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18년도 제26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2018년도 제26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Copied!
2
0
0

Teks penuh

(1)

2018년도 제26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주제 : 달나라로 떠나는 달콤한 우주여행

소속기관 직위 성명

1. 제작 동기

2018년 4월 23일(음력 8일)에 6학년 [지구와 달의 운동] 단원의 [여러 날 동안 달의 모양을 관찰하여 볼까요?] 차시에 제시되어 있는 [한 달 동안의 달 모양변화 관찰 숙제]를 학생들에게 내주었다. 학생들은 안전상 늦은 밤이나 새벽에 관찰 할 수 없기 때문에 그들이 관찰 가능한 저녁 7~9시 사이 중 매일 일정한 시각을 택하여 한 달 동안 달의 모양을 관찰하기로 하였다.

그런데 미처 고려하지 못한 문제가 생겼다. 달이 점점 늦게 뜨다가 며칠이 지나면 뜨지 않아서 관찰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이었다. 이에 학생들이 달이 점점 늦게 뜨다가 안 떠서 숙제를 못했다며 그 이유를 매우 궁금해 하였다.

이 내용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되지 않으나 6학년 학생들이 달 모양 변화를 관찰하다 보면 필연적으로 부딪칠 수 밖에 없는 문제이다. 따라서 6학년 학생들도 달이 뜨는 시각이 변화하는 이유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었으며 관련 자료를 찾아보았으나 초등학생들이 이해할 만한 수준의 자료를 찾기 힘들었다.

또한 6학년 과학책 42쪽에 제시되어 있는 [달의 모양이 변하는 이유 알아보기], [남반구에서의 달의 모양 생각해보기]는 정지된 그림이어서 이것만으로 학생들이 움직이며 상호작용하는 천체 현상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보였다.

이에 착안하여 본 연구자는 6학년 담당 교사들이 [달이 뜨는 시각이 변하는 이유], [달의 모양이 변하는 이유], [남반구에서의 달의 모양]을 지도할 때 본인과 같은 시행착오를 겪지 않도록 사전 교재연구용으로 쉽게 활용할 수 있고, 학생들의 궁금증을 쉽게 해결해 줄 수 있는 영상 [달나라로 떠나는 달콤한 우주여행]을 제작하게 되었다.

(2)

2. 제작 내용

가. 대상 및 과목 : 초등학교 6학년, 과학 1단원 [지구와 달의 운동]

나. 주요 학습내용

(1) 달이 뜨는 시각이 변하는 이유 (2) 달의 모양이 변하는 이유 (3) 남반구에서의 달의 모양 다. 제작방향

연구자가 본 차시 수업을 하면서 인식한 문제점 및 학생들의 궁금증을 토대로 스토리를 구성한다. 6학년 주인공 캐릭터가 중심이 되어 위 내용관련 학습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우주에서 관찰하며 궁금증들을 해결해 나가는 학습 만화 형태로 제작한다.

라. 제작 세부과정

문제점 및 제작필요성 인식 ▸ 관련이론 탐구 ▸ 영상 시나리오 작성 ▸ 캐릭터 창작 ▸ 스토리 보드 구성 ▸ 영상편집 ▸ 목소리 더빙 및 자막작업 마. 사용 프로그램 :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어도비 에프터이펙트, 어도비 포토샵,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 클립스튜디오, 스텔라리움, 구글어스 바. 저작권 관련사항

(1) 음원 – 유튜브 라이브러리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컨텐츠 (프리 라이센스) (2) 글꼴 – 네이버 나눔글꼴 (프리 라이센스)

3. 기대 효과

가. 실제 수업사례를 바탕으로 한 스토리 구성으로 교사 및 학생들의 공감대 형성

나. 정적인 그림의 한계에서 벗어나 천체들의 움직임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여 관련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력 향상

다. 딱딱한 이론 설명 방식이 아닌 학생들이 좋아하는 만화형식으로 구성하여 학습 흥미도 향상

라. 해당 단원 및 차시 지도 시 교사들의 사전 교재연구용 자료로 활용

마. 달의 모양 관찰 과제 시 학생들의 시행착오를 방지하고 사전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보충 심화학습 자료로 활용가능

Referensi

Dokumen terkait