격리 지침 때문에 죄책감을 느낀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향후 일반환자의 사후관리와 격리환자의 사후관리 차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의 참가자들은 COVID-19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로서 성장을 경험했다고 말했습니다.

결론 및 제언

Symptoms of anxiety, depression and peritraumatic dissociation in intensive care clinicians treating patients with COVID-19. Burnout and somatic symptoms among primary care professionals at the height of the Italian COVID-19 pandemic. Strategies and resources nurse leaders can use to lead with empathy and caution so they understand and address sources of fear among nurses practicing in the era of COVID-19.

Experiences of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temporarily closed due to COVID-19. Prioritizing workforce wellness and resilience: What COVID-19 reminds us about self-care and employee support. How death anxiety affects nurses' care of patients at the end of life: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psychological change process of frontline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COVID-19 during the outbreak.

연구 대상자 설명문 및 동의서

심의결과 통지서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re spreading rapidly due to glob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causing constant damage. Many healthcare workers are doing their utmost to treat COVID-19 patients and prevent further spread, and nurses are at the center of these processes. Since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re believed to be constantly evolving, more studies are needed to cover them, but the amount of research is currently insufficient.

Nurses' experiences caring for patients with COVID-19” through the voices of nurses who participated in treating and caring for patients with COVID-19. From January to March 2021,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7 nurses in the quarantine wards of the A tertiary hospital in S City. In the ambiguous information and ever-changing guidelines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participants continued to improve their clinical skills for COVID-19 patient care.

In the special conditions of the isolation ward, we cared for a small number of patients, but we provided comprehensive medical care.

Gambar

Table 1.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N = 17)  Age

Referensi

Dokumen terkait

Reducing symptoms severity in patients with COVID-19 and post COVID-19 patients using the Sujok and Triorigin Therapy (STT) through community empowerment.. Ade Sutrimo,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