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태양광 제품의 해외 시장접근 제약 사례 및 시사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태양광 제품의 해외 시장접근 제약 사례 및 시사점"

Copied!
11
0
0

Teks penuh

(1)

태양광 제품의 해외 시장접근 제약 사례 및 시사점

- 자국산 부품 사용 의무화(LCR)를 중심으로

국제협력연구실 정웅태 연구위원([email protected]) 공지영 전문연구원([email protected])

자국산 부품 사용 의무화(LCR)는 자국 산업 보호의 주요 수단으로 자국 또는 지역 내에서 생산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함.

태양광 제품에 LCR이 시행되고 있는 이유로는 ①정부 보조금이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으로 유입 됨에 따라 이 산업의 경제적 편익이 자국 경제 활성화에 즉각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필요, ②정부 보조금을 투입한 산업에서 외국 자본이 이익을 얻을 경우 국부 유출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기 때문임.

주요 LCR 적용 수단으로는 ①정부 보조금 또는 FIT 지원, ②사업권 입찰 시 낙찰 분 자격조건, ③자금 대출시 LCR 비율 적용, ④시장 진입 금지 등에 활용됨.

주요국 LCR 적용 사례로는 미국, 캐나다, 브라질, 중국 등이 있으며, 이중 긍정적 사례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부정적 사례로는 인도로 꼽힘.

최근 국제적으로 WTO 제소 등 LCR 적용에 대한 논쟁이 확산되면서 국가별로 LCR 적용 방향은 차별화 되고 있음.

향후 청정에너지 상품의 시장접근성 개선(MACEP)을 신규 이니셔티브로 활동 시 국가별 LCR 적용 문제가 해결해야 할 과제인지에 대해서는 민감한 문제이므로 좀 더 신중한 접근 방법이 필요함.

1. 자국산 부품 사용 의무화(Local Content Requirements, LCR) 개요

¡자국산 부품 사용 의무화(이하 ‘LCR’로 표시)는 자국 내에서 생산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서 혜택을 제공하고자 자국 산업 보호의 정책수단 채택

¡LCR 제도의 시행은 고용창출 및 산업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있는 반면, 비효율적 자원배분 및 무역왜곡 발생 등의 부정적 효과가 발생될 수도 있음.

‒ LCR 시행으로 자국 내 사업연계를 통한 경제 다변화, 수출 증대 및 산업 성장을 통한 정부의 세수 확대 등 경제적 편익이 기대될 수 있음.

‒ 또한, 관련 산업의 성장 기반 확대를 통해 역량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인적자원 육성, 지식·기술 이전 등 학습효과 확산도 기대됨.

‒ 반면, 자국산업 보호정책이 강화될수록 비효율적 자원배분 문제가 심화될 수 있으며, 시장·무역 왜곡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함.

‒ 또한, 더 비싼 혹은 저품질의 제품을 자국내 구매자에게 구입을 강요함으로써 사회적 비용이 상승할 수 있음.

“자국산 부품 사용 의무화는 자국 산업 보호의 주요 수단으로 자국 내에서 생산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함”

(2)

긍정적 효과 부정적 효과

·자국 경제적 편익 발생

·학습효과 확산

·자국 산업 보호

·비효율적 자원 배분

·무역왜곡 발생

·사회적 비용 상승

< LCR 시행에 따른 효과 >

¡ LCR은 보호주의 성격을 가지므로 세계무역기구(World Trade Organization,

WTO) 협정에 위반하는 사례로 제소되는 등 국제적 분쟁 소지를 야기할 수 있음.

‒ 정부 입찰에 참여하는 정부조달 품목에 대해서는 WTO의 규제가 적용되지 않음에 따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 입찰시 LCR 적용이 다수 확인되고 있음.

‒ 태양광 LCR에 대해 WTO에 제소한 사례는 다음과 같음.

⦁2010년 9월, 일본이 캐나다 온타리오州 신재생에너지 FIT 프로그램이 LCR을 적용하여 WTO 규정을 위반하였다고 제소하였으며, WTO는 캐나다에 제도 개선을 요구함.

⦁2012년 11월, 중국이 EU, 그리스, 이탈리아를 대상으로 EU 내 생산된 신재생 에너지 발전량에 대해서만 FIT(Feed-in Tariff)를 제공하는 규정에 대해서 조사를 요청함.

