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07년 하반기 국제 원유시황과 유가 전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2007년 하반기 국제 원유시황과 유가 전망"

Copied!
46
0
0

Teks penuh

(1)

정책연구자료07-01

정책 연구 자료 07

01

년 하반 기 국 제 원유 시황 과 유 가 전망

경기도 의왕시 내손동 665-1 TEL:031-420-2113 http://www.keei.re.kr

2007년 하반기

국제 원유시황과 유가 전망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20 07

ISBN 978-89-5504-165-1 ISBN 978-89-5504-165-1

02 07

·

6

2007. 6

이 달 석 이 문 배 최 성 희 오 세 신

(2)

정책연구자료 07-01

2007년 하반기

국제 원유시황과 유가 전망

2007. 6

이 달 석 이 문 배 최 성 희 오 세 신

¿ł fl‚Ø` 2007.8.8 4:9 PM ˘ ` 1 ”æ ”æ (2285-3382-3)

(3)

Ⅰ. 수요 동향 및 전망 ··· 1

1. 2007년 상반기 수요 동향 ··· 1

2. 2007년 하반기 수요 전망 ··· 4

Ⅱ. 공급 동향 및 전망 ··· 8

1. 2007년 상반기 동향 ··· 8

(1) 비OPEC 공급···8

(2) OPEC 공급 동향···10

2. 2007년 하반기 공급 전망 ··· 14

Ⅲ. 재고 동향 ··· 17

1. 미국 재고 동향 ···17

2. OECD 재고 동향 ···19

Ⅳ. 원유가 동향 및 전망 ··· 23

1. 2007년 상반기 원유가 동향 ···23

(1) 원유가 변동 추이···23

(2) 원유가 변동 요인···24

(3) WTI 가격 약세 원인···28

2. 2007년 원유가 전망 ···30

(1) 유가 전망 시나리오···30

(2) 시나리오별 원유가 전망···32

[부록] KEEI-NN 모형 ··· 36

(4)

〈표 차례〉

<표 1> 2007년 상반기 세계 수요 ··· 1

<표 2> 2007년 세계 석유수요 전망 ··· 5

<표 3>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 ··· 6

<표 4> 주요 기관의 2007년 세계 석유수요 증가량 전망 ···7

<표 5> 2007년 상반기 비OPEC 원유공급 ··· 8

<표 6> OPEC 회원국별 공급 추이 ···10

<표 7> OPEC 10개국 생산 및 감산 이행율 ···11

<표 8> 對OPEC 원유수요 추이 ···13

<표 9> 하반기 비OPEC 원유공급 전망 ··· 14

<표 10> 주요 기관의 2007년 하반기 비OPEC 원유공급 증감 전망 ····15

<표 11> 하반기 OPEC 원유공급 전망 ···15

<표 12> 2007년 對OPEC 원유수요 전망 ···15

<표 13> 주요 기관의 2007년 하반기 對OPEC 원유수요 증감 전망 ····16

<표 14> 월별 OECD 재고 변화 ···22

<표 15> 주요 원유의 월별 가격 변동 ··· 24

<표 16> 2007년 월별 원유가격 주요 변동 요인 ···25

<표 17> 2007년 세계 석유시장 수급밸런스(기준유가 시나리오) ···31

<표 18> 2007년 시나리오별 원유가 전망(두바이유 기준) ··· 34

<표 19> 주요 기관의 2007년 원유가 전망 ···35

(5)

[그림 1] 2007년 상반기 지역별 석유수요 증가 ··· 2

[그림 2] 2007년 상반기 OECD 석유수요 추이 ···3

[그림 3] 2007년 상반기 비OECD 석유수요 추이 ··· 4

[그림 4] 2007년 상반기 비OPEC 지역별 원유생산 증가 ··· 9

[그림 5] OPEC 여유생산능력 추이(백만 b/d) ···13

[그림 6] 미국 원유 재고 추이 ···17

[그림 7] 미국 휘발유 재고 추이 ··· 18

[그림 8] 미국 중간유분 재고 추이 ···19

[그림 9] OECD 원유 재고 추이 ···20

[그림 10] OECD 총석유제품 재고 추이 ··· 21

[그림 11] 원유가 변동 추이 ···23

[그림 12] Nymex 투기자금의 원유순매수 추이와 원유가 ···28

[그림 13] WTI와 브렌트의 현물시장 가격 차이 ···29

[그림 14] 2007년 시나리오별 원유가 전망(두바이유 기준) ··· 34

(6)

Ⅰ.수요 동향 및 전망 1

Ⅰ. 수요 동향 및 전망

1. 2007년 상반기 수요 동향

○ 2007년 상반기 세계 석유수요는 전년대비 약 0.9백만b/d 증가한 85.1백만 b/d로 추정됨.

- 2006년의 경우 예년에 비해 수요 증가세 둔화되었으나, 2007년 상반기에 다시 증가세가 회복됨.

・ 2005년 상반기 1.98백만b/d 증가, 2006년 상반기 0.52백만b/d 증가

구 분 2005년 상반기

2006년 2007년

1/4 2/4 상반기 1/4 2/4* 상반기*

세계 수요 83.66 85.14 83.22 84.18 85.58 84.60 85.09 OECD 49.62 50.26 48.04 49.15 49.73 48.25 48.99 비OECD 34.04 34.88 35.18 35.03 35.85 36.35 36.10 전년비 증감 1.98 0.39 0.65 0.52 0.43 1.38 0.91

OECD 0.64 -0.42 -0.52 -0.47 -0.53 0.21 -0.16

비OECD 1.35 0.81 1.17 0.99 0.96 1.17 1.07

<표 1> 2007년 상반기 세계 수요

(단위: 백만b/d)

주: * IEA 추정치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12 June, 2007.

○ 2007년 상반기 세계 석유수요 증가는 예년과 같이 비OECD국가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그림 1]).

- 2007년 상반기 비OECD국가의 수요는 전년 동기대비 약 1.1백만b/d 증 가한 반면, OECD국가의 수요는 전년대비 약 0.16백만b/d 감소하였음.

- 유럽(66만b/d 감소)과 OECD 태평양(42만b/d 감소)의 감소가 두드러졌

(7)

시아(24만b/d 증가), 남미(17만b/d 증가) 순으로 증가함.

[그림 1] 2007년 상반기 지역별 석유수요 증가

주: IEA 추정치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12 June, 2007.

○ 2007년 상반기 OECD 수요는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4월 OECD 수요는 전년 동월대비 증가하여 수요 감소세가 둔화되는 양상

을 보임([그림 2]).

- 2007년 4월 북미지역의 석유제품 수요는 전년 동월대비 2.1% 증가하여, OECD 유럽에 비해 약 2배 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함.

- 북미지역의 석유제품 수요 증가는 자동차 연료의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 하였기 때문임.

・ 4월 북미지역의 휘발유 수요는 전년 동기대비 1.1% 상승하였으며, 경 유 수요는 전년 동기대비 6.4% 상승함.

(8)

Ⅰ.수요 동향 및 전망 3

[그림 2] 2007년 상반기 OECD 석유수요 추이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12 June, 2007.

○ 2007년 상반기 비OECD 국가들의 석유수요는 전년 및 과거 5년 동안의 수 요를 훨씬 상회하는 견고한 성장세를 유지하여, 전년 동기 대비 1.07백만 b/d 증가하였음([그림 3]).

- 중국의 석유수요는 2007년 상반기 전년 동기대비 5.2%의 증가율을 기록 하며 7.50백만b/d에 육박하고 있음.

・ 2007년 4월 기준, 석유제품별 전년 동월대비 증가율은 납사(5.2%), 수 송용 경유와 휘발유(4.7%), 그리고 가정용연료(20.3%)가 두드러짐.

