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의식 및 가치관 조사 , 2016
CODE BOOK
자료번호 A1-2016-0004
연구책임자
연구수행기관 문화체육관광부
조사년도 2016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7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7년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문화체육관광부 . 2016. 한국인의 의식 및 가치관 조사 , 2016 . 연구수행기관 : 문화체육관광부 . 자료서비스기관 :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자료공개년도 : 2017 년 . 자료번호 : A1-2016-0004.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7. 한국인의 의식 및 가치관 조사, 2016 CODE
BOOK . pp. 1-62.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SQ1
거주지역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울 1 1,006 20.1 20.1
부산 2 353 7.1 7.1
대구 3 242 4.8 4.8
인천 4 286 5.7 5.7
광주 5 139 2.8 2.8
대전 6 145 2.9 2.9
울산 7 113 2.3 2.3
세종 8 22 0.4 0.4
경기 9 1,203 24.1 24.1
강원 10 150 3.0 3.0
충북 11 146 2.9 2.9
충남 12 196 3.9 3.9
전북 13 178 3.6 3.6
전남 14 183 3.7 3.7
경북 15 260 5.2 5.2
경남 16 320 6.4 6.4
제주 17 58 1.2 1.2
5,000
100.0 100.0
SQ2
거주지 규모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대도시 1 2,306 46.1 46.1
중·소도시 2 2,262 45.2 45.2
읍/면 3 432 8.6 8.6
5,000
100.0 100.0 거주지역
거주지역 크기
SQ3
응답자 성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성 1 2,507 50.1 50.1
여성 2 2,493 49.9 49.9
5,000
100.0 100.0
SQ4
응답자 연령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만 19세 19 31 0.6 0.6 만 20세 20 67 1.3 1.3 만 21세 21 56 1.1 1.1 만 22세 22 55 1.1 1.1 만 23세 23 66 1.3 1.3 만 24세 24 71 1.4 1.4 만 25세 25 67 1.3 1.3 만 26세 26 64 1.3 1.3 만 27세 27 97 1.9 1.9 만 28세 28 158 3.2 3.2 만 29세 29 105 2.1 2.1 만 30세 30 71 1.4 1.4 만 31세 31 53 1.1 1.1 만 32세 32 56 1.1 1.1 만 33세 33 82 1.6 1.6 만 34세 34 65 1.3 1.3 만 35세 35 94 1.9 1.9 만 36세 36 101 2.0 2.0 만 37세 37 122 2.4 2.4 만 38세 38 173 3.5 3.5 만 39세 39 137 2.7 2.7 만 40세 40 73 1.5 1.5 만 41세 41 45 0.9 0.9 성별(※ 면접원 기재)
올해 귀하의 연세는 만으로 어떻게 되십니까?
▶만 19세 미만 [1997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 ➡ 면접 중단 : __________ 세
만 42세 42 81 1.6 1.6 만 43세 43 100 2.0 2.0 만 44세 44 95 1.9 1.9 만 45세 45 133 2.7 2.7 만 46세 46 129 2.6 2.6 만 47세 47 124 2.5 2.5 만 48세 48 178 3.6 3.6 만 49세 49 154 3.1 3.1 만 50세 50 98 2.0 2.0 만 51세 51 113 2.3 2.3 만 52세 52 118 2.4 2.4 만 53세 53 113 2.3 2.3 만 54세 54 142 2.8 2.8 만 55세 55 118 2.4 2.4 만 56세 56 101 2.0 2.0 만 57세 57 94 1.9 1.9 만 58세 58 80 1.6 1.6 만 59세 59 71 1.4 1.4 만 60세 60 158 3.2 3.2 만 61세 61 131 2.6 2.6 만 62세 62 137 2.7 2.7 만 63세 63 100 2.0 2.0 만 64세 64 82 1.6 1.6 만 65세 65 78 1.6 1.6 만 66세 66 49 1.0 1.0 만 67세 67 38 0.8 0.8 만 68세 68 50 1.0 1.0 만 69세 69 38 0.8 0.8 만 70세 70 24 0.5 0.5 만 71세 71 17 0.3 0.3 만 72세 72 24 0.5 0.5 만 73세 73 19 0.4 0.4 만 74세 74 21 0.4 0.4 만 75세 75 18 0.4 0.4 만 76세 76 19 0.4 0.4 만 77세 77 12 0.2 0.2 만 78세 78 15 0.3 0.3
5,000
100.0 100.0
Q1
현재 삶의 만족 수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매우 불만족 1 12 0.2 0.2
2 2 22 0.4 0.4
3 3 110 2.2 2.2
4 4 211 4.2 4.2
5 5 654 13.1 13.1
6 6 827 16.5 16.5
7 7 1,476 29.5 29.5
8 8 1,256 25.1 25.1
9 9 325 6.5 6.5
10 매우 만족 10 107 2.1 2.1 5,000
100.0 100.0
Q2A
분야별 삶의 만족도1: 소득/재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전혀 만족하지 않음 1 34 0.7 0.7
2 2 85 1.7 1.7
3 3 281 5.6 5.6
4 4 399 8.0 8.0
5 5 973 19.5 19.5
6 6 1,111 22.2 22.2
7 7 1,045 20.9 20.9
8 8 794 15.9 15.9
9 9 220 4.4 4.4
10 매우 만족 10 58 1.2 1.2 5,000
100.0 100.0 문01. 생활을 전반적으로 고려할 때, 귀하께서는 현재의 삶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문02. 귀하께서는 다음 항목들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Q2B
분야별 삶의 만족도2: 가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전혀 만족하지 않음 1 6 0.1 0.1
2 2 11 0.2 0.2
3 3 50 1.0 1.0
4 4 69 1.4 1.4
5 5 289 5.8 5.8
6 6 441 8.8 8.8
7 7 1,027 20.5 20.5
8 8 1,601 32.0 32.0
9 9 1,130 22.6 22.6
10 매우 만족 10 376 7.5 7.5 5,000
100.0 100.0
Q2C
분야별 삶의 만족도3: 친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전혀 만족하지 않음 1 5 0.1 0.1
2 2 14 0.3 0.3
3 3 31 0.6 0.6
4 4 85 1.7 1.7
5 5 455 9.1 9.1
6 6 636 12.7 12.7
7 7 1,258 25.2 25.2
8 8 1,513 30.3 30.3
9 9 800 16.0 16.0
10 매우 만족 10 203 4.1 4.1 5,000
100.0 100.0 문02. 귀하께서는 다음 항목들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문02. 귀하께서는 다음 항목들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Q3
현재 행복 수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매우 불행 1 5 0.1 0.1
2 2 19 0.4 0.4
3 3 79 1.6 1.6
4 4 122 2.4 2.4
5 5 494 9.9 9.9
6 6 822 16.4 16.4
7 7 1,521 30.4 30.4
8 8 1,455 29.1 29.1
9 9 374 7.5 7.5
10 매우 행복 10 109 2.2 2.2 5,000
100.0 100.0
Q4A
분야별 행복한 삶의 중요도1: 소득/재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전혀 중요하지 않다 1 2 0.0 0.0
2 2 6 0.1 0.1
3 3 27 0.5 0.5
4 4 37 0.7 0.7
5 5 174 3.5 3.5
6 6 328 6.6 6.6
7 7 801 16.0 16.0
8 8 1,441 28.8 28.8
9 9 1,429 28.6 28.6
10 매우 중요 10 755 15.1 15.1 5,000
100.0 100.0 문03.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할 때, 귀하께서는 어느 정도 행복하다고 느끼십니까?
