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호텔 친환경 마케팅이 고객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호텔 친환경 마케팅이 고객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Copied!
17
0
0

Teks penuh

(1)

호텔 친환경 마케팅이 고객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otel Organization's Eco-friendly Marketing on Customer Revisit Intention

조유혜*․이규태**․정규엽***

Cho, You-Hye․Lee, Gyu-Tae․Chung, Kyoo-Yup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comprehend the activities of eco-friendly marketing of super deluxe hotels bound for eco-friendly customers, work on what is influential to corporate image and revisit intention from this, and provide the direction for their establishment of eco-friendly marketing. For the analytical approach, such related characteristics were induced as eco-friendly marketing, corporate image, and customer revisit intentio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298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customers of top 11 super deluxe hotels in Seoul, and they were used for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from empirical analysese are as follows.

All factors of eco-friendly marketing had meaningful effects on corporate image, and corporate im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revisit intention. Meanwhile, only eco-friendly product and price out of sub-factors in eco-friendly marketi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customer revisit intention. However,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indirect effect, eco-friendly place and promotion had meaningful effects on revisit intention through the corporate image. The implications with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Hotel organization should avoid thinking that an eco-friendly marketing activity is burden of expenses and consider it as opportunity of creating benefits to reinforce the competitiveness of their hotels in the future.

Key Words : Eco-friendly Marketing, Corporate Image, Customer Revisit Intention

본 논문은 2013년도 조유혜의 석사학위논문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 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과 박사과정 <[email protected]>

** 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 박사 <[email protected]>

*** (교신저자) 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2)

Ⅰ. 서 론

18세기 후반 산업혁명의 시작과 더불어 인류의 과학기술과 산업은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 왔는데, 그 결과, 자원의 고갈 및 생태환경의 훼손은 인간의 생존까지 위협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지윤호․변 정우, 2011). 이에 각국의 정부․지자체․기업들은 지구촌 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 배출 을 감소시키고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은 2008년부터

‘Code Green(코드 그린)’이라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 으며, 일본은 2009년부터 2015년까지 단계적으로 녹색산업 시장규모100조원 투자를 발표하였다. 또 한 영국은2050년까지1990년 대비 탄산가스 배출 량을 80% 감축한다고 하였다(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9년). 한편, 우리나라는 2008년 ‘저탄소 녹색성

장’이라는 비전 선포와2009년 녹색SOC, 저탄소․

고효율 산업기술, 친환경과 같은 녹색성장을 목표 로50조원 투자를 발표하여, 미래에는 글로벌 친환 경 경영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된다(강성일․이 계희, 2011). 즉, 각 국가들의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환경문제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심이 증대되면 서 친환경 마케팅은 주요 전략적 이슈 및 새로운 연 구영역으로 제시되고 있다(권인수․박헌준․신현 환, 2007; Rugman & Verbeke, 1998; Starik & Marcus, 2000).

친환경 마케팅은 고객반응뿐만 아니라 인간과 사 회의 상호의존성에 초점을 맞춘다는 사회지향적 마 케팅(societal marketing)에 속한다. 또한 친환경 마케 팅은 기업에 대한 고객들의 총체적 인상으로 개념 화되는 기업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형성하게 하는 변수로 입증되고 있다(노동연․박수복․한권상, 2009;

Ellen, Mohr, & Webb, 2000; Klein & Dawar, 2004).

따라서 친환경을 등한시하는 태도는 기업의 이미지 실추 및 판매나 구매에 직접적인 위협요인이 된다

(여훈구, 1995). 즉, 친환경 마케팅은 기업의 성공여

부 및 새로운 사업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친환경 마케팅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제 조업에 주안을 두고 있고, 관광분야 특히 호텔 기업 과 관련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

정이다. 경제적 중요성, 환경문제에 대한 높은 관심,

환경을 인식한 전략경영과의 접목을 이유로 호텔 기업의 친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으나, 구체적인 해결방안은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이관표․박형권, 2006; 조민호․문승

일, 2008). 주요 이유는 친환경 마케팅을 비즈니스

의 기회로 생각하기 보다는 생존을 위한 비용부담 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지윤호․변정우, 2011).

호텔 친환경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 면, 환경친화적 서비스요인 개발(정규엽․오석윤,

1999; 조민호․문승일, 2008; 현재천․김성섭․오문

향, 2011), 고객의 환경친화적 행동(김윤희․한희섭,

2011)에 주안을 두고 있으며, 친환경 마케팅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앞서 언급하였 듯이 친환경 마케팅은 기업의 생존을 위한 필수적 인 전략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호텔 기업에 서의 친환경 마케팅이 호텔 기업에게 제공하는 가 치가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특히, 호텔은 무형의 서비스를 제 공하는 산업으로 호텔 이미지는 고객유인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친환경 마케팅이 호텔 이미지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호 텔 간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기존 고객의 유지 와 재구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들을 감안하여 친환경 마케팅 활동이 고객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주목하였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호텔 기업의 친환경 마케팅 활동과 기 업 이미지 및 고객의 재방문 의도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텔 기업의 친환경 마케 팅 활동이 기업 이미지 고양 및 고객 재방문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호텔 기업의 친환 경 마케팅 수립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 인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마케팅

(3)

활동이 기업 이미지 및 고객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기업의 이미지가 고 객의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 다. 마지막으로, 친환경 마케팅 활동과 고객재방문 의도와의 관계에 있어 기업 이미지의 효과를 파악 하여 호텔 기업의 친환경 정책과 마케팅 활동의 기 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친환경 마케팅

최근 인류는 과학기술의 발달과 산업화로 풍요로 운 물질문명을 누리게 되었으나, 자원고갈과 환경 오염문제로 인해 생존환경이 위협받는 상황에 직면 하였다. 따라서 사람들은 생존에 관심을 가지면서 자신의 소비형태에 변화를 추구하려는 친환경 소비

자(green consumer)가 등장하였다. 국내연구에 따르

면, 국민 중 58%는 친환경 제품에 관심이 많으며, 73%는 고가일지라도 친환경 제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유경․김창열․한정숙, 2009).

