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13년 러시아 에너지부문 실적 평가와 향후 과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2013년 러시아 에너지부문 실적 평가와 향후 과제"

Copied!
7
0
0

Teks penuh

(1)

2013년 러시아 에너지부문 실적 평가와 향후 과제

에너지국제협력본부 한혜진([email protected])

러시아 Aleksandr Novak 에너지부 장관은 푸틴 대통령에게 러시아 에너지부문 의 2013년 실적평가와 중기 과제에 대해 보고함.

2013년 GDP에서 에너지부문이 차지한 비중은 30%, 석유·가스 생산량은 2000 년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원유 523.2백만 톤, 가스 668.08Bcm을 기록함.

러시아 정부는 탄화수소의 상업적 매장량 증대를 위해 개발여건이 어려운 신규 매장지 개발을 위한 세제혜택을 제공함. 또한, LNG수출 자유화를 추진하였음.

2013년 러시아 석탄 생산량은 352.1백만 톤임. 석탄 수출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내수용 석탄 공급량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석탄부문에 대한 투자 역시 38% 감소하였음.

ㅇ 러시아 Aleksandr Novak 에너지부 장관은 1월 9일 푸틴 대통령과 면담을 갖 고, 2013년 러시아 에너지부문 평가 및 중기적 과제에 대해 보고함.

- 이번 보고에는 러시아 경제에서 에너지부문이 차지하는 비중, 주요 에너지자 원 생산량 변화 추이, 2013년 개정된 에너지부문 법 규제뿐만 아니라 중기 관점에서의 러시아 에너지부문 과제를 다루고 있음.

1. 석유 ・ 가스부문 2013년 실적평가 및 2014년 과제

□ 석유·가스부문 생산실적 및 전망

ㅇ 2012년 2월 3일 러시아 통계청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2013년 러시아 GDP는 66조 6,891억 루블을 기록하였으며, 당초 2013년 12월 말 경제개발부가 평가 한 2013년 GDP 성장률보다 0.1%p 감소한 1.3%의 성장률을 기록함.

- 에너지부에 따르면, 2013년 GDP에서 에너지부문이 차지한 비중은 30%임.

또한, 세수에서 에너지부문은 50%, 수출에서 70%의 비중을 차지함.

ㅇ 러시아의 원유 생산량은 2000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2013년 원유 생산 량은 2012년 518.7백만 톤에서 523.2백만 톤으로 0.9% 증가하였음.

- 에너지부는 1990년대 이후 가장 많은 생산량을 기록했다고 밝혔으며, 이는 신흥 원유 생산지역인 러시아 동부 및 북부지역 원유 생산량이 대폭 증가했 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음.

- 에너지부는 2020년 원유 생산량을 524백만 톤으로 전망하고 있음. 이는 기존 생산지역인 서시베리아지역의 생산 부진이 우려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2013년 러시아 GDP에서 에너지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30%”

(2)

- 2013년 세계 원유 생산량에서 러시아 원유가 차지하는 비중은 12.2%로 사 우디아라비아와 1,2위를 다투고 있음.

- 원유 수출량은 2011년부터 꾸준히 감소해 왔음. 2013년 러시아 원유 수출량 은 2012년 240백만 톤 대비 2.5% 감소한 234백만 톤을 기록함. 원유 수출 감소 원인으로 자국 내 석유제품 수요 증가에 따른 정제량 증대가 지목됨.

러시아연방 에너지거래소 CDU TEK(Central Dispatching Department of Fuel and Energy Complex)는 2013년 러시아 원유 수출량을 전년 대비 2.1% 감소 한 235백만 톤으로 평가하고 있음.

ㅇ 매장지에서 획득되는 수반가스 활용 비중은 소폭 증가하여 2012년 65.2%에서 2013년에 2.4%p 증가한 78.6%를 기록함.

ㅇ 수직통합 석유기업들의 원유 E&P부문에 대한 투자 규모는 2011년 7,266억 루 블에서 2012년 8,614억 루블로 크게 증대하였으나, 2013년에는 전년 대비 4.5% 증가한 9,000억 루블을 기록함.

