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링캠프에 입소한
관심보호병사의 자살인식 요인에 대한 연구
*이 명 화(한국이야기치료 연구소)
<요 약>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자살을 인식하고 있는 관심보호병사를 대상으로 자살위험요인을 개인적, 가족 적, 사회 환경적 특성으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관심보호병호병사의 정신건강 수준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들을 강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관심보호병사의 자살인식 요인에 영향을 미 치는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6년부터 2017년까지 청소년과 대학생의 자살과 관련된 학술지, 학위논 문들을 바탕으로 자살, 자살충동, 자살생각, 자살사고, 자살시도, 자살관련, 자살행동, 자살위험성, 자살성, 자살위험요인의 관련 주제어를 검색하여 총 235편의 논문 중 학술지에 등재된 59편의 논문을 선정하였 다. 자살인식에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 가족적, 사회 환경적 특성으로 나누어 분석틀을 설정하여 관심보 호병사들의 자살 위험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자살위험요인인 개인적, 가족적, 사회 환경적 특성 중 개인적 특성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자살위험요인 중 개인적 특성의 하위요인으 로는 부정적 정서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셋째, 자살위험요인 중 가족적 특성의 하위요인으로 가족환경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넷째, 자살위험요인 중 사회 환경적 특성의 하위요인으로는 사 회적 지지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결론: 이처럼 본 연구를 통해 자살을 생각하거나 시도하는 관 심보호병사들의 자살위험요인은 하나만 나타나는 것이라 상호 결합하여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러한 점을 활용하여 자살을 인식하는 관심보호병사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정신건강 수준을 높이기 위 한 다양한 방안들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며, 제대 후에도 지속적으로 정신건강에 대한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방안들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주제어> 힐링캠프, 관심보호병사, 자살인식, 자살위험요인
* 이 논문은 제1저자의 석사학위 논문에서 발췌 정리한 것임.
Ⅰ .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자살은 인간이 지닌 문제를 가장 극단적인 해결하는 방법으로 매년 전 세계에서 약 백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자살로 인해 사망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한국, 일본, 중국과 같은 동 아시아 국가들의 자살률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는데(Hendin, 2008), 이러한 동아시아 국가 중에서 도 한국의 자살률은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김준홍, 윤영민, 2011).
OECD 국가 간 자살률(OECD 표준인구 10만 명당 명) 비교 시 OECD 평균 12.0명에 비해, 한
국은 24.6명(‘16년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2016년 사망원인통계’를 살펴보면 자살에 의 한 사망자 수는 총 13,092명으로 1일 평균 자살 사망자 수는 35.8명이며, 남성의 자살률이 여성 보다 2.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20대 남성의 자살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통계청, 2015).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남성들은 20대의 나이에 군 입대를 하게 되므로 이 러한 통계자료는 군 장병들의 심리적 문제, 자살 문제 등과 같은 정신건강에 대해 심도 있게 관심을 갖고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국방위원회(2017)의 통계 자료에 의하면, 2016년 총 입영 인원 304,473명 중 군에서 사망한 사람은 총 83명이었으며, 이들 중 무려 57명(68.6%)이 자살로 목숨을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병사의 자살행위는 단순히 개인의 행위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명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 행위라고 할 수 있다. 군 자살은 군대라는 특수조직의 특성과 맞물려 일반사회 에서의 자살보다 충격과 파장이 더 크며 집단생활을 하는 군대의 특성 상 자살이 발생하면 동 료나 지휘관들에게 그대로 노출되므로 심각한 죄책감과 함께 지휘의 부담을 안기게 된다. 이러 한 이유로 인해 자살사고가 일어나 부대가 다시 안정화되기까지는 최소한 6개월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박강돌, 2013).