따라서 기업은 친환경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는데, 이러한 친환경 마케팅은 사회적 마케팅 활동을 기업차원에서 적극 적으로 실행하려는 마케팅 전략이라 할 수 있다(이 승헌․이창호․임재문, 2012). 즉, 인간의 삶의 질에 초점을 둔 마케팅 활동이라 할 수 있으며(박재기, 1993), 환경마케팅(environmental marketing), 그린마 케팅(green marketing), 지속가능한 마케팅(sustainable marketing)과 같은 다양한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Charter & Polonsky, 1999; Kotler & Armstrong, 1997; Peattie, 1992).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친환경 마케팅이 지니는 핵심가치는 결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추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호텔 기업에 있어 친환경 마케팅은 물리적 시설 및 서비 스의 표준이 변하지 않으면서 환경지향적 기업 경

영을 하는 활동이며, 환경경영에 대한 관심과 역할 을 강조한다(Hunter, 1997; Iwanowski & Rushmore, 1994).

친환경 마케팅이 필요한 이유는 마케팅 믹스와 관련된 활동을‘친환경’하여 고객과 사회의 요청에 부응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즉, 친환경 마케팅 활동은 환경제품의 개발환경이 라는 생산요소의 가격결정, 폐기물의 재순환을 통 한 환경친화적 기업 이미지 및 소비행동 유발과 관 련된 프로그램의 믹스를 목적으로4P's를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마케팅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Menon, Chowdhury, & Jankovich, 1999)

한편, 국내 호텔은 수자원 절약, 탄소 배출 줄이 기, 그린카드 제도 도입 등 다양한 친환경 활동이 추진되고 있는데 구체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그 랜드 하얏트는 ‘하얏트 어스(hyatt earth)’라는 캠페 인을 통해 임직원 대상 친환경 교육, 폐기물 줄이 기, 에너지와 물을 절약하고 있다. 플라자 호텔은

1997년 호텔 업계 최초로ISO 14001 국제 환경표준

화 규격인증 획득 및 고객이 남긴 음식의 양을 분석 하여 반찬별로 음식의 양을 조절하여 식음료 원가 를 낮추고 있다. 쉐라톤 인천 호텔은 2011년 국내 호텔 최초로USGBC(US Green Building Council, 미 국 녹색빌딩위원회)로부터 미국 친환경 건물 인증 인 LEED(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를 획득했다. 또한W 호텔은 특정시간 대 호

텔 전체의 조명밝기를 낮추어 에너지를 절감하는

‘어스 아워(earth hour)’라는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

다. 이 외에 워커힐, 힐튼, 조선 호텔은 그린카드 운 동을 전개하고 있는데, 그린카드 제도는 불필요한 세탁 등을 감축시키는데 있어 고객의 동의를 얻어 내는 제도이다. 즉, 장기 투숙자의 경우 침대 시트 의 세탁이 불필요한 경우 고객이 그린카드를 제시 하도록 하는 등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매일경제, 2012; 조민호․문승일, 2008; 파이낸셜뉴스, 2011).

그러나, 이러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부

(4)

호텔을 제외하고는 기초적인 수준이거나 전혀 노력 을 하지 않는 호텔들이 다수라 할 수 있다.

호텔 친환경과 관련된 국외연구를 살펴보면, Enz

& Siguaw (1999)는 미래 친환경 호텔경영의 추세를 경영자의 친환경에 대한 인식의 차이, 정부의 규제, 친환경 호텔에 대한 수요증가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Stipanuk (2001)는 미국 숙박산업과 환경이라는 연구에서 폐기물관리, 에너지관리 및 수질보호, 소음공해, 기타 환경적 공해요소를 발표 하였다. 한편,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규엽․

오석윤(1999)은 국내 특급호텔 그린마케팅 정책에

대한 이용객들의 지각에 관한 연구에서에 고객들은 금연, 온도조정, 환경 프로그램 제공 등의 속성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하였다. 조민호․문승일 (2008)은 환경친화적 호텔 객실 서비스 속성에 관한 연구에서 재활용할 수 있는 부문에서 고객들이 불 편함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부문에 서 비스를 집중함으로써 비용절감 및 고객들의 호응 기대할 수 있다고 하였다. 현재천 등(2011)은 미국, 일본, 중국, 한국인 고객을 대상으로 친환경 호텔 속성 지각 차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호텔 기업의 친환경 마케팅을 활 성화하기 위하여 세부적인 친환경 지침의 작성, 직 원교육, 고객에 대한 호텔의 친환경 활동 및 재활용 홍보 등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지윤호․변정우 (2011)는 국내 특급호텔의 환경친화적 객실 서비스 요인이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환경친화적 객실 서비스 요인들은 만 족, 신뢰,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고 객들이 이용하기 편리한 친환경 상품 개발이 필요 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 환경 마케팅을Menon et al. (1999)이 제시한 제품, 가격, 유통, 촉진의 마케팅요소에 환경적 측면을 반 영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2. 기업 이미지

1990년대 이후 이미지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기업 이미지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기업은 이미지 관리를 기업성공의 핵심 요소 로 파악하고, 이윤추구라는 기업의 기본적 가치실 현 외에 환경 마케팅을 통해 지속가능한 기업, 경쟁 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김재곤,

2013). 즉, 친환경 활동과 기업의 발전이 상관관계

가 있다는 연구들이 발표되면서 기업의 성장과 발 전을 이루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인식하는 경영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기업 이미지(corporate image)란 제품을 생산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을 총체적으로 인지하면서 소비자의 기억 속에 내재되어 있는 연상(Keller, 2003), 기업의 특성을 조합한 것(Erickson, Johannson,

& Chao, 1984), 태도(Dowling, 2001) 등으로 정의하 고 있다. Winters (1988)는 기업 이미지를 기업에 대 한 소비자의 태도 및 기업에 대한 신념이라 하였고, Alain & Pierre (1995)는 소비자와 관련기관들이 제 품이나 브랜드 보다 이들을 대표하는 기업 자체에 대해 갖는 하나의 상(image)라 하였다. 또한 기업 이 미지는 이미지의 대상으로 기업을 전제로 하고 있 으며, 기업이라는 대상에 대해 사람들이 인지하는 부정적 혹은 긍정적 심상이라고 한다(황병일, 2004).

