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1장. 자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1장. 자연"

Copied!
5
0
0

Teks penuh

(1)

PHYSICAL

GEOGRAPHY

28 1.1 지형 TOPOGRAPHY

30 1.2 기후 CLIMATE

34 1.3 바람 WIND

(2)

서울은 산악에 둘러싸인 분지이다. 강북의 중앙에는 동서남북으로 각각 낙산(111m), 인왕산(338m), 남산(262m), 북악산(342m)이 있는데, 이 내부에 있는 분지는 조선시대에 궁궐과 한성부의 주요 시설들이 위치했던 곳이다. 서울은 북쪽으로는 북한산(837m)과 도봉산(740m), 동북쪽으로는 수락산(638m)과 불암산(508m), 남쪽으로는 관악산(629m)과 청계산(493m)을 경계로 경기도와 나뉘며, 이 산악지형 사이를 한강이 동서로 흐르고 있다. 그리고 이들 산지 사이를 한강의 지류인 청 계천, 중랑천, 불광천, 안양천, 탄천, 양재천 등이 흐르고 있다.

>>>

1.1 지형

그림 1-1.3차원 지형도 2011

Figure 1-1. 3DTopographic Map, 2011

Source

서울연구원, 위성영상(RapidEye), 2011년 The Seoul Institute, RapidEye, 2011

Seoul is surrounded by mountains in all four directions - Mt. Naksan to the east, Mt. Inwangsan to the west, Mt. Namsan to the south, and Mt. Bugaksan to the north. The royal palaces of the Joseon Dynasty and major establishments of Hanseongbu (former name of Seoul) were located in the basin. To the north of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were Mt. Bukhansan (837m) and Mt. Dobongsan to the north, Mt. Suraksan and Mt. Buramsan to the northeast, Mt. Gwanaksan and Mt. Cheonggyesan to the south, bordering on Gyeonggi-do. The Han River flows from east to west between the mountains. Running through these mountains are tributaries of Han River, including Cheonggyecheon, Jungrangcheon, Bulgwangcheon, Anyangcheon, Tan- cheon, and Yangjaecheon.

>>>

1.1 TOPOGRAPHY

그림 1-2. 지형도 2009

Figure 1-2. Topographic Map, 2009

도봉산(740) Mt. Dobongsan 인수봉(811)

Insubong

북한산(837) Mt.Bukhansan

수락산(638) Mt. Suraksan

불암산(508) Mt.Bulamsan

한강 Han River

아차산(297) Mt.Achasan 중랑천

Jungnancheon

우이천 Uicheon

묵동천 Mukdongcheon

불광천 Bulgwangcheon

성북천 Seongbukcheon

안양천 Anyangcheon

도림천 Dorimcheon

양재천 Yangjaecheon 반포천

Banpocheon 탄천

Tancheon

성내천 Seonnaecheon

사당천 Sadangcheon 목감천

Mokgamcheon

청계천 Cheongyecheon 정릉천 Jeongreungcheon

홍제천

Hongjecheon 고덕천

Godeokcheon 만경대(800)

Mankyungdae

북악산(342) Mt.Bukaksan 백련산(261)

Mt.Backryunsan 인왕산(338) Mt.Inwangsan

삼성산(461) Mt.Samseungsan

관악산(629) Mt.Gwanaksan

우면산(290)

Mt.Woomyunsan 구룡산(308) Mt.Guryongsan

대모산(290)

Mt.Daemosan 청량산(480) Mt.Cheongryangsan

인릉산(327) Mt.Inreungsan 청계산(493)

Mt.Cheonggyesan 안산(296)

Mt.Ansan

Source

통계청, 수도권 센서스 지도 등고선, 2009년

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Metropolitan Census Map, 2009

(3)

서울의 기후는 남부지방의 난대성 기후와 북부지방의 냉대성 기후의 중간적 성격을 나타내어 비교적 사계절이 뚜렷하고 연간 기온과 강수량의 차가 크게 나타난다.

서울의 기온과 강수량은 1910년과 비교하여 증가하였는데, 연평균 기온은 1910년 섭씨 10.3도에서 2012년 현재 섭씨 12.2도, 강수량은 1910년 1,021㎜에서 2012년 현재 1,646㎜로 증가하였다.