⦁2013년 2월, 미국이 인도 태양광 부문의 자국산 보조금 지원 정책에 대해 조사를 요청함.

2. 태양광 제품의 LCR 추진 현황

¡ 신재생에너지 산업에서도 LCR이 자국산업 보호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태양광 시장이 확대되면서 자국 태양광 산업 및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서 신재생 에너지 보급 확대 정책과 연계한 LCR 제도가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되고 있음.

‒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 주요국 정부는 국민의 세금을 통 한 정부 보조금을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투입하고 있음.

‒ 정부 보조금이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으로 유입됨에 따라 이 산업의 경제적 편익이 자국 경제 활성화에 즉각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기대되며, 정부 보조금을 투입한 산업에서 외국 자본이 이익을 얻을 경우 국부 유출에 대한 우려가 확대됨에 따라 LCR 제도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요구됨.

¡ 태양광 제품 내 일반적인 LCR 적용 수단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음.

‒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자국산 부품 사용 의무화 비율 적용

‒ 지역 내 부품 조달 시 세금, 관세, 가격 할인/면제 혜택 또는 리베이트/인센티브 제공

‒ 정부 등 공공자금 대출시 LCR 비율 연계

‒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입찰 참여시 자격조건으로 LCR 비율 설정

“세계적으로 태양광 시장이 확대되면서 자국 태양광 산업 및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정책과 연계한 LCR 제도가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되고 있음”

(3)

3. 주요국 태양광 시장 LCR 적용 사례조사

▣ 브라질

¡브라질 태양광 시장은 세계 시장에서 점유율이 낮은 편이며, 태양광 산업 기반이 취약함.

‒ 현재 브라질 태양광 시장은 2014년 10MW, 2015년 64MW(예상) 규모로 세계 시장 (약 45GW)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은 편임.

¡브라질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자국화 의지를 강력히 표명하고자 LCR을 연방정부 차원에서 도입하였음.

‒ 일반적으로 브라질 국영 개발은행(BNDES) 자금 지원 자격은 프로젝트 총 금액의 최소 20%를 자체 조달, LCR 60% 이상 적용, 브라질 금융기관의 보증이 필요함.

‒ 2014년 8월부터 태양광 발전사업 경매 진행을 주관해 LCR 비율을 설정하였으

며, 태양광 발전사업자 입찰시 LCR 비율을 기준으로 사업자금 지원 규모를 결 정함.

BNDES는 전체 투자 금액의 15%까지 연간 금리 0.1%로 융자해줌.

¡브라질 태양광 LCR 제도는 2014년 이후 3단계로 추진되고 있으며, BNDES가 요구하는 LCR 비율이 연차 단계별로 상승함.

‒ 1단계(2014~2017년), 2단계(2018~2019년), 3단계(2020년 이후)로 진행될 계획이며, 제품 구분에 따라 LCR 비율이 세부적으로 명시됨.

‒ 1단계 사업에서 BNDES는 태양광 기술 및 장비별로 LCR 비율을 세부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태양광 사업자의 프로젝트 파이낸싱 조달시 LCR 비율을 적용하고 있음.

⦁기본적인 LCR 비율은 60%이지만, 결정질/박막 등 기술별 구분과 브라질 내 의무생산 기본품목과 이외 선택품목, 특별품목으로 구분하여 LCR 비율을 적용함.1)

⦁태양광 사업자의 금융기관 자금 조달 자격에도 LCR 비율이 적용되는데 BNDES의 태양광 프로젝트 파이낸싱은 최대 신용한도에 국산화율을 곱하여 산정되기에 국산화율 중요성이 매우 높음.

¡이외에도 州 정부에서는 州 내 태양광 패널 생산 등에 대해서 유통세 등 세금 감면 혜택을 제공함.

1) 다음 품목 분류는 2017년까지 효력이 있으며, 이후 보다 강력한 국산제품 의무가 부여될 예정임.

기본품목으로는 결정질 모듈의 경우 브라질에서 생산된 조립 설비를 활용하여 브라질 소재 자사 또는 아웃 소싱 공장에서 조립된 모듈을 지정하였으며, LCR 비율은 60%임. 선택품목으로는 BACKSHEET, EVA, 커넥션 박스를 지정하였고 LCR 비율은 5~20%임. 특병상품으로는 자국내 생산 전지, 웨이퍼, 잉곳이 지정되었으면 LCR 비율은 5~30%임. 태양광 모듈 프레임, 알루미늄 프레임은 자국 생산 부품을 사용해야 하며, 태양광 설치 구조물, 케이블, 커넥터 등에 대해 자국산 부품 사용을 요구함.