기업 이미지는 마케팅 활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 에 이미지 제고 방향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이미지 제고의 일환으로 기업 이미지 구성요소에 대한 연 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Winters (1988)는 기업 이미지의 영향 요인으로 기업행동, 사회적 행 동, 기업 공헌의 3개 범주를 제시하였고, Barich &

Kotler (1991)는 제품, 커뮤니케이션, 가격, 유통경로, 판매원, 자원, 기업의 사회활동, 기업의 공헌활동, 기업의 구성원 활동, Milewicz & Herbig (1995)는 기 업의 평판, Brown & Peter (1997)은 제품과 서비스 의 생산과 유통에 관련된 기업의 전문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Dowling (2001)은 기업 자체의 역할, 기업이 생산하는 개별 브랜드와 산업 이미지, 그리 고 기업이 속한 국가의 이미지로 제시하였다.

한편,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유태용 (1994)

(5)

은 기업 이미지의 구성요인으로 지성, 생동성, 비인 간성, 야성, 건실성의5개 요인을 제시하였고, 하봉

준(1999)은 제품 관련 이미지, 사회봉사 이미지, 기

업행동 이미지, 그리고 박기남(2002)은 혁신 이미 지, 고객 지향 이미지, 성장 이미지, 사회 공헌 이미

지의4개 요소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마케팅과 관련하여 박기남 (2002), 하봉준 (1999), Winters (1988)의 연구에서 제시된 기업행동, 사회적 행동, 사회공헌 이미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하고자 한다.

3. 재방문 의도

재방문 의도는 고객충성도를 구성하는 하나의 하 위 차원으로, 고객이 어떠한 서비스를 이용한 후 미 래에도 제공된 서비스를 다시 이용할 가능성이라 볼 수 있으며, 생각과 태도가 행동으로 옮겨질 수 있는 행위적 의도를 의미한다(지윤호․변정우,

2011). 호텔의 경우, 재방문 의도는 호텔을 다시 방

문할 강한 의도로 측정될 수 있다(Kim, Kim, &

Kim, 2009). 일반적으로 고객은 서비스를 경험한 후

만족하였을 경우, 재방문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주 변 지인, 가까운 사람들에게 긍정적으로 구전하는 등 다양한 구매 후 행동을 하기 때문에Canniere, Pelsmacker, & Geuens, 2010), 호텔의 속성을 파악하 는 일은 마케팅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재방문 의도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박

경희(1999)는 서비스 품질이 높을수록 서비스의 가

치와 점포 이미지가 높아지고, 이러한 가치와 이미 지가 높아질수록 고객의 재방문 의도가 높아진다고 하였다. 김영태․윤유식(2006)은 호텔 이미지의 세 분화와 관련된 연구에서 호텔 이미지에 대해 긍정 적으로 지각하는 집단일수록 높은 충성도와 재방문 의도를 보인다고 하였다. 박지양(2010)은 외식기업 의 환경마케팅 이미지 전략이 소비자 의사결정에서 의 환경마케팅 전략은 소비자 의사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지윤호․변정우

(2011)는 호텔 기업의 환경친화적 객실 서비스 요인 과 관련한 연구에서 물리적 환경보다는 객실 절 전․절수, 비품 재활용과 같은 고객들이 스스로 쉽 게 이행할 수 있는 요인들이 고객만족과 신뢰, 호텔 재방문 의도가 높아진다고 하였다. 재방문 의도는 사회 심리학과 마케팅에서 광범위한 개념으로 설명 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마케팅, 기업 이미지에 주안을 두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모형 및 가설 설정

본 연구는 호텔 기업의 친환경 마케팅 활동이 기 업 이미지, 고객의 재방문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지 파악하여 호텔 기업의 친환경 정책과 마케 팅 활동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가. 친환경 마케팅과 기업 이미지

임우택․김학신 (2006)은 골프장을 대상으로 친 환경 코스, 친환경 숙박시설, 친환경 식음시설, 친환 경 인식직원, 친환경 부대시설 등의 친환경 서비스 요인을 도출하고 골프장의 이미지 및 재방문에 영 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친환경적 소비자특성 과 그린 마케팅 스포츠 용품 기업 이미지 및 구매의 도의 영향관계에서 김선주(2012)는 그린 소비자의 친환경행동이 기업 이미지를 극대화시킨다고 하였

다. 김재곤(2013)은 외식기업의 친환경적 녹색경영

활동이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매장 전체의 녹색경영 활동을 실시하면 기업의 이 미지가 높고 소비자의 구매력을 높일 수 있다는 경 영효과를 입증하였다. 즉, 소비자들은 친환경 마케 팅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 기업들에 대해 긍정적 이미지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Maignan & Ferrell, 2004; Sen & Bhattacharya, 2001). 따라서 호텔 기업 의 친환경 마케팅 활동은 기업 이미지에 긍정적인

(6)

[그림 1] 연구 모형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다음과 같은 가설 을 설정하였다.

Hl : 호텔 기업의 친환경 마케팅 활동은 기업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 : 친환경 제품은 기업 이미지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칠 것이다

H1-2 : 친환경 가격은 기업 이미지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칠 것이다

H1-3 : 친환경 유통은 기업 이미지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칠 것이다

H1-4 : 친환경 촉진은 기업 이미지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칠 것이다

나. 친환경 마케팅과 재방문 의도

한동연ㆍ최성용(2006)은 환경제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관계에서 환경제품에 대한 지시ㆍ정보, 환경제품의 광고, 지각된 품질, 사용 후 만족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박정화

(2010)는 환경친화적 호텔 식음료 서비스 요인에 관

한 연구에서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지윤호․변정우(2011)는 호 텔 기업의 환경친화적 객실 서비스 요인을 대상으 로 한 연구에서 객실 절전․절수, 비품 재활용과 같

은 고객들이 스스로 쉽게 이행할 수 있는 요인들이 고객만족 및 신뢰, 호텔 재방문 의도를 증대시킨다 고 하였다. 김재곤(2013)은 외식기업의 녹색경영과 구매의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녹색경영의 구성요인 중 탄소감소와 에너지 절약이 구매의도 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는데, 고객들에게 적극적 인 그린 홍보 마케팅 활동을 통해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즉, 소비자들은 친환경 마케 팅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 기업들을 재방문 할 것 임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호텔 기업의 친환경 마케팅 활동은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 였다.