2012년 4월 기준 서울시 계절별 평균기온은 도심지로 갈수록 높고 교외로 갈수록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고온지역의 분포는 도시 열섬효과의 결과이며, 고층 건물 증가, 도로포장 증가, 녹지대 감소 등 토양피복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

1.2 기후

기상청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도봉 Dobong

노원 Nowon 강북

Gangbuk

성북 Seongbuk

한강 Hangang

동대문 Dongdaemun

광진 Gwangjin 성동

Seongdong

용산 Yongsan

중구 Jung-gu 마포

Mapo 은평 Eunpyeong

서대문 Seodaemun

강서 Gangseo

양천 Yangcheon

영등포 Yeongdeungpo

관악 Gwanak 구로

Guro

금천 Geumcheon

서초 Seocho

강남 Gangnam

송파 Songpa

강동 Gangdong 중량

Jungnang

그림 1-3. 자동 기상 관측소 2012

Figure 1-3. Automatic Weather Stations (AWS), 2012

Source

기상청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climate of Seoul is halfway between the warm temperate climate of the southern regions and the microthermal climate of the northern regions, with four clearly distinguished seasons and strong discrepancies in temperature and rainfall throughout the year. The annual average temperature rose from 10.3°C in 1910 to 12.2°C as of 2012. Similarly, annual rainfall rose from 1,021㎜ in 1910 to 1,646㎜ in 2011.

As of April 2012, data on temperature distributions show that temperatures rise closer to the city center and fall toward the outskirts. These patterns are the result of urban heat islands, city spaces that lack green area and are heavy with skyscrapers and pavings.

>>>

1.2 CLIMATE

그래프 1-1. 연평균 기온 및 강수량 1910-2012 Graph 1-1. Annual Average

Temperatures & Precipitation, 1910-2012

그래프 1-2. 월별 평균 기온 및 강수량 2012 Graph 1-2. Monthly Average Temperatures & Precipitation, 2012

2,500

2,000

1,500

1,000

500

0 12.5

13.0

12.0

11.5

11.0

10.5

1910 1915192019251930 193519401945 1949195519601965 197019751980 198519901995 2000200520102012 [ ℃ ]

[ ℃ ]

[ mm ]

[ mm ] 500 450 400 350 300 250 200 150 100 50 0 25

30

20

15

10

5

0

-5

1 2 3 4 5 6 7 8 9 10 11 12

Source

기상청, 기상자료, 2012년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eteorological data, 2012 연평균 기온 Annual Average Temperatures

강수량 Total Precipitation

월평균 기온 Monthly Average Temperatures 강수량 Total Precipitation

(4)

그림 1-4. 계절별 평균 기온(2012년 봄)

Figure 1-4. Seasonal Average Temperatures, 2012, Spring

봄 | Spring

여름 | Summer 계절 평균 기온(℃)

Seasonal Average Temperatures

계절 평균 기온(℃)

Seasonal Average Temperatures 11.1~11.9 미만 Below 11.9~12.1 12.1~12.2 12.2~12.3 12.3~12.4 12.4~12.6 12.6~12.7 12.7~12.9 12.9~13.1 13.1~14.1

23.3~24.9 미만 Below 24.9~25.0 25.0~25.1 25.1~25.3 25.3~25.4 25.4~25.6 25.6~25.7 25.7~25.9 25.9~26.0 26.0~27.0

Source

기상청, 기상자료, 2012년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eteorological Data, 2012

계절 평균 기온

그림 1-5. 계절별 평균 기온(2012년 여름)

Figure 1-5. Seasonal Average Temperatures, 2012, Summer

가을 | Autumn

겨울 | Winter 계절 평균 기온(℃)

Seasonal Average Temperatures

계절 평균 기온(℃)

Seasonal Average Temperatures 12.36~12.9 미만 Below 12.9~13.3

13.3~13.4 13.4~13.6 13.6~13.8 13.8~14.0 14.0~14.2 14.2~14.4 14.4~14.5 14.5~15.3

-5.0~-3.9 미만 Below -3.9~-3.7 -3.7~-3.5 -3.5~-3.3 -3.3~-3.1 -3.1~-2.9 -2.9~-2.7 -2.7~-2.6 -2.6~-2.5 -2.5~-1.8