- 중동 국가들의 석유수요는 예년처럼 산업화・도시화 추진으로 인해 견실 한 증가세가 유지되었음.

・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전체 석유소비의 약 41%를 담당하는 수송용 연료의 증가율이 10%를 기록하며 2007년 상반기 석유수요 증가를 견 인하였음.

(9)

비 13만b/d 감소하였음.

・ 파이프라인(BTC, CPC, Druzhba 등)을 통한 원유수출 증가, 국내 정제 시설 가동률 하락도 수요 감소의 원인이 됨.

[그림 3] 2007년 상반기 비OECD 석유수요 추이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12 June, 2007.

2. 2007년 하반기 수요 전망

○ 2007년 세계 석유수요는 개발도상국의 높은 경제성장과 북미지역의 수요 회복으로 인해 전년대비 약 1.42백만b/d 증가한 85.89백만b/d에 이를 것 으로 전망됨(<표 2>).

- IMF는 2007년 세계 경제성장률을 4.9%, 개발도상국 경제성장률을 7.5%

로 전망하고 있음(<표 3>)

(10)

Ⅰ.수요 동향 및 전망 5

구 분 2006 2007

연평균 증가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북미지역 25.28 25.71 25.38 25.90 25.99 25.74 0.47

OECD 유럽 15.49 15.15 15.02 15.58 15.79 15.38 -0.10

OECD 태평양 8.46 8.88 7.85 7.96 8.86 8.39 -0.07

OECD 전체 49.22 49.73 48.24 49.44 50.64 49.52 0.30

구소련 3.98 3.77 3.60 4.03 4.44 3.96 -0.02

비OECD 유럽 0.76 0.84 0.78 0.68 0.73 0.76 0 중국 7.16 7.27 7.72 7.59 7.70 7.57 0.41 비OECD 아시아 8.82 9.14 9.19 8.92 9.15 9.10 0.28 남미 5.31 5.32 5.46 5.53 5.49 5.45 0.14 중동 6.28 6.41 6.53 6.57 6.46 6.50 0.22 아프리카 2.95 3.09 3.05 2.93 3.10 3.04 0.09 비OECD 전체 35.25 35.85 36.35 36.21 37.07 36.37 1.12 세계 전체 84.47 85.58 84.60 85.65 87.71 85.89 1.42

<표 2> 2007년 세계 석유수요 전망

(단위: 백만b/d)

주: 2006년 및 2007년 1분기와 2분기는 IEA추정치, *는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망치

○ 2007년 하반기 세계 석유수요는 4월 이후 본격화될 경제성장세가 반영되어 상반기보다 1.6백만b/d 상승한 약 86.69백만b/d를 기록할 전망됨.

- 전년 동기대비 상반기 수요증가분이 0.9백만b/d인데 비해 하반기 수요증 가분은 1.9백만b/d로 전망됨.

○ 2007년 하반기 OECD 수요는 연초 우려와는 달리 낙관적인 경제성장세

(GDP 증가율 2.5%)로 인해 상반기 48.99백만b/d보다 1.17백만b/d 상승한 50.16백만b/d로 전망됨.

- 미국은 2007년 1분기 성장이 1.3%에 머물렀음에도 불구하고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대비 55만b/d 증가하였으므로 2분기 이후 2%이상의 성장세를 보일 경우, 수요증가분은 1분기 수준을 충분히 상회할 것으로 전망됨.

(11)

구 분 2005 2006 2007 2008

전세계 4.9 5.4 4.9 4.9

선진국 2.5 3.1 2.5 2.7

미국 3.2 3.3 2.2 2.8

유럽 1.4 2.6 2.3 2.3

독일 0.9 2.7 1.8 1.9

프랑스 1.2 2.0 2.0 2.4

이태리 0.1 1.9 1.8 1.7

스페인 3.5 3.9 3.6 3.4

일본 1.9 2.2 2.3 1.9

영국 1.9 2.7 2.9 2.7

캐나다 2.9 2.7 2.4 2.9

기타 선진국 3.9 4.3 3.8 3.8

아시아산업선진국 4.7 5.3 4.6 4.6

개발도상국 7.5 7.9 7.5 7.1

아프리카 5.6 5.5 6.2 5.8

Sub-Sahara국가 6.0 5.7 6.8 6.1

중앙 및 동유럽 5.5 6.0 5.5 5.3

CIS 국가 6.6 7.7 7.0 6.4

Russia 6.4 6.7 6.4 5.9

Excl. Russia 6.9 9.7 8.3 7.5

아시아 개발국 9.2 9.4 8.8 8.4

중국 10.4 10.7 10.0 9.5

인도 9.2 9.2 8.4 7.8

ASEAN-4 5.2 5.4 5.5 5.8

중동 5.4 5.7 5.5 5.5

남미 4.6 5.5 4.9 4.2

브라질 2.9 3.7 4.4 4.2

멕시코 2.8 4.8 3.4 3.5

<표 3>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

(단위: %)

자료: IMF, World Economy Outlook, April, 2007.

- 서유럽지역 역시 연초 예상보다 경제성장률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특히 독일의 경기가 2006년 말부터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석유 소비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큼.

(12)

Ⅰ.수요 동향 및 전망 7

○ 2007년 하반기 비OECD 수요는 예년과 같이 중국, 아시아 개발도상국, 그 리고 중동국가들에 의해 견인되어 전년 동기대비 1.19백만b/d 증가한 36.64백만b/d로 전망됨.

- 하반기 중국의 석유수요는 상반기에 기록한 7.49백만b/d 수준을 상회한 7.64백만b/d를 기록하여 연평균 7.57백만b/d(전년대비 41만b/d 증가)에 이를 전망임.

ㆍ 중국은 2007년 1분기에 금리와 지급준비율 인상, 투자억제, 부동산 시 장 안정화조치 등 거시경제 안정화조치에도 불구하고 11.1%의 높은 성장률을 달성함.

- 중동은 석유소비의 약 60%를 담당하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의 주도로 2007년 수요가 전년대비 약 22만b/d 증가한 6.5백만b/d에 이를 전망임.

- 남미지역은 브라질의 바이오연료 보급 확대에 따라 2007년 14만b/d 수 준의 소폭증가가 예상되어 연간 수요는 약 5.45백만b/d에 그칠 전망임.

○ 해외 주요 기관들의 2007년 하반기 수요증가량 전망은 0.9백만b/d부터 2.4 백만b/d에서, 연평균 전망은 0.80백만b/d에서 1.7백만b/d 사이에서 분포 되어있음.

구 분 에경연 CGES IEA EIA OPEC PEL 하반기 1.93 0.90 2.41 - 1.66 1.4 연평균 1.42 0.80 1.67 1.40 1.29 1.1

<표 4> 주요 기관의 2007년 세계 석유수요 증가량 전망

(단위: 백만b/d)

주: CGES(Center for Global Energy Studies),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 EIA(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OPEC(Organization of the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PEL(Petroleum Economics Limited)의 2007년 6월 기준 전망

(13)

Ⅱ. 공급 동향 및 전망

1. 2007년 상반기 동향

(1) 비OPEC 공급

○ 5월까지 공급실적을 감안한 2007년 상반기 비OPEC의 원유공급은 금년 초 앙골라의 OPEC 가입으로 인해 전년 동기대비 0.4백만b/d 감소한 50.2백 만b/d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됨.

- 2005년 상반기 0.4백만b/d 증가, 2006년 상반기 0.2백만b/d 증가

구 분 2005년 상반기

2006년 2007년

1/4 2/4 상반기 1/4 2/4* 상반기*

공급(백만b/d) 50.5 50.7 50.5 50.6 50.3 50.0 50.2 전년비 증감(백만b/d) 0.4 0.3 -0.1 0.2 -0.4 -0.5 -0.4 전년비 증감율 0.7% 0.5% -0.2% 0.3% -0.8% -1.0% -0.9%

<표 5> 2007년 상반기 비OPEC 원유공급

주: * IEA 추정치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12 June, 2007.

