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 통합허가 대상 여부 및 적용 시기의 판단 관련 안내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 통합허가 대상 여부 및 적용 시기의 판단 관련 안내 >"

Copied!
8
0
0

Teks penuh

(1)

< 통합허가 대상 여부 및 적용 시기의 판단 관련 안내 >

1. 통합허가 대상 여부의 판단

1.1 기본 원칙

ㅇ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큰 업종으로서 영 별표 1에 따른 통합관리 대상 업종에 속하는 사업장 중 대기 오염물질 발생량 종 규모가 2종 이상이거나 폐수량 종 규모가 2종 이상인 사업장(이하 “통합관리사업 장”이라 한다)에서 배출시설등을 설치·운영하려는 경우 법 제6조에 따른 통합허가를 받아야 한다.

* 허가받은 사항 중 영 별표 2에 따른 중요 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변경허가를 받아야 하며, 영 별표 3에 따른 사항을 변경하려 하거나 변경한 경우에는 변경신고를 하여야 한다.

1.2 통합관리 대상 업종 및 적용 시기

통합관리 대상 업종 및 적용 시기(시행령 제2조제1항, 별표1)

통합관리 대상 업종 적용 시기

1. 전기업(351) 중 다음 각 목의 업종 가. 화력 발전업(35113)

나. 기타 발전업(35119)

2017년 1월 1일 2. 증기, 냉온수 및 공기조절 공급업(353) 2017년 1월 1일 3. 폐기물 처리업(382) 중 다음 각 목의 업종. 다만, 폐기물 처리업에만 속하

는 사업장으로서 「폐기물관리법 시행령」 별표 3 제2호가목에 따른 매립시 설이 설치된 사업장은 제외한다.

가. 지정외 폐기물 처리업(3821) 나. 지정 폐기물 처리업(3822)

2017년 1월 1일

4. 기초화학물질 제조업(201) 중 석유화학계 기초화학물질 제조업(20111) 2018년 1월 1일 5. 합성고무 및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203) 중 다음 각 목의 업종

가. 합성고무 제조업(20301)

나.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물질 제조업(20302)

2018년 1월 1일

6. 1차 철강 제조업(241) 2018년 1월 1일

7. 1차 비철금속 제조업(242) 2018년 1월 1일

8. 석유 정제품 제조업(192) 2019년 1월 1일

9. 기초화학물질 제조업(201) 중 다음 각 목의 업종 가. 기타 기초무기화학물질 제조업(20129)

나. 무기안료 및 기타금속산화물 제조업(20131)

2019년 1월 1일 10. 기초화학물질 제조업(201) 중 다음 각 목의 업종

가. 기타 기초유기화학물질 제조업(20119)

나. 합성염료, 유연제 및 기타착색제 제조업(20132)

2019년 1월 1일

11. 기타 화학제품 제조업(204) 중 다음 각 목의 업종 가. 농약 제조업(20412)

나. 일반용 도료 및 관련제품 제조업(20421) 다. 요업용 유약 및 관련제품 제조업(20422)

2019년 1월 1일

(2)

라. 계면활성제 제조업(20431)

마. 치약, 비누 및 기타 세제 제조업(20432) 바. 화장품 제조업(20433)

사. 가공 및 정제염 제조업(20492) 아. 접착제 및 젤라틴 제조업(20493) 자. 화약 및 불꽃제품 제조업(20494)

차. 그외 기타 분류안된 화학제품 제조업(20499)

12. 비료 및 질소화합물 제조업(202) 2019년 1월 1일

13. 펄프, 종이 및 판지 제조업(171) 중 다음 각 목의 업종 가. 펄프 제조업(1711)

나. 신문용지 제조업(17121)

다. 인쇄용 및 필기용 원지 제조업(17122) 라. 크라프트지 및 상자용 판지 제조업(17123) 마. 기타 종이 및 판지 제조업(17129)