H2 : 호텔 기업의 친환경 마케팅 활동은 재방

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1 : 친환경 제품은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칠 것이다

H2-2 : 친환경 가격은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칠 것이다

H2-3 : 친환경 유통은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칠 것이다

H2-4 : 친환경 촉진은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칠 것이다

(7)

다. 기업 이미지와 재방문 의도

김영태․윤유식 (2006)은 호텔 이미지의 세분화 와 관련된 연구에서 고객들이 호텔 이미지를 긍정 적으로 인식할수록 높은 충성도와 재방문 의도를 보인다고 하였다. 진양호ㆍ한인경(2012)은 외식기 업 문화마케팅과 기업 이미지 및 구매의도와의 영 향간계에서 기업 이미지는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 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김재곤 (2013)은 외식기업의 녹색경영활동에 대

한 연구에서 기업 이미지가 높을수록 구매의도는 높아진다고 하였다. 즉, 기업 이미지를 고양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제품개발과 고객서비스가 이루어져 야하며, 구성원들에게 녹색경영활동을 인지시키고 홍보마케팅을 통해 고객들에게도 녹색경영활동을 인지시킨다면 고객들의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호텔 기업 이미지는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H3 : 호텔 기업 이미지는 재방문 의도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조사 도구의 개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마케팅은 환경 및 생활조 건 그리고 사회문화적인 인간생활의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는 활동으로 정의하고, 친환경 제품, 친환경 가격, 친환경 유통, 친환경 촉진으로 구분하여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친환경 제품은 재활용 가능, 폐 기물을 적게 사용하는 제품, 절약형 제품, 환경마크 제품, 친환경 가격은 환경 친화적인 제품을 출시하

기 위해R&D에 투자하는 가격결정, 경쟁력이 있는

제품, 환경 친화적 생산과정의 개선을 반영하는 가 격, 친환경 유통은 역 유통경로를 창출하는 것으로 폐기물 수집 및 처리, 회수물질을 분해, 재활용 및

재사용(reuse)하는 활동, 마지막으로 친환경 촉진은

친환경 활동의 광고 및 홍보, 캠페인, 이벤트, 그린

활동 후원 등으로 정의하였다(김희정, 2012; Menon

et al., 1999). 이러한 친환경 마케팅 활동을 측정하

기 위해 정규엽․오석윤(1999), 현재천 등 (2011), Menon et al. (1999), Ottman (1994)의 척도를 본 연 구에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였다. 구성된 항목은 친 환경 제품3항목(환경마크 획득, 친환경 제품 및 서 비스 제공, 환경보호에 효과적인 제품 사용), 친환

경 가격3항목(친환경 제품의 저렴성, 친환경 가격

에 맞는 실용성, 합리적 가격에 제공), 친환경 유통

3항목(분리수거, 자원재활용, 재활용 방침의 명확

성), 친환경 촉진3항목(환경보호 광고, 환경캠페인 참가, 자연을 활용한 친환경 광고), 총12항목으로

리커트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또한 기업 이미지는 개인 특성의 신념, 생각, 그 리고 인상 등에 의해 부과된 특정 기업에 대한 이미 지이며, 기업에 대하여 고객들이 형성하고 있는 정 신적 또는 기업의 고객, 구성원, 매체 등 이해관계 자 집단이 그 기업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 어떤 인상 으로 정의하고자 한다(Winters, 1988). 기업 이미지 측정도구는 박기남 (2002), 하봉준 (1999), Winters

(1988)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업 이미지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총 3항목(기업 행 동, 사회공헌, 사회적 행동 이미지)을 리커트5점 척 도로 측정하였다.

한편, 고객 재방문 의도는 호텔 이용객이 특정 호텔을 반복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 또는 특 정 호텔을 주변 사람들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의도 로 정의하고자 한다(김도희·박병진, 2012). 재방문 의도의 측정도구로는Kim et al. (2009)이 이용한 재 방문 의도를 본 연구에 맞게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구성된 항목은 총3항목(친환경 서비스를 타인에게 추천, 친환경 제품이 고가일지라도 재이용 의도, 친 환경 제품 재구매 의도)을 리커트5점 척도로 측정 하였다.

3. 조사 설계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헌

(8)

<표 1> 자료의 신뢰도분석 결과

구 성 개 념 측 정 요 인 및 항 목 신뢰도(Cronbach'sα)

친환경마케팅

친환경 제품 3 .825

친환경 가격 3 .832

친환경 유통 3 .678

친환경 촉진 3 .865

기업 이미지 3 .706

고객 재방문 의도 3 .908

고찰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속성을 바 탕으로 설문서를 작성하여 실증 분석에 이용하였다. 모집단은 특1급 호텔의 객실 이용고객으로 규정하 였으며, 표본은 서울 특1급 호텔 중 친환경 활동을 하고 있는 11개의 호텔(HY, SW, W, RC, SD, PZ, JM, MH, IC, PH, WC호텔)의 객실 이용객을 대상으 로 하였다. 설문서의 배포는 조사자가 직접 조사대 상 호텔을 직접 방문하여 객실팀장을 만나 본 연구 에 대한 배경을 설명하고 호텔 로비에서 설문서를 배포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2013년4월5일부터4

월19일까지 총15일간 진행하였다. 설문서는11개

호텔에30부씩 총33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중 318

부(96.3%)가 수거되었다. 수거된 설문지 중 결측치

를 포함한 불성실한 응답20부를 제거하여 최종적

으로 298(90.3%)부의 유효표본이 가설검증을 위한

통계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상관관계

분석, AMOS 18.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Ⅳ. 실증 분석

1. 자료의 특성

설문에 응답한298명의 표본 응답항목 중에서 남 성이 164명(55.0%), 여성이 134명(45.0%)으로 고르 게 분포되어 있으며, 연령별 분포는 20대가 88명 (29.5%), 30대가 117명(39.3%), 40대가 64명(21.5%),

50대 이상이 29명(9.7%)으로 나타나 30대가 39.3%

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 분포는 초대 졸이48명(16.1%), 대졸이203명(68.1%), 대학원 이

상이 47명(15.8%)으로, 대졸이 68.1%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은300만원 미만이91 명(30.5%), 300~400만원 미만이114명(38.3%), 400~

500만원 미만이 64명(21.5%), 500~600만원 미만이 18명(6.0%), 600만원 이상이11명(3.7%)으로 나타났다.