문04. 귀하께서는 다음 항목들이 행복한 삶을 위하여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Q4B
분야별 행복한 삶의 중요도2: 가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전혀 중요하지 않다 1 3 0.1 0.1
2 2 2 0.0 0.0
3 3 9 0.2 0.2
4 4 12 0.2 0.2
5 5 76 1.5 1.5
6 6 217 4.3 4.3
7 7 520 10.4 10.4
8 8 1,133 22.7 22.7
9 9 1,683 33.7 33.7
10 매우 중요 10 1,345 26.9 26.9 5,000
100.0 100.0
Q4C
분야별 행복한 삶의 중요도3: 친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전혀 중요하지 않다 1 4 0.1 0.1
3 3 14 0.3 0.3
4 4 36 0.7 0.7
5 5 188 3.8 3.8
6 6 411 8.2 8.2
7 7 971 19.4 19.4
8 8 1,450 29.0 29.0
9 9 1,266 25.3 25.3
10 매우 중요 10 660 13.2 13.2 5,000
100.0 100.0
Q5
현재 건강상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매우 안 좋음 1 15 0.3 0.3 문04. 귀하께서는 다음 항목들이 행복한 삶을 위하여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문04. 귀하께서는 다음 항목들이 행복한 삶을 위하여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문05. 귀하의 현재 건강상태는 어떠하십니까?
3 3 88 1.8 1.8
4 4 131 2.6 2.6
5 5 343 6.9 6.9
6 6 547 10.9 10.9
7 7 1,133 22.7 22.7
8 8 1,551 31.0 31.0
9 9 893 17.9 17.9
10 매우 좋음 10 285 5.7 5.7 5,000
100.0 100.0
Q6
삶에서 중요한 것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건강/ 아름다움 1 1,358 27.2 27.2 행복한 가정 2 1,481 29.6 29.6 자신의 능력개발 3 378 7.6 7.6 경제적 풍요 4 916 18.3 18.3 사회적 성공 5 433 8.7 8.7 정신적인 성숙 6 67 1.3 1.3 취미생활 /여가 7 97 1.9 1.9 지식/ 학식 8 20 0.4 0.4 이성과의 사랑 9 36 0.7 0.7 좋은 인간관계 10 213 4.3 4.3
종교 12 1 0.0 0.0
5,000
100.0 100.0
Q7
향후 10년 후 삶의 질 전망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나아질 것이다 1 416 8.3 8.3 조금 나아질 것이다 2 2,263 45.3 45.3 지금과 비슷할 것이다 3 1,837 36.7 36.7 조금 나빠질 것이다 4 419 8.4 8.4 문06. 귀하께서 삶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것은 무엇입니까?
문07. 귀하께서는 앞으로 10년 후 자신의 삶이 지금보다 나아질 것이라고 보세요? 아니면 나빠질 것이라고 보세요?
매우 나빠질 것이다 5 65 1.3 1.3 5,000
100.0 100.0
Q8
결혼에 대한 인식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한다 1 1,335 26.7 26.7 가능한 한 하는 것이 좋다 2 2,173 43.5 43.5 본인이 원하지 않으면 하지 않아도 된다 3 1,492 29.8 29.8
5,000
100.0 100.0
Q9A1
배우자 선택시 중요한 요소: 1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성격 1 2,913 58.3 58.3
재산 2 442 8.8 8.8
가정환경 3 719 14.4 14.4
종교 4 93 1.9 1.9
외모 5 146 2.9 2.9
직업 6 603 12.1 12.1
학력/ 학벌 7 56 1.1 1.1
취미 8 28 0.6 0.6
5,000
100.0 100.0
Q9A2
배우자 선택시 중요한 요소: 2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성격 1 1,143 22.9 22.9
재산 2 894 17.9 17.9
가정환경 3 1,261 25.2 25.2
종교 4 76 1.5 1.5
외모 5 362 7.2 7.2
문08. 귀하께서는 결혼에 대한 다음 의견들 중에서 어느 쪽 입장에 좀 더 가까우신가요?
문09. 귀하께서는 배우자 선택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인을 순서대로 3가지만 말씀해 주십시오.
: 1순위
문09. 귀하께서는 배우자 선택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인을 순서대로 3가지만 말씀해 주십시오.
: 2순위
학력/ 학벌 7 191 3.8 3.8
취미 8 69 1.4 1.4
건강 10 4 0.1 0.1
5,000
100.0 100.0
Q9A3
배우자 선택시 중요한 요소: 3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성격 1 513 10.3 10.4
재산 2 831 16.6 16.8
가정환경 3 1,011 20.2 20.4
종교 4 156 3.1 3.1
외모 5 572 11.4 11.5
직업 6 1,345 26.9 27.1
학력/ 학벌 7 364 7.3 7.3
취미 8 162 3.2 3.3
건강 10 1 0.0 0.0
시스템결측값 시스템결측값 45 0.9 5,000
100.0 100.0
Q10
가깝게 느끼는 친척: 친가 vs 외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나는 아버지 쪽 친척과 더 가깝다 1 990 19.8 19.8 나는 어머니 쪽 친척과 더 가깝다 2 1,882 37.6 37.6 양가 친척과 비슷하게 가깝다 3 2,128 42.6 42.6
5,000
100.0 100.0 문09. 귀하께서는 배우자 선택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인을 순서대로 3가지만 말씀해 주십시오.
: 3순위
문10. 귀하께서는 다음 의견들 중에서 어느 쪽 입장에 좀 더 가까우신가요?
① 나는 아버지 쪽 친척과 더 가깝다
Q11A
사안별 가정 내 의사결정권1: 생활비 지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버지/ 남편 1 478 9.6 9.6 어머니/ 아내 2 3,362 67.2 67.2
똑같이 3 1,160 23.2 23.2
5,000
100.0 100.0
Q11B
사안별 가정 내 의사결정권2: 이사, 주거문제 결정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버지/ 남편 1 823 16.5 16.5 어머니/ 아내 2 1,588 31.8 31.8
똑같이 3 2,589 51.8 51.8
5,000
100.0 100.0
Q11C
사안별 가정 내 의사결정권3: 자녀교육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버지/ 남편 1 306 6.1 6.1 어머니/ 아내 2 2,784 55.7 55.7
똑같이 3 1,910 38.2 38.2
5,000
100.0 100.0
Q11D
사안별 가정 내 의사결정권4: 가족행사, 모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버지/ 남편 1 564 11.3 11.3 어머니/ 아내 2 1,792 35.8 35.8
똑같이 3 2,644 52.9 52.9
5,000
100.0 100.0 문11. 다음 각각에 대해 귀댁은 남편과 아내 중 누가 더 많은 의사결정권을 갖고 있나요?
※ 기혼인 경우 남편과 아내를 대상으로 하며, 미혼인 경우 부모님을 대상으로 합니다.
문11. 다음 각각에 대해 귀댁은 남편과 아내 중 누가 더 많은 의사결정권을 갖고 있나요?
※ 기혼인 경우 남편과 아내를 대상으로 하며, 미혼인 경우 부모님을 대상으로 합니다.
