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해 외 출 장 보 고 서 2019. 3.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해 외 출 장 보 고 서 2019. 3."

Copied!
6
0
0

Teks penuh

(1)

해 외 출 장 보 고 서

거 시 계 량 모 형 의 이 해 와 활 용 방 안

( W o r k s h o p a t M e ijo U n iv e r s it y )

2019. 3.

해외정보분석팀

부연구위원, 이서진

(2)

요 약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의 주요 정책의 경제 및 환경에 대한 파급효 과 분석을 위해 거시계량모델 활용이 필요

- E3ME는 에너지, 경제, 환경 부문 간의 유기적 관계를 모형화한 거시계 량 시스템으로 EU 위원회, 영국, 일본의 에너지 정책 파급효과 분석에 활용되고 있음.

- 일본에서는 E3ME 모형을 이용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전원믹스 계획이 나 온실가스 저감 등의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정책수단에 대한 연구 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 에너지기본계획은 에너지 분야뿐만 아니라 거시경제, 산업구조, 환경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통합적인 모형을 이용한 에너지 및 온실가스 관 련 정책의 사회 경제 전반에 대한 파급효과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분 석이 요구됨.

○ E3ME 모형 운용에 필요한 정책 시나리오 설정

-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이 우리나라 거시경제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기 위해 주요 정책 수단들을 성격별로 분류하여 적절한 정책 시나리 오들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

- 우리나라 에너지 정책의 목표달성에 필요한 정책을 시나리오 설정을 통 해 검증하고자하는 것이 아니라, 수립 예정인 에너지기본계획의 정책목표 와 정책수단의 경제, 에너지, 환경에 대한 파급효과를 분석에 중덤

○ 출장결과

- 거시계량모델을 사용하여 많은 시나리오 분석을 추진한 일본의 탄소세/그 린세제 전문가와의 교류를 통해 일본의 에너지정책 경향에 대한 최신 정 보 습득

- 한국 상황에 맞는 기준 시나리오 및 목표 시나리오 설정에 대한 의견차 이 조율

- 향후 연구원 자체 거시계량시스템 구축을 위한 협력 방안 논의

(3)

Ⅰ. 출장개요

□ 출장자

○ 김수일 선임연구위원(에너지수급연구팀) 이서진 부연구위원(해외정보분석팀)

□ 출장목적

○ 메이조대학교 경제학과 세미나 참석 및 발표,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의 경 제적 파급효과 분석을 위한 거시계량모델 운용 방안에 대한 논의, E3ME 모 형 구축을 위한 정보 수집 등

- 출장의 주된 목적은 거시계량모델을 이미 사용하고 있는 일본의 에너지 정 책 시나리오 분석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한국의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 적절한 정책 시나리오를 설정하는데 있음.

- 한국 상황에 맞는 기준 시나리오 및 목표 시나리오 설정을 위해 제3차 에 너지기본계획의 기본 전제, 2040년까지의 전망, 정책 목표 및 정책 수단 에 대해 세미나를 통해 발표(발표자: 김수일 선임연구위원)

- 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에너지·온실가스 전망시스템(KEEI-EGMS)과 연계 되는 새로운 통합 모형 구축을 위해 유럽 및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E3ME 모형에 대한 전문가(이수철 교수, 메이조 대학교) 의견 청취 및 관 련 정보 수집

□ 출장일정

날짜 시간 일 정

3/13(수) 12:55- 부산/김해 -> 일본 나고야 18:00-21:00 거시계량모형 전문가 자문 3/14(목) 10:00-18:00 메이조 대학교 세미나 참석 및 발표

정책 시나리오 설정 논의

3/15(금) 13:50- 일본 나고야-> 서울/인천

(4)

Ⅱ. 주요 내용

□ (3/13, 수, 저녁) 이수철 교수 등 일본 에너지정책 전문가 면담

○ 거시계량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한 일본의 온실가스 배출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 시나리오의 적절성과 추정결과에 대한 토론

- E3ME 모형의 시나리오 분석에 따르면 석탄화력·원전 동시규제 및 FIT 제 도 도입 시 2050년까지 화석 및 원전의 전원비중은 감소하고, 신재생에너 지의 비중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2050년까지 온실가스 80% 삭감 목표 달성을 위한 각 부문별 삭감에 필요한 저탄소 정책 설명

- 한국, 중국, 일본, 대만의 온실가스 삭감 시나리오(석탄화력 규제 시나리 오, 철강부문 온실가스 삭감 시나리오, 승용차부문 저탄소 자동차 확산 시나리오, 빌딩부문 온실가스 삭감 시나리오)에 따른 2050년까지의 CO2 배 출 경로 분석

