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세기 경상우병영의 등록을 통해 본 지방관의 등록 작성과 관리 211
있었지만, 謄書者에 따라 실제 등서 방식이 조금씩 달라졌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는 다른 지역에서 작성한 등록과 함께 비교해보면 그 편차를 알 수 있을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차후의 연구를 기약하겠다.
지금까지 경상우병영에서 비변사와 주고받은 문서가 등록으로 옮겨지는 방식을 검토하였다. 1절과 마찬가지로 문서 양식과 등서 지침, 등서된 사례를 검토하여 문 서에서 등록으로 옮길 때 내용의 출입이 있는지 그리고 작성하는 방식이 달라지는 지 등을 살펴볼 수 있었다. 관문과 첩정은 각각을 등록으로 만들었는데, 문서 기두 의 양식은 같지만 경상우병영에서 접수한 문서와 발송한 문서를 구분하기 위해 발 송한 문서를 등서할 때 발급 관서를 쓰지 않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뺷경상우병영계록뺸과 뺷경상우병영관첩뺸은 비변사에 상납하기 위한 용도로 작성
하였지만, 등서 방식을 보면 경상우병영의 관점에서 작성하였다. 뺷경상우병영계록뺸 과 뺷경상우병영관첩뺸을 포함하여 지방관이 국왕에게 올린 문서나 지방관이 비변 사 또는 의정부와 주고받은 문서를 수록한 등록들은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 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다.57) 경상우병영 이외의 다른 지방관들이 작성한 등록 들도 뺷영총뺸의 등서 지침과 뺷경상우병영계록뺸 및 뺷경상우병영관첩뺸의 문서 등서 방식을 적용하여 검토하면 다른 지방관의 사례 연구로서 가치가 있을 것이다. 이 에 대해서는 향후의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4. 경상우병영의 謄錄 보관 및 비변사 상납
앞 장에서 검토하였듯이 뺷慶尙右兵營啓錄뺸과 뺷慶尙右兵營關牒뺸은 경상우병영에 서 비변사에 상납하기 위한 용도로 만들어진 등록이다. 그렇다면 이 글에서 검토 대상으로 삼은 뺷경상우병영계록뺸 및 뺷경상우병영관첩뺸과 동일한 등록을 경상우병
57) 지방관이 국왕에게 올린 문서와 지방관이 비변사 또는 의정부 사이에서 주고받은 문서를 등서한 등록의 총 현황은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 19세기 경상우병영의 등록을 통해 본 지방관의 등록 작성과 관리 219
참고문헌
뺷經國大典뺸 뺷攷事新書뺸 뺷大典會通뺸 뺷典律通補뺸 뺷備邊司謄錄뺸 뺷宣祖實錄뺸 뺷承政院日記뺸 뺷弘齋全書뺸
뺷營總뺸(B8 A40 1, B8 A40 2) 뺷慶尙右兵營啓錄뺸(奎15103-v.1-4) 뺷慶尙右兵營關牒뺸(奎15128) 뺷開城留營關牒뺸(奎15118-v.1-3) 뺷全羅左水營啓錄뺸(奎15097-v.1-5) 뺷忠淸兵營關子謄錄뺸(奎15121) 뺷黃海兵營關牒謄錄뺸(奎15132-v.1-2)
황위주 외, 2007 뺷脫草譯註 營總뺸,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고민정, 2014 「뺷繼後謄錄뺸의 기술방식과 法外繼後에 대한 재검토」, 뺷사학연구뺸 113, 199-235면.
김건우, 2007 「조선후기 慶尙右兵營의 문서행정에 관한 일고찰 -뺷營總뺸을 중심으로-」, 뺷규장각뺸 31, 215-235면.
김완호, 2020 「조선후기 社稷署의 謄錄 작성과 문서 행정 -장서각 소장 뺷社稷署謄錄뺸 을 중심으로-」, 뺷민족문화뺸 56, 321-360면.
, 2021 뺷조선후기 등록의 편찬과 기록문화자원 가치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 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우인수, 2007 「朝鮮後期 慶尙右兵營의 文書 包裝과 呈家式」, 뺷歷史敎育論集뺸 39, 223-255면.
이근호, 2008 「備邊司謄錄의 敍述體系와 內容」, 뺷사학연구뺸 91, 153-18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