문11. 다음 각각에 대해 귀댁은 남편과 아내 중 누가 더 많은 의사결정권을 갖고 있나요?
※ 기혼인 경우 남편과 아내를 대상으로 하며, 미혼인 경우 부모님을 대상으로 합니다.
문11. 다음 각각에 대해 귀댁은 남편과 아내 중 누가 더 많은 의사결정권을 갖고 있나요?
※ 기혼인 경우 남편과 아내를 대상으로 하며, 미혼인 경우 부모님을 대상으로 합니다.
Q11E
사안별 가정 내 의사결정권5: 부모 부양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버지/ 남편 1 611 12.2 12.2 어머니/ 아내 2 1,441 28.8 28.8
똑같이 3 2,948 59.0 59.0
5,000
100.0 100.0
Q12A
결혼생활 및 자녀 관련 의식1: 혼전순결은 지켜야 한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688 13.8 13.8 대체로 그렇다 2 2,443 48.9 48.9 별로 그렇지 않다 3 1,676 33.5 33.5 전혀 그렇지 않다 4 193 3.9 3.9
5,000
100.0 100.0
Q12B
결혼생활 및 자녀 관련 의식2: 낙태는 해서는 안된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1,327 26.5 26.5 대체로 그렇다 2 2,336 46.7 46.7 별로 그렇지 않다 3 1,220 24.4 24.4 전혀 그렇지 않다 4 117 2.3 2.3
5,000
100.0 100.0 문11. 다음 각각에 대해 귀댁은 남편과 아내 중 누가 더 많은 의사결정권을 갖고 있나요?
※ 기혼인 경우 남편과 아내를 대상으로 하며, 미혼인 경우 부모님을 대상으로 합니다.
문12. 귀하께서는 결혼 및 자녀와 관련한 아래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시는지 말씀해 주십시 오.
문12. 귀하께서는 결혼 및 자녀와 관련한 아래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시는지 말씀해 주십시 오.
Q12C
결혼생활 및 자녀 관련 의식3: 이혼은 해서는 안된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924 18.5 18.5 대체로 그렇다 2 2,008 40.2 40.2 별로 그렇지 않다 3 1,767 35.3 35.3 전혀 그렇지 않다 4 301 6.0 6.0
5,000
100.0 100.0
Q12D
결혼생활 및 자녀 관련 의식4: 자녀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1,243 24.9 24.9 대체로 그렇다 2 2,324 46.5 46.5 별로 그렇지 않다 3 1,283 25.7 25.7 전혀 그렇지 않다 4 150 3.0 3.0
5,000
100.0 100.0
Q12E
결혼생활 및 자녀 관련 의식5: 자식은 부모를 모실 의무가 있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529 10.6 10.6 대체로 그렇다 2 2,431 48.6 48.6 별로 그렇지 않다 3 1,798 36.0 36.0 전혀 그렇지 않다 4 242 4.8 4.8
5,000
100.0 100.0 문12. 귀하께서는 결혼 및 자녀와 관련한 아래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시는지 말씀해 주십시 오.
문12. 귀하께서는 결혼 및 자녀와 관련한 아래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시는지 말씀해 주십시 오.
문12. 귀하께서는 결혼 및 자녀와 관련한 아래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시는지 말씀해 주십시 오.
Q12F
결혼생활 및 자녀 관련 의식6: 자녀의 입양에 찬성한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256 5.1 5.1 대체로 그렇다 2 1,873 37.5 37.5 별로 그렇지 않다 3 2,282 45.6 45.6 전혀 그렇지 않다 4 589 11.8 11.8
5,000
100.0 100.0
Q12G
결혼생활 및 자녀 관련 의식7: 동거도 결혼의 한 형태로 인정해야 한다매우 그렇다 1 286 5.7 5.7 대체로 그렇다 2 2,226 44.5 44.5 별로 그렇지 않다 3 1,869 37.4 37.4 전혀 그렇지 않다 4 619 12.4 12.4
5,000
100.0 100.0
Q12H
결혼생활 및 자녀 관련 의식8: 동성결혼을 허용해야 한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60 1.2 1.2 대체로 그렇다 2 833 16.7 16.7 별로 그렇지 않다 3 1,786 35.7 35.7 전혀 그렇지 않다 4 2,321 46.4 46.4
5,000
100.0 100.0
Q13A
사안별 자녀 양육/교육비 부담의향1: 결혼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필요한 모든 비용을 부담 1 663 13.3 13.3 문12. 귀하께서는 결혼 및 자녀와 관련한 아래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시는지 말씀해 주십시 오.
문12. 귀하께서는 결혼 및 자녀와 관련한 아래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시는지 말씀해 주십시 오.
문12. 귀하께서는 결혼 및 자녀와 관련한 아래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시는지 말씀해 주십시 오.
문13. 귀하께서는 아래와 같은 상황에 대해 부모가 자녀에게 어느 정도까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고 생각하십니까?
일부만을 부담 2 3,927 78.5 78.5 전혀 부담할 필요가 없음 3 410 8.2 8.2
5,000
100.0 100.0
Q13B
사안별 자녀 양육/교육비 부담의향2: 대학교육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필요한 모든 비용을 부담 1 2,331 46.6 46.6 일부만을 부담 2 2,444 48.9 48.9 전혀 부담할 필요가 없음 3 225 4.5 4.5
5,000
100.0 100.0
Q13C
사안별 자녀 양육/교육비 부담의향3: 30세가 넘은 미혼자녀 생활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필요한 모든 비용을 부담 1 111 2.2 2.2 일부만을 부담 2 1,491 29.8 29.8 전혀 부담할 필요가 없음 3 3,398 68.0 68.0
5,000
100.0 100.0
Q14A
5년 전 대비 경제상황 변화1: 가정경제 상황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좋아졌다 1 56 1.1 1.1 약간 좋아졌다 2 992 19.8 19.8
비슷하다 3 3,100 62.0 62.0
약간 나빠졌다 4 760 15.2 15.2 매우 나빠졌다 5 92 1.8 1.8
5,000
100.0 100.0 문14. 귀하께서는 다음 각각의 경제상황이 5년 전에 비해 어떻게 달라졌다고 생각하십니까?
문13. 귀하께서는 아래와 같은 상황에 대해 부모가 자녀에게 어느 정도까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고 생각하십니까?
문13. 귀하께서는 아래와 같은 상황에 대해 부모가 자녀에게 어느 정도까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고 생각하십니까?
Q14B
5년 전 대비 경제상황 변화2: 국가경제 상황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좋아졌다 1 5 0.1 0.1 약간 좋아졌다 2 328 6.6 6.6
비슷하다 3 2,204 44.1 44.1
약간 나빠졌다 4 2,001 40.0 40.0 매우 나빠졌다 5 462 9.2 9.2
5,000
100.0 100.0
Q15A
5년 후 경제상황 변화 전망1: 가정경제 상황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좋아질 것이다 1 70 1.4 1.4 좋아질 것이다 2 1,516 30.3 30.3 비슷할 것이다 3 2,804 56.1 56.1 나빠질 것이다 4 586 11.7 11.7 매우 나빠질 것이다 5 24 0.5 0.5
5,000
100.0 100.0
Q15B
5년 후 경제상황 변화 전망2: 국가경제 상황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좋아질 것이다 1 44 0.9 0.9 좋아질 것이다 2 1,120 22.4 22.4 비슷할 것이다 3 2,558 51.2 51.2 나빠질 것이다 4 1,117 22.3 22.3 매우 나빠질 것이다 5 161 3.2 3.2
5,000
100.0 100.0 문14. 귀하께서는 다음 각각의 경제상황이 5년 전에 비해 어떻게 달라졌다고 생각하십니까?
