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초점
2004년 세계 탄화수소 매장량 증가
Oil & Gas Journal(OGJ)이 발표한 2004년 1월 1 일 현재 세계 탄화수소 확인매장량 추정치 통계에 따르 면, 석유 총 확인매장량이 약 1조 27백억 배럴로 2003 년 대비 4.4%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스 확인 매장량 추정치는 총 6,076조 입방피트로 전년대비 10.5%나 증가되었다. OGJ의 탄화수소 매장량 통계는 전년도 말까지 조사된 세계 각국의 석유 및 가스 매장 량과 생산량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토대로 매년 업데이 트하여 발표되고 있는데, “BP세계에너지통계”등에서 인용되는 등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의 석유매장량 통계는 2000년을 제외하고 줄곧 증가세로 이어져왔으며, 특히 2003년에는 통상적 개념의 석유 로 인정되지 않았던 오일샌드 가채매장량을 추가하여
무려 17%의 매장량 증가로 이어졌었다. 천연가스 매장 량은 지난 10년 동안 완만한 증가추세로 이어져 오고 있다. 한편 2003년 세계 석유생산량은 전년대비 약 4% 증가를 기록하면서 이전 3년 동안의 완만한 증가 흐름에서 도약하는 듯한 추세 변화를 보여주었다.
1. 매장량 증감 요인
2004년 석유매장량 통계에서 가장 큰 폭의 변화는 이란으로 전 세계 매장량 증가분의 2/3 이상을 차지하 고 있다. OGJ는 이란 석유부가 새로 발표한 데이터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밖에도 최근의 데이 터가 반영된 국가로는 인도, 그리스, 멕시코 등이다. 한
1995 200
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10억 배럴)
OPEC World
자료: OGJ Worldwide Production Report
[그림 1] 세계 석유 확인매장량 추이
편 가스 매장량은 주로 나이지리아, 카타르, 이란에서 의 증가가 세계 확인매장량의 증가로 이어졌다. 특히 카타르의 가스 확인매장량은 910조 입방피트로 전년대 비 무려 79%나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외의 다 른 국가들은 대부분 작년보다 확인 매장량이 줄어들었 는데, 매장량 감소의 주된 이유는 가스 생산 활동이 활 발했기 때문이다. 매장량 감소의 또 다른 요인은 매장 량 재평가를 통해 확인 매장량을 하향 조정한 경우로 그리스가 여기에 해당된다.
2. 주요 국가별 매장량 변화의 특징
가. 이란
이란의 확인매장량은 1999년 이후 유지되던 897억 배럴에서 1,258억 배럴로 무려 40% 넘게 늘어났다.
OGJ는 이란 석유부가 2003년 연말에 개정 발간한 상 세한 매장량 보고서를 바탕으로 관련 데이터를 수정하 였다고 밝혔다.
이란 정부의 탄화수소 매장량 보고서에는 이미 개발
된 유전지역과 함께 미개발지역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 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14곳의 내륙 및 연안 매장 지역에 위치한 16개 유전에서 매장량 수치가 증가하였 다. 또한 3개 유전의 매장량은 줄어들었으며, 16개 유 전의 매장량은 그대로였다. 그 결과 원유 확인매장량의 순증가분은 142억 배럴이다. 이외에 25개 육상유전과 9개 해상유전에서 생산 회수율이 향상됨에 따라서 늘 어난 매장량 증가분 303억 배럴이 보고서에 반영되었 다. 개발이 진행 중인 South Pars 가스전의 천연가스 매장량을 32억 배럴로 평가하였다. 보고서에 반영된 이 같은 매장량 실태는 모두 2002년 12월 31일 기준으 로 평가한 것이다. 그러나 이란은 보고서에서 매장량 평가의 수행과 유전의 개발 및 시추 여부 등 매장량 재 평가를 뒷받침 할만한 추가적인 사유에 대해서는 언급 하지 않았다.