군대 내 문화와 자살유발요인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먼저, 군인 자살은 일반 자살과는 달리 부대적인 관계인 군복무 부적응에 의한 염세 비관과 개인적인 관계인 군복무 부적응에 의한 좌 절과 일부 가정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이승용, 2011). 둘째, 군내 자살 수단의 특수성을 살펴보면, 육군 평균 자살사고 60명 중 의사(목맴)나 투신에 의한 자살이 가장 큰 비
율(75%)을 차지함은 일반자살과 다름이 없다고 하겠으나, 의사나 투신만큼이나 많이 발생하는
총기자살 및 자폭(73%)등은 군이라는 특수 집단에서만 가능한 자살사고라고 할 수 있다(이창훈,
2004). 셋째, 일반 자살과는 달리 병사의 자살은 언론의 조명을 받음으로 인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은 심대하여 군 전체의 명예뿐만 아니라 관련조직 내 구성원들의 사기 저하에 막대한 영향 을 끼치며, 처리과정에 있어서도 폐쇄적인 군 조직에 대한 유가족의 불신과 언론의 관심으로
인해 군 전체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오해를 받기도 한다(박강돌, 2013). 그러므로 병사의 자살은 당사자 가족들의 고통뿐만 아니라 동료 병사들의 심리적 외상, 부대의 사기 저하 및 전투력 손 실, 군에 대한 국민 인식의 악화와 같은 여러 가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군대 내 병사들의 자살을 주제로 이루어진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자살에 취약하거나 자살을 인식하는 병사들의 경우 낮은 자아존중감과 우울(고기숙, 정미경, 2011; 금병규, 2009), 스트레스
(서혜석, 김정은, 이대식, 2009; 이대식, 서혜석, 변상해, 2016), 낮은 사회적 지지(김지인, 2017;
정신영, 이동귀, 2011), 선임병과 간부의 무시, 통제된 생활의 괴로움과 좌절(정신영, 2012), 속박 감(최윤영 외, 2013), 공격성과 충동성(고재홍, 윤경란, 2007; 박재연, 2010) 등의 특징이 나타났 다. 즉 자살생각 혹은 자살시도를 경험한 병사들은 일반 병사들 보다 군 생활 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끼고 있으며, 높은 우울감과 미래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고, 문제 상황을 회 피하거나 왜곡된 문제해결 방식을 보이며 낮은 자존감과 사회적 지지를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선행 연구를 통해 군대 내 병사들의 자살 원인에 대해 군대 환경 요인(38%), 가정환 경요인(37%), 개인 심리적 요인(25%)으로 나타났으며(이영선, 2014) 개인적 요인에 군복무라는 상황적 요인이 부가적 요인으로서 촉매로 작용하여 극단적인 행동으로 표출되는 경향이 있다 (서혜석 외, 2011).
군대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병사들이 겪을 수 있는 좌절, 불안, 우울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감 정과 부적응, 인간관계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일반 병사들의 정신적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병사들의 정신건강의 문제는 개인뿐만 아니라 그들의 가정에 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사회적․국가적인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이규화, 2013). 그러 므로 군내 병사들의 정신건강에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정신건강 수준을 점검하여 각 병사들 의 정신건강 수준에 맞는 조치들을 취할 필요가 있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는 병사들의 극단적인 행동이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노력 을 하고 있다. 먼저, 병사들이 입대하기 전 신체검사를 통해 정신건강 수준을 파악하여 정신건 강 질환이 의심되면 입대에서 제외를 시킨다. 또한 군내에서는 부적응 문제를 나타내는 병사들 을 관심병사로 선별하여 특별 관리를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군대 내에서는 여전히 병 사들의 정신건강과 관련되는 폭력, 자살, 총기사고 등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들로 인해 현재 우리나라 군에서는 병사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 을 진행하고 있다. 병영생활전문 상담관 제도’를 통해 관심보호병사의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자살예방교육을 통해서 자살의 위험, 병사 자신의 우울수준, 심리적인 어려움을 이겨내는 방법 등을 탐색하고 이해함으로써 자살 예방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군대 내 자살률은 여전히 감소하지 않고 있다. 이처럼 군
대 내 자살 감소에 효과성을 나타내지 않는 원인들 중 하나로 관심병사들에 대한 최신 데이터 의 부족을 꼽을 수 있다(이숙, 2016). 관심병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겪고 있는 개인적 문제, 가정 문제, 사회․환경적 문제에 관한 개인특성을 고려한 요소와 관련하여 프로그램의 제공되어야 하며 개인 특성의 관련요인에 대해 보다 면밀히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인 특성에 대 한 연구보다는 예방교육이나 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그러다보니 최근 입대한 관심병사들의 특성에 대한 자료를 찾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처럼 관심병사들의 개 인적 특성, 가정적 특성, 사회․환경적 특성에 대해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의 부재는 이 들의 불안, 우울, 자살 등과 같은 정신건강과 관련된 문제를 예방하는데 큰 어려움을 주게 된 다.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의 정신건강을 둘러싼 문제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경로에 의 해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관심병사에 대한 예방 교육이나 상담 프로그램 등의 효과성을 높이 기 위해서는 관심병사에 대한 개인적, 가정적, 사회․환경적인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자살을 인식한 경험이 있는 관심병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개인적 특 성, 가정적 특성, 사회․환경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현재 우리나라 군대에서 관심병사를 대상 으로 실시하고 있는 집단 프로그램인 힐링캠프에 참여하는 관심병사들을 대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힐링캠프는 사단장의 관리책임 하에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자살 및 복무 부적응 등 심약한 문제를 가진 병사들을 대상으로 인간관계, 자기성장, 봉사, 상담 및 심리치료 등을 통해 서 입소자들의 자살 사고를 예방하고자 한다. 또한 캠프에서 운영되는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자살 우려자 및 군복무 부적응자가 건강한 자아상 회복과 왜곡된 인식체계의 전환, 문제해결능 력,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캠프로 힐링과 치유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살을 인식한 관심병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개인적, 가정적, 사회․ 환경적 특성을 파악하여 관심병사들의 정신건강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문제
본 연구에서는 관심보호병사들의 자살인식 위험관련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관심보호병사의 자살인식 위험관련 요인 중 개인적 요인은 어떠한가?