문15. 귀하께서는 다음 각각의 경제상황이 앞으로 5년 후, 어떻게 될 것으로 보십니까?
문15. 귀하께서는 다음 각각의 경제상황이 앞으로 5년 후, 어떻게 될 것으로 보십니까?
Q16A1
직업 선택시 중요한 요소: 1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보수/급여 1 1,935 38.7 38.7 주위의 평가 2 192 3.8 3.8 개인의 적성 3 1,124 22.5 22.5 근무시간 및 복지 등의 근무조건 4 768 15.4 15.4
안정성 5 651 13.0 13.0
사회에 기여도 6 32 0.6 0.6
장래성 7 298 6.0 6.0
5,000
100.0 100.0
Q16A2
직업 선택시 중요한 요소: 2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보수/급여 1 1,170 23.4 23.4 주위의 평가 2 307 6.1 6.1 개인의 적성 3 896 17.9 17.9 근무시간 및 복지 등의 근무조건 4 1,285 25.7 25.7
안정성 5 797 15.9 15.9
사회에 기여도 6 68 1.4 1.4
장래성 7 474 9.5 9.5
시스템결측값 시스템결측값 3 0.1 5,000
100.0 100.0
Q17
주관적 계층의식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중산층이다 1 1,938 38.8 38.8 중산층보다 높다 2 407 8.1 8.1 중산층보다 낮다 3 2,655 53.1 53.1
5,000
100.0 100.0 문17. 귀댁 가정의 경제 수준은 어느 정도에 해당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문16. 귀하께서는 사람들이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 니까? 중요한 순서대로 2가지만 말씀해주십시오.
: 1순위
문16. 귀하께서는 사람들이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 니까? 중요한 순서대로 2가지만 말씀해주십시오.
: 2순위
Q18
가정 경제 수준이 중산층보다 낮다고 생각하는 이유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소득이 너무 낮아서 1 1,512 30.2 56.9 부채가 너무 많아서 2 354 7.1 13.3 문화/ 여가 생활을 할 여력이 없어서 3 615 12.3 23.2 자녀 교육비를 감당할 여력이 부족해서 4 170 3.4 6.4 본인 소유의 집이 없어서 6 4 0.1 0.2 시스템결측값 시스템결측값 2,345 46.9
5,000
100.0 100.0
Q19A
직업관1: 직장생활과 만족스런 삶의 관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898 18.0 18.0 어느 정도 그런 편이다 2 3,202 64.0 64.0 별로 그렇지 않은 편이다 3 836 16.7 16.7 전혀 그렇지 않다 4 64 1.3 1.3
5,000
100.0 100.0
Q19B
직업관2: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의 관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1,068 21.4 21.4 어느 정도 그런 편이다 2 2,540 50.8 50.8 별로 그렇지 않은 편이다 3 1,224 24.5 24.5 전혀 그렇지 않다 4 168 3.4 3.4
5,000
100.0 100.0 문18. (17번 문항에서 ③ 응답자만) 그렇다면, 귀댁의 가정경제 수준이 중산층보다 낮다고 생각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문19.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시는지 말씀해 주십시오.
문19.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시는지 말씀해 주십시오.
Q19C
직업관3: 급여와 직장생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1,086 21.7 21.7 어느 정도 그런 편이다 2 2,931 58.6 58.6 별로 그렇지 않은 편이다 3 907 18.1 18.1 전혀 그렇지 않다 4 76 1.5 1.5
5,000
100.0 100.0
Q19D
직업관4: 직장내 권리와 의무의 관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616 12.3 12.3 어느 정도 그런 편이다 2 3,053 61.1 61.1 별로 그렇지 않은 편이다 3 1,256 25.1 25.1 전혀 그렇지 않다 4 75 1.5 1.5
5,000
100.0 100.0
Q20
노인 기준 연령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50세 50 3 0.1 0.1
53세 53 1 0.0 0.0
55세 55 3 0.1 0.1
60세 60 166 3.3 3.3
61세 61 8 0.2 0.2
62세 62 7 0.1 0.1
63세 63 17 0.3 0.3
64세 64 13 0.3 0.3
65세 65 661 13.2 13.2
66세 66 37 0.7 0.7
67세 67 46 0.9 0.9
문20. 우리사회에서 “노인”이라고 부를 수 있는 나이는 몇 살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__________ 세
문19.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시는지 말씀해 주십시오.
문19. 귀하께서는 다음과 같은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시는지 말씀해 주십시오.
69세 69 20 0.4 0.4
70세 70 2,325 46.5 46.5
71세 71 20 0.4 0.4
72세 72 110 2.2 2.2
73세 73 86 1.7 1.7
74세 74 27 0.5 0.5
75세 75 858 17.2 17.2
76세 76 40 0.8 0.8
77세 77 8 0.2 0.2
78세 78 51 1.0 1.0
79세 79 4 0.1 0.1
80세 80 302 6.0 6.0
81세 81 3 0.1 0.1
82세 82 6 0.1 0.1
85세 85 17 0.3 0.3
86세 86 1 0.0 0.0
89세 89 2 0.0 0.0
90세 90 12 0.2 0.2
91세 91 1 0.0 0.0
95세 95 1 0.0 0.0
5,000
100.0 100.0
Q21A1
노후생활에 대한 부담 책임: 1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본인이나 배우자 1 3,366 67.3 67.3 자녀나 자녀의 가족 2 281 5.6 5.6
복지제도 3 1,353 27.1 27.1
5,000
100.0 100.0 문21. 귀하께서는 노후생활에서 다음 중 누구의 부담이 가장 커야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부담이 커야한다고 생각하시는 순서대로 2가지만 말씀해 주십시오. [1순위+2순위]
: 1순위
Q21A2
노후생활에 대한 부담 책임: 2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본인이나 배우자 1 1,290 25.8 25.8 자녀나 자녀의 가족 2 1,662 33.2 33.2
복지제도 3 2,048 41.0 41.0
5,000
100.0 100.0
Q21A3
노후생활에 대한 부담 책임: 3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본인이나 배우자 1 344 6.9 6.9 자녀나 자녀의 가족 2 3,057 61.1 61.1
복지제도 3 1,599 32.0 32.0
5,000
100.0 100.0
Q22A
(60세 미만 응답자만) 노후 준비 정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충분하게 준비하고 있다 1 34 0.7 0.9 어느 정도 준비하고 있다 2 1,140 22.8 28.9 별로 준비하지 않고 있다 3 1,823 36.5 46.1 전혀 준비하지 않고 있다 4 954 19.1 24.1
비해당 -1 1,049 21.0
5,000
100.0 100.0 문21. 귀하께서는 노후생활에서 다음 중 누구의 부담이 가장 커야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부담이 커야한다고 생각하시는 순서대로 2가지만 말씀해 주십시오. [1순위+2순위]
: 2순위
문21. 귀하께서는 노후생활에서 다음 중 누구의 부담이 가장 커야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부담이 커야한다고 생각하시는 순서대로 2가지만 말씀해 주십시오. [1순위+2순위]
: 3순위
문22-1. (만60세 미만 경우) 귀하께서는 노후를 대비하기 위하여 얼마나 준비하고 계십니까?