1999년 말 이란의 추정 매장량은 804억 배럴이었 다. 이후 2000 - 2002년의 발견량에서 생산량을 뺀 수치는 10억 배럴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다. 따라서 유전지구의 추정 매장량 증가분과 회수율 증가분을 합
국가명 2004. 1.1 2003. 1.1
원 유 천연가스 원 유 천연가스
이란 125,800 940.0 89,700 812.3
카타르 15,207 910.0 15,207 508.5
나이지리아 25,000 159.0 24,000 124.0
베네수엘라 77,800 148.0 77,800 148.0
멕시코 15,674 14.9 12,622 8.8
인도 5,371 30.1 5,367 26.9
덴마크 1,277 2.6 1,347 3.0
캐나다 178,893 59.1 180,021 60.1
<표> OGJ 세계 주요국 탄화수소 매장량 변화
(단위 : 백만 bbl, 천 bcf)
자료: OGJ Worldwide Production Report
동향초점
동향초점
하면, 2002년 말 현재 이란의 총 가채 매장량은 1,258 억 배럴이다. OGJ는 이란 정부가 발표한 매장량 가운 데 미개발 유전지역의 매장량은 제외시켰다. 미개발 유 전지역의 매장량으로는 38곳의 육상유전 90억 배럴, 22곳의 해양유전 55억 배럴과 이외에도 육상가스전의 컨덴세이트 14억 배럴 등이다.
한편 이란은 이라크가 원유 생산능력을 회복함에 따 라서 매장량을 늘려야하는 정치적 이유를 갖고 있다.
OPEC은 역사적으로 이들 두 나라에 대해 동일한 생산 량 쿼터를 배정해왔으며, 현재 이란의 생산 쿼터는 약 360만 b/d(2003년 말 현재)이다. 이라크는 OPEC 회 원국이지만 현재 쿼터가 없으며, 2003년 말 현재 200 만 b/d를 조금 넘는 규모의 원유를 생산하고 있다. 이 라크 석유부는 2005년까지 원유 생산량 목표를 350만 b/d로 잡고 있는데, 외부로부터 재정적, 기술적 지원이 뒷받침될 경우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고 그들은 주장한 다. OPEC은 물론 이란이 주장하는 동등한 대우의 조 건과 충돌하지 않고서도 이라크 생산량 증가분을 쿼터 에 반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라크는 수년간 생산능력 목표를 600만 b/d로 설정해오고 있다. 이 생산 목표를 달성하려면 이라크에 안정적인 정부가 들어서고 국제 석유 회사들이 유전개발 투자에 나선다는 전제조건이 필요하지만, 이라크의 원유 매장량으로 미루어볼 때 그 정도의 생산목표를 달성할 수 있으리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다만 현 시점에서 어떤 전제조건도 조만 간 실현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러나 이라크의 생산량 이 370만 b/d 이상으로 빠르게 늘어날 가능성이 보임 에 따라 이란 역시 그에 걸맞게 원유매장량을 재평가해 야할 필요성을 느꼈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나.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의 원유 매장량은 778억 배럴로 발표되 었는데, 이는 국영석유회사 PdVSA의 확인매장량 보 고에 따른 것이다. 국영석유회사 관계자들은 이보다 훨 씬 많은 3,120억 배럴을 전체매장량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같은 거대 매장량 수치는 베네수엘라 오리노 코 강 유역에 위치한“오리노코 석유 벨트”에서‘기술 적으로 회수 가능한’것으로 평가된 초중질 원유의 가 채매장량 2,350억 배럴을 포함한 것이다. 기존 석유와 는 구분되는 개념(unconventional)의 베네수엘라 초 중질 원유는, 궁극매장량이 약 1.2조 배럴이며 가채매 장량은 여기에 경제적 회수율 20%를 적용하여 계산된 것이다. 베네수엘라의 원유 확인매장량 778억 배럴 중 에서도 350억 배럴은 Orinoco 지역에 매장된 중질원 유와 초중질원유가 포함된 것이다. 그 가운데 외국자본 의 참여로 100억-120억 배럴 규모의 초중질원유 개발 프로젝트가 현재 진행 중이라고 한다. 베네수엘라는 2002년 말 OPEC 사무국에 확인 매장량을 778억 배럴 이라고 공식 보고했다. OPEC의 생산량 쿼터는 각 회 원국의 원유 매장량과 사회경제적 요소를 감안하여 할 당되는데 기존 석유개념(conventional)의 원유만을 평 가의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베네수엘라의 초중질원유 는 기존의 석유에 해당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 초중질 원유의 매장량 또는 생산량 증가가 OPEC의 쿼터 배정 에서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다. 미국
미국 에너지정보처(EIA)는 2003년 10월에 원유 및 가스 확인매장량의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발표하였는 데, 약 227억 배럴로 전년대비 1% 정도 증가되었다. 매 장량 증가분의 97%가 멕시코와 접경지역인 걸프만 유
역이라고 한다. 천연가스 매장량은 전년대비 약 2% 늘 어난 187조 입방피트를 기록하였는데 주로 텍사스와 로키산맥 주변의 매장량이 늘었기 때문이다. 또한 Powder River 석탄층 매장 가스 지대, 와이오밍의 Pinedale 가스전, Wattenberg 가스전, 콜로라도 석탄 층 매장 지대의 매장량도 대규모로 늘었다. 그뿐 아니 라 미 10위 규모의 가스전인 텍사스의 Newark East 가스전의 매장량도 상당히 증가되었다.