2020년 1월 1일

14. 기타 종이 및 판지 제품 제조업(179) 2020년 1월 1일 15. 전자부품 제조업(262) 중 다음 각 목의 업종

가.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업(2621) 나. 인쇄회로기판 제조업(26221) 다. 전자축전기 제조업(26292)

라. 그외 기타 전자부품 제조업(26299)

2020년 1월 1일

16. 도축, 육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101) 2021년 1월 1일

17. 알콜음료 제조업(111) 2021년 1월 1일

18. 섬유제품 염색, 정리 및 마무리 가공업(134) 2021년 1월 1일

19. 플라스틱제품 제조업(222) 2021년 1월 1일

20. 반도체 제조업(261) 2021년 1월 1일

21. 자동차 부품 제조업(303) 2021년 1월 1일

비고

1. 위 표에서 사용하는 업종 구분은 「통계법」 제22조에 따라 통계청장이 고시하는 한국표준산업분류 에 따르며, 괄호 안의 숫자는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분류번호를 말한다.

2. 지방자치단체에서 설치하거나 위탁하여 운영하는 폐기물 소각시설의 경우에는 위 표의 제3호에 따른 업종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다.

3. 두 개 이상의 업종을 영위하는 사업장으로서 그 업종 중 어느 하나가 통합관리 대상 업종에 해당 하는 경우에는 그 통합관리 대상 업종을 해당 사업장의 업종으로 보아 법을 적용한다.

4. 두 개 이상의 통합관리 대상 업종을 영위하는 사업장의 경우에는 그 업종의 적용 시기 중 가장 늦은 시기를 해당 사업장에 대한 적용 시기로 한다.

5. 위 표의 제1호부터 제3호까지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장 중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2조제8호에 따른 산업단지에 있는 사업장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전기 또는 증기를 공급하거나 그 사업장들로부터 배출되는 폐기물을 공동으로 처리하기 위한 배출시설등을 설치한 사업장으로서, 생산된 재화나 서비스의 대부분을 산업단지에 있는 사업장들에 제공하는 경우에는 환경부장관이 그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업장들의 업종 및 적용 시기를 고려하여 해당 사업장의 적용 시기를 달리 정할 수 있다.

6. 해당 업종의 적용 시기가 도래하기 전에 자발적으로 통합허가를 신청하는 사업장에 대해서는 그 신청 시기를 해당 사업장에 대한 적용 시기로 한다.

(3)

1.3 통합관리사업장

ㅇ 사업장이 통합관리사업장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먼저 허가를 신청하는 사업장의 범 위(이하 “단위 사업장”이라 한다)를 명확히 정하고, 해당 단위 사업장 내에서 이루어지는 산업 활동의 업종과 사업장의 종 규모를 판단하여야 한다.

ㅇ 단위 사업장을 정하기 위한 기준과 사업장의 업종 및 종 규모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은 각각 다음과 같다.

1.3.1 단위 사업장의 기준

ㅇ 다음의 기준에 따라 단위 사업장을 판단한다.

ㅇ 통합허가 등을 신청할 때에는 단위 사업장을 기준으로 신청하여야 하며, 사업자가 임의로 단위 사업장 을 분리 또는 병합할 수 없다.

< 단위 사업장 판단기준 >

제1조(용어의 정의)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사업주체”란 산업활동을 수행하는 법인, 공공기관 또는 개인을 말한다.

2. “사업장”이란 사업주체가 일련의 산업활동을 수행하는 일정한 경계를 가진 장소, 건물 또는 부대 시설 등의 공간을 말한다.

제2조(사업장의 단위) ① 사업장이 다음 각 호에 모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사업장을 하나의 사업장으 로 본다.