Source

기상청, 기상자료, 2012년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eteorological Data, 2012

SEASONAL AVERAGE TEMPERATURES

그림 1-7. 계절별 평균 기온(2012년 겨울)

Figure 1-7. Seasonal Average Temperatures, 2012, Winter 그림 1-6. 계절별 평균 기온(2012년 가을)

Figure 1-6. Seasonal Average Temperatures, 2012, Autumn

• 자동 기상 관측망의 계절별 평균 기온을 공간 보간법 (Inverse Distance Weighted)을 사용하여 나타냄

(5)

2012년 현재 자동 기상 관측소(AWS)에서 관측된 자료를 보면 연평균 풍속은 2.8m/s이며, 3월에 평균 3.5m/s로 바람이 가장 세고, 9월과 10월에 평균 2.3m/s 로 바람이 가장 약한 것을 알 수 있다. 2012년 중 최대풍속은 8월에 불며, 바람의 세기는 13.7m/s이고 남남서(SSW)방향이다. 2012년 서울의 최다풍향은 서풍이 며 계절별 최다풍향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순으로 서풍, 남남서풍, 남서풍, 서북서풍이다. 바람의 방향은 오염물질의 이동에 영향을 주는데, 최근 중국으로부터 황사 와 입자의 크기가 10㎛ 이하인 미세먼지가 유입되어 대기 질이 나빠지고 시민의 건강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되고있다.

>>>

1.3 바람

그림 1-8. 계절별 바람장 2012

Figure 1-8. Seasonal Wind Field, 2012

그림 1-9. 계절별 바람장미도 2012 Figure 1-9. Seasonal Windrose, 2012

Source

기상청, 기상자료, 2012년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eteorological Data, 2012

S

W E

N

10%

5%

15%

20%

25%

0~0.5 0.5~1 1~1.5 1.5~2 2~2.5 2.5~3 3~3.5 3.5~11.4

S

W E

N

10%

5%

15%

20%

25%

0~0.5 0.5~1 1~1.5 1.5~2 2~2.5 2.5~3 3~3.5 3.5~11.4 평균 바람 속도(m/s) Mean Wind Speed(m/s)=2.88 평균 바람 속도(m/s) Mean Wind Speed(m/s)=3.27

봄 | Spring 봄 | Spring

2012년 | 2012 2012년 | 2012

According to weather data, the annual average windspeed in Seoul is 2.8m/s, with March having the strongest winds at a monthly average windspeed of 3.5m/s, while September and October have the lowest monthly average windspeeds at 2.3m/s.

The maximum windspeed observed in 2012 was in August, 13.7m/s to the SSW. In 2012, the most common wind direction was W, and the most common wind directions by season were W, SSW, SW, WNW for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respectively. Wind directions are closely linked to the movement of airborne pollutants - the recent influx of yellow dust and PM-10 (microdust under 10㎛) from China has been harmful to air quality and the health of the residents.

>>>

1.3 WIND

Source

기상청, 기상자료, 2012년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eteorological Data, 2012 S

W E

N

10%

5%

15%

20%

25%

0~0.5 0.5~1 1~1.5 1.5~2 2~2.5 2.5~3 3~3.5 3.5~11.4

S

W E

N

10%

5%

15%

20%

25%

0~0.5 0.5~1 1~1.5 1.5~2 2~2.5 2.5~3 3~3.5 3.5~10.1

S

W E

N

10%

5%

15%

20%

25%

0~0.5 0.5~1 1~1.5 1.5~2

평균 바람 속도(m/s) Mean Wind Speed(m/s)=2.93 평균 바람 속도(m/s) Mean Wind Speed(m/s)=2.54 평균 바람속도(m/s) Mean Wind Speed(m/s)=2.76 2~2.5 2.5~3 3~3.5 3.5~7.5

여름 | Summer 여름 | Summer

가을 | Autumn 가을 | Autumn

겨울 | Winter 겨울 | Winter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