○ 상반기 비OPEC의 원유공급은 OPEC에 가입한 앙골라를 포함할 경우 전년 동기보다 약 1.2백만b/d 증가하였으나, 당초 예상에는 미치지 못함.

- 구소련 지역에서 예상보다 높은 증가를 보였고 북해지역도 생산량 회복 을 보였으나, 북미지역에서 캐나다의 생산량이 예상보다 부진하였고, 남 미의 생산량도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음.

- 유럽 북해유전은 상반기 특히 1분기에 공급량이 예상보다 호전되며 당초 전망대비 약 7~8만b/d 증가됨.

(14)

Ⅱ. 공급 동향 및 전망 9

- 북미 지역의 경우, 캐나다의 원유증산은 서부 앨버타주의 오일샌드 프로 젝트와 동부지역 대서양 연안 유전의 증산으로 2007년 비OPEC 증산의 관심이었으나 상반기 실적은 예상보다 저조함.

- 구소련 지역은 러시아를 포함하여 2007년 상반기에 예상보다 약 10만 b/d 이상의 증산을 기록하였음.

ㆍ BTC 파이프라인 가동 이후 아제르바이잔의 증산 활동에 관심이 모아 지고 있는 반면, 카자흐스탄의 공급량은 전년보다 저조한 실적을 기 록함.

- 아프리카 지역은 앙골라가 OPEC 회원국이 됨에 따라서 원유 생산량이 전년 동기대비 약 130만b/d 감소함.

ㆍ수단의 일부 증산을 제외하면 가봉, 이집트 등은 예년 수준을 유지함.

[그림 4] 2007년 상반기 비OPEC 지역별 원유생산 증가

(단위: 백만b/d)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12 June, 2007.

(15)

○ 앙골라가 새로운 회원국으로 가입한 가운데 OPEC은 2007년 1~5월중 감 산합의 이행에도 불구하고 원유공급이 약 49만 b/d 증가하였고, NGL 물 량을 포함하면 약 63만 b/d 증가하였음(<표 6>)

- 5월까지 앙골라 공급량 월평균 1.55백만b/d

구 분 2006년 상반기(A)

2007년 상반기 증감

(B-A) 1/4 4월 5월 평균(B)

사우디 9.42 8.62 8.61 8.61 8.61 -0.81

이란 3.81 3.88 3.97 3.90 3.91 +0.10

이라크 1.90 1.89 2.10 2.00 1.97 +0.07

UAE 2.62 2.57 2.56 2.59 2.57 -0.05

쿠웨이트 2.51 2.44 2.40 2.35 2.41 -0.10

카타르 0.82 0.80 0.80 0.80 0.80 -0.02

나이지리아 2.21 2.22 2.25 2.01 2.18 -0.03

리비아 1.69 1.69 1.69 1.71 1.70 +0.01

알제리 1.35 1.33 1.34 1.36 1.34 -0.01

베네수엘라 2.62 2.44 2.37 2.37 2.41 -0.21 인도네시아 0.92 0.85 0.84 0.85 0.85 -0.07

앙골라 (1.38) 1.53 1.59 1.56 1.55 +1.55

OPEC 원유

(앙골라 제외) 29.81 30.24

(28.71) 30.49

(28.90) 30.07 (28.51)

30.30

(28.75) +0.49 (-1.06)

NGL 4.64 4.76 4.80 4.80 4.78 +0.14

총 OPEC

(앙골라 제외) 34.45 35.01

(33.57) 35.29

(33.70) 34.86

(34.87) 35.08

(33.53) +0.63 (-0.92)

<표 6> OPEC 회원국별 공급 추이

(단위: 백만b/d)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12 June, 2007.

○ OPEC의 생산은 앙골라 이외에 사우디와 쿠웨이트, 베네수엘라, 인도네시 아에서 감소한 반면 이란, 이라크, 리비아는 증가하였음.

(16)

Ⅱ. 공급 동향 및 전망 11

- 사우디아라비아의 생산은 5월까지 861만b/d로 전년 상반기대비 81만 b/d 감소하였고 쿠웨이트와 UAE는 각각 10만b/d, 5만b/d 감소함.

- 이라크와 이란은 전년 동기대비 각각 7만b/d, 10만b/d 증가를 기록함.

○ OPEC은 2006년 10월과 12월 임시총회에서의 감산합의에 따라 2007년 2월 이후 총 170만b/d 감산한다는 계획이었는데, 2007년 5월 월평균 생산량을 기준으로 감산합의 이행률은 73.5% 수준임.

- 2006년 11월부터 120만 b/d 감산, 2007년 2월부터 50만 b/d 추가 감산 - OPEC은 회원국별 쿼터 물량을 제시하지 않은 채 합의된 감산 총 규모

만을 발표하고 있음.

ㆍ이는 감산규모 산정 기준이 기존의 쿼터물량이 아닌 현재 생산량으로

바뀐데 따른 혼란을 방지하고 내부 조정의 여유를 갖기 위한 전략으 로 해석됨.

구 분 생산쿼터 2006. 9월 생산량

국별 감산 권장량*

2007. 5월 생산량

감산 이행률(%)

알제리 894 1,350 59/24 1,360 0.0

인도네시아 1,451 870 39/16 850 36.3

이란 4,110 3,900 176/73 3,900 0.0

쿠웨이트 2,247 2,500 100/42 2,340 126.0

리비아 1,500 1,750 72/30 1,710 39.2

나이지리아 2,306 2,190 100/42 2,010 126.7

카타르 726 820 35/14 800 40.8

사우디아라비아 9,099 9,200 380/158 8,600 111.5

UAE 2,444 2,650 101/42 2,590 41.9

베네수엘라 3,223 2,550 138/58 2,370 91.8

OPEC 10개국 28,000 27,760 1,200/500 26,510 73.5

<표 7> OPEC 10개국 생산 및 감산 이행율

(단위: 천b/d, %)

주: * 2006년 10월과 12월 두 차례에 걸쳐 합의한 OPEC 감산 합의 사항으로 각각 11월, 2월부터 시행

자료: IEA, MOR 5월호 생산량을 기준으로 시산

(17)

○ OPEC 감산 이행률은 회원국 간 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

-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나이지리아는 100% 이상, 베네수엘라도 100%

가까운 감산 이행률을 기록함.

- 이란과 알제리는 감산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도네시 아, 카타르, 리비아, UAE 등은 50% 미만의 감산 이행률을 기록함.

○ OPEC은 현재와 같은 느슨한 형태의 감산합의 이행을 이유로 주요 소비국 들의 증산 요구에 소극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음.

- IEA는 5월 이후 급등세를 지속하고 있는 국제유가의 안정을 위하여

OPEC의 증산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반복하고 있으나 OPEC은 현재의

유가 급등은 원유 수급이 아닌 휘발유 등 제품시장의 수급 요인 때문에 발생되는 것이라며 원유 증산은 필요하지 않다는 입장임.

- OPEC 바스켓 가격이 $65/배럴을 넘어서자 6월 초순 이후 OPEC은 소비 국들의 증산 요구에 대하여 당장 응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지만 필요시에 는 증산할 것임을 강조하고 있음.

○ 한편, 상반기 對OPEC 원유수요는 세계 석유수요 증가와 앙골라의 OPEC 가입으로 인한 비OPEC 공급의 상대적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도 하반기 보 다 1.1백만b/d 증가한 30.2백만b/d를 기록함.

- 1/4분기 對OPEC 원유수요는 OECD 국가의 석유수요 둔화로 세계 수요 가 전년대비 44만b/d 증가에 그쳤음에도 앙골라 요인으로 전 분기대비 2백만b/d나 증가함(앙골라를 제외할 경우 50만 b/d 증가).