2. 가설 검증을 위한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가. 신뢰도 및 집중타당성

본 연구에서는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

하여Cronbach's Alpha 값을 이용하였다. 신뢰도 계

수가 0.6 이상으로 측정항목들의 내적 일관성에는 문제가 없다고 판단된다(Bagozzi & Yi, 1988).

구조방정식모델의 경우 추상적인 구성개념이 연 구모델에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구성개념 타당성 검증에 많이 사용된다. 구성개념 타당성은 집중타 당성, 판별타당성, 법칙타당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 먼저 집중타당성 검증을 위해서 확인적 요인분 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 AMOS

18.0이 사용되었으며, 최대우도추정법(ML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이 이용되었다.

집중타당성이 있기 위해서는 표준화 요인부하량 은 최소0.5 이상 되어야 하고, 0.7 이상이면 바람직 하다고 할 수 있으며 C.R역시 1.965이상이어야 한 다. 평균분산추출값(AVE: Average Variance Extracted)

의 경우, 수치가0.5이상이어야 하고, 개념 신뢰도의

(9)

<표 2> 집중타당성 분석 결과

구 성 개 념 측정지표 타 당 성 분 석

요인부하량 t값** 개념신뢰도 AVE

친환경마케팅

친환경 제품

PD1(환경마크) PD2(친환경 제품 제공) PD3(환경에 적합한 제품사용)

.746.797 .816

13.318**

14.342**

- .863 .679

친환경가격

PR1(저렴성) PR2(실용성) PR3(합리적인 가격)

.794 .795 .778

13.560**

13.578**

- .876 .703

친환경유통

PL1(분리수거) PL2(자원재활용) PL3(재활용방침의 명확성)

.695 .631.598

10.058**

9.364**

- .749 .500

친환경 촉진

PM1(환경보호 광고) PM2(환경캠페인 참가) PM3(친환경 광고)

.803 .815.872

16.123**

16.446**

- .901 .753

기업 이미지

CI1(기업행동) CI2(사회공헌) CI3(사회적행동)

.669.702 .637

9.558**

9.910**

- .821 .605

고객 재방문

의도

RVI1(친환경 제품 타인 추천) RVI2(친환경 제품 재이용) RVI3(친환경 제품 재구매)

.837 .888 .910

19.961**

22.395**

- .938 .834

=281.807(df=120, p=.000), GFI=.904, AGFI=.863, TLI=.933, CFI=.948, RMR=.036, RMSEA=.067

**는 p<.01 수준에서 유의도를 나타냄

경우 0.7이상이면 수렴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

된다(우종필, 2012). 본 연구에서는 이3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검증하였고, 변수들의 집중타당성의

결과는<표2>와 같다. 한편, 집중타당성 분석의 모

델 적합도 지수는 =281.807(df=120, p=.000), GFI

=.904, AGFI=.863, TLI=.933, CFI=.948, RMR=.036,

RMSEA=.067로 전체적인 적합도 지수가 양호하게

나타나 비교적 만족스러운 수준의 요인구조를 지니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판별타당성과 법칙타당성

판별타당성은 서로 다른 잠재변수 간 차이를 나 타내는 것으로, 두 구성개념 간 AVE 값과 상관관 계 제곱 값을 비교하여 잠재변수의 AVE가 잠재변 수 간 상관계수의 제곱보다 크면 판별타당성이 있

는 것으로 간주한다(우종필, 2012). 변수 간 상관이 가장 높은 쌍을 선택하여 대표적으로 검증하는데, 상관이 높을수록 판별타당성이 떨어질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상관계수가 가장 높은 기업 이미지와 고 객 재방문 의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두 구성개념 간 상관계수는 .659로 상관계수의 제 곱은 .434로 기업 이미지의 AVE 수치인.605와 고 객 재방문 의도의AVE 수치인.834 보다 모두 낮기 때문에 판별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법칙타당성의 경우, 모든 구성개념 간 상 관관계가 정(+)의 방향으로 가정이 되어 있는데, 실 제로 상관관계 표에서도 모든 변수 간 상관관계가 정(+)으로 나타나 법칙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잠재변수 간 상관관계는 다음<표3>과 같다.

(10)

<표 3> 구성개념 간 상관관계표

평균 표준편차 1 2 3 4 5 6

1. 친환경 제품 3.753 0.759 1

2. 친환경 가격 3.502 0.723 .369** 1

3. 친환경 유통 3.520 0.655 .621** .656** 1

4. 친환경 촉진 3.338 0.752 .346** .554** .610** 1

5. 기업 이미지 3.720 0.578 .540** .536** .617** .574** 1

6. 재방문 의도 3.809 0.764 .654** .423** .631** .494** .659** 1

개념신뢰도 .863 .876 .749 .901 .821 .938

평균분산추출(AVE) .679 .703 .500 .753 .605 .834

**p<.01 수준에서 유의도를 나타냄

*p<.05, **p<.01 , ***p<.001 수준에서 유의도를 나타냄

[그림 2] 모형검증 결과

3. 연구가설의 검증

가. 가설검증

본 연구의 모델 적합도 지수는 =57.215(df=24, p=.000), CMIN/DF=2.384, GFI=.964, AGFI=.917, TLI=

.964, CFI=.981, RMR=.018, RMSEA=.068로 나타났

다. RMSEA 값이.05 이상으로 약간 높지만 전체적

인 적합도 지수가 양호하게 나타나 연구모델이 표 본자료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모델에서 가설에 대한 검증결과는 <그림2>와

<표4>에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설1〕인 호텔 친환경 마케팅이 기업 이

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호텔 친환 경 마케팅의 각 요인과 기업 이미지의 표준화 경로 계수 및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친환경 제품 (=.354, C.R=5.443, p=.000), 친환경 촉진(=.345, C.R=5.204, p=.000), 친환경 가격(=.200, C.R=2.966,

(11)