ㅇ 러시아 전체 매장지에서 생산정 개수는 2012년 19,734개에서 20,900개로 5.9% 증가하였으며, 탐사 시추정 개수는 2012년 802개에서 2013년 810개로 1% 증가하였음.

ㅇ 2013년 원유 정제량은 2012년 271.4백만 톤 대비 2.2% 증가한 227.3백만 톤 을 기록함. 2013년 정유부문 현대화에 대한 투자는 2012년 1,780억 루블에서 51.1% 증가한 2,690억 루블을 기록하였음.

ㅇ 천연가스의 경우, 2013년 러시아 가스 생산량은 2012년 654.7Bcm에서 2% 증 가한 668.08Bcm을 기록함.

- 러시아의 가스 수출량은 2011년 196.8Bcm에서 2012년 186.2Bcm으로 감소 했다가, 2013년에 전년 대비 10.4% 증가한 205.6Bcm을 기록하였음.

CDU TEK는 러시아의 2013년 가스 수출량을 전년 대비 10% 증가한 204.911Bcm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그 중 Gazprom의 2013년 對유럽 가스 수 출량은 전년 대비 23.8% 증가한 139.3Bcm, CIS국가들에 대한 가스 수출량은 전년 대비 13.6% 감소한 51.1Bcm을 기록함.

- 러시아의 가스 수출 증대는 주로 Gazprom의 對유럽 가스 수출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됨. 유럽에 대한 가스수출 증가는 유럽경기 회복 조짐과 유럽 정 부의 에너지전환정책 추진에 따른 것으로 보임.

- 러시아 내수용 가스 공급량은 감소하였는데, 2012년 460Bcm에서 2013년 1.4% 감소한 453.4Bcm을 기록함.

- CDU TEK에 따르면, 러시아 수출 수송망을 통해 유럽으로 수출되는 중앙아

시아 가스물량(러시아의 중앙아시아 가스수입으로 분류)은 2013년 전년 대 비 13.7% 감소한 27.325Bcm을 기록함. 이는 중앙아시아, 특히 투르크메니 스탄 가스의 對중국 공급 물량이 증대하였기 때문이며, 이러한 현상은 향후

“2013년 러시아 원유 수출량은 자국 석유제품 수요 증가로 인해 전년 대비 2.5% 감소”

“Gazprom의 對유럽 가스 공급량 증대에 따라 2013년 가스 수출량 대폭 증가

(3)

에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ㅇ 러시아의 가스화(가스보급) 사업에 대한 투자규모는 2011년 290억 루블에서 2012년 337억 루블로 큰 폭으로 증대하였고, 2013년은 339억 루블로 0.6%

증대된데 그쳤음.

- 러시아의 가스화 수준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2013년에는 2012년 64.4%에 서 0.9%p 증가한 65.3%를 기록하였음.

자료: 에너지부

< 러시아 가스 수송시설 현황 >

□ 에너지부의 2013년 석유・가스부문 주요 활동 평가

ㅇ 러시아는 탄화수소의 상업적 매장량 확대를 위하여 채굴이 어려운 매장지(셰 일자원 포함), 대륙붕, 그리고 북극지역과 같은 접근이 어려운 지역의 매장지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음.

- 정부는 해당 매장지 개발 촉진을 위한 세제 인센티브와 첨단기술 적용 확대 조치를 도입하여, 이를 통해 확인매장량을 증대시키고 있음.

ㅇ 러시아 정부가 석유·가스부문 매장량 증대 및 생산 촉진을 위한 정책으로 2013년 한 해 동안 다음과 같은 법・제도를 개정함.

- 2013년 9월 러시아 정부는 카스피해 내 러시아영해를 포함한 러시아 대륙

붕 등 모든 해상 매장지의 탄화수소 개발에 세제혜택을 제공하는 법을 제정 하였음.

・ 이에 따라, 러시아 내 모든 해상 매장지에서 자원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기업에게 세제혜택이 제공됨.