둘째, 관심보호병사의 자살인식 위험관련 요인 중 가족적 요인은 어떠한가?
셋째, 관심보호병사의 자살인식 위험관련 요인 중 사회․환경적 요인은 어떠한가?
Ⅱ .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소재 힐링캠프에 2016년 1월 1일부터 2017년 6월 30일까지 입소한 복무 부적응, 대인관계문제, 우울, 불안, 자살의 문제 등의 위험을 가진 172명의 병사들 중 입소 사유서에 상담 시 자살생각, 자살시도를 경험했다고 한 병사는 126명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이 나타나있는 <표 1>을 살펴보면, 계급, 학력의 영역으로 구분하 였고, 계급별로는 일병이 77.0%로 가장 많았으며 이병 15.9%, 상병 6.3%, 병장 0.8% 순으로 나 타났다. 학력별로는 대학교 중퇴나 재학이 46.8%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고졸 44.5%, 전문 대 재학이나 졸업 6.3%, 고 자퇴 1.6%, 중졸 0.8% 순으로 나타났다.
구 분 빈도(명) 비율(%)
계급
병장 1 0.8
상병 8 6.3
일병 97 77.0
이병 20 15.9
계 126 100
학력
중졸 1 0.8
고 자퇴나 퇴학 2 1.6
고졸 56 44.5
전문대 재학이나 졸업 8 6.3
대학교 중퇴나 재학 59 46.8
계 126 100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분석자료
본 연구의 자료는 2016년 1월 1일부터 2017년 6월 30일까지 강원도 소재 힐링캠프에 입소한 관심보호병사의 입소하게 된 각 병사별 입소 사유서, 기수별 심의 안과 입소한 관심보호병사가 작성한 입소 설문지, 수료 대상의 수료 설문 분석의 원 자료를 총 감독 책임자의 동의하에 사 용하였다.
3. 분석틀
본 연구에서는 관심보호병사의 자살인식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6년부터 2017년까지 청소년과 대학생의 자살과 관련된 학술지, 학위논문들을 바탕으로 자살,
자살충동, 자살생각, 자살사고, 자살시도, 자살관련, 자살행동, 자살위험성, 자살성, 자살위험요인 의 관련 주제어를 검색하여 총 235편의 논문 중 학술지에 등재된 59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개인적 요인, 가정적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개인적 요인의 하위영역으로는 부정적 정서, 낮은 자기 인식, 생물․유전, 중독, 건강관련으로 구분하고, 가족적 요인에서는 가족형태, 가족환경, 가족지지로 구분하였다. 마지막 으로 사회. 환경적 요인에서는 자살방법 노출, 생활만족도, 사회적 지지로 구분하여 자살위험요 인을 각 영역별 하위 내용으로 분석하였다.
1) 자살위험요인 중 개인적 요인에 대한 분석틀
구분 하위영역 내용
개인적 요인
부정적 정서 불안, 우울, 슬픔, 절망, 낮은 행복감, 무망감, 좌절감, 공격성, 높은 스트레스, 죄책감, 외상사건
낮은 자기인식 자기비난, 거부민감성, 내현적 자기애 성향, 짐이 되는 느낌, 좌절된 소속감, 낮은 자 기 효능감, 낮은 자아 존중감, 자기통제력 부족
중독 알코올, 약물, 흡연, 인터넷, 스마트폰 생물, 유전 자살, 정신병리 가족력
건강관련 질병 및 신체증상, 주관적 수면만족도,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신체적 활동 제한
<표 2> 자살위험요인 중 개인적 요인 분석틀
2) 자살위험요인 중 가족적 요인에 대한 분석틀
구분 하위영역 내용
가족적 요인
가족형태 소년소녀의 가구, 한 부모 가구, 조손가구, 다문화 가족, 북한이탈주민, 보육시설 거주, 동거여부
가정환경 가정학대, 가정방임, 부부폭력, 부모폭력, 성 학대, 신체적 외상사건, 정서적 폭력 가족지지 낮은 가족의 지지수준, 무관심, 불안애착과 회피애착, 의사소통 부재, 소외감, 외로움,
부정적 양육행동, 고민상담자가 없을 경우
<표 3> 자살위험요인 중 가족적 요인 분석틀
3) 자살위험요인 중 사회․환경적 요인에 대한 분석틀
구분 하위영역 내용
사회․환경적 요인
자살방법 노출 대중매체의 노출, 인터넷
사회적 지지 사회적 배제, 낮은 사회적 지지체계, 낮은 교우와 교사의 지지환경, 관계의 어려움, 고민상담자 존재, 가족 외 성인의 지지
생활만족도 낮은 경제적 수준, 가정생활만족도, 학업 및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 주관적 외모 만족도
<표 4> 자살위험요인 중 사회․환경적 요인 분석틀
4. 자료 분석
본 연구는 입소자원분석에 근거해 입소 사유서에 자살을 생각한 이유, 자살을 생각 한 상황, 자살을 시도 한 이유, 자살을 시도 했을 때 상황에 대해 진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원 자료를 총 책임자의 동의하에 활용하였으며 입대 전 가정과 학교, 사회에서의 생활들과 입대 후 군 생 활에서 자살인식을 하게 된 위험 요인들에 대해 분석틀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각 병사의 개 인적 자살관련요인을 개인적 요인(부정적 정서, 낮은 자기인식, 중독, 생물․유전, 건강관련), 가 족적 요인(가족형태, 가정환경, 가족지지), 사회 환경적 요인(자살방법 노출, 사회적 지지, 생활 만족도)으로 구분하여 빈도와 비율로 산출하였다.