“LCR 적용 수단은 ①생산 제품에 대한 자국산 부품 사용 의무화 ②관세 및 가격 할인 또는 인센티브 제공,

③정부 펀드로 자금 대출시 LCR 비율 연계, ④ 시장진입 금지 등이 있음”

“브라질은 BNDES에서 태양광 발전사업 경매 진행을 주관하여 LCR 비율을 설정하고 있으며, LCR 비율을 기준으로 사업자금 지원 규모를 결정함”

(4)

▣ 중국

¡ 중국은 자국 신재생에너지 산업 활성화를 목적으로 LCR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사업 입찰시 자격 요건을 제안하거나 혹은 발전사업자가 생산한 전력에 대한 추가 보조금을 제공하는 형태가 대부분임.

‒ 태양광 사업자에 대한 정책은 정부 보조금을 활용하고 있으며 태양광 사업 보호를 위해서 성(省) 간, 시(市) 간 LCR 제도가 경쟁적으로 실시되고 있음.2)

¡ 중국 내 강소성 및 산서성 등 주요 성 및 시에서 태양전지 패널에 대한 LCR 비율을 규정하고 이에 따른 정부보조금 정책을 실시함.

‒ 특히, 강소성과 산서성의 경우 태양광 사업자에 대한 LCR 비율 등 지역 내 보호 정책이 세부적으로 규정되어 있음.

¡ 강소성(江苏省)

‒ 양중(扬中)市는 시정부 산하 1,000만 위안 규모의 태양광응용산업투자기금(光伏 应用产业投资基金)을 활용하여 양중시에 법인등록이 되어있는 태양광발전건설 업체가 시 내의 신설 태양광발전 프로젝트 참여시 LCR 비율에 따른 보조금을 지원함.

‒ 구용(句容)시는 법인등록이 되어있는 태양광 발전건설 업체가 구용시 내의 신설

태양광발전 프로젝트 참여시 LCR 비율에 따라 보조금이 차등 지급함.

‒ 남통(南通)시는 도심 내 옥상형 태양광 발전사업 중 약 1MW 규모의 설비를 대상으로 LCR 70% 비율이 적용되며, 총 프로젝트 규모의 70% 초과 부분을 남통시 현지 기업이 생산하는 태양광 모듈을 포함한 주요 제품 사용시 정부 보조금 수혜 대상이 됨.

구분 LCR 비율 기본 보조금 추가 보조금

양중시

50% 미만

0.42위안/kWh

- 50% 이상~ 80%

미만 0.10위안/kWh

80% 이상 0.15위안/kWh

구용시 40% 미만

0.42위안/kWh -

40% 이상 0.10위안/kWh

남통시 70% 이상 0.42위안/kWh** -

*: 강소성의 기본 보조금은 2015-2017년까지 지급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음.

**: 남통시는 시 설치 보조금이 0.5위안/w이며 태양광 업체당 보조금의 연간 누계 수령액 상한선은 1,000위안임. 단, 현지 조달비율이 100%를 충족하는 경우 보조금의 연간 누계수령액 상한선이 없음.

자료: 中國太陽能光網(2015)

< 중국 강소성 태양광 LCR 비율 및 보조금* >

2) 중국 LCR 제도는 풍력 시장에서도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중국이 세계 풍력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주요 풍력 기업을 육성하는데 주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음.

”중국은 강소성 및 산서성 등 주요 성 및 개별 시에서 태양광 전지 및 패널에 대한 LCR 비율을 규정하고 이에 따른 정부보조금 정책을 실시함“

(5)

¡산서성(山西省)

‒ 진성(晋城)시는 농촌지역 농가구 및 농업 사업자를 대상으로 2015년 10월 1일 부터 1년간 LCR을 시범시행 하고 있으며, 진성시청 산하 정부 프로젝트 펀드의 자금을 활용하여 진성시에 법인등록 한 현지 업체가 시 내에서 생산한 태양광 부품을 100% 사용하여 LCR 비율을 충족한 경우 0.2위안/kWh가 지급되며 이외 태양광 설치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음.