Q22B
(60세 이상 응답자만) 노후 준비 정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충분하게 준비하고 있다 1 16 0.3 1.5 어느 정도 준비하고 있다 2 341 6.8 32.5 별로 준비하지 않고 있다 3 584 11.7 55.7 전혀 준비하지 않고 있다 4 108 2.2 10.3
비해당 -1 3,951 79.0
5,000
100.0 100.0
Q23
고민거리 주 의논 상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가족/ 친척 1 2,213 44.3 44.3 친구/ 선배 2 1,883 37.7 37.7 직장동료/ 상사 3 166 3.3 3.3 전문 상담소 4 16 0.3 0.3
종교기관 5 59 1.2 1.2
철학관/ 점집 6 43 0.9 0.9 혼자서 해결 7 620 12.4 12.4
5,000
100.0 100.0
Q24
소속감을 가장 많이 느끼는 집단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가정 1 3,453 69.1 69.1
학교 2 127 2.5 2.5
직장 3 754 15.1 15.1
친구 4 422 8.4 8.4
이웃/ 지역사회 5 138 2.8 2.8 (온오프라인) 단체/ 모임 6 71 1.4 1.4
국가 7 35 0.7 0.7
5,000
100.0 100.0 문23. 고민거리가 있을 때, 귀하께서는 다음 중 누구를 주로 찾습니까?
문24. 귀하께서 가장 많이 소속감을 느끼는 집단은 다음 중 어디입니까?
문22-2. (만60세 이상 경우) 귀하께서는 노후준비가 얼마나 되어 있습니까?
Q25A
문화예술 관련 의견 공감도1: 고급문화와 저급문화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316 6.3 6.3 대체로 그렇다 2 2,330 46.6 46.6 별로 그렇지 않다 3 2,114 42.3 42.3 전혀 그렇지 않다 4 240 4.8 4.8
5,000
100.0 100.0
Q25B
문화예술 관련 의견 공감도2: 전통문화의 변화와 보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1,254 25.1 25.1 대체로 그렇다 2 2,693 53.9 53.9 별로 그렇지 않다 3 1,007 20.1 20.1 전혀 그렇지 않다 4 46 0.9 0.9
5,000
100.0 100.0
Q25C
문화예술 관련 의견 공감도3: 문화와 돈/여유시간의 관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1,357 27.1 27.1 대체로 그렇다 2 2,574 51.5 51.5 별로 그렇지 않다 3 973 19.5 19.5 전혀 그렇지 않다 4 96 1.9 1.9
5,000
100.0 100.0 문25. 귀하께서는 문화나 예술에 대한 다음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시나요? 각각에 대해 말 씀해 주십시오.
문25. 귀하께서는 문화나 예술에 대한 다음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시나요? 각각에 대해 말 씀해 주십시오.
문25. 귀하께서는 문화나 예술에 대한 다음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시나요? 각각에 대해 말 씀해 주십시오.
Q25D
문화예술 관련 의견 공감도4: 대중문화의 기능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260 5.2 5.2 대체로 그렇다 2 2,195 43.9 43.9 별로 그렇지 않다 3 2,184 43.7 43.7 전혀 그렇지 않다 4 361 7.2 7.2
5,000
100.0 100.0
Q26A
우리나라 문화유산/문화상품에 대한 자긍심1: 역사유적지나 유물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자랑스럽다 1 1,135 22.7 22.7 대체로 자랑스럽다 2 3,461 69.2 69.2 별로 자랑스럽지 않다 3 398 8.0 8.0 전혀 자랑스럽지 않다 4 6 0.1 0.1
5,000
100.0 100.0
Q26B
우리나라 문화유산/문화상품에 대한 자긍심2: 한식,한복,한옥 및 전통공예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자랑스럽다 1 1,577 31.5 31.5 대체로 자랑스럽다 2 2,976 59.5 59.5 별로 자랑스럽지 않다 3 444 8.9 8.9 전혀 자랑스럽지 않다 4 3 0.1 0.1
5,000
100.0 100.0 문26. 귀하께서는 우리나라의 문화유산과 문화상품에 대해 얼마나 자랑스럽게 생각하십니까?
문26. 귀하께서는 우리나라의 문화유산과 문화상품에 대해 얼마나 자랑스럽게 생각하십니까?
문25. 귀하께서는 문화나 예술에 대한 다음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시나요? 각각에 대해 말 씀해 주십시오.
Q26C
우리나라 문화유산/문화상품에 대한 자긍심3: 충효사상 등 정신문화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자랑스럽다 1 1,483 29.7 29.7 대체로 자랑스럽다 2 2,748 55.0 55.0 별로 자랑스럽지 않다 3 739 14.8 14.8 전혀 자랑스럽지 않다 4 30 0.6 0.6
5,000
100.0 100.0
Q26D
우리나라 문화유산/문화상품에 대한 자긍심4: K-Pop, 한국드라마 등 대중문화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자랑스럽다 1 991 19.8 19.8 대체로 자랑스럽다 2 2,947 58.9 58.9 별로 자랑스럽지 않다 3 989 19.8 19.8 전혀 자랑스럽지 않다 4 73 1.5 1.5
5,000
100.0 100.0
Q27A
한국사회 주요 쟁점에 대한 인식1: 소득 공평분배 vs. 개인별 소득격차 인정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소득이 더 공평해져야 한다 1 101 2.0 2.0
2 2 317 6.3 6.3
3 3 583 11.7 11.7
4 4 590 11.8 11.8
5 5 436 8.7 8.7
6 6 470 9.4 9.4
7 7 1,021 20.4 20.4
8 8 1,035 20.7 20.7
9 9 354 7.1 7.1
10 노력하는 만큼 소득에 차이가 나야한다 10 93 1.9 1.9 5,000
100.0 100.0 문26. 귀하께서는 우리나라의 문화유산과 문화상품에 대해 얼마나 자랑스럽게 생각하십니까?
문26. 귀하께서는 우리나라의 문화유산과 문화상품에 대해 얼마나 자랑스럽게 생각하십니까?
문27. 다음 사항 중 귀하의 생각과 좀 더 가까운 쪽에 ○표 해주십시오.
: 소득이 더 공평해져야 한다 VS 노력하는 만큼 소득에 차이가 나야한다
Q27B
한국사회 주요 쟁점에 대한 인식 복지 책임2: 정부 vs. 당사자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정부가 복지에 더 책임을 져야한다 1 176 3.5 3.5
2 2 405 8.1 8.1
3 3 862 17.2 17.2
4 4 870 17.4 17.4
5 5 723 14.5 14.5
6 6 548 11.0 11.0
7 7 696 13.9 13.9
8 8 553 11.1 11.1
9 9 147 2.9 2.9
10 당사자가 각각의 생계에 책임을 져야한다 10 20 0.4 0.4 5,000
100.0 100.0
Q27C
한국사회 주요 쟁점에 대한 인식3: 경쟁의 역기능 vs. 경쟁의 순기능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경쟁은 사회를 발전시킨다 1 89 1.8 1.8
2 2 314 6.3 6.3
3 3 997 19.9 19.9
4 4 1,020 20.4 20.4
5 5 949 19.0 19.0
6 6 622 12.4 12.4
7 7 588 11.8 11.8
8 8 319 6.4 6.4
9 9 80 1.6 1.6
10 경쟁은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10 22 0.4 0.4 5,000
100.0 100.0 문27. 다음 사항 중 귀하의 생각과 좀 더 가까운 쪽에 ○표 해주십시오.