・ 해상매장지에서 생산된 탄화수소를 판매할 때 부가가치세가 면제됨.

“정부는 탄화수소 상업적 매장량 확대 위한 신규 매장지 개발 촉진 정책을 추진하고, 2013년 200억 톤까지 경제적 매장량 증대”

(4)

- 러시아 대륙붕 내 탄화수소 개발 촉진을 위한 법도 제정되었음. 이에 따라 대 륙붕 매장지에 대한 지하자원채굴세율을 개발여건에 따라 차등부과하게 됨.

・ 개발여건이 매우 열악한 가스전 중 흑해, 오호츠크해 북부, 바렌츠해 남 부 등에 위한 매장지에 대한 지하자원채굴세율은 기존의 10%에서 1.3%로, 카라해, 바렌츠해 북부, 북극해 동부지역 등에 위치한 매장지에 대해서는 1%로 각각 인하됨.

・ 개발 난이도가 비교적 양호한 매장지 중 아조프해와 발틱해 내 신규 매 장지에 대한 지하자원채굴세율은 2022년 3월 31일까지 30%

・ 흑해(수심 100m 이하), 카라해, 페초라해, 백해, 오호츠크해 남부지역 등에 있는 신규 매장지에 대해서는 2032년 3월 31일까지 15%

・ 흑해(수심 100m 이상), 오호츠크해 북부, 바렌츠해 남부 등에 있는 신 규 매장지에 대해서는 2037년 3월 31일까지 15% 각각 적용

ㅇ 러시아 정부는 2013년 10월 30일 LNG수출 자유화법을 발표하고, 이에 근거 해서 가스수출 연방법 제3조, 대외거래 활동 국가규제 기준에 관한 법 제13조, 제23조 등을 개정함.

- LNG수출 자유화법은 LNG 수출권을 획득할 수 있는 기업을 2개 범주로 구

분하고 있음.

・ 첫 번째 범주에 속하는 기업은 2013년 1월 1일 현재 개발대상 매장지 에서의 가스 자원 구매자・사용자로서 액화플랜트 건설을 계획하고 있거 나 LNG 수출계획을 갖고 있는 기업임.

・ 두 번째 범주에 속하는 기업은 정부 소유지분이 50% 이상인 국영기업 또는 이들 국영기업 자회사(50% 지분 소유) 가운데 흑해 및 아조프해 를 포함한 대륙붕에 위치한 매장지에서의 가스자원 구매자・사용자로서 이들 매장지에서 생산되는 가스 자원으로 LNG를 생산하는 기업, 또는 PSA 방식으로 생산되는 가스로 LNG를 생산하는 기업임.

- LNG 수출권을 부여받은 기업은 LNG 사업 시행계획, LNG 공급처, 가격결 정 방식, 공급기간 등에 대한 정보를 에너지부에 제출해야 함.

□ 석유・가스부문 2014년 에너지부문 주요 과제

ㅇ 러시아 정부는 2014년 에너지부문의 과제로 다음을 설정하고 있음.

- 자원 관련 세제 개선: 수송망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유전에 대한 지하자원채 굴세 면제기간 연장, 원유 생산기간 연장을 위한 세제 인센티브 제공 - 원유 석유가공부문 발전모델 수립: 2030년, 2040년까지의 석유 가스의 생

산, 정제, 석유제품 부문의 종합적이고 유연한 발전 모델 수립

- 러시아 원유의 국제적 브랜드화: ESPO원유를 아시아지역 기준원유로 입지

“러시아 정부는 LNG수출 자유화 조치를 발표하여, 일단 일부 민간기업도 LNG수출이 가능해졌음”

(5)