설치비용 지원 규모는 2015년 6월 26일 이후 착공 프로젝트는 3위안/w가 지급되며, 2013년~2015년 6월 25일 내 완공 프로젝트는 건설비용의 50%가 지원됨.

‒ 상락(商洛)시는 태양광 프로젝트 이행시 패널 및 모듈을 100% 현지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국가에서 제공하는 기본 보조금 외에도 시청에서 지상설치 태양광 프로젝트의 경우 0.01위안/kWh, 옥상형 태양광 프로젝트의 경우 0.05위안/kWh의 전기발전 보조금이 지급됨.

¡기타

‒ 절강성(浙江省)의 구주(衢州)시는 구주시 내 태양광 생산 부품을 사용하여 발전하는 경우 절강성 전기도매가격에 추가하여 0.3위안/kWh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설치 시공비용의 3%에 해당하는 보조금을 지원

‒ 강서성(江西省)은 옥상형 태양광 사업자가 강서성 현지 태양광 제품업체의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 태양광 설치비용에 대해서 1W당 3위안~4위안의 보조금을 지급함.

▣ 남아프리카공화국(이하 ‘남아공’)

¡남아공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조달 프로젝트(Renewable Energy Independent Power Producer Procurement Program, REIPPPP)를 통해 일정비율 이상의 국산 부품 사용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음.

‒ 무역산업부(Department Trade and Industry, DTI)가 태양광 에너지산업을 4개 범주로 구분하고 세계선도 단계를 제외한 3개 부문에 대해 현지생산 부품 사용을 의무화 함.

4개 부문은 ①초기 단계(shallow), ②중간 단계(intermediate), ③발전 단계 (advanced), ④세계선도 단계(globally leading)임.

¡남아공 정부는 2011-2016년까지 3,725MW 용량의 신재생에너지 IPP사업 촉진을 위해 3개 라운드로 구분하여 입찰에서 태양광 사업에 대한 LCR 적용을 요구함.

‒ 1라운드 입찰에서는 남아공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사업 개발 및 고용창출 목표

달성을 위해 국산화 비율을 최소 25%를 요구함.

‒ 1라운드 입찰 이후 남아공 내에서 국산화 비율을 25% 이하로 하향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되었으나, 남아프리카공화국 노동조합회의(The Conference of South African Trade Unions, COSATU)는 남아공 내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의

“남아공은 신재생에너지 조달 프로젝트를 통해 일정비율 이상의 국산 부품 사용을 의무화”

(6)

수익 증가를 위해 국산화 제품 의무 사용을 50% 또는 65%까지 상향 조정할것을 정부에요청함.

⦁남아공 정부는 결국 2라운드 입찰에서 LCR을 40%까지 상향 조정하였으며, CSP(태양광 집열기)의 경우 LCR을 45%로 상향 조정함.

⦁사업자는 입찰과정에서 입찰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국산화 비율 수준을극단적 으로 65%까지 상승시키기도 함.

¡ 2011~2013년에 걸친 LCR 비율 상승이 태양광 프로젝트 입찰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실제 결과는 다소 상반됨.

‒ 태양광 프로젝트 평균 사업비는 1라운드 당시 1W당 $3.5 수준이었으나, 2라운드에서는 1W당 $2.5 수준으로 하락함.

‒ 특히, 2012년 입찰에서 국산부품사용요건(LCR)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평균 프로 젝트 사업비는 약 17% 감소하였음.

¡ 이러한 요인으로 Greentech Media(2013)는 남아공의 태양광 내수 기업들이 외국 개발사와 모듈제조사 사이에서 자생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원가 절감에 성공한 것을 주요인으로 분석함.

< 남아공 태양광 프로젝트 평균 입찰가격 >

자료: Greentech Media(2013)

▣ 인도

¡ 인도 정부는 자국산 제품 최소 사용 비율(51%)을 의무화하는 자국 태양광 산업 보호 정책을 시행함.

‒ 이 제도 취지는 외국 기술을 이전받고, 태양광 산업 고용 확대 및 기술 습득 등 산업 활성화와 국산 기술 개발이지만, 실제로는 인도 제조업체들이 자국 산업 보호 명분 아래 제도 도입을 요구함.

