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2009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2009"

Copied!
9
0
0

Teks penuh

(1)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

2009

CODE BOOK

자료번호 A1-2009-0226

연구책임자 허훈 연구수행기관

조사년도 2009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3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3년

(2)

료인용표준서식에 준하여 자료의 출처를 반드시 명시하여야 합니다. 자료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허훈 . 2009.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 2009 . 자료서비스기관 :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자료공개년도 : 2013 년 . 자료번호 : A1-2009-0226.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2013.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 2009

CODE BOOK . pp. 1-7.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3)

A1-2009-0226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2009

1 q1 자치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현행 유지 1 15 7.1 7.1

1. 귀하의 자치행정구역(계층)개편에 대한 의견은?

현재 틀을 유지하면서 부분적 개편 2 14 6.6 6.6

전면적인 개편 필요 3 83 39.2 39.2

모르겠다 4 100 47.2 47.2

212

100.0 100.0

q2 부분 개편을 실시한다면 최선의 방안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치단체들 간의 자율적 통합을 할 수 있도록 ‘통합

절차법’의 제정 1 61 28 8 28 8

2. 만약에 부분적인 개편을 실시한다면 어떻게 하면 가장 좋겠다고 생각하십니까?

절차법’의 제정으로 1 61 28.8 28.8

자치단체들 간의 자율적 통합 시 국가가 해당 지자체

들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2 49 23.1 23.1

국가가 주도하되 자치단체의 경계조정에 초점을 두

는 방식으로 3 48 22.6 22.6

기타 4 54 25.5 25.5

212

100.0 100.0

q3 전면 개편을 실시한다면 선호하는 자치행정구역 개편안

3. 만약에 전면적인 개편을 실시한다면 현재 논의되고 있는 자치행정구역(계층)개편 안 중 어느 안을 선호하십니까?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한나라당 권경석 의원 안: 도를 사실상 폐지하고 전

국 시/군/구를 50-60개로 통합 1 6 2.8 2.8 민주당과 한나라당 허태열 의원 안: 전국의 도를 없

애는 대신 70개 정도의 광역자치단체를 신설 2 6 2.8 2.8 시/도와 시/군 2계층제는 유지하되 시/도 통합시 행/

시/도와 시/군 2계층제는 유지하되 시/도 통합시 행/

재정권한 특례부여, 광역시의 자치구는 폐지 3 52 24.5 24.5 이회창 자유선진당 안: 광역도를 깁나으로 한 일종의

준연방제 4 129 60.8 60.8

없다 5 19 9.0 9.0

212

100.0 100.0

1

(4)

q4 2010 지방선거를 행정구역 개편 시기로 하자는 주장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타당하다 1 41 19 3 19 3

4. 이러한 자치행정구역(계층)개편을 2010년 민선 5기 지방선거와 맞물려 개편을 실시하자는 주장이 있습니다. 이는 시기적으로 타당하다고 보십니까?

타당하다 1 41 19.3 19.3

전혀 타당하지 않다 2 76 35.8 35.8

모르겠다 3 94 44.3 44.3

(알 수 없음) 4 1 0.5 0.5

212

100.0 100.0

q4_1 (타당하지 않다면)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개편 시기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4-1 시기적으로 타당하지 않다면 어느 시기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012년 현 정부 임기 말 1 28 13.2 13.2 2014년 (민선 6기 지방선거시) 2 89 42.0 42.0 차차기 정부에서 논의하는 것이 좋다 3 95 44.8 44.8

212

100.0 100.0

q5_1_1 자치행정구역 개편 기준: 광역자치단체 1순위

5. 지방자치의 본질에 맞는 자치행정구역(계층)개편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 중 어느 요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각각의 경우에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순서대로 3가지만 나열해 주 십시오.

5-1. 광역자치단체의 경우 : 1순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공동체의 형성 1 6 2.8 2.8

행정의 규모 2 4 1.9 1.9

재정적 자주성 3 33 15.6 15.6

주민참여 및 주민통제 4 75 35.4 35.4

경제적 규모 5 20 9.4 9.4

개발의 효율성 6 8 3.8 3.8

정치권의 의지와 노력 7 18 8.5 8.5

대통령과 중앙정부의 의지와 노력 8 14 6.6 6.6

(5)

A1-2009-0226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2009

적정한 가용재원의 확보 9 10 4.7 4.7

3

시민단체의 의지와 노력 10 5 2.4 2.4 관련학계의 관심과 지도 11 8 3.8 3.8

주민편의성 12 11 5.2 5.2

212

100.0 100.0

q5_1_2 자치행정구역 개편 기준: 광역자치단체 2순위

5. 지방자치의 본질에 맞는 자치행정구역(계층)개편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 중 어느 요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각각의 경우에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순서대로 3가지만 나열해 주 십시오.

5-1. 광역자치단체의 경우 : 2순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공동체의 형성 1 4 1.9 1.9

행정의 규모 2 17 8.0 8.0

재정적 자주성 3 13 6.1 6.1

주민참여 및 주민통제 4 12 5.7 5.7

경제적 규모 5 23 10.8 10.8

개발의 효율성 6 17 8.0 8.0

정치권의 의지와 노력 7 25 11.8 11.8

대통령과 중앙정부의 의지와 노력 8 43 20.3 20.3

적정한 가용재원의 확보 9 27 12.7 12.7

시민단체의 의지와 노력 10 3 1.4 1.4 관련학계의 관심과 지도 11 9 4.2 4.2

주민편의성 12 19 9.0 9.0

212 100 0 100 0

212

100.0 100.0

q5_1_3 자치행정구역 개편 기준: 광역자치단체 3순위

5. 지방자치의 본질에 맞는 자치행정구역(계층)개편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 중 어느 요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각각의 경우에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순서대로 3가지만 나열해 주 십시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공동체의 형성 1 3 1.4 1.4