<표 4> 가설검증 결과

경 로 표준화 계수 S.E C.R p 가설검증

H1

친환경 제품

기업 이미지

.354 .039 5.443 .000***

친환경 가격 .200 .042 2.966 .003** 채택

친환경 유통 .166 .056 2.023 .043*

친환경 촉진 .345 .040 5.204 .000***

H2

친환경 제품

고객 재방문

의도

.205 .065 2.628 .009**

부분 채택

친환경 가격 -.142 .059 -2.102 .036*

친환경 유통 .125 .065 1.601 .109

친환경 촉진 -.041 .065 -.523 .601

H3 기업이미지 고객 재방문

의도 .716 .222 4.496 .000*** 채택

*p<.05, **p<.01 , ***p<.001 수준에서 유의도를 나타냄

<표 5>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

경 로 직접효과 p 간접효과 p 총효과 p

친환경 제품

고객 재방문

의도

.205 .045* .254 .007** .459 .007**

친환경 가격 -.142 .028* .143 .004** .001 .949

친환경 유통 .125 .169 .119 .030* .244 .004**

친환경 촉진 -.041 .659 .247 .006** .206 .003*

*p<.05, **p<.01 , ***p<.001 수준에서 유의도를 나타냄

p=.003), 친환경유통(=.166, C.R=2.023, p=.043) 순 으로 기업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1〕은 모두 채택되었다.

한편, 기업 이미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호텔 친환경 마케팅은 친환경 제품으로 나타났으며,

SMC=.711로 친환경 마케팅 4개 요인은 기업 이미

지에 대하여71.1%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가설2〕인 호텔 친환경 마 케팅이 고객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친환경 제품(=.205, C.R=2.268, p=.009), 친환 경 가격(=.-142, C.R=-2.102, p=.036)이 고객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환경 유통(=.166, C.R=1.601, p=.109)과 친환경 촉진(=-.041, C.R=-.523, p=.601)은 기각되었다. 또 한 친환경 가격은 재방문 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고객들이 친환경에 긍정적일지라도 친환경 가격에 있어서는 부담을 갖

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가설2〕는 부 분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기업 이미지가 고객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 수준5% 이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716, C.R=4.496, p=.000) 것으로 나타나

〔가설3〕은 채택되었다. 한편, 고객 재방문 의도

의SMC는.727로 나타나 호텔 친환경 마케팅과 기

업 이미지는 고객 재방문 의도에 대하여 72.7%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

본 연구에서는 호텔 친환경 마케팅이 기업 이미 지의 매개변수를 통해 고객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확인하였다. 간접효 과 유의성을 확인하기위해 부트스트랩을 사용하여 모수를 추정하였으며, 결과는<표5>와 같다.

위 결과로 보아 호텔 친환경 마케팅이 기업 이미

(12)

지를 통해 고객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한 것(p<.05)으로 나타났다. 특히 호텔 친환경 마케팅의 하위요인인 친환경 유통 및 친환경 촉진 은 고객 재방문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 지 않지만 기업 이미지를 통해 고객 재방문 의도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p<.05)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환경 가격은 고객 재방문 의도에

부(-)이 영향을 미쳤지만 기업 이미지의 간접효과를

통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호텔 기업 은 친환경 활동을 고객들의 마음속에 인지시켜 기 업의 이미지를 극대화시켜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고객의 친환경과 관련된 가격부담을 해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친환경을 지향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서울 시내 특급 호텔의 친환경 마케팅 활동을 파 악하고, 이로 인한 기업 이미지 고양 및 고객 재방 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호텔의 친환경 마케팅 수립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3개의 가설을 설정 하여 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 하고자 한다.

첫째, 환경친화적 서비스요인 개발(조민호․문승

일, 2008; 현재천․김성섭․오문향, 2011), 고객의

환경친화적 행동(김윤희․한희섭, 2011)을 중심으로 수행되어 왔던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호텔 기업 의 친환경 마케팅 활동의 4개 요인으로 확장시켜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높은 요 인 적재값과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진행될 친환경 마케팅과 관련된 향후 연구에 서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친환경 마케팅 활동 4개의 요인 을 기업 이미지 및 고객 재방문 의도의 선행요인으

로, 기업 이미지를 고객 재방문 의도의 선행요인으 로 각각 상정하고 구조모형 방정식을 통해 분석하 였다. 그 결과 기업 이미지에 대한 친환경 마케팅

활동의4개 요인이 갖는 설명력은71.1%, 고객 재방

문 의도에 대한 친환경 마케팅 활동의4개 요인과 기업 이미지가 갖는 설명력은 72.7%로 나타났다.

물론, 본 연구와 직접적인 비교는 할 수 없지만 지 윤호․변정우 (2011)의 연구에서 환경친화적 객실 서비스 요인에 대한 만족과 재방문 의도, 환경친화 적 객실서비스 요인에 대한 신뢰와 재방문 의도의 회귀분석 결과, 각각 38.3%, 38.2%로 나타났다. 서 론에서도 언급하였듯이, 호텔 산업의 친환경 마케 팅 활동과 기업 이미지, 고객 재방문 의도와 관련한 선행연구가 전무하기 때문에, 친환경 마케팅과 소 비자 행동과 관련된 향후 연구에서 의미 있는 인과 관계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존재 한다.

셋째, 친환경 마케팅 활동의4개 요인 모두 기업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Maignan & Ferrell (2004)과Sen & Bhattacharya

(2001)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특히, 친환경 제품이

기업 이미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는데, 이는‘비누, 샴푸, 린스의 재활용, 화장지 재 활용 사용, 문구류 재활용 항목에 대한 고객의 친환 경 수준이 높다’ 라는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따라서 호텔 기업은 친환경 마케팅 활동을 비용부 담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 미래의 호텔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수익창출의 기회로 생각해야 한 다. 즉, 호텔의 이미지 고양은 고객의 재방문으로 이어져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호텔 기업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의 특성 상 기업의 이미지가 매출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 으로 높은 편이다. 따라서 선제적인 친환경 마케팅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기업 이미지를 제고할 필요성 이 제기된다.