1. 사업주체가 하나인 경우 또는 둘 이상인 경우로서 하나의 사업주체가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여 전체 산업활동을 일체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경우

2. 사업장이 일체적인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 는 경우

가. 사업장이 일정한 경계를 가진 하나의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경우

나. 사업장이 도로, 하천 또는 울타리 등으로 구분된 경우로서 각 사업장의 산업활동이나 공정 등 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따로 분리될 수 없는 경우

다. 다른 법령에 따른 인허가 또는 환경영향평가 등을 하나의 사업장으로 받은 경우로서 환경부장 관이 일체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라. 그 밖에 사업장의 공간이 인접하여 위치한 경우로서 환경부장관이 사업장의 환경관리를 통합적 으로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인정하는 경우

(사례 1.3.1-1) A1사업장과 A2사업장은 동일한 법인이 운영·관리하는 사업장으로, 동일한 행정구역에 위치하고 있으나 300m 가량 이격되어 있으며 공정 등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음. 이 경우 사업장의 단위는?

⇒ 별도의 2개 사업장으로 판단(일체적인 공간을 구성하고 있지 않음)

(4)

(사례 1.3.1-2) B사업장은 사업장을 가로지르는 하천으로 인해 둘로 나뉘어져 있으나, 공정이 파이프라 인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음. 이 경우 사업장의 단위는?

⇒ 하나의 사업장으로 판단(공정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따로 분리될 수 없는 경우는 하나로 판단)

(사례 1.3.1-3) C1사업장과 C2사업장은 300m 가량 이격되어 있으며 공정 등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나, 환경영향평가를 하나의 사업장으로 받음. 이 경우 사업장의 단위는?

⇒ 환경영향평가를 하나의 사업장으로 받은 사유에 따라 판단(일체적인 환경관리가 필요하다고 환경부 장관이 인정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사업장으로 판단)

(사례 1.3.1-4) D사업장은 하나의 공간을 구성하고 있으나, 사업장을 둘로 나누어 서로 다른 법인이 운 영·관리하고 있으며, 두 법인은 상호 지배관계가 아닌 독립적인 법인임. 이 경우 사업장의 단위는?

⇒ 별도의 2개 사업장으로 판단(사업주체가 2개인 것으로 판단)

(사례 1.3.1-5) E사업장은 하나의 공간을 구성하고 있으나, 사업장의 일부를 외부에 위탁하여 별도의 법인이 운영·관리하고 있음. 이 경우 사업장의 단위는?

⇒ 하나의 사업장으로 판단(시설 운영·관리를 별도 법인에 위탁한 경우로서 하나의 사업주체로 판단)

1.3.2 업종의 판단기준

ㅇ 사업장의 업종은 「통계법」 제22조에 따라 통계청장이 고시하는 한국표준산업분류(이하 “한국표준산업 분류”라 한다)에 따라 판단한다.

* 하나의 시설이 둘 이상의 산출물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또는 사업장 내에서 복수의 산업활동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등에 대해서도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원칙에 따라 판단한다.

(사례 1.3.2-1) A사업장은 소각시설을 설치하고 그 여열로 스팀과 전기를 생산해서 외부에 판매하고 있음. 이 경우 사업장의 업종을 전기업(351) 및 증기, 냉온수 및 공기조절 공급업(353)으로 판단하는 지?

⇒ 폐기물 처리업(382)으로 판단(통계법 제22조에 따른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 “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전기, 열 및 증기를 생산”하는 경우 폐기물 처리업으로 판단토록 규정)

* (판단근거) 한국표준산업분류

- 38210 지정 외 폐기물 처리업

가정 또는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생활 폐기물 등의 무해 폐기물(지정 외 폐기물)을 매

(5)

(사례 1.3.2-2) B사업장은 폐기물관리법에 따른 폐기물처리업(종합재활용업) 허가를 받고 폐주물사를 재활용하는 시설을 설치·운영중임. 이 경우 사업장의 업종을 폐기물 처리업(382)으로 판단하는지?

⇒ 폐주물사 재활용을 통해 생산하는 제품의 제조업으로 판단(통계법 제22조에 따른 한국표준산업분류 에서 “건설 폐기물 및 폐주물사를 이용하여 특정 제품을 만드는 경우는 해당 제품 제조업으로 분 류”토록 규정)

* (판단근거) 한국표준산업분류 - 38322 비금속류 원료 재생업

지정 외 폐기물, 스크랩, 기타 폐품 등에서 비금속류를 분류, 분리하여 파쇄, 분쇄하 거나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재생용의 비금속 원료 물질로 전환하는 산업활동을 말한 다.