: 경쟁은 사회를 발전시킨다 VS 경쟁은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문27. 다음 사항 중 귀하의 생각과 좀 더 가까운 쪽에 ○표 해주십시오.
: 정부가 복지에 더 책임을 져야한다 VS 당사자가 각각의 생계에 책임을 져야한다
Q27D
한국사회 주요 쟁점에 대한 인식4: 대북지원에 대한 인식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대북 지원을 해서는 안 된다 1 246 4.9 4.9
2 2 416 8.3 8.3
3 3 786 15.7 15.7
4 4 859 17.2 17.2
5 5 990 19.8 19.8
6 6 729 14.6 14.6
7 7 653 13.1 13.1
8 8 233 4.7 4.7
9 9 58 1.2 1.2
10 대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10 30 0.6 0.6 5,000
100.0 100.0
Q27E
한국사회 주요 쟁점에 대한 인식5: 복지 vs. 경제성장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복지보다 경제성장에 더욱 힘을 기울여야 한다 1 99 2.0 2.0
2 2 359 7.2 7.2
3 3 705 14.1 14.1
4 4 796 15.9 15.9
5 5 977 19.5 19.5
6 6 717 14.3 14.3
7 7 728 14.6 14.6
8 8 441 8.8 8.8
9 9 127 2.5 2.5
10 경제성장보다 복지에 더욱 힘을 기울여야 한
다 10 51 1.0 1.0
5,000
100.0 100.0 문27. 다음 사항 중 귀하의 생각과 좀 더 가까운 쪽에 ○표 해주십시오.
: 대북 지원을 해서는 안 된다 VS 대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문27. 다음 사항 중 귀하의 생각과 좀 더 가까운 쪽에 ○표 해주십시오.
: 복지보다 경제성장에 더욱 힘을 기울여야 한다VS 경제성장보다 복지에 더욱 힘을 기울여야 한 다
Q27F
한국사회 주요 쟁점에 대한 인식6: 공기업의 민영화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국영기업이나 공기업은 민영화되어야 한다 1 76 1.5 1.5
2 2 274 5.5 5.5
3 3 593 11.9 11.9
4 4 680 13.6 13.6
5 5 938 18.8 18.8
6 6 689 13.8 13.8
7 7 746 14.9 14.9
8 8 604 12.1 12.1
9 9 274 5.5 5.5
10 국영기업이나 공기업은 확대되어야 한다 10 126 2.5 2.5 5,000
100.0 100.0
Q27G
한국사회 주요 쟁점에 대한 인식7: 기업에 대한 정부의 규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기업에 대한 정부의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 1 67 1.3 1.3
2 2 326 6.5 6.5
3 3 656 13.1 13.1
4 4 757 15.1 15.1
5 5 975 19.5 19.5
6 6 785 15.7 15.7
7 7 741 14.8 14.8
8 8 450 9.0 9.0
9 9 161 3.2 3.2
10 기업에 대한 정부의 규제가 강화되어야 한다 10 82 1.6 1.6 5,000
100.0 100.0 문27. 다음 사항 중 귀하의 생각과 좀 더 가까운 쪽에 ○표 해주십시오.
: 국영기업이나 공기업은 민영화되어야 한다 VS 국영기업이나 공기업은 확대되어야 한다
문27. 다음 사항 중 귀하의 생각과 좀 더 가까운 쪽에 ○표 해주십시오.
: 기업에 대한 정부의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 VS 기업에 대한 정부의 규제가 강화되어야 한다
Q27H
한국사회 주요 쟁점에 대한 인식8: 집회 및 시위 허용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집회 및 시위는 시민의 불편을 초래할 경우 허
용해서는 안 된다 1 152 3.0 3.0
2 2 342 6.8 6.8
3 3 736 14.7 14.7
4 4 831 16.6 16.6
5 5 879 17.6 17.6
6 6 743 14.9 14.9
7 7 668 13.4 13.4
8 8 465 9.3 9.3
9 9 139 2.8 2.8
10 집회 및 시위는 시민의 불편을 초래하더라도
허용해야 한다 10 45 0.9 0.9 5,000
100.0 100.0
Q27I
한국사회 주요 쟁점에 대한 인식9: 사형제 폐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사회 질서를 위해 사형제는 폐지해서는 안 된
다 1 474 9.5 9.5
2 2 595 11.9 11.9
3 3 784 15.7 15.7
4 4 654 13.1 13.1
5 5 822 16.4 16.4
6 6 585 11.7 11.7
7 7 607 12.1 12.1
8 8 326 6.5 6.5
9 9 105 2.1 2.1
10 인권 문제 등으로 사형제는 폐지하여야 한다 10 48 1.0 1.0 5,000
100.0 100.0 문27. 다음 사항 중 귀하의 생각과 좀 더 가까운 쪽에 ○표 해주십시오.
: 사회 질서를 위해 사형제는 폐지해서는 안 된다 VS 인권 문제 등으로 사형제는 폐지하여야 한다 문27. 다음 사항 중 귀하의 생각과 좀 더 가까운 쪽에 ○표 해주십시오.
: 집회 및 시위는 시민의 불편을 초래할 경우 허용해서는 안 된다 VS 집회 및 시위는 시민의 불편 을 초래하더라도 허용해야 한다
Q27J
한국사회 주요 쟁점에 대한 인식10: 개인의 자유 vs. 사회적 질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개인의 자유보다 사회적 질서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1 126 2.5 2.5
2 2 364 7.3 7.3
3 3 793 15.9 15.9
4 4 828 16.6 16.6
5 5 991 19.8 19.8
6 6 832 16.6 16.6
7 7 662 13.2 13.2
8 8 281 5.6 5.6
9 9 91 1.8 1.8
10 사회적 질서보다 개인의 자유가 우선시 되어
야 한다 10 32 0.6 0.6
5,000
100.0 100.0
Q27K
한국사회 주요 쟁점에 대한 인식11: 수월성 교육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뛰어난 학생들을 위한 특별한 교육환경이 있어
야 한다 1 100 2.0 2.0
2 2 248 5.0 5.0
3 3 534 10.7 10.7
4 4 548 11.0 11.0
5 5 926 18.5 18.5
6 6 945 18.9 18.9
7 7 799 16.0 16.0
8 8 534 10.7 10.7
9 9 230 4.6 4.6
10 모든 학생들에게 똑같은 기회가 주어져야 한
다 10 136 2.7 2.7
5,000
100.0 100.0 문27. 다음 사항 중 귀하의 생각과 좀 더 가까운 쪽에 ○표 해주십시오.
: 개인의 자유보다 사회적 질서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VS 사회적 질서보다 개인의 자유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문27. 다음 사항 중 귀하의 생각과 좀 더 가까운 쪽에 ○표 해주십시오.