넷째, 친환경 마케팅 활동의4개 요인 중‘친환경 제품’과‘친환경 가격’ 만이 고객 재방문 의도에 영

(13)

향을 미쳤으며, ‘친환경 유통’과‘친환경 촉진’은 기 각되었다. 한편, ‘친환경 가격’은 부(-)의 영향을 미 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황유경(2010)의 연구결 과와 배치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업 이미지

를 통해‘친환경 유통’과‘친환경 촉진’이 고객 재방

문 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친환경 가격과 관련한 실용성 및 합리 적인 가격에 제공하더라도 기업들이 기업행동, 사 회적 활동, 사회공헌들의 이미지를 고객들에게 각 인시키지 않는다면 고객들의 호텔에 대한 재방문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객 의 재방문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친환 경 마케팅 활동을 적절히 홍보하여야 한다. 즉, 기 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친환경 마케팅 활동 및 이로 인한 기업의 이미지를 고객의 마음속에 각 인시켜야 한다. 구체적으로 친환경 활동에 대한 이 용객들의 요구사항을 수렴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활동 은 각 호텔의 친환경 활동에 대해 고객의 마음속에 확실히 인지시켜 호텔의 이미지를 극대화시키는 훌 륭한 마케팅 도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호텔 이미지와 고객 충성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업 이미지가 높을수록 고객 들의 호텔에 대한 이용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현성협․최승묵 (2011)의 브랜드 이미지, 지각된 가치, 재방문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에 따른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따라서 호텔 기업은 고객 이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지속적인 친환경 제품 개발 과, 적절한 가격책정, 고객홍보, 유통을 통해 대고객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하며, 내부교육을 통해서도 구성원들에게 친환경 마케팅의 중요성을 인지시키 고 홍보마케팅을 통해 고객들에게도 친환경 마케팅 을 인지시킨다면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지만, 다음 과 같은 부분을 고려하여 본 연구를 적용해야 할 것 이다. 본 연구의 향후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

째, 공간적 제약으로, 본 연구는 서울 지역 특급 호 텔 객실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국내 특급 호텔 전체 혹은 특 2급 호 텔과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각 호텔 마다 다양한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좀 더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 째, 본 연구는 친환경 마케팅을 제외한 호텔 기업의 이미지 및 고객의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다른 어떠한 변수도 통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통제하지 않은 다른 변인들이 연구의 결과에 영향 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여 지속적인 연구 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강성일

이계희

(2011).

제주 올래관광자와 대중관 광객의 특성비교

:

방문동기

,

환경친화적 여행 태도

,

웰빙인식을 중심으로

. 『

관광연구

』, 25(6), 23-40.

권인수

박헌준

신현환

(2007).

기업의 가시성이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

. 『

경영학연구

』, 36(1), 113-132.

김도희

박병진

(2012).

호텔고객의 인지적

,

감정적

,

경험속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

호 텔경영학연구

』, 21(6), 61-83.

김선주

(2012).

친환경적 소비자특성이 그린마케팅 스포츠용품 기업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영태

윤유식

(2006).

호텔이미지 세분화에 따른

호텔 서비스 이용 만족도 및 충성도에 관한 연구

. 『

호텔경영학연구

』, 15(2), 43-58.

김윤희

한희섭

(2011).

그린행동에 대한 태도

,

이미 지

,

행동의도

(

방문

,

권고

)

간의 관계연구

.

관광연구저널

』, 25(1), 63-74.

김재곤

(2013).

외식기업의 친환경적 녹색경영활동

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

관광연

(14)

구저널

』, 27(6), 471-486.

김희정

(2012).

프로스포츠구단의 친환경 마케팅과 사회공헌활동에 따른 구단이미지

,

구단만족

,

구단평판 및 행동의사에 관한 연구

.

경희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노동연

박수복

한권상

(2009).

스포츠센터 로하스 이미지에 대한 관심정도가 고객만족 및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

한국사회체육학회 지

』, 37(1), 189-198.

매일경제

(2012).

쉐라톤 인천 호텔

,

국내 호텔 최초

세계 친환경 호텔

수상

. 2012. 12. 13.

박경희

(1999).

대학 내 커피전문점의 서비스 품질 측정을 위한 다문항 척도

(CoffeeSERV)

개발

.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기남

(2002).

계층적 효과모형을 이용한 기업 인 터넷 홈페이지 광고의 유효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 『

광고연구

』, 55.

박재기

(1993).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그린제품

(Green Product)

에 대한 인식과 기업의 그린 마케팅

(Green Marketing)

활동에 관한 연구

.

경영경제연구

』, 9(1), 303-314.

박정화

(2010).

환경친화적인 호텔 식음료 서비스 요인이 고객만족

,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관광경영연구

』, 45, 123-145.

박지양

(2010).

외식기업의 환경마케팅 이미지 전략 이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

친환경 이미지를 중심으로

. 『

관광연구저널

』, 24(1), 67-83.

여훈구

(1995). 『

그린마케팅

』.

서울

:

안그라픽스

.

우종필

(2012). 『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

:

한나래 아카데미

.

유태용

(1994).

기업이미지를 나타내는 특성용어들 의 요인구조탐색

. 『

한국산업 및 조직심리학 회지

』, 7(1), 29-55.

이관표

박형권

(2006).

호텔기업의 환경불확실성

,

학습지향성

,

조직성과의 구조적 인과관계 탐 색에 관한 연구

. 『

관광연구

』, 20(3), 305-328.

이승헌

이창호

임재문

(2012).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패밀리레스토랑의 친환경마 케팅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

호텔리 조트연구

』, 11(1), 33-55.

임우택

·

김학신

(2006).

골프장 친환경 서비스 품질 이 여행객 이미지

,

만족도

,

구전의도

,

재방문 에 미치는 영향

. 『

한국체육학회지

』, 45(2), 167-176.

정규엽

·

오석윤

(1999).

국내 특급호텔 그린 마케팅 정책에 대한 이용객들의 지각에 관한 연구

.

호텔경영학연구

』, 8(1), 95-112.

정유경

김창열

한정숙

(2009).

소비자의 환경의식 과 패스트푸드 기업의 환경마케팅에 대한 인 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

한국생활과 학학회지

』, 18(1), 237-245.

조민호

문승일

(2008).

환경 친화적인 호텔 객실 속성에 관한 연구

:

고객인식을 중심으로

.

호텔경영학연구

』, 17(1), 2-12.

지윤호

·

변정우

(2011).

호텔기업의 환경친화적 객실 서비스 요인이 고객만족과 신뢰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

호텔경영학연구

』, 20(5), 41-56.

진양호

·

한인경

(2012).

외식기업의 문화마케팅이 기 업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

한국 조리학회지

』, 18(3), 58-71.