Ⅲ . 연구결과
강원도 소재 힐링캠프에 입소한 복무 부적응, 대인관계문제, 우울, 불안, 자살의 문제 등 위 험을 가진 172명의 관심보호병사들 중 자살생각, 자살시도를 경험한 병사들은 126명으로 약
73.5%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심보호병사들을 대상으로 개인적 요인, 가정적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구분
상위 빈도(명) 비율(%)
개인적 요인 118 92.2
가족적 요인 79 61.7
사회. 환경적 요인 102 79.7
<표 5> 관심보호병사의 자살인식 위험요인 (중복답변)
하여 분석한 결과인 <표 5>를 보면, 개인적 요인 92.2%이고, 가족적 요인은 61.7%, 마지막으로 사회 ․환경적 요인 79.7%로 개인적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1. 관심보호병사의 자살인식 관련 개인적 요인
개인적 요인의 하위영역인 부정적 정서는 68.0%, 생물․유전은 0%, 중독은 8.6%, 건강관련영 역에서는 42.2%로 나타나, 이 중에서 부정적 정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위영역 하위영역 빈도(명) 백분율(%)
개인적 요인
부정적 정서 87 68.0
낮은 자기인식 44 34.4
생물, 유전 0 0.0
중독 11 8.6
건강관련 54 42.2
<표 6> 관심보호병사의 자살인식 관련 개인적 요인 (중복답변)
1) 개인적 요인 중 하위영역 부정적 정서
개인적 요인의 하위 영역인 부정적 정서의 세부요소에서는 불안 21.9%, 우울 33.6%, 좌절감
0.8%, 공격성 5.5%, 높은 스트레스 26.6%, 외상사건 5.5%로 나타났고 슬픔, 절망, 낮은 행복감,
하위영역 세부내용 빈도(명) 비율(%)
부정적 정서
불안 28 21.9
우울 43 33.6
슬픔 0 0.0
절망 0 0.0
낮은 행복감 0 0.0
무망감 0 0.0
좌절감 1 0.8
공격성 7 5.5
높은 스트레스 34 26.6
죄책감 0 0.0
외상사건 7 5.5
<표 7> 개인적 요인의 부정적 정서 요인 세부내용 (중복답변)
무망감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부정적 정서 중에서 우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개인적 요인 중 하위영역 낮은 자기인식
낮은 자기인식의 세부요인에서는 자기비난 0.8%, 거부 민감성 0.8%, 낮은 자기 효능감 0.8%, 낮은 자아 존중감 10.2%, 자기통제력 부족 22.7% 나타났고 자기애 성향, 짐이 되는 느낌, 좌절 된 소속감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기통제력 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위영역 세부내용 빈도(명) 비율(%)
낮은 자기인식
자기비난 1 0.8
거부 민감성 1 0.8
자기애 성향 0 0.0
짐이 되는 느낌 0 0.0
좌절된 소속감 0 0.0
낮은 자기효능감 1 0.8
낮은 자아존중감 13 10.2
자기통제력 부족 29 22.7
<표 8> 개인적요인의 낮은 자기인식 요인 세부내용 (중복답변)
3) 개인적 요인 중 하위영역 생물․유전
생물․유전의 세부요인인 자살, 정신병리 가족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영역 세부내용 빈도(명) 비율(%)
생물․유전 자살 0 0.0
정신병리 가족력 0 0.0
<표 9> 개인적요인의 생물․유전 요인 세부내용 (중복답변)
4) 개인적 요인 중 하위영역 중독
중독의 세부요인은 알코올 2.3%, 흡연 2.3%, 인터넷 5.5%, 스마트폰 0.8%로 나타났으며, 약물 은 나타나지 않아 인터넷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위영역 세부내용 빈도(명) 비율(%)
중독
알코올 3 2.3
약물 0 0.0
흡연 3 2.3
인터넷 7 5.5
스마트 폰 0 0.8
<표 10> 개인적요인의 중독 요인 세부내용 (중복답변)
5) 개인적 요인 중 하위영역 건강관련
건강관련의 세부요인은 질병 및 신체증상 42.2%, 주관적 수면 만족도 1.6%, 주관적 건강상태 가 나쁠수록 0.8%로 나타났고, 신체적 활동 제한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질병 및 신체 증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종합해서 살펴보면, 결과적으로 개인적 요인에서는 각 하위영역의 세부 요소에서 질병 및 신체증상 42.2%, 우울 33.6%, 자기통제력 부족 22.7%, 인터넷 5.5%의 순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 세부내용 빈도(명) 비율(%)