¡ 인도 정부는 2010년 이후 2단계에 걸쳐 자국산 제품 사용 의무화를 태양광 사업프로세스 시행의 전제 조건으로 요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도 자국 내 생산 능력을 성장시켜 제조 능력 기반을 향상하고자 함.

“남아공의 LCR 적용은 긍정적 사례로 자생적인 경쟁력 확보를 통해 원가 절감에 성공함”

(7)

‒ 1단계(’10~’11년):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의 경우 인도 내에서 생산된 태양광 모듈을 사용하여야 했으나, 박막 기술 태양광 시스템의 경우 인도 기업이 완벽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LCR 규제에서 제외함.

‒ 2단계(’11~’12년): 결정질 및 박막 기술 태양광 전체 프로젝트에 대해서 인도 내에서 생산된 태양 전지와 모듈 사용을 의무화함에 따라 LCR 규제 범위가 확대되었고 이를 통해 인도 자국 내 태양광 설비 생산 능력을 현재 1,500MW에서 4~5GW까지 성장시켜 제조 능력 기반을 향상하고자 함3).

¡인도 LCR 적용이 고용 창출에 있어서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등의경제적 효과에 대해서 부정적인 의견이 제기됨.

‒ 그 이유는 인도 정부가 LCR 적용으로 태양광 전지 가격이 증가함에 따라 태양광 시스템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박막을 해외로부터 저렴한 가격에 수입하고 있음.

‒ 특히, 미국 수출입은행, OPIC(Overseas Private Investment Corporation) 등의 해외 금융기관이 LCR 적용대상에서 제외된 박막형 전지를 미국 업체에서 구매하는 조건으로 인도 태양광 프로젝트에 저금리 자금을 융통함.

‒ 또한, LCR 제도는 모듈 생산 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실제로 부가가치와 고용창출은 서비스 부문에서 발생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경제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음.

¡인도 태양광 시장 LCR 제도에 대해서 미국과의 국제적 무역 분쟁이 발생함.

‒ 2013년과 2014년 두 차례에 걸쳐 미국은 인도의 태양광 산업 보호 정책이 미국

업체들을 차별하는 등의 불이익을 줄 뿐만 아니라 태양광 사업과 청정에너지 발전에도 저해가 된다는 이유로 GATT를 위반하였다고 WTO에 제소함.

‒ 2015년 세계무역기구(WTO)는 미국의 제소를 조사하고 인도의 태양광 LCR 도입이 국제 무역규정에 위배되는 사항이라 발표함에 따라 인도 정부는 이에대한 결정에 불복하고 항소함.

▣ 미국

¡미국은 주 별로 태양광 부문의 LCR 규정을 개별 적용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리베이트 (환불)를 LCR수단으로 활용함.

‒ 매사추세츠, 뉴저지, 워싱턴州 등에서 태양광 부문의 LCR 제도를 발표하였으며 대부분 인센티브를 추가 지급하는 형태가 LCR 수단으로 활용됨.

⦁매사추세츠州는 2012-2015년까지 ‘Commonwealth Solar Ⅱ Rebate Program’을 통하여 태양광 설치시 州 내 생산한 부품을 12%이상 사용하면 기본 인센티브 25센트/w 및 LCR에 대한 추가 인센티브 5센트/W를 제공함.

3) 인도 태양광 시장은 2014년 현재 815MW 태양광 설비를 설치하였으며, 2015년 2.8GW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인도는 국산 제품 최소 사용 비율(51%)을 의무화하는 자국 산업 보호 정책을 시행하였으나 그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임”

“미국 내 매사추세츠, 워싱턴,

뉴저지州에서는 리베이트로서 인센티브 지급을 LCR 수단으로 사용함”

(8)

⦁뉴저지州는 2009-2011년까지 ‘Renewable Energy Manufacturer’s Incentive Program’을 통하여 뉴저지 주민 혹은 기업이 태양전지 패널 구매 및 설치 시 뉴저지州 내에서 생산된 부품 사용을 50% 적용하면 리베이트를 제공함.

⦁워싱턴州는 2006년부터 ‘Renewable Energy Cost Recovery Incentive Program’을 통하여 州에서 제조된 태양광 모듈을 州 내 태양광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경우 FIT를 통하여 州 외 프로젝트에 비해 2배의 인센티브가 지급됨.