파이낸셜 뉴스

(2011).

웨스틴조선호텔

,

환경부 장관 상 수상

. 2011. 11. 12.

하봉준

(1999).

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 업이미지 요인에 관한 연구

.

광고연구

, 『

광 고연구

』, 42.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9).

녹색 건설상품 진단 및 전망

.

한동연

·

최성용

(2006).

환경제품의 구매의도에 대한 태도 및 환경친화적 행동

. 『

한국생활과학 지

』, 13(4).

현성협

·

최승묵

(2011).

호텔고객과 기업의 첫 교감

,

브랜드 이미지

,

지각된 가치

,

재방문동기

,

(15)

신적 행위형성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 고찰에 관한 연구

:

호텔고객의 기업 친밀도의 조절효 과

. 『

관광연구논총

』, 23(2), 57-80.

현재천

·

김성섭

·

오문향

(2011).

친환경 호텔 속성 지 각 차이에 관한 연구

:

미국

,

일본

,

중국

,

한국 인 고객을 대상으로

. 『

관광연구

』, 26(1), 513-535.

황병일

(2004).

서비스 고객충성도 형성과정에서 기업 이미지의 매개역할

. 『

광고연구

』, 64, 133-160.

황유경

(2010).

그린마케팅 인지도가 기업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백화점의 패 션 소비자를 중심으로

.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

Alain, D. & Pierre, B. (1995). Consumer evaluations of sponsorship program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9(12), 6-22.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Barich, H., & Kotler, P. (1991). A framework for marketing image management. Sloan Management Review, 32(2), 94-104.

Brown, T. J., & Peter, A. D. (1997). The company and the product: Corporate associations and consumer product responses. Journal of Marketing, 61(1), 68-84.

Canniere, M. H., Pelsmacker, D., & Geuens, M.

(2010). Relationship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 and behavior: The moderating impact of relationship strength.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25(1), 87-98.

Charter, M., & Polonsky, M. J. (1999). Greener marketing: A global perspective on greening marketing practice. Sheffield: Greenleaf Publishing.

Dowling, G. (2001). Creating corporate reputation:

Identity, image, and performanc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nc.

Ellen, P. S., Mohr, L. A., & Webb, D. J. (2000).

Charitable programs and retailer: Do they mix? Journal of Retailing, 76(3), 393-407.

Enz, C. A., & Siguaw, J. A. (1999). Best hotel environmental practices. The Cornell HRA Quarterly, 57-70.

Erickson, G. M., Johannson, J. K., & Chao, P.

(1984). Image variables in multi attribute product evaluations: Country of origin effe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1, 694-699.

Hunter, C. (1997). Sustainable tourism as an adaptive paradigm. Annals of Tourism Research, 24(4), 850-866.

Iwanowski, K., & Rushmore, K. (1994). Introducing the eco-friendly hotel. The Cornell HRA Quarterly, Feb.

Keller, K. L. (2003).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Kim, T., Kim W-G., & Kim, H-B. (2009). The effects of perceived justice on recovery satisfaction, trust, word-of-mouth, and revisit intention in upscale hotels. Tourism Management, 30(1), 51-62.

Klein, J., & Dawar, N. (2004).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nsumers: Attributions and brand evaluation in a product harm crisi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21(3), 203-217.

Kotler, P. & Armstrong, G. (1997). Principles of Marketing: A New Jersey: Prentice-Hall, 37-40.

Maignan, I., & Ferrell, O. C. (2004).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the

(16)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1), 3-19.

Menon, A., Chowdhury, J., Jankovich, J. C. (1999).

Evolving paradigm for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marketing program: A synthesis of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32(4), 3-10.

Milewicz, J., & Herbig, P. (1995). The relationship of reputation and credibility to brand success.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2(4), 5-10.

Ottman, J. A. (1994). Green marketing. Chicago Illinois: NTC Business Books.

Peattie, K. (1995). Environmental marketing management. London: Pitman Publishing.

25-30.

Rugman, A. M., & Verbeke, A. (1998). Cooperate strategies and environmental regulations:

An organizing framework.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9(4), 363-375.

Sen, S., & Bhattacharya, C. B. (2001). Does doing good always lead to doing better?

Consumer reactions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8, 225-243.

Starik, M., & Marcus, A. (2000). Introduction to the special research forum on the management of organizations in the natural environment: A field emerging from multiple paths, with many challenges ahead.Academy of Management of Journal, 43, 81-112.

Stipanuk, D. (2001). Energy management in 2001 and beyond. The Cornell HRA Quarterly, 57-70.

Winters, L. C. (1988). Does it pay to advertise to hostile audiences with corporate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July, 11- 18.

2014년 5월 16일 1차 수정본 접수 2014년 6월 20일 2차 수정본 접수 2014년 7월 1일 최종 수정본 접수 3인 익명심사 畢

(17)

The Influence of Hotel Organization's Eco-friendly Marketing on Customer Revisit Intention

조유혜*․이규태**․정규엽***

Cho, You-Hye․Lee, Gyu-Tae․Chung, Kyoo-Yup

국문초록

본 연구는 친환경을 지향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서울 시내 특급 호텔의 친환경 마케팅 활동을 파악하고, 이 로 인한 기업 이미지 및 고객 재방문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호텔의 친환경 마케 팅 수립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친 환경 마케팅, 기업 이미지, 고객 재방문 의도와 관련된 속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11개의 특급 호 텔의 고객을 대상으로 총 298부의 유효 설문지가 빈도 분석, 신뢰도 및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 친환경 마케팅의 하위 요인 모두 기업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 업 이미지는 고객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친환경 마케팅의 하위 요인 중친 환경 유통, 친환경 촉진을 제외한 친환경 제품, 친환경 가격만이 고객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간접효과를 측정한 결과, 친환경 유통, 친환경 촉진은 기업 이미지를 통해 고객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증 분석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호텔 기업은 친환경 마케팅 활동을 비용부담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 미래의 호텔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수익창출의 기회로 생각해야 한다.

핵심용어 : 친환경 마케팅, 기업 이미지, 고객 재방문 의도

본 논문은 2013년도 조유혜의 석사학위논문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 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과 박사과정 <[email protected]>

** 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 박사 <[email protected]>

*** (교신저자) 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