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국의 중장기 에너지정책 토론회 (2003.6.30)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한국의 중장기 에너지정책 토론회 (2003.6.30)"

Copied!
25
0
0

Teks penuh

(1)

바람직한 중장기 에너지정책 방향

(2)

차 례

Ⅰ. 에너지부문의 여건변화 및 전망

Ⅱ. 에너지 수급구조와 원별 Mix 현황 및 전망

Ⅲ. 중장기 정책방향

(3)

Ⅰ. 에너지부문의 여건변화 및 전망

(4)

‰ 세계 석유산업의 새로운 구조개편 가능성 확산

ƒ

미국 주도의 세계에너지 질서로 이행

ƒ

국영석유회사와 메이저의 양대구조체제 변화 가능성

ƒ

이라크 석유산업의 민영화 추진은 서구메이저의 중동재진출 기회로 작용 전망

‰ 이라크 대규모 원유 증산과 산유국간 증산 경쟁 전망

ƒ

이라크 산유량 현재 200만 b/d에서 2010년 이후 600만 b/d 이 상의 대규모 산유국으로 변모 가능성

ƒ

OPEC 기능의 점진적 약화 전망

ƒ

원유수입국에게는 에너지안보의식 제고 계기로 작용

해외 에너지시장의 변화와 전망

(5)

‰ 국제 환경제약 요인 증대

ƒ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국제 환경규제의 가시화

ƒ

국가간 온실가스 배출권거래 및 청정개발체제 실시 등으로 환 경과 관련된 에너지 시장의 새질서 대두

‰ 세계화 및 민영화 추세의 확대

ƒ

에너지산업의 자유화, 개방화 및 구조개편

‰ 에너지 기술개발 강화 및 보급 확대

세계 에너지시장 기반 변화 전망

(6)

‰

전세계 에너지 소비량은 2001년 404천조Btu에서 2020년 583천조Btu로 44% 증가할 것으로 전망 (1.9% AAGR)

‰

에너지 소비량의 증가의 대부분은 개도국에 의할 것으로 예상(2.8%)

세계 에너지수요 전망

(단위: 천조Btu, 백만탄소톤

)

9,372 7,685

6,522 5,872

583.0 480.6

403.9 348.4

전세계

440 319

263 192

33.4 25.2

20.9 14.4

중앙/남아메리카

326 261

230 179

18.0 14.4

12.4 아프리카 9.3

534 420

354 231

32.0 25.0

20.8 중동 13.1

2,837 2,075

1,640 1,089

151.9 110.1

85.0 아시아 52.5

4,137 3,075

2,487 1,691

235.3 174.7

139.2 89.3

개발도상국

1,178 1,038

856 1,337

76.7 65.9

53.3 76.3

EE/FSU

4,048 3,572

3,179 2,844

271.1 240.1

211.5 182.8

선진국

2020 2010

2001 1990

2020 2010

2001 1990

이산화탄소 배출량 에너지 소비량

지역

(7)

‰ 동북아 지역 1차에너지의 높은 소비 증가율 지속

ƒ

2001-2020년 기간 중 소비증가율은 2.1%로 세계 전체의 연 평균 증가율 1.9%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

ƒ

중국의 연평균 증가율 3.0%, 일본은 0.2%, 한국 2.4%

ƒ

2020년에 동북아지역 1차에너지 소비 중 중국이 약 48.6% 점 유 전망

‰ 동북아 에너지 공급원으로 러시아 부상

ƒ

2000년 이후 석유증산과 원유의 수출시장 다변화 전략 추진

ƒ

사우디아라비아와 함께 세계 1위 산유국 쟁탈 경쟁

동북아 에너지 소비전망

(8)

국내 에너지시장의 여건변화

‰ 에너지산업의 디지털 경제와의 접목 및 전자상거래 활성화

‰ 통합 에너지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욕구 증대와 통 합에너지 사업의 등장

‰ 지속가능한 에너지이용에 대한 압력

‰ 에너지 기술 개발의 영향

(9)

Ⅱ. 에너지 수급구조와 원별 Mix 현

황 및 전망

(10)

우리나라 에너지 수급의 특징(1)

‰ 한국의 에너지 위치(2002년도)

ƒ

에너지소비는 세계 10위 : 209.1백만TOE

ƒ

석유소비 6위, 석유수입 세계4위, LNG 수입 세계2위

20.7 23.5

16.3 29.9

총수입 중 에너지비중

73.4 76.8

74.3 98.8

원유 중동의존도

49.1 52.0

53.8 61.1

1차에너지 소비중 석유비중

97.3 97.2

87.9 73.5

에너지 해외의존도

2002 2000

1990 1980

에너지관련지수

(11)

우리나라 에너지 수급의 특징(2)

‰ 취약한 에너지수급 구조

ƒ

에너지의 높은 해외 의존도

ƒ

에너지 소비 중 높은 석유의존도

ƒ

에너지수입의 지역 편재성

‰ 비효율적 에너지 소비 구조

ƒ

에너지원단위(TOE/천$)는 2000년 기준으로 0.42로 일본 (0.14), 미국(0.32) 등에 비해 월등히 높음

‰ 원유 도입단가가 1$/b 상승시

ƒ

(12)