: 뛰어난 학생들을 위한 특별한 교육환경이 있어야 한다 VS 모든 학생들에게 똑같은 기회가 주 어져야 한다
Q28A
집단 간 갈등 정도1: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주 작다 1 85 1.7 1.7 작은 편이다 2 1,478 29.6 29.6 큰 편이다 3 2,804 56.1 56.1 아주 크다 4 633 12.7 12.7
5,000
100.0 100.0
Q28B
집단 간 갈등 정도2: 기업가와 근로자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주 작다 1 113 2.3 2.3 작은 편이다 2 900 18.0 18.0 큰 편이다 3 2,644 52.9 52.9 아주 크다 4 1,343 26.9 26.9
5,000
100.0 100.0
Q28C
집단 간 갈등 정도3: 부유층과 서민층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주 작다 1 67 1.3 1.3 작은 편이다 2 661 13.2 13.2 큰 편이다 3 2,350 47.0 47.0 아주 크다 4 1,922 38.4 38.4
5,000
100.0 100.0
Q28D
집단 간 갈등 정도4: 수도권과 지방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주 작다 1 211 4.2 4.2 작은 편이다 2 2,018 40.4 40.4 문28. 귀하께서는 다음 두 집단 사이에 갈등이 얼마나 크다고 생각하십니까?
문28. 귀하께서는 다음 두 집단 사이에 갈등이 얼마나 크다고 생각하십니까?
문28. 귀하께서는 다음 두 집단 사이에 갈등이 얼마나 크다고 생각하십니까?
문28. 귀하께서는 다음 두 집단 사이에 갈등이 얼마나 크다고 생각하십니까?
아주 크다 4 672 13.4 13.4 5,000
100.0 100.0
Q28E
집단 간 갈등 정도5: 남성과 여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주 작다 1 366 7.3 7.3 작은 편이다 2 2,478 49.6 49.6 큰 편이다 3 1,751 35.0 35.0 아주 크다 4 405 8.1 8.1
5,000
100.0 100.0
Q28F
집단 간 갈등 정도6: 진보와 보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주 작다 1 99 2.0 2.0 작은 편이다 2 1,037 20.7 20.7 큰 편이다 3 2,648 53.0 53.0 아주 크다 4 1,216 24.3 24.3
5,000
100.0 100.0
Q28G
집단 간 갈등 정도7: 대기업과 중소기업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주 작다 1 56 1.1 1.1 작은 편이다 2 591 11.8 11.8 큰 편이다 3 2,715 54.3 54.3 아주 크다 4 1,638 32.8 32.8
5,000
100.0 100.0 문28. 귀하께서는 다음 두 집단 사이에 갈등이 얼마나 크다고 생각하십니까?
문28. 귀하께서는 다음 두 집단 사이에 갈등이 얼마나 크다고 생각하십니까?
문28. 귀하께서는 다음 두 집단 사이에 갈등이 얼마나 크다고 생각하십니까?
Q28H
집단 간 갈등 정도8: 정규직과 비정규직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주 작다 1 12 0.2 0.2 작은 편이다 2 441 8.8 8.8 큰 편이다 3 2,337 46.7 46.7 아주 크다 4 2,210 44.2 44.2
5,000
100.0 100.0
Q29
경제적 부의 분배 공정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공정하다 1 16 0.3 0.3 공정한 편이다 2 985 19.7 19.7 공정하지 않은 편이다 3 3,318 66.4 66.4 전혀 공정하지 않다 4 681 13.6 13.6
5,000
100.0 100.0
Q30
경제적 양극화의 심각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하다 1 1,073 21.5 21.5 심각한 편이다 2 3,311 66.2 66.2 심각하지 않은 편이다 3 584 11.7 11.7 전혀 심각하지 않다 4 32 0.6 0.6
5,000
100.0 100.0
Q31A
외국인 근로자 관련 인식1: 외국인 근로자의 노동법적 권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385 7.7 7.7 30. 귀하께서는 우리 사회의 경제적 양극화가 얼마나 심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문31. 다음은 한국사회에서 함께 살아가는 외국인들에 관한 다양한 의견들입니다. 귀하께서는 다 음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십니까?
문28. 귀하께서는 다음 두 집단 사이에 갈등이 얼마나 크다고 생각하십니까?
문29. 귀하께서는 우리 사회에서 경제적 부의 분배가 얼마나 공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하 십니까?
보통 3 1,626 32.5 32.5 별로 그렇지 않다 4 571 11.4 11.4 전혀 그렇지 않다 5 59 1.2 1.2
5,000
100.0 100.0
Q31B
외국인 근로자 관련 인식2: 속지주의 적용 필요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446 8.9 8.9 대체로 그렇다 2 1,876 37.5 37.5
보통 3 1,763 35.3 35.3
별로 그렇지 않다 4 813 16.3 16.3 전혀 그렇지 않다 5 102 2.0 2.0
5,000
100.0 100.0
Q31C
외국인 근로자 관련 인식3: 외국인과 한국인의 일자리 경쟁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319 6.4 6.4 대체로 그렇다 2 1,320 26.4 26.4
보통 3 1,742 34.8 34.8
별로 그렇지 않다 4 1,389 27.8 27.8 전혀 그렇지 않다 5 230 4.6 4.6
5,000
100.0 100.0
Q31D
외국인 근로자 관련 인식4: 외국인 근로자의 국부 유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288 5.8 5.8 대체로 그렇다 2 1,477 29.5 29.5
보통 3 1,918 38.4 38.4
문31. 다음은 한국사회에서 함께 살아가는 외국인들에 관한 다양한 의견들입니다. 귀하께서는 다 음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십니까?
문31. 다음은 한국사회에서 함께 살아가는 외국인들에 관한 다양한 의견들입니다. 귀하께서는 다 음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십니까?
문31. 다음은 한국사회에서 함께 살아가는 외국인들에 관한 다양한 의견들입니다. 귀하께서는 다 음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십니까?
별로 그렇지 않다 4 1,155 23.1 23.1 전혀 그렇지 않다 5 162 3.2 3.2
5,000
100.0 100.0
Q31E
외국인 근로자 관련 인식5: 외국인 근로자와 범죄율 증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478 9.6 9.6 대체로 그렇다 2 1,972 39.4 39.4
보통 3 1,729 34.6 34.6
별로 그렇지 않다 4 719 14.4 14.4 전혀 그렇지 않다 5 102 2.0 2.0
5,000
100.0 100.0
Q31F
외국인 근로자 관련 인식6: 다문화국가와 결속력 저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247 4.9 4.9 대체로 그렇다 2 1,739 34.8 34.8
보통 3 2,247 44.9 44.9
별로 그렇지 않다 4 660 13.2 13.2 전혀 그렇지 않다 5 107 2.1 2.1
5,000
100.0 100.0
Q32
우리 사회 신뢰 정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전혀 신뢰할 수 없다 1 44 0.9 0.9
2 2 126 2.5 2.5
3 3 436 8.7 8.7
4 4 596 11.9 11.9
5 5 793 15.9 15.9
문31. 다음은 한국사회에서 함께 살아가는 외국인들에 관한 다양한 의견들입니다. 귀하께서는 다 음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십니까?
문32. 귀하께서는 우리 사회가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는 사회라고 생각하십니까?