구 분 워싱턴州

프로젝트 사용

워싱턴州 프로젝트 사용 워싱턴

내 제조

태양광 모듈 0.36 0.72

인버터 포함 태양광 기기 0.18 0.36 기타 태양광 장비 0.15 0.30 태양광 모듈 및 인버터 0.54 1.08 자료: ICTSD(2013)

< 워싱턴州 태양광 발전부품 LCR 적용 시 인센티브 지급 >

(단위: USD/kWh)

‒ 뉴저지와 매사추세츠州는 지원기금 고갈 등으로 각각 2011,2015년에 인센티브 지원을 중단함.

▣ 캐나다

¡ 캐나다 온타리오州는 캐나다 최대 수평면 일사 지역으로 태양광 시장이 빠르게 확대 되고 있음.

‒ 온타리오州 태양광 기술적 잠재량은 가정용 태양광만 연간 7,000~8,000GWh로 추정되며, 태양광 잠재력이 90GW에 도달할 것으로 추정함.

¡ 온타리오州는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발전차액지원제도(Feed in Tarriff, FIT)와 연계된 LCR 제도를 시행하였으며, LCR 비율 전제 조건이 충족되는 태양광 프로젝트에 대해서만 FIT를 지원함.

‒ 2009년 이후부터 태양광 산업의 경우 풍력 등 타 산업에 비해서 높은 LCR 비율을 적용함.

2012년 태양광 LCR 비율은 60%인 반면, 풍력은 50% 였음.

‒ 일부 州는 LCR 비율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州 이외에서의 판매 실적을 통해 LCR 의무 비율을 대체할 수 있으나, 온타리오의 경우 이를 금지함.

구 분 2009 2010 2011 2012

태양광 10kW 이하 40% 40% 60% 60%

10kW 초과 50% 50% 60% 60%

풍력 10kW 초과 25% 25% 25% 50%

자료: ICTSD(2013)

<캐나다 온타리오州의 연도별 태양광 산업 LCR 요구 비율 변화>

”캐나다의 온타리오州는 FIT와 연계된 LCR제도를 시행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일본정부가 WTO에 제소함에 따라 2014년 한시적으로 LCR 요구 비율을 20-28%로 축소함“

(9)

¡2010년 9월 일본 정부는 캐나다 온타리오州가 FIT 프로그램을 연계한 LCR 방식에 대해 WTO에 제소함.

‒ 일본은 온타리오州가 州내 생산된 부품 사용 의무화 및 LCR 조건 충족 시에만 州 정부 보조금이 지급된다는 점에서 WTO협정에 위배된다고 주장함.

‒ 2012년 12월 WTO는 온타리오의 LCR 규정이 차별 금지 원칙에 어긋난다고 결정함에 따라 온타리오 정부에 LCR과 연계된 FIT 지원 수정을 요구함.

‒ 2014년 온타리오州는 이러한 요청에 따라 2014년 한시적으로 LCR 요구 비율을 20-28%로 축소함.

국가/주 정책 수단 LCR 내용 LCR

시행연도 브라질 융자/입찰

자격요건

LCR 충족 시 태양광 발전 경매 참여 가능

또한, BNDES에서 전체 투자 금액의 15%까지 연간 금 0.1%를 적용하여 융자 조달

2014- 2017 (진행중)

보조금

기본 보조금: 0.42위안/kWh 추가 보조금:

(양중시) LCR 비율 50~80% 충족시 0.1위안/kWh, 80% 이상은 0.15위안/kWh

(구용시) LCR 비율 40% 이상은 0.1위안/kWh (남통시) 설치보조금 0.5위안/W

2015-201 7 (진행중)

보조금

(진성시) LCR 기준 충족 시 0.2위안/kWh

(상락시) LCR 비율 충족 시 지상설치 태양광 프로젝트 의 경우 0.01위안/kWh, 옥상형 태양광 프로젝트의 경 0.05위안/kWh

2015-201 6 (시범시행)

남아프리카 공화국

FIT와 연계한 지원/입찰

자격요건

1라운드 입찰(’12-’13): 25% LCR

2라운드 입찰(’13-’14): 40% LCR, 향후 60%까지 상승

2012- (진행중)