- 2/4분기 對OPEC 원유수요는 세계 석유수요의 계절적 감소로 전 분기대 비 감소함.

(18)

Ⅱ. 공급 동향 및 전망 13

2006년 2007년 변화량

(B-A) 상반기(A) 하반기 1/4 2/4 상반기(B)

28.9 29.1 30.5 29.8 30.2 1.3

<표 8> 對OPEC 원유수요 추이

(단위: 백만b/d)

주: 세계 수요에서 비OPEC 공급량과 OPEC NGL을 차감한 수치임.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12 June, 2007

○ OPEC이 보유한 여유 생산능력(이라크, 나이지리아, 베네수엘라, 인도네시 아 제외)은 285만b/d 정도로 여전히 생산량의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 어 수급 여건은 여전히 타이트한 상태에 있음.

- 앙골라가 회원국으로 가입하였지만 여유 생산능력의 증가는 없음.

[그림 5] OPEC 여유생산능력 추이(백만 b/d)

(생산능력 및 생산량) (여유생산능력)

주: 여유생산능력은 이라크, 나이지리아, 베네수엘라, 인도네시아를 제외한 수치

(19)

2. 2007년 하반기 공급 전망

○ 2007년 하반기 비OPEC의 생산량은 50.4백만b/d로 상반기 대비 약 24만 b/d, 전년 동기대비 73만b/d 증가할 전망임.

- 연간 생산량은 50.2백만b/d로 연초 예상보다 약 70만b/d 낮을 것으로 전망됨.

2006년 (A)

2007년 증감

(B-A) 1/4(실적) 2/4(추정) 3/4 4/4 연간(B)

49.43 50.29 49.96 50.00 50.74 50.24 +0.82

<표 9> 하반기 비OPEC 원유공급 전망

(단위: 백만b/d)

주: 1) 2006년 실적은 앙골라를 제외한 수치

2) 2007년 상반기는 IEA 실적 및 추정치, 하반기는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망치

○ 2007년 하반기 비OPEC 원유생산 증가는 북미지역의 미국과 캐나다, 구소 련의 러시아를 포함한 카스피해 연안국, 남미 브라질의 증산 활동들이 기 여할 전망임.

- 북미지역은 캐나다 앨버타주의 오일샌드 프로젝트 확장에 의한 원유 증 산과 동부 대서양 연안 유전(Terra Nova, White Rosa)에서 8월 이후 증 산이 예상됨.

- 구소련에서 러시아와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을 중심으로 하반기에 10 만b/d 증산이 예상됨.

○ 세계 주요 기관들은 하반기 비OPEC 공급량을 전년 동기대비 최저 1.05백 만b/d 감소에서 최고 1.30백만b/d 증가까지 다양하게 전망하고 있음.

- 하반기 비OPEC 공급은 상반기대비 0.20~0.65백만b/d 증가를 전망함.

(20)

Ⅱ. 공급 동향 및 전망 15

구 분 에경연 CGES IEA EIA OPEC

하반기 0.73 -1.05 0.80 0.60 1.30

연평균 0.82 -0.70 0.80 0.70 1.10

<표 10> 주요 기관의 2007년 하반기 비OPEC 원유공급 증감 전망

(단위: 백만b/d)

주: <표 4>와 동일

○ 하반기 OPEC의 공급은, 4/4분기 OPEC이 감산이행을 완화한다고 전제할 경우, 30.7백만b/d(NGL 4.9백만b/d 제외)가 될 것으로 전망됨.

2006년 (A)

2007년 증감

(B-A) 1/4(실적) 2/4(추정) 3/4 4/4 평균(B)

29.7 30.2 30.4 30.4 31.0 30.5 0.8

<표 11> 하반기 OPEC 원유공급 전망

(단위: 백만b/d)

주: 2007년 상반기는 IEA 실적 추정치, 하반기는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망치

○ 하반기 對OPEC 원유 수요는 세계 석유수요 증가와 비OPEC 공급의 부진 으로 전년 동기대비 약 90만b/d 늘어날 전망임.

- 하반기 세계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대비 약 1.9백만b/d 증가하는데 비해, 비OPEC 원유공급은 24만b/d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됨.

- OPEC NGL 생산은 상반기보다 15만b/d 증가한 약 5백만b/d를 전제함.

2006년 (A)

2007년 증감

(B-A) 1/4(실적) 2/4(추정) 3/4 4/4 평균(B)

30.5 30.5 29.8 30.9 31.9 30.8 +0.3

<표 12> 2007년 對OPEC 원유수요 전망

(단위: 백만b/d)

주: 하반기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망

(21)

b/d, EIA가 130만b/d, CGES는 160만b/d 증가를 전망한 반면, OPEC은 전년과 동일한 수준으로 전망함.

- OPEC 6월 보고서를 근거로 계산한 하반기 對OPEC 원유수요는 30.9백만 b/d로 전년과 동일함.

구 분 에경연 CGES IEA EIA OPEC 하반기 0.90 1.60 1.40 1.30 0.00

연평균 0.30 1.40 0.56 0.80 -0.20

<표 13> 주요 기관의 2007년 하반기 對OPEC 원유수요 증감 전망

(단위: 백만b/d)

주: <표 4>와 동일

○ 하반기 OPEC의 총생산능력은 34백만b/d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어 실질 여유생산능력도 3백만b/d 이상의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 그러나 OPEC이 4분기부터 수급안정을 위하여 감산프로그램을 중단할

경우 원유 공급량은 31백만b/d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됨.

(22)

Ⅲ. 재고 동향 17

Ⅲ. 재고 동향

1. 미국 재고 동향

○ 2007년 1월부터 4월까지의 미국 원유 재고는 전년 동기대비 소폭 낮은 수 준에 머물렀으나 과거 5년(2002~2006) 평균치와 비교해서는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음.

- 미국 정제가동률이 정제시설 유지보수와 결함에 따른 가동중단으로 5년 평균 가동률을 크게 하회한 데 기인함.

- 미국 원유재고는 가동률 부진과 수입 증가로 5월부터 전년 동기대비 증 가세를 보이기 시작함.

ㆍ 미국 원유재고는 6월 29일 354만 배럴로 1998년 이후 최고 수준을 나 타냈으며 전년 동기대비 5.3% 높은 수준임.

2002- 2006 범 위 2006 2007

[그림 6] 미국 원유 재고 추이

자료: EIA

(23)

○ 미국 휘발유 재고는 1월말에 227.9백만 배럴로 최고치를 보인 후 정제가동 률 부진으로 4월에 193.1백만 배럴까지 감소하였음.

- 1월 말까지 미국 휘발유 재고는 정제가동률 하락에도 불구하고 수요 감 소와 수입 증가에 힘입어 꾸준히 증가세를 유지하여, 1월말 재고는 전년 동기대비 2.6%, 5년 평균치대비 4.8%를 상회하였음.

- 2월로 접어들면서 정제시설의 유지보수 및 고장에 따른 가동중단으로 정 제가동률이 3월중 86% 수준, 4월중이 89% 수준에 머물러 휘발유 재고는 4월까지 감소세를 지속하였음.

ㆍ 4월 27일까지 미국 휘발유 재고는 193.1백만 배럴로 전년 동기대비 4.7% 감소하였으며 5년 평균치보다 7% 이상 낮은 수준을 기록함.

- 휘발유 성수기를 앞둔 5월에는 정제가동률이 90%대를 회복하고 휘발유 수입이 증가함에 따라 휘발유 재고는 증가세로 전환됨.

2002- 2006 범위 2006 2007

[그림 7] 미국 휘발유 재고 추이

자료: EIA

(24)

Ⅲ. 재고 동향 19

○ 미국의 중간유분 재고는 4월까지 감소세를 보이다가 5월 이후 122백만 배 럴 수준에서 안정세를 나타냄.