<제 외>

건설 폐기물 및 폐주물사를 이용하여 특정 제품을 만드는 경우는 해당 제품 제조업으 로 분류

(사례 1.3.2-3) C사업장은 제지 공장으로, 사업장에서 발생한 폐기물을 소각하기 위한 소각시설을 설 치·운영중임. 소각시설의 용량이 남아 폐기물처리업 허가를 받아 주변 사업장의 폐기물을 소각하는 영 업을 하고 있는 경우 C사업장을 폐기물 처리업(382)으로도 판단하는지?

⇒ 해당 소각시설이 사업장 내의 폐기물을 주로 소각하고, 남은 용량을 활용하여 외부의 폐기물을 소 각하는 경우에는 폐기물 처리업(382)으로 판단하지 않음(한국산업분류)

⇒ 다만, 대부분 외부 폐기물을 소각하는 경우라면 폐기물 처리업(382)으로도 판단

(사례 1.3.2-4) D사업장은 시멘트를 제조하는 공장으로, 폐타이어를 소성로에서 처리하는 영업을 겸하 고 있음. 이 경우 D사업장을 시멘트 제조업(23311)과 폐기물 처리업(382)의 복합업종으로 판단하는지?

⇒ 해당 산업활동의 당초의 목적이나 각 산출물의 부가가치의 비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 (업종판단기준 제2조제2항)

립, 소각, 중화, 파쇄, 고형화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시설을 운영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처리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전기, 열 및 증기를 생산할 수 있다.

- 3511 발전업

화력, 원자력, 수력, 풍력, 태양력, 조력 및 기타 에너지원으로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직접 생산하는 사업체의 산업활동을 말한다.

<제 외>

폐기물 소각처리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전기 생산(38210)

(6)

1.3.3 종 규모의 판단기준

ㅇ 사업장의 종 규모는 대기오염물질 발생량 종 규모와 폐수량 종 규모로 구분하여 판단하며, 구체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대기오염물질 발생량 종 규모 :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42조제1항 및 제43조에 따른다.

2) 폐수량 종 규모 : 「물환경보전법 시행령」 별표 13 보고 제2호에 따른다.

(7)

2. 통합허가 신청 시기

2.1 기존사업장과 신규사업장의 구분

ㅇ 다음의 모두에 해당하는 사업장은 기존사업장으로, 그 외 사업장은 신규사업장으로 판단한다.

1) 법 시행 당시(’17.1.1) 통합관리 대상 업종에 속할 것 2) 법 시행 당시(’17.1.1) 대기 또는 수질 1·2종에 해당할 것

3) 법 시행 당시(’17.1.1) 법 제10조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허가 등을 받았을 것

ㅇ 1)부터 3)까지는 정부 및 지자체가 발행한 공식 문서를 통해 확인이 가능한 경우에만 인정한다.

ㅇ 3)의 경우, 법 시행 전에 허가 등을 신청하고 법 시행 이후 허가 등을 받은 경우에도 인정한다.

(사례 2.1-1) ’17.1.1 당시 발전업종 사업장으로 대기법에 따른 대기배출시설 설치허가를 받아 대기 1 종 배출시설을 설치·운영중인 경우

⇒ 기존사업장으로 판단

(사례 2.1-2) ’16년 말에 발전업을 영위하려는 목적으로 대기법에 따른 대기배출시설 설치허가를 신청 하여 ’17.5월에 허가를 받은 경우(대기 1종에 해당)

⇒ 기존사업장으로 판단

(사례 2.1-3) ’17.1.1 당시 발전업종 사업장으로 대기법에 따른 대기배출시설 설치허가를 받아 대기 3 종 배출시설을 설치·운영중이었으나, ’17.1.1 이후 대기 1종 배출시설을 추가로 설치하려는 경우