중장기 에너지 수요 전망(1)

‰ 총에너지 소비 증가율 둔화

ƒ ‘

80년 43.9백만TOE → 2020년 311.8백만TOE로 7배 증가

ƒ

연평균 증가율 :

80-00 → 7.7%,

00-

20 → 2.4%)

0.4 0.5

0.6 50.7

50.4 49.8

48.7 47.3

인구수(백만명)

4.7 5.3

5.6 1,170.3

975.9 820.7

643.6 490.6

GDP

('95년 불변 조원)

(0.52) (0.59)

(0.66) 0.43

0.39 0.51

0.66 -

에너지/GDP 탄성치

-2.2 -2.1

-1.8 0.27

0.30 0.33

0.37 에너지/GDP 0.40

(TOE/‘95년 백만원)

2.0 3.6

3.1 6.16

5.72 5.41

4.88 일인당 에너지수요 4.19

(TOE/인)

2.4 3.1

3.7 311.8

288.2 269.3

237.6 198.3

총에너지수요 (백만TOE)

‘ 01- ‘ 20

‘ 01- ’ 11

‘01-’06

연평균 증가율(%) 2020

2015 2011

2006

구 분 2001

(13)

중장기 에너지 수요 전망(2)

‰ 석유의존도의 감소

ƒ

2001년 51%, 2011년 47%, 2020년 45%로 계속 감소

ƒ

하지만 석유는 계속 主宗 에너지로서 역할

‰ 천연가스 수요의 빠른 증가

ƒ

청정연료에 대한 선호도 증가로 수요가 가장 빠르게 증가

ƒ

2001년 11%, 2011년에 12%, 2020년에 약 15%의 비중 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

‰ 전력수요의 지속적 증가

(14)

선진국의 에너지 Mix 현황 및 전망

271.1 (100.0) 240.1

(100.0) 211.5

(100.0) 182.8

(100.0) 합 계

24.0 (8.9) 21.6

(9.0) 17.1

(8.1) 15.6

(8.5) 기타

21.8 (8.0) 22.3

(9.3) 21.2

(10.0) 16.3

(8.9) 원자력

70.7 (26.1) 56.1

(23.4) 46.8

(22.1) 35.4

(19.4) 천연가스

110.7 (40.9) 98.2

(40.9) 87.8

(41.5) 78.2

(42.8) 석 유

43.7 (16.1) 41.9

(17.5) 38.5

(18.2) 37.3

(20.4) 석 탄

2020 2010

2001 1990

구 분

(단위:천조Btu, %)

‰

선진국 에너지 mix는 천연가스의 비중증대가 특징

ƒ 석탄, 석유, 원자력은 모두 현재에 비해 소폭 비중 감소

ƒ 기타(신재생 및 수력)의 비중이 높음

0 50 100 150 200 250 300

1990 2001 2010 2020

기타 원자력 천연가스 석유 석탄

(15)

아시아 선진국의 에너지 Mix 현황 및 전망

4.0 (11.6) 3.6

(11.7) 3.2

(11.5) 2.0

(8.9) 원자력

5.3 (15.4) 4.6

(14.9) 4.1

(14.7) 2.5

(11.2) 천연가스

15.8 (45.9) 14.3

(46.4) 13.0

(46.8) 12.1

(54.0) 석 유

7.0 (20.3) 6.3

(20.5) 5.9

(21.2) 4.2

(18.8) 석 탄

2020 2010

2001 1990

구 분

(단위:천조Btu,%)

‰

아시아선진국(일본, 호주, 뉴질랜드)은 현재의 원별 비중 유지

ƒ 타 지역 선진국과 달리 원자력설비 증설로 현재 비중이 유지되는 것이 특징

15 20 25 30

35 기타

원자력 천연가스 석유 석탄

(16)

한국의 에너지 Mix 현황 및 전망

1.2 (0.4) 1.2

(0.5) 1.0

(0.5) 1.6

(1.7) 수력

311.8 (100.0) 269.3

(100.0) 198.3

(100.0) 93.2

(100.0) 합 계

8.6 (2.7) 5.8

(2.2) 2.3

(1.2) 0.8

(0.9) 기타

52.0 (16.7) 43.5

(16.2) 28.0

(14.1) 13.2

(14.2) 원자력

48.0 (15.4) 33.2

(12.3) 20.8

(10.5) 3.0

(3.2) LNG

139.6 (44.8) 125.4

(46.5) 100.4

(50.6) 50.0

(53.8) 석 유

62.6 (20.1) 60.2

(22.4) 45.7

(23.1) 24.4

(26.2) 석 탄

2020 2011

2001 1990

구 분

(단위:백만TOE,%)

‰

석유의존도 상당폭 감소, 원자력 비중 증대

ƒ 석유는 2001년 51%, 2011년 47%, 2020년 45%로 계속 감소

ƒ 신재생에너지의 비중 미약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990 2001 2010 2020