확보

- LNG수출 자유화 조치의 효율적인 추진

- 가스보급사업 확대 및 자국 내 천연가스 판매 시스템 개선 - 예측능력이 높은 석유제품 수요 전망모델 마련

- 동부석유화학단지 조성사업 추진: 동부석유화학기업(Far East Petrochemical Co.)의 종합투자 프로그램 승인

- 천연가스연료 시장 육성: 천연가스연료 시장 육성을 위한 종합계획의 성실한 이행, 시범사업 시행, 천연가스연료 가격결정 절차 확립

2. 석탄부문 2013년 평가 및 2014년 과제

□ 석탄부문 2013년 생산실적 및 향후 전망

ㅇ 러시아의 2013년 석탄 생산량은 2012년 354.9백만 톤에서 0.8% 감소한 352.1 백만 톤을 기록했으며, 2020년 석탄 생산량은 38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석탄 수출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2011년 106.6백만 톤, 2012년 126.9백 만 톤에서 2013년에는 142.9백만 톤으로 전년 대비 12.9% 증가함.

- 반면, 국내 석탄 소비량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2011년 석탄 소비량은 198.3백만 톤, 2012년 187.6백만 톤이며 2013년에는 178백만 톤으로 전년 대비 5.1% 감소하였음.

- 석탄부문에 대한 투자는 2011년 995억 루블에서 2012년 1169억 루블로 증 가하였다가 2013년 750억 루블로 큰 폭(-38%) 감소하였음.

ㅇ 러시아 석탄의 FOB 수출가격은 2011년 최고가를 기록하고 이후 꾸준히 감소 세를 보이고 있음.

- 연료탄(steaming coal)의 FOB 수출가격은 2011년 톤당 98달러를 기록한 이 후 2012년 81달러, 2013년 72.1달러를 기록함.

- 원료탄의 FOB 수출가격은 2009년 톤당 84.4달러 대비 2011년 157달러로 큰 폭 인상되었다가 2012년 116달러, 2013년 99달러로 하락함.

“러시아의 2013년 석탄 생산량은 352.1백만 톤으로 0.8% 감소”

(6)

자료: 에너지부

< 러시아 석탄 FOB 수출가격 추이(2002~2013년) >

(단위: $/톤)

□ 에너지부의 석탄부문 2013년 주요활동 평가 및 향후 과제

ㅇ 2013년 8월 러시아 정부는 인프라 열악으로 수익성이 낮은 탄전을 개발하는 기업들에 대해 5~10년간 지하자원채굴세를 면제해 주는 정책을 마련 중에 있 으며, 탄전 종합개발 메커니즘을 수립 중임.

- 에너지부는 러시아 기술감독청과 공동으로 탄전 생산시설 안전 보장을 위한 대책을 마련함.

ㅇ 러시아 에너지부는 2013년 활동계획에 따라 석탄부문의 주요 목표치를 설정하 고, 이를 달성하였음.

- 석탄 생산 및 선광용량 확대를 통해 석탄산업에 대한 투자여건 개선: 첨단 기술을 적용한 생산시설 비중의 10.1% 달성

- 석탄제품 수출 증대: 석탄제품의 수출비중 40.6% 달성

ㅇ 에너지부는 2014년 석탄산업의 과제로 다음을 설정하고 있음.

- 러시아 에너지 전략-2030에 따른 석탄산업 발전 장기 프로그램 활성화, 전력 및 교통부문과 석탄부문의 전략적 동기화

- 노동여건 개선, 탄광작업 안전성 확보, 석탄부문 사고횟수 감소, 사고처리 지 원 등을 위한 프로그램 이행

- 극동 및 동시베리아지역 내 신규 석탄생산센터(Tyva, Yakutiya, Zabaikal) 구축 시에 국가 지원, 투자세 혜택 제공

- 생산성 낮은 탄광의 단계적 폐광 시스템 마련, 위험한 생산시설을 가동하고 있는 기업들에 대한 특별 폐광기금 마련

참고문헌

에너지경제연구원,「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각 호

러시아 에너지부, Итоги работы ТЭК России в 2013 году, Задачи на средн- есрочную перспективу, 2014.1.9

“러시아 정부는 개발여건이 열악한 탄전에 대한 지하자원채굴세 면제 정책을 마련중”

(7)

러시아 경제개발부, Об уточнении основных параметров прогноза социально- 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на 2014 год, 2013.12.27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