- 중간유분 재고는 1월 중순까지 겨울철 이상고온 현상으로 난방유 소비가 줄며 6주 연속 증가세를 보이다가 2월부터 4월 초에 걸친 북동부 지역의 한파로 인해 난방유 소비가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8주 연속 감소함.

- 중간유분 재고는 4월 중순 이후 난방유 소비가 감소하고 정제가동률도 90% 수준을 회복하면서 증가세로 전환됨.

2002- 2006 범위 2006 2007

[그림 8] 미국 중간유분 재고 추이

자료: EIA

2. OECD 재고 동향

○ 2007년 1월 OECD 원유 재고는 전월에 비해 13.7백만 배럴 감소한 936.6백 만 배럴을 기록하였으나 5년 평균치를 상회함.

(25)

30.0백만 배럴과 2.3백만 배럴 감소하였음.

2001~2006 2006 2007

[그림 9] OECD 원유 재고 추이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12 June, 2007.

○ 2월에는 전월 보다 10.7백만 배럴 증가한 947.3백만 배럴을 기록하였으나, 전년 동월대비로는 17.3백만 배럴 감소함.

- 북미와 태평양 지역에서 전월대비 각각 9.1백만 배럴과 1.1백만 배럴 감 소하였으나, 유럽 지역 재고가 20.8백만 배럴의 높은 증가폭을 나타냄.

○ 3월에는 전월 보다 9.0백만 배럴 증가한 956.3백만 배럴을 기록하며 두 달 연속 증가세를 보였으나, 전년 동월대비 8.3백만 배럴 낮은 수준임.

- 북미와 태평양 지역 재고는 전월대비 각각 11.5백만 배럴과 2.5백만 배럴 증가하였으며, 유럽 지역 재고는 4.9백만 배럴 감소하였음.

(26)

Ⅲ. 재고 동향 21

○ 4월에는 전월에 비해 10.9백만 배럴 증가한 967.2백만 배럴을 기록하였으 며, 전년 동월대비 13.9백만 배럴 낮은 수준이지만 5년 평균 재고에 비해 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 북미 지역의 원유재고는 정제시설 유지보수 및 고장에 따른 가동률 부진 과 원유 수입 증가로 전월대비 9.3백만 배럴 증가함.

- 유럽 지역의 원유재고는 정제시설의 유지보수가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전 월대비 13.9백만 배럴 증가함.

- 태평양 지역의 원유재고는 OPEC으로부터의 원유수입 감소와 석유제품 생산 증가로 전월대비 12.3백만 배럴 감소함.

○ OECD 국가들의 총 석유제품 재고는 2007년 4월 1,354.1백만 배럴로 3개월 연속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전년 동월대비로는 4.7백만 배럴 높은 수준임.

2 0 0 1 ~ 2 0 0 6 2 0 0 6 2 0 0 7

[그림 10] OECD 총석유제품 재고 추이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12 June, 2007.

(27)

과 태평양 지역에서는 각각 12.8백만 배럴과 2.7백만 배럴 감소함.

ㆍ휘발유 재고 감소는 주로 정제시설의 유지보수와 결함으로 생산이 부 진한데 따른 것이며, 유럽 지역의 감소는 대부분 프랑스와 독일에서 발생함.

- 1월부터 4월까지 중간유분 재고변화는 북미에서 10.1백만 배럴 감소하였

으며, 유럽과 태평양 지역에서 각각 0.6백만배럴과 21.8백만 배럴 감소함.

ㆍ1월에는 유럽과 태평양 지역에서 겨울철 이상 고온현상으로 난방유

소비가 크게 줄어들며 전월대비 7.8백만 배럴 증가하였으며 전년 동 월대비로도 17.3백만 배럴 증가하였음.

○ 원유와 석유제품 재고를 합한 OECD 국가들의 4월 총 석유재고는 2,606.6 백만 배럴로 전월대비 9.9백만 배럴 감소하였으나 5년 평균치보다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 OECD 전체의 총 석유비축 지속일수는 1월부터 4월까지 54일을 유지하 였으며 전년과 유사한 수준임.

구 분 2006년 2007년

12월 1월 2월 3월 4월

원유 950.3 936.6 947.3 956.3 967.2

(-31.6) (-13.7) (10.7) (9.0) (10.9)

휘발유 378.4 401.0 384.3 364.6 349.4

(10.3) (22.6) (-16.7) (-19.7) (-15.2)

중간유분 568.4 571.2 545.3 520.7 528.8

(11.8) (2.8) (-25.9) (-24.6) (8.1) 총석유제품 1450.9 1466.0 1395.2 1357.7 1354.1

(5.6) (15.1) (-70.8) (-37.5) (-3.6) 총석유재고 2684.2 2687.2 2621.5 2596.7 2606.6

(-41.3) (3.0) (-65.7) (-24.8) (9.9)

<표 14> 월별 OECD 재고 변화

(단위: 백만배럴)

주: ( )는 전월대비 증가분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12 June, 2007.

(28)

Ⅳ. 원유가 동향 및 전망 23

Ⅳ. 원유가 동향 및 전망

1. 2007년 상반기 원유가 동향

(1) 원유가 변동 추이

○ 2007년 상반기 원유가격은 연초 북반구의 이상고온 현상에 의한 난방유 수 요 감소의 영향으로 급격히 하락하였으나, 이후 수급상황이 악화되고 지정 학적 불안요인이 가세함에 따라 상승추세를 보임.

- 두바이 가격은 1월 19일 $49.06/배럴을 기록해 2006년 8월 8일 기록한 사상 최고가격인 $72.16/배럴에 비해 30% 이상 하락함.

- 그러나 두바이 가격은 1월 하순부터 꾸준히 상승하여 6월 19일에는

$67.38/배럴로 상반기 최고가격을 기록함.

[그림 11] 원유가 변동 추이

(29)

유 종 2007년 상반기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평균

두바이 51.75 55.89 58.92 63.98 64.65 65.70 59.98

브렌트 53.62 57.45 62.28 67.55 67.40 71.51 62.92

WTI 54.21 59.18 60.60 63.85 63.44 66.93 61.22

(단위: $/배럴)

주: 6월 가격과 상반기 평균가격은 6월 22일까지의 가격

○ WTI 가격이 약세를 보여 3월 이후 브렌트 가격과의 역전 현상이 나타났으 며, 두 유종 간의 가격 격차는 점차 확대됨.

- WTI와 브렌트의 가격 격차는 3월 $1.68/배럴, 4월 $3.70/배럴, 5월 $3.96/

배럴, 6월 $4.58/배럴로 확대됨.

- 5월중 WTI 가격은 두바이 가격에 비해서도 $1.21/배럴 낮은 수준을 기록함.

(2) 원유가 변동 요인

○ 1월 이후의 원유가 상승은 중국을 비롯한 개도국의 꾸준한 수요 증가와

OPEC의 감산정책 등으로 세계 석유수급 상황이 여전히 타이트한 가운데 미국의 휘발유 재고 감소, 원유생산 지역의 지정학적 사건에 의한 불안 등 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함.

○ 세계 석유수요는 1분기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3만b/d 증가하는데 그쳤으나 2분기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38만b/d 증가한 것으로 추 정됨(IEA).

- 2006년 상반기의 수요 증가분이 약 50만b/d에 머물렀던 것과 비교해 보 면 큰 폭의 수요 증가임.

○ OPEC은 2006년 11월부터 120만b/d, 2007년 2월부터 50만b/d의 생산 감축 을 추진함.