건강관련
질병 및 신체증상 54 42.2
주관적 수면만족도 2 1.6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1 0.8
신체적 활동 제한 0 0.0
<표 11> 개인적 요인의 건강관련 요인 세부내용 (중복답변)
2. 관심보호병사의 자살인식 관련 가족적 요인
가족적 요인의 하위영역인 가족형태는 39.1%, 가족환경은 48.4%, 가족지지는 21.9%로 나타나, 이 중에서 가족환경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위영역 하위영역 빈도(명) 비율(%)
가족적 요인
가족형태 50 39.1
가족환경 62 48.4
가족지지 28 21.9
<표 12> 관심보호병사의 자살인식 관련 가족적 요인 (중복답변)
1) 가족적 요인 중 하위영역 가족형태
가족적 요인의 하위 영역인 가족형태의 세부요소에서는 소년소녀 가구 0.8%, 한 부모 가구
35.9%, 조손가구 0.8%, 동거여부 1.6%로 나타났고 다문화가구, 북한이탈주민, 보육시설거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가족형태에서는 한 부모 가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위영역 세부내용 빈도(명) 비율(%)
가족형태
소년소녀가구 1 0.8
한 부모 가구 46 35.9
조손 가구 1 0.8
다문화 가구 0 0.0
북한이탈주민 0 0.0
보육시설거주 0 0.0
동거여부 2 1.6
<표 13> 가족적 요인의 가족형태 요인 세부내용
2) 가족적 요인 중 하위영역 가족환경
가족환경의 세부요인에서는 가정 학대 4.7%, 부부폭력 8.6%, 부모폭력 5.5%, 신체적 외상사건
1.6%, 정서적 폭력 18.0%로 나타났고, 가정 방임, 성 학대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처럼 가족환경
에서는 정서적 폭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 세부내용 빈도(명) 비율(%)
가족환경
가정학대 6 4.7
가정방임 0 0.0
부부폭력 11 8.6
부모폭력 7 5.5
성 학대 0 0.0
신체적 외상사건 2 1.6
정서적 폭력 23 18.0
<표 14> 가족적요인의 가족환경 요인 세부내용 (중복답변)
3) 가족적 요인 중 하위영역 가족지지
가족지지의 세부요인에서 낮은 가족지지 수준 7.8%, 불안애착. 회피애착 0.8%, 의사소통부재
10.2%, 소외감 0.8%, 부정적 양육태도 3.9%로 나타났고, 무관심, 외로움, 고민상담자가 없을 경
우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이 가족지지 부분에서는 의사소통부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서 살펴보면, 결과적으로 가족적 요인에서는 각 하위영역인 세부요소에서 한 부 모 가구 35.9%, 정서적 폭력 18.0%, 의사소통 부재 10.2%로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 세부내용 빈도(명) 비율(%)
가족지지
낮은 가족지지수준 10 7.8
무관심 0 0.0
불안애착 회피애착 1 0.8
의사소통부재 13 10.2
소외감 1 0.8
외로움 0 0.0
부정적양육태도 5 3.9
고민 상담자가 없는 경우 0 0.0
<표 15> 가족적요인의 가족지지 요인 세부내용 (중복답변)
3. 관심보호병사의 자살인식 관련 사회․환경적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의 하위영역인 자살방법 노출은 0.8%, 사회적 지지는 70.3%, 생활만족도는
28.9%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사회적 지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위영역 하위영역 빈도(명) 비율(%)
사회․환경적 요인
자살방법 노출 1 0.8
사회적 지지 90 70.3
생활만족도 37 28.9
<표 16> 관심보호병사의 자살인식 관련 사회․환경적 요인 (중복답변)
1) 사회․환경적 요인 중 하위영역 자살방법 노출