행정의 규모 2 1 0.5 0.5

십시

5-1. 광역자치단체의 경우 : 3순위

3

(6)

재정적 자주성 3 23 10.8 10.8

주민참여 및 주민통제 4 24 11.3 11.3

경제적 규모 5 19 9.0 9.0

개발의 효율성 6 14 6.6 6.6

정치권의 의지와 노력 7 22 10.4 10.4

대통령과 중앙정부의 의지와 노력 8 21 9.9 9.9

적정한 가용재원의 확보 9 25 11.8 11.8

시민단체의 의지와 노력 10 7 3.3 3.3

관련학계의 관심과 지도 11 29 13.7 13.7

주민편의성 12 24 11.3 11.3

212 100 0 100 0

212

100.0 100.0

q5_1_4 자치행정구역 개편 기준: 기초자치단체 1순위

5. 지방자치의 본질에 맞는 자치행정구역(계층)개편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 중 어느 요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각각의 경우에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순서대로 3가지만 나열해 주 십시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공동체의 형성 1 11 5.2 5.2

행정의 규모 2 19 9.0 9.0

십시오.

5-2.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 1순위

재정적 자주성 3 13 6.1 6.1

주민참여 및 주민통제 4 12 5.7 5.7

경제적 규모 5 24 11.3 11.3

개발의 효율성 6 17 8.0 8.0

정치권의 의지와 노력 7 26 12 3 12 3

정치권의 의지와 노력 7 26 12.3 12.3

대통령과 중앙정부의 의지와 노력 8 44 20.8 20.8

적정한 가용재원의 확보 9 27 12.7 12.7

시민단체의 의지와 노력 10 13 6.1 6.1 관련학계의 관심과 지도 11 4 1.9 1.9

주민편의성 12 2 0.9 0.9

212

100.0 100.0

(7)

A1-2009-0226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2009

5 q5_1_5 자치행정구역 개편 기준: 기초자치단체 2순위

5. 지방자치의 본질에 맞는 자치행정구역(계층)개편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 중 어느 요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각각의 경우에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순서대로 3가지만 나열해 주 십시오.

5-2.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 2순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공동체의 형성 1 7 3.3 3.3

행정의 규모 2 7 3.3 3.3

재정적 자주성 3 32 15.1 15.1

주민참여 및 주민통제 4 64 30.2 30.2

주민참여 및 주민통제 4 64 30.2 30.2

경제적 규모 5 22 10.4 10.4

개발의 효율성 6 8 3.8 3.8

정치권의 의지와 노력 7 22 10.4 10.4

대통령과 중앙정부의 의지와 노력 8 12 5.7 5.7

적정한 가용재원의 확보 9 12 5.7 5.7

시민단체의 의지와 노력 10 23 10.8 10.8

관련학계의 관심과 지도 11 2 0.9 0.9

주민편의성 12 1 0.5 0.5

212

100.0 100.0

q5_1_6 자치행정구역 개편 기준: 기초자치단체 3순위

5. 지방자치의 본질에 맞는 자치행정구역(계층)개편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 중 어느 요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각각의 경우에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순서대로 3가지만 나열해 주 십시오.

5-2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공동체의 형성 1 7 3.3 3.3

행정의 규모 2 1 0.5 0.5

재정적 자주성 3 24 11 3 11 3

5-2.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 3순위

재정적 자주성 3 24 11.3 11.3

주민참여 및 주민통제 4 27 12.7 12.7

경제적 규모 5 19 9.0 9.0

개발의 효율성 6 13 6.1 6.1

정치권의 의지와 노력 7 22 10.4 10.4

5

(8)

대통령과 중앙정부의 의지와 노력 8 22 10.4 10.4

적정한 가용재원의 확보 9 26 12.3 12.3

시민단체의 의지와 노력 10 38 17.9 17.9

관련학계의 관심과 지도 11 10 4.7 4.7

주민편의성 12 3 1.4 1.4

212

100.0 100.0

q6 추진 우선순위: 지방분권 vs. 자치행정체제 개편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6. 지방분권과 자치행정체제(구역)의 개편 우선순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지방 분권을 우선적으로 실행 1 47 22.2 22.2 자치행정체제(구역) 개편을 우선적으로 실행 2 47 22.2 22.2 지방 분권과 자치행정체제(구역) 개편을 동시에 실

행 3 78 36.8 36.8

모르겠다 4 40 18.9 18.9

212 100 0 100 0

212

100.0 100.0

q7 응답자 연령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7. 귀하의 연령대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30대 2 2 0.9 0.9

40대 3 82 38.7 38.7

50대 4 65 30.7 30.7

60대 5 63 29.7 29.7

212

100.0 100.0

q8 응답자 근무지

8. 귀하께서 근무하시는 곳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강원 1 12 5.7 5.7

경기 2 32 15.1 15.1

경남 3 31 14.6 14.6

경북 4 27 12.7 12.7

(9)

A1-2009-0226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2009

광주 5 16 7.5 7.5

7

대구 6 14 6.6 6.6

대전 7 9 4.2 4.2

부산 8 10 4.7 4.7

서울 9 33 15.6 15.6

울산 10 3 1.4 1.4

인천 11 5 2.4 2.4

전남 12 3 1.4 1.4

전북 13 4 1.9 1.9

제주 14 4 1.9 1.9

충남 15 4 1 9 1 9

충남 15 4 1.9 1.9

충북 16 5 2.4 2.4

212

100.0 100.0

7

Referensi

Dokumen terkait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