○ E3ME 모형에서 다루는 각 부문(발전, 산업, 수송, 건물)별 저탄소정책 수 단에 대한 논의

- 일본과 한국의 에너지 정책을 비교하고, 한국 상황을 고려하여 정책적 시 사점을 도출할 수 있는 시나리오 설정의 필요성 논의

□ (3/14, 목, 종일) 메이조대학교 경제학과 세미나 참석 및 발표

○ <제3차 에너지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장기 에너지 전망>을 주제로 발표 - 기준 시나리오 소개와 전망모형 및 전망방법 설명

-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기준 시나리오의 주요 전제로는 ▲급격한 출산율 저 하와 고령인구의 증가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 ▲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피 부양인구 증가 등으로 인한 경제성장률 하락, ▲ 서비스업 비중 확대와 철강 등 에너지다소비 업종의 성장세 둔화, ▲원유 도입가격의 꾸준한 상 승이 있음.

(5)

- 총에너지소비는 천연가스와 신재생에너지의 주도로 2017-2040년 연평균 0.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특히 신재생보급 비중이 전망기간동안 연평 균 3.6%로 확대됨에 따라 에너지 수입의존도는 연평균 0.3%씩 하락할 것 으로 분석됨.

- 모든 부문에서 전력화가 꾸준히 진행되고 산업 및 건물 부문에 신재생에너 지가 빠르게 보급되면서 전력과 신재생에너지가 에너지 수요 증가를 주도 - 인구 증가 정체와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로 가정 부문 에너지 소비는 감소

하고, 수송 부문 소비는 2030년 경 정점에 도달한 후 감소할 것으로 전망 되지만, 산업과 서비스 부문의 에너지 소비는 경제 성장과 함께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산업 구조에서 서비스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서비스 부문의 에너지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여전히 높은 제조업 비중으로 인해 산 업 부문이 에너지 최종 소비 증가의 8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

- 석유화학의 양호한 성장이 예상되면서 원료용 석유제품의 소비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고, 원료용을 제외할 경우 최종소비는 2030년대 중 반 전력이 석유 소비를 추월할 것으로 전망

- 온실가스 배출은 에너지전환 정책이 지속되면서 석탄 발전이 감소하고 신 재생 및 가스 발전의 증가로 인해 2030년대 초반 정점을 기록한 후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

○ E3ME 모형 운용에 필요한 정책 시나리오 설정 협의

-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이 우리나라 거시경제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기 위해 주요 정책 수단들을 성격별로 분류하여 적절한 정책 시나리오들 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

- 우리나라 에너지 정책 구조와 에너지기본계획의 목표 및 정책 수단 논의 - 한국의 에너지 정책 분석을 위한 기준 시나리오 및 목표 시나리오 설정에

대한 의견차이 조율

- EU 위원회 보고서(2017)에서 PRIMES 전망치를 이용한 것과 같이 연구원의 KEEI-EGMS를 E3ME 모형과 연계하여 input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적합성

(6)

논의

- 모형 운용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 결과 분석 방향에 대한 논의

Ⅲ. 출장결과

□ 주요성과

○ 일본의 에너지 정책 방향에 대한 이해

- 거시계량모델을 사용하여 많은 시나리오 분석을 추진한 일본의 탄소세/그 린세제 전문가와의 교류를 통해 일본의 에너지정책 경향에 대한 최신 정 보 습득

○ 한국 상황에 맞는 기준 시나리오 및 목표 시나리오 설정에 대한 의견차이 조율

-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의 목표달성에 필요한 정책을 시나리오 설정을 통해 검증하고자하는 것이 아니라, 수립 예정인 에너지기본계획의 정책목표와 정책수단의 경제, 에너지, 환경에 대한 파급효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자하는 과제 목표 명확화

○ 향후 연구원 자체 거시계량시스템 구축을 위한 협력 방안 토의

- Cambridge Econometrics의 E3ME 모형을 활용하고 있는 전문가들이 이전에 겪은 어려움이나 한계점을 확인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

Ⅳ. 출장 입수자료 List

○ “An economic assessment of carbon tax reform to meet Japan’s NDC target under diffferent unclear assumptions using the E3ME model”

○ 발표자료: 일본의 온실가스 배출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 시나리오의 설정

○ 발표자료: 2017-2040 Energy Outlook and Energy transition in Korea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