(30)

Ⅳ. 원유가 동향 및 전망 25

기간 주요 변동 요인

1월

․미국 북동부의 기온이 평년보다 6~7℃ 정도 상승

․러시아와 벨로루시 간 가스공급 분쟁 발생(1/8)

․러시아와 벨로루시 간 가스공급 분쟁 타결(1/10)

․미국 북동부 한파 시작(1/19)

․미국의 전략비축유 확대계획 발표(1/23)

․미국 석유제품 재고 6주 연속 증가(1/24)

2월

․OPEC 감산합의 이행 시작 (2/1)

․미국 북동부 지역 한파 계속

․나이지리아 MEND 테러위협 계속

․나이지리아의 2~3월 원유수출 차질 선언(2/11)

․Valero사 정제시설(21만b/d) 화재 발생(2/13)

․Teppco사 송유관(24만b/d) 누유 사고 발생(2/21)

․UN의 이란 핵개발 중단 요구 시한 종료(2/21)

․미국 난방유 재고 4주 연속 감소(2/22)

․중국 증시 9% 하락(2/27)

3월

․중국 발 세계 경기침체 우려 계속

․미국 북동부 지역 한파 계속

․미국 주택담보대출 부실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3/13)

․미국 정제가동률 85% 대로 하락(3/14)

․OPEC 총회에서 원유생산 동결 결정(3/15)

․이란의 영국해군 나포 사건 발생(3/23)

․UN의 이란에 대한 추가제재안 결의(3/26)

․미국 중간유분 재고 8주 연속 감소(3/28)

․미국 휘발유 재고 7주 연속 감소(3/28)

4월

․이란의 영국해군 포로 석방(4/5)

․Motiva사의 정제시설(25만b/d) 가동중단(4/9)

․미국 Cushing지역 WTI 원유재고 3년 만에 최고치 경신(4/13)

․Enbridge사의 원유 송유관(45만b/d) 누유 사고 발생(4/16)

․나이지리아 부정대선 의혹 속에 우마르 야라두아 당선(4/23)

․미국 휘발유 재고 11주 연속 감소(4/25)

․Marathon Oil사 정제시설(24.5만b/d) 화재 발생(4/26)

<표 16> 2007년 월별 원유가격 주요 변동 요인

(31)

기간 주요 변동 요인

5월

․나이지리아에서 외국인 근로자 납치로 인한 정정불안

․미국 휘발유 재고 12주 연속 감소(5/2)

․미국 DOE 전략비축유 구매 연기(5/3)

․대형 태풍의 멕시코만 강타 가능성 증가 전망 발표(5/8)

․미국 휘발유 재고 13주 만에 증가(5/9)

․나이지리아 주민들의 Shell사 송유관 점거(5/11~16)

․BP사 정제시설(46만b/d) 일시적 가동중단(5/17)

․UN이 요구한 이란 핵개발 중단 시한 종료(5/23)

․Valero사의 Mckee와 ConocoPhillips사 정제시설(24.7만b/d)

가동중단(5/24)

6월

․Motiva사의 정제시설(28.5만b/d)과 베네수엘라 Curacao사

정제시설(32만b/d) 예방정비 가동중단(6/3)

․아라비아 해에서 태풍 Gonu 발생(6/4)

․미국 휘발유 재고 5주 연속 증가(6/6)

․IEA 2007년 세계 석유소비 전망 상향 조정(6/12)

․나이지리아의 외국인 근로자 납치 사태 계속

․미국 정제가동률 89.2%로 동기대비 15년 만에 최저치 기록

(6/13)

<표 16> 2007년 월별 원유가격 주요 변동 요인(계속)

- OPEC 산유국들의 실제 감산 이행률은 목표치의 74%(5월 생산량 기준) 에 머물고 있지만, OPEC의 감산이 상반기 세계 석유시장의 수급을 타이 트하게 만듦.

○ 세계 최대의 휘발유 소비시장인 미국에서 휘발유 성수기를 앞두고 재고가 급속히 감소함으로써 휘발유 수급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고 휘발유가격 이 급등하면서 원유가에도 영향을 미침.

- 미국의 휘발유 재고는 정제시설 고장으로 의한 생산차질과 유지보수 기 간의 연장으로 2월 둘째 주부터 4월 마지막 주까지 12주 연속 감소함.

(32)

Ⅳ. 원유가 동향 및 전망 27

- 이후 미국의 휘발유 재고는 6월 3주까지 7주 연속 증가하였지만 과거 5 년 동안의 6월 평균재고량에 비해 여전히 약 4~5% 낮은 수준임.

○ 상반기 중에 발생한 지정학적 사건들이 석유시장을 불안하게 만들어 원유 가 상승으로 이어짐.

- 3월 하순 이후 원유가는 영국 해군의 이란 영해 침범 여부를 두고 이란 과 영국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상승 추세를 보임.

・ 이 사건은 4월 5일 이란이 영해에 대한 침범을 이유로 억류했던 영국 해군 15명을 석방하면서 종료됨.

- 나이지리아에서는 정정 불안이 심화되어 2006년 초반 이후 60만b/d 내 외였던 생산차질 물량이 더 확대됨.

・ 나이지리아의 대표적인 무장단체인 니제르델타해방운동(MEND)이 대 통령 선거(4월 21일) 이후 본격적인 테러활동을 전개함으로써 5월 중 생산차질 물량이 최대 90만b/d까지 늘어남.

・ 6월 현재 생산차질 규모는 75만b/d 내외에 이르고 있음.

- 이란 핵문제도 여전히 석유시장의 불안요소로 잠재해 있음.

・ UN 안보리가 요구한 핵개발 중단시한(5월 23일)이 지남에 따라 이란 과 서방진영 사이의 갈등이 고조되는 양상임.

○ 원유 선물시장 투기자금의 순매수 규모는 1월 중순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나타내면서 4월 중순에 최고 8.1만 계약(81백만 배럴)까지 증가함([그림 12]).

- 6월 19일 기준 순매수는 6.6만 계약(66백만 배럴)을 기록하면서 높은 수 준을 유지하고 있음.

(33)

[그림 12] Nymex 투기자금의 원유순매수 추이와 원유가

(3) WTI 가격 약세 원인

○ WTI 가격의 약세는 이 원유의 인도지점인 Cushing 지역의 재고가 급증했 기 때문임.

- 재고 급증의 원인으로는 정제시설 사고로 인한 가동차질, Cushing 지역 의 파이프라인 병목 현상, 캐나다산 원유의 유입 증대 등을 들 수 있음.

○ WTI 원유만 정제하는 텍사스 북부의 Valero社 McKee 정제시설(정제능력 17만b/d)이 2월 16일 이후 화재로 인해 조업을 중단하여 WTI 원유에 대 한 수요가 감소하고 재고가 증가함.

- ConocoPhillips社 Wilmington(13.9만b/d), Borger(15.5만b/d) 정제시설, BP社 Whiting(17.5만b/d) 정제시설, Motiva社의 Port Arthur(28.5만b/d) 정제시설, Chevron社의 EI Segundo(26만b/d) 정제시설 등의 가동차질 도 미국시장 전반적으로 원유의 수요 감소와 재고 증가로 이어짐.

(34)

Ⅳ. 원유가 동향 및 전망 29

[그림 13] WTI와 브렌트의 현물시장 가격 차이

○ Cushing 지역의 파이프라인 병목현상으로 다른 지역으로의 원유 송출에

애로가 발생하면서 이 지역의 재고가 늘어남.

- Cushing에서 Chicago로 연결되는 원유 송출라인이었던 Enbridge社의 Spearhead 파이프라인(12.5만b/d)이 2006년 3월 원유 유입라인으로 전환 되어 25만b/d의 원유가 추가로 유입되는 효과가 발생함.

○ 미국 중서부 지역으로 유입되는 캐나다산 원유의 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 하면서 미국 국내산 원유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재고가 증가함.