사회․환경적 요인에서 하위영역인 자살방법 노출의 세부요소에서는 인터넷 0.8%로 나타났 고 대중매체 노출은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영역 세부요소 빈도(명) 비율(%)
자살방법 노출 대중매체노출 0 0.0
인터넷 1 0.8
<표 17> 사회․환경적 요인의 자살방법 노출 요인 세부내용
2) 사회․환경적 요인 중 하위영역 생활만족도
생활 만족도의 세부요인에서는 낮은 경제적 수준 25.8%, 주관적 외모 만족도 4.7%로 나타났 고 가정생활 만족도, 학업 및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생활 만족도 부 분에서는 낮은 경제적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 세부요소 빈도(명) 비율(%)
생활 만족도
낮은경제적수준 33 25.8
가정생활만족도 0 0.0
학업 및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 0 0.0
주관적 외모만족도 6 4.7
<표 18> 사회․환경적요인의 생활만족도 요인 세부내용 (중복답변)
3) 사회․환경적 요인 중 하위영역 사회적 지지
사회적지지의 세부요인에서는 사회적 배제 21.8%, 낮은 교우와 교사의 지지환경 0.8%, 관계 의 어려움 57.8%로 나타났고, 고민상담자 존재, 가족 외 성인의 지지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사회적지지 부분에서는 관계의 어려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서 살펴보면, 종합적으로 사회․환경적 요인에서 각 하위영역인 세 부요소에서 관계의 어려움 57.8%, 낮은 경제적 수준 25.8%, 주관적 외모 만족도 4.7%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 세부요소 빈도(명) 비율(%)
사회적 지지
사회적 배제 28 21.9
낮은 사회적 지지체계 2 1.6
낮은 교우 및 교사의 지지환경 1 0.8
관계의 어려움 74 57.8
고민상담자 존재 0 0.0
가족외 성인의 지지 0 0.0
<표 19> 사회․환경적요인의 사회적 지지 요인 세부내용 (중복답변)
Ⅳ .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강원도 소재 힐링캠프에 입소한 관심보호병사의 1기수당 4주 프로그램으로 1년 6 개월 총 13기수에 참여한 자살 고위험군 126명의 병사들을 대상으로 입소자원 분석, 입소 설문 지, 기수별 심의 안, 수료 대상의 수료 설문분석의 원 자료를 바탕으로 자살을 생각한 이유, 자 살을 생각 한 상황, 자살을 시도 한 이유, 자살을 시도 했을 때 상황에 대해 진술한 내용을 입 대 전 가정과 학교, 사회에서의 생활들과 입대 후 군 생활에서 자살인식을 하게 된 위험 요인 들을 분석틀을 기준으로 관계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첫째, 관심보호병사들의 자살인식 위험요인 중 개인적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입대 전부터 개인적 소양이 군이라는 특수한 상황과 환경에서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선영,
김윤영, 이정숙(2017)은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불안, 우울, 좌절감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많이
경험하며 이는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했을 때, 이를 해결하거나 극복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아니 라 회피하거나 공격성을 표출함으로써 이겨내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았다. 이중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낸 우울은 여러 선행연구들(권영모, 김소연, 백종일, 2015; 김갑숙, 전영숙, 2015; 김 석호, 노민하, 2015; 김소린 외 2014; 김형래, 2016; 심태경, 2017)의 결과에서도 부정적 정서인 우울, 불안,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가 자살인식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와도 일맥상통한다.