문31. 다음은 한국사회에서 함께 살아가는 외국인들에 관한 다양한 의견들입니다. 귀하께서는 다 음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십니까?
7 7 1,289 25.8 25.8
8 8 622 12.4 12.4
9 9 84 1.7 1.7
10 매우 신뢰할 수 있다 10 6 0.1 0.1 5,000
100.0 100.0
Q33
위급상황 발생시 이웃간 도움정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1 199 4.0 4.0 어느 정도 도움을 줄 것이다 2 2,922 58.4 58.4 별로 도움을 주지 않을 것이다 3 1,683 33.7 33.7 전혀 도움을 주지 않을 것이다 4 196 3.9 3.9
5,000
100.0 100.0
Q34
우리나라의 당면 현안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빈부격차 1 1,082 21.6 21.6
일자리 2 1,535 30.7 30.7
국가안보 3 339 6.8 6.8
정치개혁 4 397 7.9 7.9
복지 5 223 4.5 4.5
교육 6 72 1.4 1.4
소통 7 111 2.2 2.2
저출산/ 고령화 8 903 18.1 18.1
치안 9 228 4.6 4.6
사회적 약자보호 10 110 2.2 2.2 5,000
100.0 100.0 문33. 귀하께서는 집에 도둑이 들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위급상황에서 이웃들이 얼마나 도움 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하시나요?
문34. 귀하께서는 현재 우리나라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문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Q35A
국가/민족 정체성 인식1: 한국인으로서의 자긍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545 10.9 10.9 어느 정도 그런 편이다 2 3,236 64.7 64.7 별로 그렇지 않다 3 1,180 23.6 23.6 전혀 그렇지 않다 4 39 0.8 0.8
5,000
100.0 100.0
Q35B
국가/민족 정체성 인식2: 국가에 대한 공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629 12.6 12.6 어느 정도 그런 편이다 2 2,416 48.3 48.3
별로 그렇지 않다 3 1,738 34.8 34.8 전혀 그렇지 않다 4 217 4.3 4.3
5,000
100.0 100.0
Q35C
국가/민족 정체성 인식3: 국가 위한 사익 희생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429 8.6 8.6 어느 정도 그런 편이다 2 2,067 41.3 41.3 별로 그렇지 않다 3 2,163 43.3 43.3 전혀 그렇지 않다 4 341 6.8 6.8
5,000
100.0 100.0
Q35D
국가/민족 정체성 인식4: 살기좋은 우리나라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876 17.5 17.5 문35. 귀하께서는 다음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십니까? 각각 말씀해 주십시오.
문35. 귀하께서는 다음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십니까? 각각 말씀해 주십시오.
문35. 귀하께서는 다음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십니까? 각각 말씀해 주십시오.
문35. 귀하께서는 다음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십니까? 각각 말씀해 주십시오.
별로 그렇지 않다 3 1,149 23.0 23.0 전혀 그렇지 않다 4 128 2.6 2.6
5,000
100.0 100.0
Q35E
국가/민족 정체성 인식5: 한국인으로서의 자부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723 14.5 14.5 어느 정도 그런 편이다 2 2,713 54.3 54.3 별로 그렇지 않다 3 1,390 27.8 27.8 전혀 그렇지 않다 4 174 3.5 3.5
5,000
100.0 100.0
Q35F
국가/민족 정체성 인식6: 우리나라 역사에 대한 자긍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603 12.1 12.1 어느 정도 그런 편이다 2 3,235 64.7 64.7 별로 그렇지 않다 3 1,092 21.8 21.8 전혀 그렇지 않다 4 70 1.4 1.4
5,000
100.0 100.0
Q36
사회제도 개혁에 대한 의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우리의 현 사회 제도는 잘못된 점이 많기 때문에
빨리 바꿔져야 한다 1 1,405 28.1 28.1 우리의 현 사회 제도는 잘못된 점이 많기는 해도
서서히 개선되어야 한다 2 3,152 63.0 63.0 우리의 현 사회 제도는 적으로 큰 문제가 없기 때
문에 별로 바꿀 필요가 없다 3 443 8.9 8.9 5,000
100.0 100.0 문35. 귀하께서는 다음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십니까? 각각 말씀해 주십시오.
문35. 귀하께서는 다음 의견들에 대해 얼마나 공감하십니까? 각각 말씀해 주십시오.
문36. 귀하께서는 사회제도에 대한 다음 의견들 중에서 어느 쪽 입장에 좀 더 가까우신가요?
Q37A1
한민족의 대상범위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북한 주민 1 3,443 68.9 68.9 해외동포 1세 2 1,156 23.1 23.1 해외동포 2,3세 3 37 0.7 0.7 해외 입양아 4 127 2.5 2.5 국적을 바꾼 한국인 5 100 2.0 2.0 귀화한 외국인 6 71 1.4 1.4 외국인과 결혼한 한국인 7 66 1.3 1.3
5,000
100.0 100.0
Q37A2
한민족의 대상범위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해외동포 1세 2 2,490 49.8 60.7 해외동포 2,3세 3 443 8.9 10.8 해외 입양아 4 432 8.6 10.5 국적을 바꾼 한국인 5 263 5.3 6.4 귀화한 외국인 6 220 4.4 5.4 외국인과 결혼한 한국인 7 256 5.1 6.2 시스템결측값 시스템결측값 896 17.9
5,000
100.0 100.0
Q37A3
한민족의 대상범위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해외동포 2,3세 3 1,043 20.9 37.1 해외 입양아 4 634 12.7 22.6 국적을 바꾼 한국인 5 324 6.5 11.5 귀화한 외국인 6 287 5.7 10.2 외국인과 결혼한 한국인 7 520 10.4 18.5 시스템결측값 시스템결측값 2,192 43.8
5,000
100.0 100.0 문37. 귀하께서 한민족이라고 생각하시는 대상을 모두 말씀해 주십시오.
문37. 귀하께서 한민족이라고 생각하시는 대상을 모두 말씀해 주십시오.
문37. 귀하께서 한민족이라고 생각하시는 대상을 모두 말씀해 주십시오.
Q37A4
한민족의 대상범위4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해외 입양아 4 406 8.1 30.8 국적을 바꾼 한국인 5 236 4.7 17.9 귀화한 외국인 6 169 3.4 12.8 외국인과 결혼한 한국인 7 509 10.2 38.6 시스템결측값 시스템결측값 3,680 73.6
5,000
100.0 100.0
Q37A5
한민족의 대상범위5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해외 입양아 4 1 0.0 0.2 국적을 바꾼 한국인 5 169 3.4 32.9 귀화한 외국인 6 90 1.8 17.5 외국인과 결혼한 한국인 7 253 5.1 49.3 시스템결측값 시스템결측값 4,487 89.7
5,000
100.0 100.0
Q37A6
한민족의 대상범위6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귀화한 외국인 6 101 2.0 51.3 외국인과 결혼한 한국인 7 96 1.9 48.7 시스템결측값 시스템결측값 4,803 96.1
5,000
100.0 100.0 문37. 귀하께서 한민족이라고 생각하시는 대상을 모두 말씀해 주십시오.
문37. 귀하께서 한민족이라고 생각하시는 대상을 모두 말씀해 주십시오.
문37. 귀하께서 한민족이라고 생각하시는 대상을 모두 말씀해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