○ 한편, WTI 가격의 약세는 지정학적 불안에 의한 원유가격 상승 요인이 WTI보다는 브렌트에 상대적으로 더 강하게 작용하였기 때문임.

- 나이지리아의 정정불안에 의한 공급차질은 나이지리아 원유 판매가격의 기준이 되는 브렌트유의 가격에 더 큰 영향을 줌.

(35)

의 긴장(3월 하순) 등은 이란 원유가 주로 아시아와 유럽에 수출되므로 WTI 보다는 브렌트 가격의 강세로 이어짐.

※ 브렌트유 가격은 유럽지역 3대 대표 원유인 Forties, Oseberg의 가격 과의 차이가 안정적으로 유지됨.

2. 2007년 원유가 전망

(1) 유가 전망 시나리오

○ 2007년 하반기 원유가격 전망은 하반기 세계 석유수급 상황을 주요 전제로

하고, 이외에 OPEC의 생산정책, 지정학적 불안정성, 기후․사건․사고 등

의 전개과정 등을 추가적으로 고려함.

○ 신경정신망(Neural Network)기법을 응용하여 구축된 에너지경제연구원의 KEEI-NN 모형을 활용하고, 시장상황별로 기준유가・고유가・저유가 시나리 오를 설정하여 가격을 전망함.

- KEEI-NN 모형에서는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수요 및 공급 상황은 물 론 시장심리상황을 설정하여 지정학적 요인, 투기자금 움직임 등의 영향 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함(자세한 내용은 [부록] 참조).

○ 기준유가 시나리오는 Ⅰ장과 Ⅱ장에서 전망한 하반기 수급상황이 전개될 것을 전제로 함(<표 19>).

- 2007년 하반기 세계 석유수요는 고유가에도 불구하고 세계 경제성장세가 지속되어 상반기 대비 1.6백만b/d가 증가하여, 연평균으로는 전년대비 1.42백만b/d 증가한 85.89백만b/d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2007년 하반기 세계 비OPEC 석유공급은 상반기 50.12백만b/d 수준에서

24만b/d 정도의 소폭 증가에 그칠 것이며, 연평균으로는 전년대비 82만

b/d 증가(앙골라 제외)한 50.25백만b/d를 기록할 전망임.

(36)

Ⅳ. 원유가 동향 및 전망 31

- 2007년 하반기 OPEC의 공급은 2006년 11월부터 시행된 감산정책(약 -1.25백만b/d)이 3분기 이후 완화되어, 4분기에는 31백만b/d까지 공급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임(약 65만b/d 수준의 감산정책 예상).

- 2007년 하반기 시장심리상황은 수요 강세 등을 반영하여 전년 동기의

“중립 단계”에서 “불안 1단계” 수준으로 조정함.

(단위: 백만b/d)

구 분 2006년

(A)

2007년

증감(B-A)

1/4 2/4 3/4 4/4 연간(B)

OECD 수요 49.2 49.7 48.2 49.4 50.6 49.5 0.3

- 북미 25.3 25.7 25.3 25.9 26.0 25.7 0.4

- 유럽 15.5 15.1 15.0 15.6 15.8 15.4 -0.1

- 태평양 8.5 8.9 7.9 8.0 8.9 8.4 -0.1

비OECD 수요 35.2 35.8 36.4 36.3 37.0 36.4 1.2 세계수요 84.5 85.6 84.6 85.7 87.7 85.9 1.4 비OPEC 공급(①)1) 50.8

[49.4] 50.3 50.0 50.0 50.7 50.2 -0.5 [0.8]

- OECD 공급 20.0 20.2 19.9 19.9 20.3 20.1 0.1

OPEC NGL(②) 4.6 4.8 4.9 4.9 5.0 4.9 0.3

對OPEC 수요2) 29.1

[30.5] 30.5 29.8 30.9 31.9 30.8 1.73 [0.3]

OPEC 공급(③)3) 29.7

[31.1] 30.2 30.4 30.4 31.0 30.5 0.8 [-0.6]

세계공급(①+②+③) 85.1 85.3 85.3 85.3 86.7 85.7 0.6 재고증감 0.6 -0.3 0.7 -0.4 -1.0 -0.2 -0.6

<표 17> 2007년 세계 석유시장 수급밸런스(기준유가 시나리오)

주: 1)과 2)의 [ ]는 앙골라를 제외한 수치

주: 2) 세계 수요에서 비OPEC 공급과 OPEC NGL 차감 주: 3)의 [ ]는 앙골라를 포함한 수치

(37)

○ 고유가 시나리오는 기준유가 시나리오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상황을 전제 한 것으로, 비OPEC 공급능력 정체와 OPEC의 감산정책이 2007년 말까지 지속될 뿐더러 공급지역의 지정학적 불안까지 심화되는 상황을 가정함.

- 하반기 석유수요는 기준유가 시나리오와 동일한 수준을 가정함.

- 하반기 비OPEC의 공급량은 전년대비 38만b/d 증가한 약 50백만b/d를 기록, 연평균으로는 전년대비 65만b/d 증가한 약 50.1백만b/d에 그칠 것 으로 가정함.

- 약 1.3백만b/d 수준의 OPEC 감산정책이 하반기에도 지속됨.

- 시장심리상황은 기준유가 시나리오보다 불안정한 방향으로 1단계 상향조 정한 “불안 2단계” 수준으로 조정함.

○ 저유가 시나리오는 기준유가 시나리오에 비해 하반기 석유수요의 둔화와 OPEC 감산정책의 적극적인 완화를 전제로 함.

- 하반기 석유수요는 고유가 부담으로 인해 상반기 대비 1.0백만b/d 증가 하여, 연평균으로는 전년대비 1.1백만b/d 증가한 85.6백만b/d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하반기 비OPEC 석유공급은 기준유가 시나리오와 동일한 수준을 가정함.

- OPEC은 상반기 급등한 국제유가를 안정시키고자 연초부터 추진하였던 감산정책을 적극적으로 완화하여 3분기부터 -55만b/d 수준 유지.

- 시장심리상황은 “안정 2단계” 수준으로 조정함.

(2) 시나리오별 원유가 전망

○ 기준유가 시나리오에 의한 하반기 두바이유 평균가격은 $66.22/배럴로 전 망됨(3분기 $68.03/배럴, 4분기 $64.41/배럴).

(38)

Ⅳ. 원유가 동향 및 전망 33

- 3분기 원유가는 중국 등 개도국을 중심으로 석유수요의 증가세가 지속되 고 예상보다 저조한 비OPEC의 공급증가, OPEC의 감산정책 등 타이트 한 수급상황으로 인해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 4분기 들어서면 원유가는 비OPEC 신규 유전의 공급이 증가하고 OPEC 의 감산정책이 완화되면서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 기준유가 시나리오의 연평균 가격은 전년대비 $1.43/배럴 상승한 $62.98/

배럴

○ 고유가 시나리오에 의한 하반기 두바이유 평균가격은 $73.56/배럴로 전망 됨(3분기 $75.33/배럴, 4분기 $71.79/배럴).

- 비OPEC 공급이 더욱 저조하고 OPEC의 감산정책이 연중 지속되는 한편, 허리케인에 의한 석유시설 피해 및 지정학적 불안이 심화되는 경우임.

※ 고유가 시나리오의 연평균 가격은 전년대비 $5.10/배럴 상승한 $66.65/배럴

○ 저유가 시나리오에 의한 하반기 두바이유 평균가격은 $58.72/배럴로 전망 됨(3분기 $61.11/배럴, 4분기 $56.33/배럴).

- 고유가로 인해 석유수요가 예상보다 둔화되고 OPEC의 감산정책을 중단 하고 증산에 나서는 경우임.