수력 기타 원자력 LN G 석유 석탄

(17)

원자력 발전 현황 및 전망

‰ 2002년말 현재 18기의 원자력 발전설비, 총설비용량 은 전체 발전설비의 29.2%, 발전 전력량은 38.9%

‰ 1차수급계획에 의하면 현재 건설중인 2기(울진5,6호 기)외에도 2015년까지 8기 추가 건설 계획

‰ 외국의 경우, 선진국 및 동유럽의 구형원자로는 점차

폐지되고 소수의 신형 원자로가 이를 대체할 것으로

(18)

신재생에너지 현황 및 전망(1)

‰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는 1차에너지소비의 1.2% 점유

‰ 신재생에너지의 이용 보급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

ƒ

낮은 기술수준, 전문인력부족, 투자 규모의 미흡 등 문제점

‰ 선진국은 신재생에너지 개발 보급에 많은 힘을 쏟고 있음

ƒ

유럽: 2010년 신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을 12%로 확대할 예정

ƒ

미국: 1백만호 Solar Roofs Program을 추진할 예정

ƒ

일본: 기술개발에 중점을 둔 New Sunshine 계획 추진
(19)

신재생에너지 현황 및 전망(2)

‰

국가에너지기본계획(BAU 시나리오)에 따르면, 2011년 신재생에너 지 비중이 2.2%로 증가할 전망

13.5 (5.0) 7.1

(3.0) 2.5

(1.2) 정부목표

5.8 (2.2) 4.0

(1.7) 2.5

(1.2) BAU

2011 2006

2001 구 분

(단위:백만TOE,%)

(20)

Ⅲ. 중장기 정책방향

(21)

에너지 부문 정책 현안(1)

‰ 에너지 산업 구조개편 지연에 따른 대응책 필요

ƒ

발전자회사 민영화 및 향후 추진에 관한 Master plan 입안

ƒ

가스산업 개편계획 재검토: 신규 가스도입계약 추진 및

수 급안정

‰ 에너지 현안문제 조정시스템 정비 필요

ƒ

정부주도에서 시장주도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이해당사자 (stakeholder)간 대립갈등 현상에 대한 조정시스템 미비
(22)

에너지 부문의 정책현안(2)

‰ 에너지안보체계의 구축 및 기후변화협약 영향으로 최적 에너지 Mix에 대한 종합적 재검토 필요

ƒ

에너지 절약 및 수요관리 강화

-

에너지가격체계합리화 및 전력수요관리 강화

ƒ

원자력발전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재고

-

수입에너지 일변도인 에너지공급 구조에 대한 대안 마련과 함께 원자력입지 및 방사성 폐기물 문제 해결 필요

ƒ

친환경적 에너지시스템 구축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보급확 대 방안 강구

-

EU의 재생에너지 중심 기술개발 대 미국의 수소에너지중심 기술개발 추세속에서 선택과 집중에 의해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 필요(2011년까지 1차에너지 소비량의 5% 보급목표)
(23)

에너지 부문의 정책현안(3)

‰

동북아 지역 에너지수급 패턴의 변화에 따라 동북아 국가간 에너지협력확대의 중요성 증가

ƒ

중국의 지속적 고도경제성장 추구에 따른 에너지 소비 급증 및 청정에너 지 수급체제로의 전환 시도

ƒ

동북아 에너지 공급체계 구축에 주도적 참여 필요

‰

북한에너지 문제: KEDO 및 북한 핵문제

ƒ

한반도 안보와 연계된 핵심사안으로서 에너지부문에서 해결책 모색 가능

ƒ

동북아 에너지협력이라는 큰 틀에서 북한 에너지 문제 접근

‰

여건변화에 부응한 에너지 정책 기능 강화
(24)

적정 에너지 Mix의 과제

‰ 현실평가?

ƒ

당분간 화석연료 비중의 상당한 감소는 어려움

ƒ

환경 및 안전문제 등을 고려하면 원자력부문의 성장에 한계가 있 으나, 고속증식로 및 핵융합과 같은 기술개발에 기대

ƒ

반면, 신재생에너지는 기술수준 및 시장기반 조성이 미흡하여 현 실적 대안으로서 부족하나, 정부의 강력한 정책의지 및 지원정책 수행이 중요함

‰ 에너지 Mix 再考 방향

ƒ

환경에 대한 인식의 제고가 요구됨

ƒ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성장 잠재력에 대한 평가가 필요함

ƒ

화석연료 이용합리화를 촉진할 현실적인 대안 모색 필요
(25)

z 환경친화적 에너지시스템 구축

z 신재생‚미활용에너지 활용 여건 조성 z 안정적 에너지공급기반 구축 지속

국제 환경규제

21 세기

에너지 정책방향

z 에너지산업구조개편 및 민영화 추진 z 독립적 규제기구 설치 및 경쟁질서 정착 z 에너지가격기능 활성화

기술주도형 대외개방형

시장주도형

블럭화

-

세계화 기술혁신

개방화

-

민영화

지속가능형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