특히 우울과 관련한 증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이에 대한 치료적 대응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병사들의 부정적 정서인 우울 외에 높은 비율을 차지했던 불안과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에 대한 해결책에도 관심을 갖고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상담, 치료, 교육 프로그램 에 대한 개발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군대라는 특수한 환경에 속한 관심보호병사 들에게 부정적 정서, 낮은 자기 인식 등과 같은 개인적 요인은 심리적·정신적 건강을 매우 취 약하게 만든다. 따라서 군대 내에서는 병사 개개인의 정신적 건강에 대해 지속적으로 점검함 으로써 위험 수준을 분류하여 그에 따른 맞춤형 지도가 필요할 것이다. 이를 통해 병사 개인 의 측면에서는 심리․정서적으로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며, 군대 측면에서는 병사들의 정신건 강 수준을 높임으로써 병사들의 사기를 높이며 훈련에 대한 집중력을 높이는 등 조직 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사회적 측면에서는 병사들이 정신건강에 대해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건강한 사회를 구성하는 사회적 구성원이자 훌륭한 인적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가족적 요인에서는 가정에서 충분한 지지와 격려, 애정의 표현 등과 같은 긍정적 정서 를 경험하지 못한 개인일수록 낮은 자존감을 경험하며, 부정적 정서를 느낌으로 불안, 우울, 좌 절 등과 같은 정신건강과 관련된 문제를 겪게 되고, 심한 경우 자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박은아, 조혜정, 이재경(2016)의 연구에 따르면, 한 부모 가족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
소년보다 자살생각 경험과 자해행위나 자살기도를 시도하며, 자살시도 주준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친척 집과 보육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들이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청소년들 이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청소년들에 비해 자살비율이 높으며(권영모 외, 2015) 가족과 동거하 지 않는 경우 사회적 단절 및 외로움 등으로 인해 자살행동을 높이는 영향 요인으로(서종수,
2016) 나타났다. 이는 가정이라는 정서적인 큰 울타리가 무너짐에 따라 정서적으로 불안정해지
며, 이에 따른 불안, 우울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되므로 정신건강의 문 제와 자살에 관한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만큼 가족적 요인은 성인 이 되어서까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군내에서는 관심보호병사 중 가족적 요인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병사에게 가족적인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는 내면 의 힘을 이룰 수 있는 상담이나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사회. 환경적 요인에서는 관계의 어려움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다 양한 사람들과 함께 지내야 하는 집단성에 의해 관계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던 요인들이 나타나 부적응을 초래한다. 사회적 지지는 일반적으로 사회적 관계를 통해서 개인이 타인으로부터 얻 을 수 있는 모든 긍정적인 자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사랑, 존중, 인정, 물질적 도움 등 이 포함된다. 이러한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적인 완충제로서 인간의 기본적인 욕 구인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켜 개인의 심리적 적응을 돕고 좌절을 극복하게 하며, 문제해결의 도전을 강화하는 측면에서도 강조되고 있다(Cohen & Hoberman, 1983). 그러므로 대인관계가 미 숙하고 사회적 지지 수준이 적은 병사들에게 낯설고 어렵게 느껴지는 군 생활은 병사의 불안과 우울을 가속화 시킨다(김형래, 2015). 또한, 대인관계에 대한 스트레스는 정신건강 문제를 취약 하게 만들며, 이는 군 생활 부적응과 우울에 영향을 미쳐 자살로 이어질 수 있다(심태경, 2017).
따라서 군대에서는 다소 사회성 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병사들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기술에 관 한 프로그램을 계획할 필요가 있으며, 일반 병사들에게는 관심보호병사들과 함께 건강한 복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론을 종합하자면, 자살을 생각하거나 시도하는 관심보호병사들의 위 험요인은 하나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 가족적, 사회․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점을 활용하여 자살을 생각하거나 시도하는 관심보호병사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 여 정신건강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안들이 필요할 것이다. 먼저, 군대 내에서는 병 사들의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에 대한 관리와 정서인식, 자아개념 형성 등 개인적 요인들을 건강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점검하여 위험분류에 따라 관리하고 지도하는 시스템과 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또한 국가적으로는 병사들의 자살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현역복무 부적합 판단을 위한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신병교육 수료 전에 징병검사 자료와 군 인성 검사 결과, 신병교육간 개인의 행동관찰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현역복무 부적합여부 를 최종 판단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강화가 필요하다. 더불어 관심보호병사들이 제대 후에
도 지속적으로 정신건강에 대한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방안들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 이다. 이러한 방안들을 통해 병사 개인의 정신건강 수준을 높일 뿐만 아니라 군대 또한 건강한 조직을 구성하고 유지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며, 사회적으로도 정신건강 수준이 높으 며, 심리․정서적으로 성숙한 사회구성원이자 인적 자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와 제한점을 살펴보면, 먼저, 본 연구는 강원도 소재의 힐링캠프에 입소 한 관심보호병사만을 대상으로 자살인식에 대한 위험요인을 분석하였으므로 전 지역의 관심보 호병사들에게 일반화 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좀 더 다양한 지역에 서 복무하는 병사들의 자료를 표집해서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특성과 부대 업무수행 등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후속연 구에서는 위험요인에 지역적 특성과 부대 업무수행 등과 같은 군 생활 환경에 관한 요인들을 추가하여 더 폭넓은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관심보호병사들의 자살인식에 있어서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 여러 요인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심보호병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힐링캠프에 대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검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 는 본 연구의 위험요인들을 바탕으로 힐링캠프에 대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관심 보호병사들의 정신건강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최근에는 군내 병사의 자살뿐만 아니라 군 간부들의 자살 역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병사들의 자살에 관한 연구뿐만 아니라 군 간부들이 놓은 환경적 특성과 자살인식에 관한 위험요인들에 대해 살펴보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 이다.
참고문헌
권영모, 김소연, 백종일 (2015). 우울경험에 따른 청소년들의 자살 시도 위험 요인 분석. 한국신
뢰성학회, 15(2), 76-83.
고기숙, 정미경 (2011). 현역 병사들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불안, 우울과 군생활적응의 관계. 한 국콘텐츠학회, 11(12), 294-306.