※ 저유가 시나리오의 연평균 가격은 전년대비 $2.32/배럴 하락한 $59.23/

배럴

(39)

시나리오 2006년

2007년

1/4 2/4 3/4

(전망)

4/4 (전망)

연평균 (전망) 기준유가

61.55 54.99 64.50

68.03 64.41 62.98

고유가 75.33 71.79 66.65

저유가 61.11 56.33 59.23

<표 18> 2007년 시나리오별 원유가 전망(두바이유 기준)

(단위: $/배럴)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KEEI-NN 모형에 의한 전망치(‘07년 6월말 전망)

○ 종합하면, 2007년 하반기 원유가격은 고유가에 대한 세계 석유수요의 반응

과 OPEC의 생산정책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됨.

- OPEC이 9월 총회에서 감산정책 완화를 결정할 경우 원유가는 4분기 들 어서 하락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큼.

[그림 14] 2007년 시나리오별 원유가 전망(두바이유 기준)

(40)

Ⅳ. 원유가 동향 및 전망 35

○ 해외 주요 기관들의 2007년도 원유가 전망은 기관별로 차이는 있으나 2007 년 5월 또는 6월 발표된 전망치는 2006년 유가 수준에 비해 상승과 하락이 혼재되어 있음.

- 원유가격이 전년대비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기관은 CGES와 CERA(두바 이유 가격)이며,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기관은 EIA, PIRA, CERA(브렌트, WTI 가격)임.

- 주요 기관들의 2006년 11월 전망과 2007년 6월 전망을 비교해 보면, 대 부분의 기관이 원유가격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였음.

・ 당초 예상보다 높은 세계 석유수요 증가와 당초 예상보다 낮은 비 OPEC 원유공급이 전망치 상향 조정의 주요 요인임.

전망기관 기준유종 2006년

2007년(전망) 전년대비 차이

2006년 11월

2007년 6월

2006년 11월

2007년 6월 에너지경제硏 두바이 61.55 58.20 62.98 -3.35 +1.43

CGES 브렌트 65.00 64.80 66.80 -0.20 +1.80

CERA

두바이 61.46 60.50 62.53 -0.96 +1.07

브렌트 65.13 58.50 65.04 -6.63 -0.09

WTI 66.01 60.00 63.12 -6.01 -2.89

EIA WTI 66.02 65.00 64.06 -1.02 -1.96

PIRA 브렌트 65.15 63.65 64.65 -1.50 -0.50

WTI 66.00 64.15 62.65 -1.85 -3.35

<표 19> 주요 기관의 2007년 원유가 전망

(단위: $/배럴)

주: CGES(Center for Global Energy Studies), CERA(Cambridge Energy Research Associates), EIA(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PIRA(Petroleum Industry Research Associates)의 2006년 11월, 2007년 6월 전망치

(41)

석유수요지수

석유공급지수

석유시장심리지수

SVR기법 석유가격전망 석유수요지수

석유공급지수

석유시장심리지수

SVR기법 석유가격전망 [그림 1] KEEI-NN 모형의 기본구조

[부록] KEEI-NN 모형

1. KEEI-NN 모형의 구조

○ KEEI-NN 모형은 국제 원유가격이 수요상황, 공급상황, 그리고 시장심리상 황으로 결정된다는 전제로, 국제유가 결정요소들을 지수화한 수요지수, 공 급지수, 시장심리지수를 근간으로 함.

- 수요지수: 월별 수요시장의 상황을 평가하는 지수 - 공급지수: 월별 공급시장의 상황을 평가하는 지수

- 시장심리지수: 정치․군사․경제․기상 등의 상황을 평가하는 지수

○ KEEI-NN 모형은 인공지능(neural network) 분야에서 가장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SVR(support vector regression)기법을 사용하여 원유가격 을 예측하며, 수요지수, 공급지수, 시장심리지수 변화에 따른 원유가격의 변화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음.

- SVR기법은 입력 자료를 무한차원의 공간으로 투영하여 비선형 형태의 회귀식을 찾아내는 방법으로 예측정확성이 선형회귀기법보다 매우 우수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인공지능 기법 중 가장 주목받고 있음.

(42)

[부록] KEEI-NN 모형 37 [그림 2] SVR 기법을 이용한 비선형 회귀식 측정 구도

2. 수요지수

○ 현재 수요량의 추세가 과거와 얼마나 다른가를 파악하기 위해서 석유수요 의 상대적 증감 속도를 나타내는 지수를 사용함.

동월 수요증가량 석유수요량동월 최근개년 세계석유수요량의 최소값

석유수요지수  동월 석유증가량의평균 동월 수요증가량

- 석유수요지수는 전세계, 권역별, 국가별로 세분화하여 구축 ・ 권역별 세분화는 OECD와 비OECD로 나뉨.

・ OECD 권역 하, 북미/OECD-유럽/OECD-태평양으로 세분화 ・ 비OECD 권역 하, 중국/구소련/남미/중동/기타 유럽으로 세분화 ・ 수요지수의 총 개수는 11개

○ t+1기의 수요지수 예측을 위한 t+1기의 수요증가량을 예측하는 모형은 아 래와 같이 설정됨.

(43)

수요증가량 = ƒ (실질GDP, 인구, 석유가격, 소비자물가지수, 환율)

○ 유가와 석유수요지수와의 관계는 수요지수 상승에 따라 유가상승이 체증 하는 함수형태임.

[그림 3] 수요지수와 유가와의 함수 형태

3. 공급지수

○ 석유의 공급상황을 반영하면서 유가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변수후보로 다 음 자료들을 고려하였음.

① 세계원유생산량 ② OPEC 원유공급량 ③ Non-OPEC 원유공급량

④ OECD석유재고 ⑤ OPEC 여유생산능력

(44)

[부록] KEEI-NN 모형 39

○ 공급지수는 원유생산량, OECD 석유재고의 합으로 나타내지는 실제 원유 공급량과 잠재적인 원유생산능력을 나타내는 OPEC 여유생산능력의 함수 로 표현됨.

석유공급량생산량비생산량 재고량

석유공급지수  석유공급량의평균 석유공급량

×  잉여생산능력의평균

잉여생산능력

○ 유가와 석유공급지수와의 관계는 석유공급지수 상승에 따라 유가 하락이 체감하는 함수형태임.

[그림 4] 공급지수와 유가와의 함수 형태

(45)

○ 유가는 정치, 군사, 경제, 자연환경 등 수급 이외의 심리적 요인에 따라 변 동하므로 시장심리상황을 지수화하여 유가결정 요소로 반영함.

- 1990년부터 2006년까지 실질적인 수급변화 이외에 유가에 영향을 준 사 건들을 수집, 계량화하여 지수로 구축함.

○ 시장심리지수는 1~7단계(안정 3단계, 중립, 불안 3단계)로 수준을 나누어 예상되는 시장심리상황을 반영함.

(46)

이 달 석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 문 배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최 성 희

에너지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오 세 신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원

정책연구자료 2007-01

2007년 하반기 국제 원유시황과 유가 전망

2007년 7월 2일 인쇄 2007년 7월 4일 발행

著 者 李 達 錫․李 文 培․崔 盛 熙․吳 世 臣 發行人 房 基 烈

發行處 에너지경제연구원

󰊴󰊳󰊷-󰊷󰊱󰊳 경기도 의왕시 내손동 665-1 전화: (031)420-2114(代) 팩시밀리 : (031)422-4958 登 錄 1992년 12월 7일 제7호

印 刷 범 신 사(02-503-8737)

ⓒ 에너지경제연구원 2007 ISBN 978-89-5504-165-1 93320

Gambar

[그림  1]  2007년  상반기  지역별  석유수요  증가
[그림  2]  2007년  상반기  OECD  석유수요  추이
[그림  3]  2007년  상반기  비OECD  석유수요  추이
[그림  4]  2007년  상반기  비OPEC  지역별  원유생산  증가
+7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