⇒ 신규사업장으로 판단(’17.1.1 당시 1·2종에 해당되지 않음)

(사례 2.1-4) ’16년 말에 대기 1종 발전시설을 설치하여 발전업을 영위하려는 목적으로 발전사업 허가 와 비점오염원 설치신고를 완료한 경우

* 발전사업 허가증과 비점오염원 설치신고 서류 등에는 사업장의 종 규모가 표시되어 있지 않음

⇒ 신규사업장으로 판단(’17.1.1 당시 1·2종 배출시설을 설치하려 했음을 증명하는 서류가 없음)

(사례 2.1-5) 법 시행 전에 금속가공업의 사업장으로 자체 발전기를 두고 전기를 사용하고 있었으나, 법 시행 이후 발전기의 용량을 키워 외부에 전기를 판매하는 발전업을 영위하려는 경우

* 발전기의 배출 규모는 대기 2종 이상이며,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대부분 외부에 판매하여

“1.3.2 업종의 판단기준”에 따라 발전업으로 판단되는 것으로 가정

⇒ 신규사업장으로 판단(’17.1.1 당시 영 별표 1에 따른 19개 업종에 해당되지 않음)

(8)

2.3 기존사업장의 통합허가 신청 시기

ㅇ 기존사업장에 배출시설을 설치·운영하려 하거나 설치·운영중인 경우에는 “1.2 통합관리 대상 업종 및 적용시기”에 따른 업종별 적용시기로부터 4년 이내에 통합허가를 받으면 되며, 통합허가를 받기 이전 의 배출시설 설치·변경 등에 관하여는 기존 개별법에 따른 인허가를 받고 설치·변경 등이 가능하다.

(사례 2.2-1) “화장품 제조업(20433, ’19.1.1부터 적용)”을 영위중인 기존사업장의 통합허가 신청 시기

⇒ ’19.1.1부터 4년 이내(’22.12.31까지)에 통합허가를 받아야 함

(사례 2.2-2) “화장품 제조업(20433, ’19.1.1부터 적용)”을 영위하고 있는 기존사업장에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을 추가로 설치하려는 경우의 통합허가 신청 시기

⇒ 다음의 두가지 모두 가능(사업자 선택)

① 해당 사업장에 배출시설을 추가로 설치하기 이전에 통합허가를 받음

② 기존 대기법에 따른 변경허가 등을 받고 설치·운영하다가 ’22.12.31 이전에 통합허가를 받음

2.2 신규사업장의 통합허가 신청 시기

ㅇ 신규사업장에 배출시설을 설치·운영하려는 경우에는 해당 배출시설을 설치하기 전에 통합허가를 받아 야 한다.

ㅇ 다만, “1.2 통합관리 대상 업종 및 적용시기”에 따른 업종별 적용시기가 도래하지 않은 경우에는 업종 별 적용시기 전까지만 통합허가를 받으면 되며, 통합허가를 받기 전까지는 기존 개별법에 따른 인허가 를 받고 시설 설치·운영이 가능하다.

(사례 2.3-1) “화장품 제조업(20433, ’19.1.1부터 적용)”에 해당하는 신규사업장에 대기오염물질배출시 설을 설치하려는 경우의 통합허가 신청 시기

⇒ 다음의 두가지 모두 가능(사업자 선택)

① 해당 사업장에 배출시설을 설치하기 이전에 통합허가를 받음

② 기존 대기법에 따른 허가 등을 받고 설치·운영하다가 ’18.12.31 이전에 통합허가를 받음

(사례 2.3-2) “폐기물 처리업(382, ’17.1.1부터 적용)”에 해당하는 신규사업장을 준비중임. ’17.5월에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폐기물처리 사업계획을 제출, ’17.8월에 적정통보를 받았으며, 이 과정에서 대기 배출시설 인허가를 같이 받음. 이 경우 통합허가는 언제 받아야 하는지?

⇒ 신규사업장에 해당, 유예기간 적용이 없으므로 해당 사업장에 배출시설을 설치하기 전에 통합허가 를 받아야 함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