고재홍, 윤경란 (200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자아탄력성의 완중효과. 한국청소년연구,
18(1), 185-212.
국방위원회 (2017). 현역 병 입영 현황. 서울: 국방부.
금병규 (2010). 군복무 병사들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가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익산.
김갑숙, 전영숙 (2012). 청소년의 우울, 불안과 충동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
회지, 21(5), 903-913.
김석호, 노민하 (2015). 성격특성, 자살인식, 그리고 자살경험. 한국사회학회, 2015(12), 235-236.
김소린, 이은정, 조수현, 이성찬, 이상민 (2014). 심리적 요인이 자살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5(3), 1049-1065.
김준홍, 윤영민 (2011). 자살시도 전력이 후속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 자살에 대한 태도의 매 개모형 검증을 통한 예방접종 메시지 전략의 모색. 보건과사회과학, 30, 49-75.
김지인 (2017). 자살생각이 도움요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군 병사를 대상으로. 미간행 석사학 위논문, 전주대학교 대학원, 전주.
김형래 (2015). 병사 자살위험요인 Meta 분석과 자살예방제도 개선방안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대학원, 진주.
박강돌 (2013). 육군장병 자살요인 분석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입대전 청소년 자살요인과의 비교
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서울.
박은아, 조혜정, 이재경(2016). 성인의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
지연구, 47(3), 223-249.
박재연 (2010). 청소년의 자살위기와 레질리언스.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서종수 (2016).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의 조절 효과. 한국
가족복지학회, 21(4), 629-652.
서혜석, 김정은, 이대식 (2011). 병사의 스트레스, 우울 및 사회적 지지간의 관계. 교류분석상담연
구, 1(1), 73-93.
심태경 (2017). 군병사의 대인민감성, 좌절된 소속감, 부정적 자기초점화,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수용-전념을 기반으로 한 치료 프로그램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대 학원, 진주.
이규화 (2013). 공군 병사의 정신건강상태, 군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 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대학원, 진주.
이대식, 서혜석, 변상해 (2016). 육군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 자살생각이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군사회복지학, 9(1), 5-31.
이 숙 (2016). 병사의 자살 예방을 위한 통합 방안.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결대학교 대학원, 안양.
이선영, 김윤영, 이정숙 (2017).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 사회적 지지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5(8), 323-331.
이승용 (2011). 군인 자살의 실태와 예방대책: -병영내 폭행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 위논문, 광운대학교 대학원, 서울.
이영선 (2014). 우울증과 자아정체감이 군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22, 57-80.
이창훈 (2004). 군 내 자살사고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
희대학교 대학원, 서울.
정신영 (2012). 자살시도병사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개념도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
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정신영, 이동귀 (2011). 자살 위험 병사들의 심리특성 연구. 상담학연구, 12(3), 897-914.
최윤영, 조현주, 권정혜, 이종선 (2013). 자살시도병사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개념도 연 구. 인지행동치료, 13(3), 423-443.
통계청 (2015). 사망원인통계. 서울: 통계청.
Cohen, S. & Hoberman, H. (1983). Positive Eventand Social as Buffers of Lif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Hendin, H. (2008). Introduction: suicide and suicide prevention in asia. Switzerland: WHO Press.
Abstract
A Study on the Suicidal Perception of Soldiers who Need Intensive care in the Healing Camp
Lee, Myung-Hwa*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help raise the level of mental health by analyzing the suicidal risk factors of the soldier who need intensive care considering suicide, in terms of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Method: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suicide perception of the soldier who need intensive care, 59 papers listed in the journal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235 papers. based on academic journals and theses related to suicide. suicide attempt, suicidal thoughts, suicidal behavior, suicide risk, suicidal tendency, and suicide risk factors of youth and college students from 2006 to 2017. The factors affecting suicide perception were divided into personal, family, and soci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analytical framework was set up to investigate suicide risk factors of the soldier who need intensive care.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 characteristics in personal, family,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the highest risk factors for suicide. Second, negative emotions were the most common subfactors among suicide risk factors. Third, family environment of sub-factors of family characteristics. was the highest factor of suicide risk factors. Fourth, social support was the most important subfactor in the sub-factors of soci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uicide risk factors. Conclusion: In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suicide risk factors of the soldier needing intensive care who think or attempt to commit suicide appear not in their own but in a mutual combination.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improve the level of mental health by effectively managing the soldier who need intensive care and to prepare measures to help the mental health management continuously after the discharge.
Key words : Healing Camp, Soldiers who need intensive, Sucidal Perception, Suicide risk factor
게재 신청일 : 2018. 01. 15 수정 제출일 : 2018. 02. 12 게재 확정일 : 2018. 02. 25
* 교신저자([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