라. 캐나다
캐나다의 확인매장량은 1,789억 배럴로 작년 보다 조금 줄어들었다. 캐나다 석유생산자협회(CAPP)에서 발표한 원유 매장량은 45억 배럴이며, 알버타 에너지 전력 위원회(AEUB)에서 발표한 오일샌드의 가채매장 량은 1,744억 배럴이었다. 캐나다 천연가스 매장량에 대한 석유생산자협회(CAPP)의 자료는 59조 입방피트 로 작년의 60조 입방피트 보다 약간 감소된 것으로 나 타났다. 지난해 세계 석유 확인매장량이 늘어난 것은 기존 개념의 석유가 아닌 카나다의 오일샌드를 매장량 에 반영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BP통계, OPEC 등 에서는 아직 전통 개념의 석유만을 매장량 통계로 인정 하고 있다.
마. 멕시코
2002년에 발표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의 매장량 기 준을 적용할 경우, 멕시코의 석유 매장량은 50%이상 줄 어들게 된다. 그러나 멕시코 국영석유회사 Pemex 보고 자료에 따르면, 원유 매장량은 1,567만 배럴로 전년대비 약 24% 늘어났고, 천연가스 매장량은 15조 입방피트로 전년대비 무려 70%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 가채연수 (R/P Ratios)
원유매장량을 생산량으로 나눈 비율로 가채연수를 계산해보면 자원보유국 별로 자원개발 여력을 판단해 볼 수 있다. 2003년 생산실적을 바탕으로 계산된 가채 연수를 보면, 미국의 경우 불과 11년에도 미치지 못하 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캐나다는 오일샌드 매장량을 제 외하면 약 56년으로 평가된다. 영국은 겨우 6년 정도 생산활동을 유지할 수 있을 뿐이다.
가채연수가 높은 5대 국가는 모두 OPEC 회원국들 로 이라크가 247년으로 1위, 쿠웨이트가 143년으로 2 위, 아부다비가 136년으로 3위, 베네수엘라 106년 4위 이며, 사우디아라비아는 84년으로 5위를 기록하고 있 다. 20위권 안에서 중앙아시아 국가로는 아제르바이잔 (7위)과 카자흐스탄(11위)이 랭크되어 있고 러시아는 가채연수 20년으로 13위에 올라와 있다. 아태지역 국 가로는 호주가 18년으로 14위, 중국이 15년으로 17위, 인도네시아가 13년으로 19위에 올라와 있다.
연구위원 이 문 배
국 가 명 가채연수(R/P)
1. 이라크 2. 쿠웨이트 3. 아부다비 4. 베네수엘라 5. 사우디아라비아 6. 리비아 7. 아제르바이잔 8. 캐나다 9. 나이지리아 10. 알제리
247.1 142.9 136.5 105.8 91.8 84.3 70.5 63.3 32.3 29.5
<표> 주요국 가채연수
자료: OGJ Worldwide Production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