인도 FIT와

연계한 지원

1단계(’10-’13): 실리콘에는 60%, CSP에는 30%, 박막 기술 0% LCR 적용

2단계(’13-’17): 결정질 및 박막 기술 태양광 전체 프로젝 트에 태양 전지와 모듈 사용에 대한 LCR 50% 적용

2010- 2022

(진행중)

매사추 세츠

세금

환급 12% LCR 충족 시 세금 환급

2012-201 5 (종료)

워싱턴

FIT와 연계한

지원

LCR 충족 시 2배 인센티브 지급 2006- (진행중)

뉴저지 세금

환급 50% LCR 충족 시 세금 환급

2009-201 1 (종료)

온타 리오

FIT와 연계한

지원

’12년: LCR 60% 요구

’14년: WTO 판결 준수하여 20~28% 요구

2009- 2014 (종료) 자료: OECD(2015), 中國太陽能光網(2015)

<세계 주요국들의 태양광 산업 LCR 적용 비교표>

”LCR 적용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WTO 제소 등 논쟁이 확산됨“

(10)

4. 결론 및 시사점

¡ 청정에너지 상품 중 특히 신재생에너지 상품들은 LCR 적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선진국 및 개도국)에서 LCR을 정책수단으로 활용

‒ 태양광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산업 발전 및 자국 산업 보호 차원에서 LCR 비율 등을 정책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은 선진국과 개도국 간에 큰 차이가 없음.

‒ 주요 LCR 수단으로는 ①자국산 부품 일정 비율 사용 시 정부 보조금 또는 FIT 지원, ②태양광 발전 사업자의 사업권 입찰 시 낙찰 분 자격조건으로 LCR 비율을 연계, ③정부 펀드로부터 자금 대출시 LCR 비율 적용, ④LCR 비율 불충족 시 시장 진입 금지 등이 활용됨.

¡ 다만, 최근 국제적으로 WTO 제소 등 LCR 적용에 대한 논쟁이 확산되면서 국가별로 LCR 적용 방향은 차별화되고 있음.

‒ 세계적으로 태양광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국가 간에 보호주의에 대한 모니터링이 강화되고 있으며, WTO 제소 및 조사 요청 등을 통해서 무역장벽 수단에 대한 견제가 확대됨.

‒ 캐나다의 경우 WTO 판결로 인해 기존 시행되던 LCR 제도를 폐지하였으며, 인도의 경우 WTO에 대해 반박 입장을 견지함.

‒ 반면, 중국은 풍부한 재정을 바탕으로 省 또는 市 차원에서 LCR에 대한 정부 보조금 지원 범위를 확대하고 있으며, 브라질도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바탕으로 LCR을 활용한 자국 산업 보호 정책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 우리나라는 2014년 5차 청정에너지회의(CEM)에서 시장접근성 개선의 국제적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음. 그러나 청정에너지 상품(태양광 상품 등)에 대한 국가별 LCR 적용 문제가 청정에너지시장 접근의 장애 요인인지에 대해서는 민감한 문제 이므로 좀 더 신중한 접근 방법이 필요함.

‒ LCR 규정이 WTO 원칙에 위배될지라도 현실적으로는 청정에너지 확대정책이 대체적으로 정부 조달 프로젝트로 분류되어 WTO의 규정을 적용받지 않거나, 또는 국가 간에 암묵적으로 LCR 제도가 실시되고 있는 상황임.

‒ 따라서 청정에너지 상품의 시장접근성 제고 차원에서 LCR 대처방안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향후 추가적인 연구와 국가별 특이성에 대한 세밀한 분석이 요구됨.

“국가별 LCR 적용 문제가 청정에너지 시장 접근의 장애 요인인지에 대해서는 신중한 판단이 요구됨.”

(11)

참고문헌

네모파트너스, “해외 주요국들의 태양광 주요 상품군의 시장 진입 규제 사례 조사”, 2015

정웅태, 『청정에너지상품 시장접근 개선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 수립연구』, 에너지국제협력연구 출연사업 정책 15-13, 에너지경제연구원, 2015

Gary C. Hufbauer, et al., "Local Content Requirement: Reports on a Global Problem",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2013.

Greentech Media, "How Real is the South Africa PV Market?", Ben Kane, 2013

ICTSD, "Local Content Requirements And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 A Good Match?", 2013

OECD, “Overcoming Barriers to International Investment in Clean Energy – Chapter 3”, 2015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